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14:57:44

사상역(도시철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부선의 기차역에 대한 내용은 사상역(경부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상역
파일:Busan2.svg 파일:BGL_logo.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도시철도 · 경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상역
(서부터미널)

감 전
← 1.1 ㎞
2호선
(227)
호포 · 양산 방면

덕 포
1.2 ㎞ →
사상(서부터미널)
시종착
부산김해경전철
(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도시철도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Busan5.svg
시종착
5호선
(501)
건설 중
}}}}}}}}}
경부선으로 갈아타기
역명 표기
2호선 사상
Sasang
沙上 / 沙上 / [ruby(沙上, ruby=ササン)]
5호선
부산김해경전철 사상 (서부터미널)
Sasang (Seobu Intercity Bus Terminal[1])
沙上(西部터미널) / 沙上(西部客运站) / [ruby(沙上, ruby=ササン)]
([ruby(西部, ruby=せいぶ)]バスターミナル)[2]
주소
2호선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로 지하203 ( 괘법동)
5호선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572-1
부산김해경전철
부산광역시 사상구 광장로 83 ( 괘법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사상역 (단독) / 제2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2호선 부산교통공사
5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부산-김해경전철(주)
개업일
2호선 1999년 6월 30일
5호선 2026년
부산김해경전철 2011년 9월 16일
역사 구조
2호선 지하 2층(심도: 12.15m)
5호선 지하 2층[3]
부산김해경전철 지상 3층
승강장 구조
2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횡단 불가)
5호선 단선 두단식 승강장 + 대피선[4]
부산김해경전철 복선 상대식 승강장(횡단 가능)

1. 개요2. 역 정보
2.1. 역 구조2.2. 환승
3. 일평균 이용객4. 승강장5. 연계 교통
5.1. 사상로 가로변 정류장5.2. 광장로 가로변 정류장
6. 역 주변 정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역명의 유래는 경부선 사상역의 명칭을 따 왔다. 역이 있는 지역이 괘법동이기 때문에 괘법역으로 하려고 했으나 이미 경부선 사상역이 있는데다가 추후 개통될 경전선 이설 구간과 환승 연계가 될 예정이라 서로 역명이 달라지면 혼동할 여지가 있어서 경부선의 명칭을 따서 사상역으로 정해졌다.[5] 역명 그대로 사상구의 중심이어서 역명에 따른 반발은 거의 없었다.

부역명은 서부터미널이다. 부산김해경전철의 경우에는 병기역명이다.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이 개통하게 되면 부산김해경전철 5호선의 역번호가 둘 다 1번이 된다.

2호선 승강장에 열차 도착 직후 승강장 스피커에서 다음의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로 가시는 분은 5번 출구로 나가시고, 김해국제공항으로 가시는 분은 대합실 연결 통로를 거쳐 부산김해경전철로 갈아타시기 바랍니다.

2. 역 정보

파일:20230912 2호선 사상역 대합실.jpg 파일:사상역 부산김해경전철.jpg
<rowcolor=#fff>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대합실 부산김해경전철 대합실
주변에 번화가와 대형 주거지역이 있다는 특성이 고려돼서인지 2호선 승강장에도 빠른 시기인 2012년 9월부터 스크린도어의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2호선 내에서 완전밀폐형으로 설치된 몇 안 되는 역이다.[6] 지상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들의 스크린도어는 천장이 막혀 있지 않은 반밀폐형이다.

사상역 유동 인구의 대부분은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과 맞닿은 5번 출구를 이용한다. 이 출구는 2007~2008년경에 공사를 거쳐 에스컬레이터로 바뀌었는데 당연히 5번 출구를 이용하지 못해 불편을 겪은 이용객이 상당수였다.

참고로 장산행 열차가 이 역에 들어오기 전에 건넘선과 드리프트를 지나는 소리가 합쳐저서 안내방송이 잘 들리지 않는다.[7]

위에 후술한대로 양산 방향으로 건넘선이 나있으며, 시종착 기능은 평시에는 수행하지 않지만 구명~사상 구간 사이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는 수행하기도 하며 간혹 사상행 막차가 뜨기도 한다. 실제로 시운전 열차가 운행중 구명역 건넘선 구간에서 탈선이 발생했는데, 화명역~사상역 구간이 운행중단되어 이 역에서 비상타절을 했다.

맞이방 화장실이 2호선 승강장 부분이 아닌 부산김해경전철로 가는 환승통로 부근에 위치해 있어서 한참을 걸어가야 한다.

2022년 7월 25일부터 2, 3, 4번 출입구 및 4번 출입구 인근 엘리베이터가 2023년 11월 16일까지 사상역 환승센터 정비사업에 포함된 에스컬레이터 설치공사로 인해 폐쇄된다. 다만 3번 출입구 측 승강기는 정상작동한다.

2.1. 역 구조

경전철 역과 2호선 역은 3호선 대저역과 다르게 구조상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대저는 지상이라 그러겠지만 두 역은 출구 번호도 따로 매겨져 있으며 환승통로도 단순히 2호선 역에서 출구를 하나 더 뚫어 경전철역 1번 출구와 나란히 놓은 형태다. 따라서 경전철역 1번 출구를 제외하면 경전철역 출구로는 경전철만, 2호선역 출구로는 2호선만 이용할 수 있다. 이용에 주의가 요구되는 사항. 경전철역은 경부선 사상역 쪽에 있다.

이 역은 부산김해경전철과 2호선 간에 간접환승을 하도록 되어 있다. 한 마디로 수도권 전철로 치면 소프트 환승인데, 환승게이트를 통과할 때 교통카드로 추가 요금을 내는 신분당선의 방식과 짬뽕된 거다. 상호 환승시 하차 태그후 다시 교통카드를 찍거나, 회사별로 구분된 표( 부산김해경전철는 RF 토큰식, 2호선은 QR코드식)를 구입해야 한다. 요금에 관해서는 부산-김해-양산 광역환승할인 문서 참조.

이 역과 괘법르네시떼역 사이의 광장로 교각 하부공간은 공원화하여 사상구청에서 관리 중이다. 하지만 가전 매장이 있는 부근부터 자동차가 다니며 특히 경전철 지나갈때 소음이 꽤 크다. 링크

2.2. 환승

<nopad>
두 노선을 갈아타는 과정을 찍은 영상
2026년 5호선이 개통하면 비수도권 최초의 3개 노선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3개 이상의 노선 환승역은 현재 수도권에만 있으며, 그마저도 초지역과 대곡역을 제외하면 모두 서울에만 있지만, 5호선이 개통하면 부산에서도 이러한 역이 최초로 생기는 셈이다.

부산김해경전철이 개통되면서 동래역에 이은 막장환승이 되었다. 경전철은 지상 고가, 2호선은 지하이기 때문. 그마저도 동래역과는 달리 간접환승이라 몇몇 사람들은 2호선- 부산김해경전철 간의 환승통로가 없는 줄 알 정도로 찾기 힘들었다. 요즘에는 환승띠가 보기 좋게 바뀌어 상황이 조금 나아졌다.

환승을 하려면 2호선 사상역에서 환승띠 따라 환승통로까지 한참 걸어가서 환승통로로 올라온 뒤 좌측의 경전철 건물로 한층 더 올라가야 한다. 환승통로가 없는 줄 아는 사람은 2호선에서 부산김해경전철로 환승하려고 사상역에서 지상으로 빠져나와 옆에 보이는 건물인 부산김해경전철 사상역으로 횡단보도(!)를 이용해 경전철 역사로 들어간다. 그러나 거리상으로는 환승통로를 이용하는 것보다 2호선 4번 출구로 나와 경전철 2번 출구로 가서 환승하는 것이 더 짧지만, 사상역 주변은 유동인구도 많고, 통행량이 많은 도로 상의 횡단보도[8] 를 2번 건너야 한다.

파일:attachment/사상역/sasangmap.jpg
파일:사상역 광역환승센터.png

버스 환승의 경우 터미널로 인해 3/5, 4/6번 출구 사이에 정류장이 위치하니 이 출구를 이용하는것이 편리하다. 특징이라면 기존 4번출구에서 회차하던 노선의 정류장이 부산김해경전철 개통 이후 경전철 2번 출구 쪽 중앙차로로 이동했다는 점이다.

2011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때 1004번 버스가 살아남은 건 이 역의 막장환승 때문이라고 보면 된다.

3. 일평균 이용객

사상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도시철도 간의 환승객 수가 포함된다.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81bf48><bgcolor=#81bf48> 연도 ||<|2> 파일:Busan2.svg ||<|2> 파일:BGL_logo.svg ||<|2><bgcolor=#81bf48> 총합 ||<bgcolor=#81bf48> 환승객 수 ||<|2><bgcolor=#81bf48> 비고 ||
파일:Busan2.svg 파일:BGL_logo.svg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2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2년 33,639명 58,319명 58,469명 파일:투명 10x10.png 파일:투명 10x10.png 비고
2003년 33,673명
2004년 32,352명
2005년 32,588명
2006년 30,557명
2007년 28,300명
2008년 31,050명
2009년 31,112명 }}}}}}}}}
2010년 32,455명 미개통
2011년 37,634명 자료없음
2012년 44,124명
2013년 46,457명
2014년 48,215명 16,773명 64,988명
2015년 49,045명 17,935명 66,980명
2016년 49,789명 19,004명 68,793명
2017년 49,767명 19,676명 69,443명
2018년 48,999명 19,547명 68,543명 8,828명
2019년 48,859명 19,765명 68,624명 9,293명
2020년 32,719명 13,120명 45,839명
2021년 33,585명 14,546명 48,131명
2022년 38,907명 15,720명 54,627명
2023년 41,920명 17,014명 58,934명
※ 두 노선 모두 간접환승인원이 포함되어 있다.
출처
파일:Busan2.svg :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파일:삼태극.svg : 철도통계연보
파일:BGL_logo.svg : 부산광역시 교통조사 분석용역

4. 승강장

4.1.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파일:227사상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파일:부산2호선 사상역 역명판.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명판
파일:attachment/사상역(도시철도)/station1.jpg
2호선 역 안내도
감전
덕포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서면· 경성대부경대· 수영· 해운대· 장산 방면
덕천· 화명· 호포· 남양산· 양산 방면

4.2. 부산김해경전철

파일:attachment/사상역(도시철도)/Example2.jpg
부산김해경전철 승강장
파일:경전철사상.jpg
부산김해경전철 역명판
파일:사상(경전철).png
경전철 역 안내도
종착역
괘법르네시떼
파일:BGL_logo.svg 부산김해경전철 당역종착
공항· 대저· 수로왕릉· 가야대 방면

기종점역답게 경전철 역사 중에서는 유일하게 지상과 붙어 있는 역사이다.

4.3. 부산 도시철도 5호선

파일:사상하단선_사상역.jpg 파일:사상하단선전경.jpg
부산 도시철도 5호선 사상역 조감도
2호선 사상역의 3번 출구 근처에 자리 잡을 예정이다. 두단식 승강장이다. 또 501번 사상역과 502번 새벽시장 인근 역(역 이름 미정) 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배리어 프리) 예비인증을 받았다. 부산 지하철 역사 2곳, 장애물 없는 역사로 만든다

SK건설 턴키입찰을 받아 2015년 12월 23일 착공, 현재 역을 건설하고 있다.[10] 2024년 8월 31일 기준으로 토목공사 공정률은 63.82%로 계획 63.87% 대비 100%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현재 본선토공공사가 진행 중이다. #
파일:사상역 가벽1.jpg 파일:사상역 가벽2.jpg
사상역 통로
여담으로 1~2번 출구로 가는 긴 통로에는 무언가 쓸데없는 빈 공간들이 존재한다.[11] 가벽이 1990년대 초반에 5호선으로 계획됐던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또는 1995년에 변경된 부산김해경전철 계획을 반영으로 이를 대비해둔 것이면[12] 개통이 예상되는 2026년 기준으로 1998년 사상역이 건설된 이후 무려 28년 가까이 환승에 대비해둔 공간이 된다. 사실상 대비라고 보는 것이 맞는 것이, 하단역에도 하단오거리 지하통로내에 비슷하게 쓸모없는 공간들이 산재해 있다.

가벽이 필요한 것 이상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고 역무실 내에 있는 사상역 구조도 및 앞서 언급된 사상역 환승센터 조감도를 보면 통신분소는 지하통로에서 이격되어 있으나 가벽은 통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기존에 존재하는 도시철도 구조물 아래에 굴착 및 새로운 구조물을 추가하는 작업은 서울 지하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하부에 정거장을 건설한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사례와 같이 어렵고 까다로운 공정이다. 그러한 이유로 2호선 사상역 건설공사를 진행하던 1992년 10월 28일 ~ 1998년 7월 21일 동안 통신분소의 하부에 5호선 구조물 일부도 선시공했거나 도중에 김해경전철 계획의 변경으로 5호선 구조물을 시공을 하지 않았더라도[13] 공사 마무리 단계에서 제거해야 할 받침보와 H형 강재를 통신분소 자리 하부에 그대로 놔뒀을 가능성이 존재한다.[14]

게다가 2호선 공사 당시 해당 구간은 2호선 1단계 구간 중에서도 난공사 구간으로 꼽히는 공사 구간 중 한 곳[15]이었고 #[16], 한번 땅을 파는 김에 5호선 구조물 일부도 향후 계획되었던 5호선 건설진행에 있어 시공 난도의 감소를 목적으로 미리 시공하거나 시공에 용이하게 대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 부산교통공단 시절 30년전에 계획을 잡고있던 동해선[17], 계획을 잡고 있던 1~5호선 간에는 먼미래에 환승역이 되는 역은 미리 설계를 해둔 전력이 있다. 2호선 호포~서면 구간은 1991년 11월 하순에 착공했고 사상역 환승계획이 나온 시기 또한 1987년경으로 얼추 비슷하기 때문에 노선 설계당시에 환승계획을 반영했을 가능성이 높다. 아쉽게도 부산 도시철도 노선들은 건설지를 국가기록원이나 국회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것이 없어서[18] 온라인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우므로 정확한 정보를 얻기는 힘든 점을 감안해야한다.[19]
파일:6F0A35D9-D0E1-4AFB-8B4D-08D90007EFA1.jpg
현재 공사 중인 환승 통로
파일:사상역 직결환승통로안.jpg
설계 단계에서 제기된 직결 환승통로
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인하여 2호선 장산방면 승강장에 설치할 예정인 직결 환승통로를 개통 이후에 추가로 시공할 가능성이 생겼다. 이렇게 되면 사상역의 막장환승은 사실상 확정인 셈이다. 참고로 부산광역시 건설기술심의위원회 운영관리시스템에 업로드 된 사상하단선 1공구 사상역 건설계획에 의하면 설계 당시에는 직결 환승통로를 건설하는 안도 있었지만 비용문제 및 건설상의 난이도로 인하여 취소되고 간접환승하는 구조로 확정됐다고 한다. 윗 문단에 서술한 환승대비 선시공 구조물은 건설했다 하더라도 2호선 승강장과 바로 연결되는 환승통로는 건설하지 않았고 대합실의 통로와 통신분소 구조물 하부 정도만 고려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겠다. # #[20][21]
파일:기존 2호선 사상역 통로도면.jpg
기존 연결통로
파일:5호선 사상역 통로부.jpg
5호선 포함 통로
또한 앞서 언급된 부산광역시 건설기술심의위원회 운영관리시스템에 올라온 도면을 참고하면, 실제 위의 가벽은 통신분소 및 환기실로 추정된다. 환승대비는 구조물 선시공으로 한 것은 아니고 여유공간만 마련해 놓은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특이하게 선로는 복선인데 승강장은 한 곳에만 있어 사실상 단선 형태로 되어 있다.
시종착
새벽시장
파일:Busan5.svg 부산 도시철도 5호선 새벽시장· 엄궁· 동아대· 하단 방면

5. 연계 교통

5.1. 사상로 가로변 정류장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15-072/15-074/15-076)
일반 [A] [A] [B] [B] [B] [A] [B] [29] [A] [B] [A] [A]
심야 [A] [A]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마을
서부시외버스터미널
마을

5.2. 광장로 가로변 정류장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15-070/15-073/15-290)
일반 [C] [C] [38] [C] [C][41] [C]
급행 [C]

6.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과 애플 아울렛이 있으며, 근처에 김해 경전철이 지나다닌다.

골목 곳곳에 술집과 식당, 카페 등 편의시설이 있다.
KFC도 있다.
서면과 남포동에 비교하면 규모는 작은 편.

사상역의 일부 출입구가 공사중이라 많이 혼잡하다.

7. 둘러보기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BGL_logo.svg 부산김해경전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Busan5.svg 부산 도시철도 5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gray>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한국어 부역명은 '시외버스'를 생략한 '서부터미널'이지만 영어 안내방송에서는 intercity bus를 같이 말해준다. [2] 한국어 부역명은 '시외버스'를 생략한 '서부터미널'이지만 일본어 안내방송에서는 버스(バス)를 같이 말해준다. [3]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에서 5호선 건설 사업개요를 참고하면 501 정거장(사상역)은 지하 2층으로 나와 있다. [4] 부산광역시 건설기술심의위원회 운영관리시스템 참고 [5] 이후 괘법이라는 지역명은 부산김해경전철 괘법르네시떼역에 적용되었다. [6] 다른 역은 센텀시티역, 경성대·부경대역, 서면역이다. [7] 2호선 사상역 안내방송이 환승역도 있는데다가, 버스터미널, 거기에 경전철의 김해국제공항까지 중국.일본어로 들려주다보니 안내방송 자체가 길기 때문에 외국방송부터 들리지 않는다. 드리프트 구간은 사상초등학교 앞 사거리에 위치한데다가, 반경도 그렇게 심하지 않은 R=250m이다. [8] 신호가 있는 횡단보도는 아니다. [9] 물론 둘의 차이는 넘사벽이다. 서면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2019년 기준 146,139명으로 사상역의 두 배를 훨씬 넘으며, 순수 승하차량으로 따지면 서울의 환승지옥인 사당역, 신도림역과 맞먹는 수치다. 거기에 사상역은 승하차량에 환승수요가 포함된 점도 감안해야 한다. [10] 다만 차선통제를 하는 방식을 취하는 실질적인 공사착수일은 2016년 10월 7일이다. [11] 김해경전철 환승통로 맞은 편에 회색 가벽으로 막혀 있고 통신분소 출입문이 있다. 가벽 너머로는 2호선과 동일한 천장 및 바닥 마감재가 시공되어 있는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이 가벽은 김해경전철 착공 이전인 2000년대 초반 당시에도 있던 것을 봐선 개통 당시부터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12] 파일:1995년 부산도시철도 기본노선망 대안2.jpg 기존의 부산김해경전철 종점이 당초의 5호선 계획의 일부 구간과 통합하여 종점을 사상역에서 하단역으로 연장되었다. 대신에 4호선을 용소삼거리에서 감만동, 영도, 송도 및 신평을 거쳐서 가덕도까지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13] 여담이지만 김해경전철이 하단역으로 연장되었으면 사상역 일대의 광장로에서 새벽로 방향으로 방향이 바뀌는데 현재 5호선의 사상역 위치라면 R=100m 이하의 급커브를 뒀을 것이다. 참고로 부산광역시 도시철도 건설규칙에서 선로의 최소곡선반경에 의하면 경량전철의 경우 본선 R=100m (부득이한 경우 철제차륜 경전철이면 R=50m, 고무차륜 경전철은 R=40m까지 축소가능), 정거장 R=300m(고무차륜 적용 경전철의 경우 R=250m)이다. [14] 실제로 서울 지하철 7호선 신풍역의 경우, 당시에 계획됐던 차기 노선과의 환승을 대비하여 공사 마무리 단계에서 제거해야 할 받침보와 H형 강재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매몰시켰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구청역도 이러한 방식으로 당시에 계획됐던 인천 도시철도 3호선과 환승을 대비하였고 인천 3호선 계획이 폐기됐다 하더라도 서울 지하철 7호선 연장선이 통과하게 되어서 환승동선은 괜찮은 편이다. [15] 부산지하철 2호선 214공구 건설공사. L=1,400m. 시공회사: 대아건설. 공사기간: 1992년 10월 28일~1998년 7월 21일. 참고로 조달청 나라장터에서 찾을 수 있는 계약현황에 의하면 당초 공사기간은 착공후 1,280일임을 감안했을 때 최초 목표했던 준공일은 1996년 4월 30일인 것으로 보인다. [16]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문서에서 사건사고 항목을 보면 1995년 당시, 이 구간을 건설하던 도중에 지반함몰 우려로 공사중지명령이 내려진 적이 있다. [17] 동해선 문서로 가도 알겠지만 전철화의 필요성은 1973년부터 제기 되었다. [18] 다만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건설지는 부산대학교, 신라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에 존재한다. [19] 현재 부산 도시철도 건설지와 가장 유사한 내용이 있는 도서는 ‘부산도시철도 25년사’ 라는 자료이지만 해당 자료도 공사구간에서 벌어졌던 여러 에피소드나 공종별 발주일자 정도만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고, 설계도면은 수록되어 있지 않으며 온라인으로 제공되지 않는 자료다. [20] 일반적으로 신풍역, 농성역, 오금역 가락시장역 처럼 차기노선을 대비한 역에서 환승통로 예정부의 승강장은 더 넓게 시공하지만 사상역은 이렇지 않고 오히려 일반적인 역의 승강장과 마찬가지로 더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승강장 끝부분에 환승통로 추가 시공을 위한 가벽처리도 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21] 확인된 건설지 자료가 없어 확실한 것은 아니지만 착공 초기인 1992~94년만 해도 당시 계획됐던 5호선 노선은 사상역을 기점으로 하여 하단, 명지, 녹산 및 가덕도까지 가는 노선이고 운영회사도 동일하여 직결 환승통로를 놓을 수 밖에 없었지만 1995년에 노선 계획이 변경되어 5호선 대신 그 당시에도 민간 자본 유치계획이 있던 김해경전철 노선을 이 곳을 경유하여 하단역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바뀐다. 그 당시에도 민자계획이 있던 김해경전철 노선이라 운영회사도 서로 달라져 2호선 대합실의 개표구에서 나오고 1,2번 출구 방향으로 난 통로를 지나 가벽 너머의 유령공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결이 가능해서 직결 환승통로의 건설타당성 저하로 설계가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니면 그 당시에도 여전했던 부산교통공단 및 부산시의 예산부족으로 인해 추후에 직통 환승통로를 시공하려고 했을 수도 있다. [A] 15-072, 15-076 정류장 정차 [A] [B] 15-072, 15-074 정류장 정차 [B] [B] [A] [B] [29] 15-072 정류장 정차 [A] [B] [A] [A] [A] [A] [C] 15-073 정류장 정차 [C] [38] 15-070 정류장 정차 [C] [C] [41] 15-290 정류장 정차 [C]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