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수도권 전철 3호선/수인·분당선/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지하철역에 관한 것입니다. 고속철도 수서역에 대한 내용은 수서역 문서 참고하십시오.
수서역 | ||
대화 방면
일 원 ← 1.8 ㎞ |
3호선 (349) |
오금 방면
가락시장 1.4 ㎞ → |
청량리 방면
대모산입구 ← 3.0 ㎞ |
수인·분당선 (K221) |
인천 방면
복 정 3.2 ㎞ → |
시종착 |
GTX-A (X108) |
동탄 방면
성 남 10.7 ㎞ → |
SRT로 갈아타기 | ||
역명 표기 | ||
분당선 |
수서 Suseo 水西 / [ruby(水西, ruby=スソ)] |
|
3호선 | ||
수인·분당선 | ||
GTX-A | ||
주소 | ||
3호선, 수인·분당선
|
||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지하270 ( 수서동 728) | ||
GTX-A | ||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 99 ( 수서동) | ||
관리역 등급 및 소속 영업사업소 | ||
3호선 |
도곡영업사업소 수서역 (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 |
|
분당선 |
관리역[2] / 2급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
|
운영 기관 | ||
3호선 | 서울교통공사 | |
분당선 | 한국철도공사 | |
GTX-A | 지티엑스에이운영(주) | |
개업일 | ||
3호선 | 1993년 10월 30일 | |
분당선 | 1994년 9월 1일 | |
분당선 | ||
수인·분당선 | 2020년 9월 12일 | |
GTX-A | 2024년 3월 30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 (
3호선) 지하 4층 ( 수인·분당선, GTX-A) |
||
승강장 구조 | ||
2면 3선 복합식 승강장[3] (횡단 가능,
3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수인·분당선) 섬식 승강장 ( GTX-A) |
||
철도거리표 | ||
왕십리 방면 대모산입구 ← 3.0 ㎞ |
분당선 수 서 |
수원 방면 복 정 3.2 ㎞ → |
기점 ← 0.3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에이선 수 서 |
동탄 방면
성 남 10.7 ㎞ → |
노선거리표 | ||
시종착
|
수서차량기지 인입선 |
수서차량사업소 1.2 ㎞ → |
[clearfix]
1. 개요
- 수도권 전철 3호선 349번[5],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K221번[6].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 지하270 ( 수서동 728) 소재.
- GTX-A X108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 99 ( 수서동) 소재.
2. 역 정보
3호선 대합실 | 수인·분당선 대합실 | GTX-A선 대합실 |
역 안내도( GTX-A) |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중심에 위치한 역이다.
분당선은 1994년부터 2003년까지 관리역이었으나 선릉역 연장 개통으로 인해 보통역으로 격하되었다가 2012년 4월에 분당선 왕십리역 연장 개통을 선반영하여 관리역으로 재승격하였다.[7]
3호선 스크린도어는 진작에 가동하고 있었고 분당선 측은 2011년 중순 도곡역과 비슷한 시기에 가동을 시작했다. 2010년 2월 17일까지는 3호선 종착역 기능하는 역할을 했으나 오금역까지 연장 구간이 개통하여 종전의 수서행은 대부분 오금행으로 변경되어 운행한다.
1990년대의 역세권 규모에 비해 역이 상당히 큰 편인데, 이는 경부고속철도 시종착역 추가 계획의 흔적이다. 고속철도역은 20년이나 지나서 개통했지만, 그 커다란 역 구조물은 잘 쓰이고 있다.
1993년 개업 당시의 수서역 폴사인[8] |
3호선은 수서차량사업소의 입출고역이었고 분당선이 처음 개통했을 당시에는 수서역이 종착역 기능을 했기 때문에 지하철을 이용하는 분당신도시 주민이라면 반드시 거치는 환승역이었다. 신분당선이 강남과 양재를 주파하고 있는 지금에 와서는 분당이나 수지 방면으로의 환승 거점 역할은 많이 분담되었다.
그리고 이 역이 3호선의 종착역이던 시절의 건설 당시부터 가락시장 방면으로의 3기 지하철 연장[9]을 예정하고 있어서 회차선을 탄천 건너까지 길게 빼놓았는데, 이는 지금은 철거했지만 8호선과의 연결선도 만들어서 5호선이나 8호선 전동차 반입에 사용했었고 본격적인 3기 지하철 건설 시에도 수월하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5-1, 5-2, 7번 출구는 지티엑스에이운영에서, 나머지 출구는 서울교통공사에서 관리하며, 수인·분당선과 3호선은 공통의 대합실을 이용한다. 대신 환승 동선은 꽤 길기 때문에 처음에 찍고 들어갈 때 잘 보고 들어가야 시간을 더 까먹는 일이 없을 것이다. 수인·분당선 게이트를 찍고 3호선을 타러 가면 U자 모양으로 길게 돌아가야 하는데 이는 수인·분당선 게이트 들어가기 직전의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중간층에 내리면 3호선 타러 가는 길은 가까운 편이니 참고해야 한다. 3호선 게이트를 찍고 수인·분당선을 타러 가면 3호선 승강장을 경유해야 한다. 3호선 대합실은 4번 출구 쪽에 가깝고 수인·분당선 대합실은 1번 출구 쪽에 가깝다.
SRT 연결 통로가 2016년 12월 9일에 개통되었고, 도시철도 5번 출구 옆 지하로 나 있다. 4번 출구로 지상으로 나가도 SRT역으로 갈 수는 있지만 무빙워크가 있고 날씨의 영향을 적게 받는 지하 연결통로 이용을 추천한다.[10] SRT역과 도시철도역은 출구 번호가 연동되지 않아 번호가 중복되므로 수서역 1, 2, 3번 출구에서 약속을 잡을 땐 고속철도인지 지하철인지 여부를 꼭 확인해야 한다.
이웃한 5역[11]이 모두 수서역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다는 특징이 있다.
수인·분당선 직결로 서울교통공사 차량은 다른 종착역 서울교통공사 로고송 풀버전 송출과 다르게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의 끝부분만 송출한다.[12]
3호선은 일원역과 가락시장역 둘 다 수서역에서 2km 미만으로 떨어져 있으나, 수인·분당선의 수서~복정 구간은 분당선 구간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길며, 수서~대모산입구 구간은 2번째로 길다. 이 구간들은 수도권 전철의 서울 밖을 지나지 않는 구간들 중에서도 최장 역간거리 3, 4위이다.[13]
GTX 수서역 조감도 |
SRT가 KTX로 나와있다.[14] |
GTX-A 환승통로는 3호선 승강장 하부의 지하 3층 대합실과 연결된다.
SRT 지하 1층 맞이방 옆에 GTX 홍보관이 2023년 12월 22일 개관했다. 연중무휴이며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영한다. #
기사를 통해 환승 통로 등이 공개되었다. # 환승통로는 3호선-수인·분당선 간 전철 환승로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3호선과 수인분당선에서 GTX로 환승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환승통로로 이동하여 중간에 새로 생긴 게이트로 하차 태그를 한 후, 다시 GTX 승차 게이트에 승차 태그를 하면 된다. 환승시에도 2번 게이트에 카드를 태그해야 한다. 이는 동해선 광역전철과 거의 유사한 환승 방식이다. 따라서 수서역에서 GTX로 갈아탄다면 그 전에 무엇을 탔든 간에 환승 횟수가 1회 차감된다. 그냥 버스-지하철 환승과 동일한 시스템이라고 보면 된다.
2.1. 빠른 환승
노선 및 방면 | 빠른 환승 |
3호선 (대화/구파발 방면) → 수인·분당선 | 3-1 |
3호선 (당역종착/오금 방면) → 수인·분당선 | 6-3 |
3호선 (대화/구파발 방면) → | 7-2 |
3호선 (당역종착/오금 방면) → | 4-2 |
수인·분당선 (왕십리/청량리 방면) → 3호선, | 1-4, 6-1[15] |
수인·분당선 (죽전/인천 방면) → 3호선, | 2-4, 5-2[16] |
3호선, 수인·분당선 → GTX-A (성남 / 동탄 방면) | 2-2 |
GTX-A → | 6-1 |
- 3호선, 수인·분당선 등 수도권 전철과 SRT 타는 곳은 지하 연결 통로로 이어져 있어 SRT를 이용하기 위해 지상으로 나갈 필요가 없다.
- 3호선같은 경우 서울교통공사 차량이 코레일 차량보다 60%가 넘는데 SRT 환승방송조차 나오지 않고 있다.[17]
- GTX와 타 노선 간의 환승은 그리 어렵지 않다. 수인·분당선-3호선 환승통로로 이동하다 보면 중간에 GTX 갈아타는 곳이 따로 있기 때문이다. 이 루트로 갈아타면 예상과 달리 5분 내외의 시간 만에 환승할 수 있으며 빨리 이동하면 3분에도 가능하다. 물론 GTX는 버스에 가까운 개념이라 하차 태그와 승차 태그를 모두 해야 하니 이 점이 좀 귀찮다.
2.2. 막차
자세한 내용은 수서역(수도권 전철)/막차 문서 참고하십시오.3. 역 주변 정보
수서역 인근은 일원동과 함께 1990년대에 수서지구라는 택지지구로 개발된 곳이다. 처음부터 부도심으로 개발할 생각이 있었고 중산층을 이주 대상으로 했던 양재천 북쪽 강남지역과는 달리 이곳은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한 주거지구로 개발되었으며, 개발 규모가 크지 않아서 미개발된 개발제한구역 역시 많이 볼 수 있다.SRT 수서역이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수서역 인근은 개발이 제한된 곳이 많아 역세권이 그리 번화하지 못했다.
현재는 역세권개발사업인 수서역세권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SRT 수서역세권 내에 있는 강남구 수서동 197 일원 115,927㎡ 규모의 대지에 역사·판매·숙박·업무·문화 공간 등을 포함한 수서역 환승센터를 복합 개발하는 사업이다.
역 북쪽의 동부간선도로, 탄천교, 가락시장 북편· 헬리오시티 방향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 강남지사와 열병합발전소가 있다.
3.1. 출구 정보
수서역 출구 정보 | |
1 |
신동아아파트 동익아파트 수서까치공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
1-1 |
수서역환승주차장 대진디자인고등학교 |
2 |
수서삼익아파트 수서주공아파트 수서명화종합사회복지관 |
3 |
서울세종고등학교 수서초· 중학교 수서한아름아파트 강남스포츠센터 가락시장·가락몰 방면 |
4 |
수서동주민센터 수서역치안센터 수서타워 서울교통공사 수서차량사업소 |
5 |
수서6단지아파트 탄천어울림공원 강남세움복지관 위드온 수서센터 문정2동주민센터 서울가원초등학교 문정동우체국 |
5-1 |
수서동주민센터 수서역치안센터 서울교통공사 수서차량기지 |
5-2 |
성남·분당 방면 세곡동 방면 쟁골마을 |
6 |
성남·분당 방면 세곡동 방면 궁마을 |
7[18] |
궁마을 수서역환승주차장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9a6292><bgcolor=#ef7c1c> 연도 ||
||
||
||<bgcolor=#ef7c1c> 총합 ||<bgcolor=#ef7c1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22,850명 | 2,219명 | 미개통 | 25,069명 | 비고 | |||||
1995년 | 24,971명 | 2,994명 | 27,965명 | ||||||||
1996년 | 24,053명 | 5,079명 | 29,132명 | ||||||||
1997년 | 21,015명 | 6,302명 | 27,317명 | ||||||||
1998년 | 19,809명 | 5,624명 | 25,433명 | ||||||||
1999년 | 자료없음 | 5,256명 | - | ||||||||
2000년 | 18,770명 | 자료없음 | - | ||||||||
2001년 | 20,616명 | 5,370명 | 25,986명 | ||||||||
2002년 | 22,384명 | 6,540명 | 28,924명 | ||||||||
2003년 | 24,158명 | 9,219명 | 33,377명 | ||||||||
2004년 | 23,746명 | 7,788명 | 31,534명 | [19] | |||||||
2005년 | 24,067명 | 10,877명 | 34,944명 | ||||||||
2006년 | 23,972명 | 10,859명 | 34,831명 | ||||||||
2007년 | 23,679명 | 10,912명 | 34,591명 | ||||||||
2008년 | 26,386명 | 11,327명 | 37,713명 | ||||||||
2009년 | 24,607명 | 11,508명 | 36,115명 | }}}}}}}}} | |||||||
2010년 | 21,472명 | 9,502명 | 미개통 | 30,974명 | |||||||
2011년 | 21,554명 | 9,256명 | 30,810명 | ||||||||
2012년 | 21,777명 | 10,495명 | 32,272명 | ||||||||
2013년 | 22,723명 | 15,091명 | 37,814명 | ||||||||
2014년 | 24,849명 | 17,174명 | 42,023명 | ||||||||
2015년 | 25,492명 | 18,784명 | 44,276명 | ||||||||
2016년 | 26,387명 | 19,336명 | 45,723명 | ||||||||
2017년 | 34,753명 | 28,872명 | 63,625명 | ||||||||
2018년 | 36,611명 | 30,698명 | 67,309명 | ||||||||
2019년 | 37,703명 | 31,325명 | 69,028명 | ||||||||
2020년 | 27,756명 | 23,302명 | 51,058명 | ||||||||
2021년 | 28,840명 | 23,967명 | 52,807명 | ||||||||
2022년 | 32,601명 | 27,103명 | 59,704명 | ||||||||
2023년 | 36,340명 | 29,951명 | 66,291명 | ||||||||
2024년 | 명 | 명 | 명 | 명 | [20] | ||||||
※ GTX-A와 나머지 노선 간의 환승인원이 포함되어 있다. | |||||||||||
출처
|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21]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2023년 기준으로 두 노선의 일평균 승하차 인원을 합치면 66,291명이다.
- 분당선의 이용객이 3호선을 추월한 도곡역과는 다르게 아직까지 3호선의 승하차객 수가 더 많다. 하지만 분당선의 이용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도곡역과 같은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3호선도 하남시청역까지 연장이 완료되면 하남에서 넘어오는 수요로 인해 오히려 격차가 더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 SRT 고속열차가 개통되기 이전에는 동네 주민들이 외지로 나가기 위한 용도로만 주로 사용되었던 역이었다. 강남구이긴 하나 시외곽의 고립된 위치에 있고 환승객 수요는 나름 받쳐주지만 환승 게이트가 없어 집계가 안되므로 전적으로 지역 주민에게 수요를 의존했다. 그러나 2016년 12월 9일 SRT 고속열차가 개통되면서 새로운 경부선, 호남선의 간선교통 거점역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하면서 이용수요가 매우 증가하였다.
- 2016년 → 2017년 통계의 변화가 매우 극단적이다. 3호선 기준으로는 하루 평균 26,387명에서 34,753명으로 전년도보다 무려 8,366명이 증가했고, 분당선 기준으로는 하루 평균 19,389명에서 28,872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9,483명이나 증가해 무려 1.5배의 상승폭을 보였다. 게다가 이것은 교통 거점으로 거듭난 지 첫 해에 불과하므로 향후 몇 년간 지속적인 이용객 증가가 예측되는 곳이다.
- 3호선은 2001년에 2만 명을 넘은 이래로 꾸준히 2만 명대의 수요를 유지하다가 2017년 SRT의 개통으로 갑자기 올라선 반면에 분당선은 하루 평균 5~6천 명 정도만이 이곳을 찾았으나 2003년 선릉역 연장 개통 이후 1만 명 내외로 2배 가량 상승했고, 2012년 왕십리역 연장 개통 이후에는 1만 명대 후반으로 1.5~1.8배 더 올랐다가 2017년 SRT 개통으로 1년 만에 1.5배 증가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용객 증가에서는 분당선 수서역이 전국에서 손꼽을 것이다.
- 수서역 남쪽으로 수서역세권개발사업이 진행중이고 송파하남선을 통해 교산신도시로 연장되면 승객이 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GTX의 환승 방식이 동해선 광역전철과 유사하여 2024년부터 3호선과 수인·분당선의 승하차 인원에 GTX와의 환승인원도 포함된다. 따라서 수치가 급등할 수도 있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3호선
3호선 승강장[22] |
3호선 역명판[23][24] |
일원 ↑ | |||||
2 | ㅣ | ㅣ | 1 | 3 | ㅣ |
↓ 가락시장 | ↓ 수서차량사업소 |
1 | 3호선 | 도곡· 충무로· 대화 방면 |
2 | 당역종착/ 경찰병원· 오금 방면 | |
3 | 도곡· 충무로· 대화 방면 |
대화 방면 승강장 1-2번 중앙 기둥에 2000년 이전에 사용된 구형 역명판이 남아 있다. 사진
2010년 3호선 연장[25] 개통 이전엔 종착역이었기 때문에, 2개의 대화행, 1개의 오금행 선로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자리의 대화행 선로는 첫차 발차용으로만 이용된다. [26]
지상역들을 제외하고 서울 시내 3호선 전체 역들 중 깊이가 제일 얕다.[27]
서울 3호선 수서 소속 승무교대가 이 역에서 이뤄지며 일부 한국철도공사 소속 승무원들도 이 역에서 교대한다. 또한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직결하는 세 노선을 통틀어 유일하게 두 회사 승무원 모두 승무교대를 실시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역이다. 수서역을 제외하면 서울교통공사는 지축역, 한국철도공사는 대곡역에서 승무교대가 이루어진다. 3호선의 승무교대가 이루어지는 역 중 유일한 지하역이다.
5.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승강장 |
수인·분당선 역명판 |
↑ 대모산입구 | |||
2 | ㅣ | ㅣ | 1 |
복정 ↓ |
1 | 수인·분당선 | 서현· 수원· 인천 방면 |
2 | 선릉· 선정릉· 왕십리 방면 |
5.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승강장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역명판 |
당역종착· |
|||
ㅣ | 2 | 1 | ㅣ |
↓ 성남 |
1 | GTX-A | 성남· 동탄 방면 |
2 |
당역종착 |
6. 연계 교통
6.1. 수서역5번출구(23409)·수서역5번출구. 이마트앞(23544)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수서역5번출구(23409) 수서역5번출구.이마트앞(23544)
4, 5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강남, 잠실 방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마을버스 | |
지선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 ||
직행좌석 | ||
시내일반 | }}}}}}}}} |
6.2. 수서역(23408), 수서역6번출구(23443)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수서역(23408)
6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세곡동 방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마을버스 | |
간선 | |
지선 | |
마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수서역6번출구(23443)
6번 출입구에서 약간 떨어진 버스 정류장 - 세곡동, 성남(판교) 방면
||경기도 시내버스 | |
직행좌석 | |
시내일반 |
6.3. 수서역(23402)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수서역(23402)
2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강남, 잠실 방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마을버스 | |
지선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 |
직행좌석 |
6.4. 수서역KT수서지점(23403), 수서역(23871)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수서역KT수서지점(23403)
1-1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세곡동, 장지동 방면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지선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수서역(23871)
1-1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세곡동 방면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 |
마을 |
6.5. 수서역현대벤쳐빌(23401), 세종고등학교(23944)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수서역현대벤쳐빌(23401)
3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지선 | |
서울특별시 공항버스 | |
공항 | |
경기도 시내버스 | |
시내일반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세종고등학교(23944)
3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 |
마을 |
6.6. 수서역.로즈데일빌딩(23410)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수서역.로즈데일빌딩(23410)
4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간선 | ||
지선 | ||
심야 |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 ||
마을 | ||
서울특별시 공항버스 | ||
공항 | ||
경기도 시내버스 | ||
광역급행 | ||
시내일반 | }}}}}}}}} |
6.7. 수서역.KT수서지점(23404)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f2023> 수서역.KT수서지점(23404)
1번 출입구 쪽 버스 정류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마을버스 | |
간선 | ||
지선 | ||
마을 | ||
심야 | ||
경기도 시내버스 | ||
광역급행 | }}}}}}}}} |
7. 기타
-
개그콘서트 700회 특집
수다맨 코너에서 여의도역으로 가려는
김지민에게
강성범이 3호선 노선도를 수서까지 언급하고 나서 수서역에서 택시를 타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수서에서 여의도까지의 거리는 20㎞가 넘는다.
수서역에서 여의도역까지 22.3㎞에 소요 시간 30분으로 나와 있지만, 이는 차량 정체가 상당 부분 해소된 토요일 21시 이후에 검색한 결과를 캡처한 것이다. 22.3㎞를 30분만에 이동하려면 평균 시속 44.6㎞가 나와야 가능한데, 이는 평일의 출퇴근시간에 올림픽대로의 교통량을 생각한다면 거의 불가능하다. 게다가 택시비도 당시 기준 무려 18,100원이다.[30] 수서역에서 대전역까지의 SRT 운임 20,100원을 넘어설 뿐더러 교통 상황에 따라 가산요금이 붙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점을 감안하면 수서역에서 여의도역까지 택시를 타고 가는 비용과 시간으로 대전역까지 SRT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경제성이 있다. 수서역에서 여의도역을 가고자 한다면 수인·분당선을 타고 선정릉역에서, 혹은 3호선을 타고 고속터미널역에서 9호선 급행을 이용하면 1,450원으로 40분만에 이동할 수 있다. - 위 팁을 이용하여, 수서역에서 고양시 능곡초등학교까지 63분 만에 도달한 사람이 있다. # 당산역에서 백석동까지 자유로 직통으로 연결하는 고양시내버스 830번이나 고양시내버스 1500번을 이용할 경우, 수서역에서 백석역까지 1시간 만에 찍을 수 있을 듯하다. 참고로 수서~백석 구간은 수도권 전철 3호선으로 환승 없이 이동하는 경우 81분이 소요된다.
- 수도권 전철 3개 이상 노선 환승역 중 유일하게 개념환승도 막장환승도 없는 노선이다.
- 역 곳곳 GTX-A의 행선지를 안내하는 표지판에서 수서/동탄 이라고 쓰인 곳이 많이 있다. 이곳이 수서역임에도 행선지에 수서를 써 놓고 있다.
- 이 역에서 도곡역까지는 3호선과 수인·분당선 모두 9분이 소요된다.
- 오이도역과 함께 이 역의 노선들 모두 과거 개통당시 시종착역이었거나 현재 시종착역이라는 특징이 있다.
- 3호선 역사에는 에어컨이 없어 승강장에 냉풍기가 설치되어 있고, 수인분당선 역사에는 에어컨이 있어 시원했으나 2024년 여름에는 에어컨이 고장나 작동되지 않고 있다.
- 일반 교통카드 사용자가 3호선/수인·분당선 게이트로 하차 태그를 했는데 3호선/수인·분당선을 다시 타야 하고 15분 재승차 제도를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인 경우[31], 33분 내로 GTX-A 게이트에 승차 태그 후 하차 태그를 하고 다시 33분 내로 3호선/수인·분당선 게이트로 승차 태그하면 150원만 추가 지불되고 환승 횟수 2회 차감으로 재승차가 가능하다. 반대로 GTX-A 게이트로 하차 태그를 했는데 GTX-A를 다시 타야 하는 경우 10분 내라면 최초 1회에 한해 환승 횟수 1회 차감으로 재승차가 가능하지만, 10분이 지났거나 이미 재승차를 한 상태라면 33분 내로 3호선/수인·분당선 게이트로 승차 태그 후 하차 태그를 하고 다시 33분 내로 GTX-A 게이트로 승차 태그하면 환승 횟수 2회 차감으로 추가 요금 없이 재승차가 가능하다.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환승 횟수에 유의해야 한다.[32]
8.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f7c1c> 일산선 |
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
서울 지하철 3호선 |
지축 -
구파발 -
연신내 -
불광 -
녹번 -
홍제 -
무악재 -
독립문 -
경복궁 -
안국 -
을지로3가 -
충무로 -
동대입구 -
약수 -
금호 -
옥수 -
압구정 -
신사 -
잠원 -
교대 -
남부터미널 -
양재 -
매봉 -
도곡 -
대치 -
학여울 -
대청 -
일원 -
가락시장 -
경찰병원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abe00> | |
서울숲 -
압구정로데오 -
강남구청 -
선정릉 -
선릉 -
한티 -
도곡 -
구룡 -
개포동 -
대모산입구 -
복정 -
가천대 -
태평 -
모란 -
야탑 -
이매 -
서현 -
수내 -
정자 -
미금 -
오리 -
죽전 -
보정 -
구성 - ##
구성 -
신갈 -
기흥 -
상갈 -
청명 -
영통 -
망포 -
매탄권선 -
수원시청 -
매교 -
|
||
수원 -
고색 -
오목천 -
어천 -
야목 -
사리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
달월 -
월곶 -
소래포구 -
인천논현 -
호구포 -
남동인더스파크 -
원인재 -
연수 -
송도 -
인하대 -
숭의 -
신포 -
|
}}} ※ 볼드는 급행열차 정차역 (고색 ~ 죽전 구간) ※ 기울임체는 급행열차 정차역 (인천 ~ 오이도 구간)}}}}}}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a6292>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
(운정~서울) |
|
성남 -
구성 -
|
}}}}}}}}} | |
서울역과
수서역 사이
삼성역 건설 중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예정]
2026년 9월 말
수도권광역 급행철도 에이선(
운정중앙역~
서울역)과 직통 운행 및 2028년 4월 중
삼성역 개통 예정.
[2]
서울숲역(KN),
압구정로데오역,
강남구청역,
선정릉역,
선릉역,
한티역,
도곡역,
구룡역(KN),
개포동역(KN),
대모산입구역(KN),
수서역을 관할한다.
[3]
1섬식, 단선식
[예정]
2026년 9월 말
수도권광역 급행철도 에이선(
운정중앙역~
서울역)과 직통 운행 및 2028년 4월 중
삼성역 개통 예정.
[5]
개정 전 39번. 현재 3호선의 39번은
고속터미널역이 가져갔다.
[6]
개정 전 10번. 현재 수인·분당선의 10번은
왕십리역이 가져갔다.
[7]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모든 역이 본 역 휘하에 있어 무려 30개 가까운 역을 관리하였으나 조직개편으로
경기광주역이 경강선 역사들을 담당하게 되었다.
[8]
2000년에 39번에서 349번 역으로 개정되었다.
[9]
수서역-오금역 구간 연장
[10]
그리고 4번 출구는 좁은데다가 절반은 계단이기 때문에 무거운 짐을 끌고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11]
수인·분당선의
대모산입구역,
복정역, 3호선의
일원역,
가락시장역,
GTX-A의
성남역이다.
[12]
전동차 안내방송 장치의 메모리 문제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신차에서는 메모리에 향상이 진행되었는지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을 타고 수서역으로 갈 시 로고송이 풀버전으로 송출된다. 수인분당선 환승 안내도 정상 송출되는 것으로 보아 안내방송이 개정되지 않은 것도 아닌 것으로 보인다.
[13]
1위는 공항철도 홍대입구~DMC, 2위는 같은 공항철도의 서울역~공덕.
[14]
서울 동남권 고속철도 역이 KTX로 계획되었다가 SR 설립 후 민자 전환된 흔적이다.
[15]
SRT로 갈아탈 것이면 1-4, 3호선으로 갈아탈 것이면 6-1이 권장된다.
[16]
SRT로 갈아탈 것이면 5-2, 3호선으로 갈아탈 것이면 2-4가 권장된다.
[17]
다만 3호선 코레일 차량에는 나오고 있다. 애초에 서울교통공사는 과거 서울메트로 시절 때 2000년대 까지만 여객열차 안내방송을 실시했고 2010년대로 넘어오면서 여객열차 안내방송 자체를 실시하지 않고 있다.
[18]
GTX-A 출구인데, 정작 GTX-A 대합실과는 바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3호선 대합실과 연결되어 있다.
[19]
수인·분당선의 자료는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인용하였다.
[20]
GTX-A의 자료는 개통일인 3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21]
이전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
[22]
가락시장 방면, 당역종착 승강장이다.
[23]
역명판 교체 전의 모습 [24] GTX-A 개통전 [25] 가락시장역, 경찰병원역, 오금역 [26] 가장자리의 선로에는 역명판에도 일원 ← 수서 ← 가락시장이 아닌, 일원 ← 수서로만 표기되어 있다. [27] 3호선에서 심도가 가장 깊은 역은 오금역이다. [예정] 2026년 9월 말 수도권광역 급행철도 에이선( 운정중앙역~ 서울역)과 직통 운행 및 2028년 4월 중 삼성역 개통 예정. [예정] 2026년 9월 말 수도권광역 급행철도 에이선( 운정중앙역~ 서울역)과 직통 운행 및 2028년 4월 중 삼성역 개통 예정. [30] 캡쳐된 파일은 택시요금 인상 전이다. [31] 3호선 게이트로 하차했다면 최초 1회에 한해 3호선 게이트로 15분 내에 재승차할 경우 환승 횟수 1회 차감으로 이용할 수 있다. 15분이 지났거나 이미 재승차를 한 경우, 혹은 수인·분당선 게이트로 하차한 경우에는 재승차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기본요금이 추가로 부과된다. [32] 환승 횟수는 4회차까지만 인정되고 이후에는 기본운임이 추가로 부과되므로, 이 방법은 재승차 이외에 환승 횟수가 2회 이내로 차감될 예정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역명판 교체 전의 모습 [24] GTX-A 개통전 [25] 가락시장역, 경찰병원역, 오금역 [26] 가장자리의 선로에는 역명판에도 일원 ← 수서 ← 가락시장이 아닌, 일원 ← 수서로만 표기되어 있다. [27] 3호선에서 심도가 가장 깊은 역은 오금역이다. [예정] 2026년 9월 말 수도권광역 급행철도 에이선( 운정중앙역~ 서울역)과 직통 운행 및 2028년 4월 중 삼성역 개통 예정. [예정] 2026년 9월 말 수도권광역 급행철도 에이선( 운정중앙역~ 서울역)과 직통 운행 및 2028년 4월 중 삼성역 개통 예정. [30] 캡쳐된 파일은 택시요금 인상 전이다. [31] 3호선 게이트로 하차했다면 최초 1회에 한해 3호선 게이트로 15분 내에 재승차할 경우 환승 횟수 1회 차감으로 이용할 수 있다. 15분이 지났거나 이미 재승차를 한 경우, 혹은 수인·분당선 게이트로 하차한 경우에는 재승차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기본요금이 추가로 부과된다. [32] 환승 횟수는 4회차까지만 인정되고 이후에는 기본운임이 추가로 부과되므로, 이 방법은 재승차 이외에 환승 횟수가 2회 이내로 차감될 예정일 경우에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