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1:05:53

서울 지하철

서울전철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도시철도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수도권 수도권 전철 ( 서울 지하철 · 인천 도시철도 · 경기 도시철도)
부산·울산권 동남권 광역전철 ( 부산 도시철도 · 울산 도시철도 · 경남 도시철도)
대구권 대구권 광역전철 ( 대구 도시철도)
광주권 광주 도시철도
대전권 대전권 광역전철 ( 대전 도시철도)
[1] : 충청남도 및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지역( 천안시, 아산시, 춘천시) 포함
}}}}}}}}} ||


수도권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e,#191919>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항공 김포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 (없음)
항만 (없음)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역 목록
서울 지하철 인천 도시철도 경기 도시철도
수도권 전철
버스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시내버스 시내버스 시내버스
마을버스 공영버스 마을버스
공항버스 강화군내버스 맞춤형버스
광역급행버스
교통카드 티머니 이동의즐거움
이즐
수도권 통합 요금제
}}}}}}}}} ||
서울 지하철
Seoul Metro
파일:종로선.jpg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식
<colbgcolor=#ae1932><colcolor=#fff> 개통 연도 1974년 8월 15일([age(1974-08-15)]주년)
총연장 350.3km
노선 수 11개
역 수 289개
운임제도 수도권 통합 요금제
연간 수송인원[1] 17억 8,711만 1,338명
궤간 1435mm 표준궤
전기방식 직류 1,500V[2]
집전방식 가공전차선, 제3궤조[3]
통행방향 오른쪽
( 1호선 한정 왼쪽)[4]

1. 개요2. 특징3. 문제점4. 노선 목록
4.1. 공사 중인 노선4.2. 계획이나 설계 중인 노선
5. 운영사6. 안내방송7. 관련 문서8. 기타
8.1. 수송 분담률
9. 관련 노래
9.1. 가요 '서울 지하철'9.2. 동요 '서울 지하철'
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경기도[5]에서 운행하는 도시철도 체계로[6], 전국 지하철 중에서 가장 복잡한 지하철이다. 수도권 전철 중에서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가 관할하는 부분의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노선을 말한다. 서울교통공사 등이 운영하며, 서울 경전철 노선도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가 노선설정 및 운영감독을 담당하므로 서울 지하철 노선에 포함된다.

서울특별시의 웬만한 곳을 모두 연결해 주는 교통 수단으로 서울의 핏줄이라 불릴만하다. 서울 지하철은 세계에서 8번째로 긴 도시철도망이다. 1위는 상하이 지하철, 2위는 베이징 지하철, 3위는 광저우 지하철, 4위는 런던 지하철, 5위는 모스크바 지하철, 6위는 뉴욕 지하철, 7위는 난징 지하철.

더군다나 서울 지하철 9호선 4단계 구간 연장 및 서울 경전철 노선 등 개통이 예정된 철도가 모두 개통된다면 순위가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7]

세계적으로 특히 지하철의 역사가 오래된 구미권 선진국과 비교해 봤을 때 서울 지하철은 시설이 좋고 깔끔하며[8][9] 노선망도 방대하고, 서울(뿐만 아니라 한국 전역 포함)은 이들에 비해 지하철이 늦게 갖춰지면서 공공시설에 대한 관리가 상당히 잘 되는 편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서 지하철역 내의 공기질이 한층 더 좋아졌고, 승차권을 별도로 쓰는 게 아닌 전자식으로 교체를 해놓는 등 여러 첨단 요소들이 가득하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잘롭닉에서 인정받은 세계 최고의 지하철(도시철도)에 꼽히기도 했다. 요약하자면 '미래세계에 와 있는 듯하다'라고. #[10]

2024년 8월 15일자로 개통 50주년을 맞이하였다.

2. 특징

서울특별시에서 관리하는 도시철도 시스템이지만, 꼭 서울 시내에만 있는 것만은 아니다. 일부 시외 구간이 존재한다[11].
위 구간들은 운영적인 측면에서부터, 서울전용 정기권이 사용 가능하다는 점까지 모두 서울시내와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1호선, 3호선, 4호선, 7호선의 서울교통공사 구간만을 포함, 5호선의 하남선 구간을 제외하고 1~8호선 노선 이용객 수를 산출한 결과 현재 서울 지하철의 이용객은 세계에서 베이징, 상하이에 이어 세번째로 많다. #다만 이 이용객 3위라는 것이 수도권 전철 전체로 들어가면 이야기가 복잡해진다. 이렇게 되면 도쿄도 광역전철, 런던 오버그라운드를 비롯한 런던교통공사 런던 광역철도 서비스 및 독일 베를린 S반+RE[16] 등의 이용객 전체와 비교를 해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이들한테 밀린다. 사실 이렇게 따지게 되면 DB의 RE, JR의 쾌속에 해당하는 무궁화호, 누리로 그리고 광역본부 특급인 ITX-청춘까지 넣어 같이 비교해야 하므로 문제가 더더욱 복잡해진다.

북한의 포격에 노출되기 쉽다는 특성상 지하철 자체가 대피소/방공호로 만들어져 있는 재미있는 특징이 있다. 내부에는 민간인을 위한 화재용 방독면 뿐만 아니라 역에 따라서는 화생방용 방독면도 배치되어 있다. 지하철의 깊이는 최소 5m~최대 50m 가장 먼저 지어진 1호선은 5~11m 정도에 불과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지하철 노선이 점점 깊어지고 있다. 나중에 개통한 5~8호선은 무려 9m~56m 정도고 맨 마지막에 개통된 6호선은 다른노선보다 선로가 지하깊숙한곳에 있다. 만약 대피 경보가 떨어지거나 급박한 상황이라면 일단 지하철역으로 들어가도록 하자.

1, 8호선을 제외하면 한 노선당 총 길이가 길고 역 수도 많다.[17]

3. 문제점

명실상부 정상급 지하철 시스템이긴 하나 문제점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노선 목록

파일:66a02d7b2ef6f6.25974987.jpg
출처
[ 서울교통공사의 노선도 ]
파일:[S241106]_지하철_국문노선도.jpg



일부 노선은 서울 지하철로 지정된 구간과 아닌 구간으로 나뉘어져 있다. 하지만, 직통운전을 시행하기 때문에 열차를 타고 가다가 운영사가 달라지더라도 내려서 환승할 필요는 없다.[18] 물론 해당 구간을 이탈할 경우 배차간격이 벌어져 불편하다. 특히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경부선이 분기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분기 이후 구간은 배차 간격이 넓다. 또, 경인선 구간을 지나는 열차는 경원선의 전철 구간 끝인 연천역, 소요산역, 동두천역, 의정부역, 양주역 까지 가지만, 가산디지털단지역 이남 경부선/장항선 구간을 지나는 열차는 청량리역이나 광운대역에서 종착하고 창동이나 연천 까지 가지 않는다.
운행 중인 서울 지하철 노선
2022년 5월 28일 기준 운행계통상 총 노선 개수: 11개 운행계통
2022년 5월 28일 기준 총 노선 길이: 350.3km
2022년 5월 28일 기준 총 역 개수(환승역 중복 제외): 289개
노선색 운행계통 총 길이 세부 노선명 기점 종점 소유자 운영자
남색 1호선 7.8km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청량리역 서울특별시 서울교통공사
초록색 2호선 48.8km[20] 본선(을지로순환선) 시청역 시청역
5.4km 성수지선 성수역 신설동역
6.0km 신정지선 신도림역 까치산역
진한
주황색
3호선 38.2km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역 오금역
파란색/
스카이블루
4호선 31.1km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역 남태령역
보라색 5호선 45.2km[21] 본선 방화역 상일동역
7.1km 마천지선 강동역 마천역
황갈색 6호선 36.4km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역 신내역
갈녹색 7호선 46.9km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 온수역
분홍색 8호선 17.7km 서울 지하철 8호선 암사역 모란역
황금색 9호선 40.6km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 중앙보훈병원역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서울하늘색 신림선 7.7km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샛강역 관악산역 남서울경전철
로템SRS
광주교통공사
연두색 우이신설선 11.4 km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역 신설동역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4.1. 공사 중인 노선

공사 중인 서울 지하철 노선
노선색 운행계통 세부 노선명 길이 기점 종점 소유자 운영자 개통예정일[22]
단청 빨간색 동북선 서울 경전철 동북선 13.4km 왕십리역 상계역 서울특별시 동북선도시철도 2026년
황금색 9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3.8km 중앙보훈병원역 942정거장 서울특별시 서울교통공사 2028년

4.2. 계획이나 설계 중인 노선

계획이나 설계 중인 서울 지하철 노선
노선색 운행계통 세부 노선명 길이 기점 종점 소유자 운영자 개통예정일
미정 서부선 서울 경전철
서부선
16.2km 새절역 관악산역 서울특별시 서부경전철 2028년
미정 면목선 서울 경전철
면목선
9.0km 청량리역 신내역 서울특별시 미정 미정
미정 목동선 서울 경전철
목동선
10.9km 신월역 당산역 서울특별시 미정 미정
미정 위례신사선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
14.8km 위례중앙역 신사역 서울특별시 강남메트로 미정
미정 강북횡단선 서울 경전철
강북횡단선
25.7km 목동역 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미정 미정

5. 운영사

6. 안내방송

정확한 문장과 표현을 원한다면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안내방송/역을, 열차 진입음이나 발차 벨은 역 멜로디, 안내방송 성우와 관련된 부분은 이쪽을 참조할 것.

서울 지하철의 자동 안내방송 중에서는 성우 강희선이 가장 유명하다. 서울교통공사 1 ~ 8호선 안내방송 담당.[23]

서울시메트로9호선 우이신설선 이윤정이 담당하며, 신림선은 TTS 안내방송을 사용한다.

영어 안내방송은 서울교통공사 1~8호선, 서울시메트로9호선의 9호선은 제니퍼 클라이드가, 우이신설선은 양시훈이 담당한다.

외국인 성우는 섭외의 편리성 관계로 EBS 출연 원어민 강사를 많이 쓴다. 특히 한국계 미국 혼혈[24]들을 쓰는 편이다. 영어의 발음은 모국어 수준이면서 역명 발음은 한국인만큼 명확하게 발음하는 사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This stop is 통데이먼." 식이라면 어색하니까...[25]

2011년부터 서울메트로, 한국철도공사 역에서 열차가 들어올 때의 벨소리가 일반적인 종소리에서 멜로디가 있는 벨소리로 바뀌었다. 서울메트로 한국철도공사가 직결 운행을 많이 하는데 벨소리가 다르면 혼란을 줄 가능성이 있어서라고 한다. 자세한 건 열차 진입음 참조.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로 통합되면서 5~8호선 구간도 이 음으로 바뀌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30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3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7. 관련 문서

8. 기타

8.1. 수송 분담률

출처 영상

9. 관련 노래

9.1. 가요 '서울 지하철'

1985년에 나왔으며 서지숙이 불렀다.

지하철을 타고서 달릴 때마다 레일 위에 낭만이 흠뻑 젖는다
아름다운 내일을 얘기하면서 너와 나의 사랑도 깊어만 간다
(후렴)아 아 서울지하철 우리들의 꿈을 날마다 실어주는
아 아 서울지하철 우리들이 만든 또 하나의 길이어라

지하철이 멈추는 정거장마다 연인들이 만나는 데이트 장소
커피 한잔 마시고 해여질 때도 너와 나의 얼굴에 미소가 흐른다.
(후렴 3회 반복)

9.2. 동요 '서울 지하철'

해당 동요는 1996년에 나왔다.

1호선 빨간색 인천, 수원, 성북, 창동[33]
2호선 녹색 강남, 종합운동장
을지, 신촌역 순환선을 오고 간다네
빠르고 안전하게 갈 수 있는 지하철

4호선 파란색 사당, 이촌, 명동, 상계[34]
3호선 노란색[35] 양재, 고속터미널
옥수, 구파발 태극마크 갈아타는 곳
빠르고 안전하게 갈 수 있는 지하철

10.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지하철 및 경전철 계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기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서울역 - 청량리역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시청역 - 시청역
파일:투명 10x10.png / 신설동역 - 성수역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구파발역 - 양재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상계역 - 사당역
<colbgcolor=#fff,#191919> 2기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신도림역 - 까치산역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구파발역 - 지축역
/ 양재역 - 수서역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상계역 - 당고개역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방화역 - 상일동역
파일:투명 10x10.png / 강동역 - 마천역
파일:Seoulmetro6_icon.svg 6호선 응암역 - 봉화산역
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 온수역 - 장암역
파일:Seoulmetro8_icon.svg 8호선 암사역 - 모란역
3기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수서역 - 오금역
파일:Seoulmetro9_icon.svg 9호선 개화역 - 중앙보훈병원역
10호선 광명역 - 토평역
11호선 신월역 - 우면역
12호선 왕십리역 - 광운대역







1차 파일:UiLine_icon.svg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 북한산우이역
파일:SillimLine_icon.svg 신림선 샛강역 - 관악산역
동북선 왕십리역 - 상계역
서부선 새절역 - 서울대입구역
면목선 청량리역 - 신내역
위례신사선 신사역 - 중앙역
위례선 마천역 - 복정역
목동선 당산역 - 신월역
2차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전구간 급행화
파일:Seoulmetro4_icon.svg 4호선 전구간 급행화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둔촌동역 - 굽은다리역
파일:투명 10x10.png ( 길동삼각선)
서부선 서울대입구역 - 관악산역
강북횡단선 목동역 - 청량리역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의 경전철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운행 중 신림선 우이신설선
건설 중 동북선 위례선
계획 중 신림선 난곡지선 강북횡단선
면목선 목동선
서부선 위례신사선
}}}}}}}}} ||

[1] 2013년, 승차량만 계산. [2] 서울특별시 소유 공기업인 서울교통공사 관리구간 [3] 1~3기 지하철로 지정된 중전철 노선은 전부 가공전차선/가공강체가선을 쓰고, 이들을 보조하는 경전철만 제3궤조를 사용중이다. [4]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앞 뒤로 직통 연결되는 경부선 경원선 구간이 이미 좌측통행으로 부설된 터라 서울특별시 관할임에도 유일하게 좌측통행으로 건설되었다. 서울 지하철 4호선은 본선을 포함해 북쪽으로 직통 연결되는 진접선은 우측통행이지만 남쪽으로 직통 연결되는 과천선 안산선 좌측통행이다. [5] 고양시, 성남시, 광명시, 의정부시 [6] 여기서 하남시와 남양주시는 빠져있는데, 하남선 진접선이 도시철도가 아닌 광역철도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7] 적어도 추가 건설이 정체중인 런던과 뉴욕 지하철은 제칠 가능성이 높다. [8] 가장 먼저 개통된 런던 지하철이 1863년, 파리 지하철이 1900년, 뉴욕 지하철이 1904년 개통되었으니 당연하다. 무려 반세기 먼저 개통된 것이니. 심지어 동아시아 국가 가운데서도 가장 개통년도가 늦었으니 서구권이 아니라 동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해도 현대식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9] 요금 면에서도 호평을 받는다. 외국인들이 서울 지하철을 탑승할 때 저렴한 요금과 환승할인에 놀란다. 사실 한국처럼 환승에 너그러운 국가는 싱가포르 정도 제외하면 거의 없다 보면 된다. [10] 사족으로 평양 지하철은 9위다.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영감을 얻은 화려한 역사 디자인 때문인데, 그럼에도 7위인 모스크바 지하철과는 달리 9위에 랭크된 까닭은 '북한에 있기 때문' 이라고... 모스크바 지하철 평가 중 '북한에 있지 않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북한에 비해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낫다' 라는 팩트폭력이 인상적이다 반면에 구미권 선진국 지하철은 관리가 잘 안 되어서 그런지 쥐가 득실거리고 악취가 풍기는 경우가 적지 않다. [11] 서울 외에도 대도시의 규모있는 지하철의 경우 웬만해선 시외 구간이 존재한다. 예를들어 도쿄 메트로 & 도영 지하철의 경우 사철구간을 제외해도 가나가와현, 치바현, 사이타마현에 일부 구간이 존재한다. [12] 지축차량사업소 설치에 대한 보상 [13] 광명시의 서울편입 무산에 대한 보상 및 개봉역 등 서울 통근 혼잡 문제 완화 [14] 도봉차량사업소 설치에 대한 보상 [15] 광주대단지 사건 처리에 대한 서울시장과 내무부장관의 약속 [16] JR에서 독일철도의 RE에 대응하는 등급은 급행~쾌속 정도다. [17] 1호선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아닌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만 보면 10 정거장이다. 만약 수도권 전철 1호선 기준으로 보면 총연장 200km가 넘는 초 장거리 노선이 된다. [18] 단, 지선 또는 중간종착역이 존재해서 열차를 잘못 탔을 경우는 논외. 3호선에서 일산선 구간까지 가려는데 구파발행 열차를 탔다거나 4호선에서 과천선, 안산선 구간까지 갈 때 사당행 열차를 탄 경우, 1호선의 경원선 광운대역 이북 구간에서 경부선 구간으로 갈 때 등. [19] 인천교통공사 관할 구간 [20] 전 구간 총합 60.2km [21] 전 구간 총합 52.3km [22] 미래철도DB 기준. 정확한 개통일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또한, 미래철도DB에서도 경고 했듯이 대부분의 철도건설사업은 완공시기가 1~3년 지연되는 것은 보통이라고 설명했기 때문에 곧 개통할 노선이 아니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자세한 내용은 티스푼 공사 참조. [23] 인천교통공사 7호선 포함 [24] EBS나 아리랑TV 등의 영어방송에서도 인기가 많다. 유창한 2개 국어로 인해 방송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25] 전술했지만, 신분당선과 코레일에서 우려가 현실이 되었다. [26] 12호선까지 중전철로 계획되었으나 9호선, 3호선 수서~오금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는 IMF 크리(...)에 죄다 취소되며 흑역사가 되었다. 그래도 일부는 경전철, 신분당선, 신안산선 등으로 계획되어 부활하였지만 단축된 면이 있다. [27] 물론 계획은 1960년대 후반에 있었으며 1970년 건설이 확정된다. [28] 원래 이런 차관을 주는 나라는 항상 자국기업에게 혜택을 주는 조건을 달곤 한다. 당연히 일본 정부는 차관을 제공하면서 일본 기업들의 우선권을 요구했고, 이걸 한국 정부가 수락한 것이다. [29] 출처: 박정희 대미 로비 X파일. 안치용 저술. [30] 버스 추월 [31] 정점 [32] 코로나 확산으로 지하철 이용이 특히나 많이 감소하고 저점 기록 [33] 정작 이 역들은 모두 철도청 소속 역이다. 심지어 노선색도 빨간색이 아니다. 노선색 통합 이전 빨간색(서울 지하철) 구간은 서울역~청량리 뿐이다. 그나마 창동역이 4호선과의 환승역이긴 하다. [34] 4호선이 3호선보다 먼저 개통된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사당역은 2호선도 지나간다. [35] 이건 잘못된 내용이며 3호선의 고유색은 주황색이다. 오히려 분당선이 노란색이다. 그래도 비슷한 색이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