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산역 | ||
연천 방면
청 산 ← 5.8 ㎞ |
1호선 (100) |
인천 방면 동두천 2.4 ㎞ → |
역명 표기 | ||
경원선 |
소요산 Soyosan 逍遙山 / 逍遥山 / [ruby(逍遥山, ruby=ソヨサン)] |
|
1호선 | ||
주소 | ||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925 ( 상봉암동 126-3)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3급) ( 동두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
||
운영 기관 | ||
경원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원선 | 1975년 12월 23일 | |
1호선 | 2006년 12월 15일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용산 방면 동두천 ← 2.4 ㎞ |
경원선 소요산 |
백마고지 방면 청 산 5.8 ㎞ → |
[clearfix]
1. 개요
교과서에도 등장했던 옛 소요산역의 정취
소요산역은 1976년 1월 11일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후 1982년 9월 21일 옛 역사가 준공되었다. '꽃그림이 그려진 동화책 속을 달리는 것 같은 경원선 열차를 타고 가다가 소요산역에 내리면 동두천의 명산인 소요산과 아주 잘 어울리는 조그만 소요산역이 그림처럼 앉아있다.' 옛 소요산역은 팔각지붕 형태의 대표적인 작은 간이역으로 제7차 중학교 교과서에 묘사되었을 정도로 특히 아름다웠다. 2006년 수도권 전철 운행으로 보통역 승격과 함께 현대식 역사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지하철 1호선 연장 개통으로 시종착역을 맡아 저상홈과 고상홈이 각각 하나씩 설계되었다. 오늘날에는 동두천~연천 복선 전철화로 최신 승강 설비와 연계 교통 시설을 적극 반영한 스마트 철도역사로 편의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소요산역은 1976년 1월 11일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후 1982년 9월 21일 옛 역사가 준공되었다. '꽃그림이 그려진 동화책 속을 달리는 것 같은 경원선 열차를 타고 가다가 소요산역에 내리면 동두천의 명산인 소요산과 아주 잘 어울리는 조그만 소요산역이 그림처럼 앉아있다.' 옛 소요산역은 팔각지붕 형태의 대표적인 작은 간이역으로 제7차 중학교 교과서에 묘사되었을 정도로 특히 아름다웠다. 2006년 수도권 전철 운행으로 보통역 승격과 함께 현대식 역사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지하철 1호선 연장 개통으로 시종착역을 맡아 저상홈과 고상홈이 각각 하나씩 설계되었다. 오늘날에는 동두천~연천 복선 전철화로 최신 승강 설비와 연계 교통 시설을 적극 반영한 스마트 철도역사로 편의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100번.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925 ( 상봉암동 126-3) 소재.
2. 역 정보
2.1. 전철화 이전
1975년에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역 개설은 1975년에 이뤄졌지만 그 전부터 소요산 행락객을 유치하기 위해 경원선 열차가 소요산 인근에 정차해왔는데, 식민지기인 1921년[1], 1932년[2], 1933년[3], 1935년[4], 1937년[5], 1938년[6], 1939년[7] 등에 임시 정차를 시행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인 1956년에도 임시 정차를 시행했고[8], 1964년에도 철도청 고시 제70호에 따라 1964년 4월 28일부터 5월 30일까지 용산 기점 56 km 지점에 열차를 임시 정차시켜 여객취급을 하였는데 이 위치가 현재 소요산역에서 청산 방향으로 약 400m 떨어진 지점이었다.1975년에 단선 승강장을 갖춘 을종승차권대매소로 정식 개업하였으며, 1982년에 역사가 건설되었다. 당시 소요산역은 한국에서 가장 일찍 준공되었던 팔각지붕 역사였으며, 다른 팔각지붕 역사들과는 달리 상당히 대합실이 좁았다. 상당히 독특한 건축양식으로 소소한 주목을 받기도 했다. 이곳과 구조가 동일한 건물이 있었던 곳은 경의선의 옛 문산역, 이설된 동해남부선의 옛 해운대역, 경전선의 옛 창원역이 있다. 관련 게시글
1997년에 착공한 경원선 의정부-동안 복선전철화 사업에서는 경원선의 동안역(현 동두천역)까지만 전철화를 하려 했으나, 경원선 동안역의 다음 역이 행락객들이 많이 모이는 소요산역이라서 복선전철화를 할 때 동안역-소요산역 구간까지 전철화를 하고 1호선 운행 구간을 소요산역까지 연장하였다. 동안역(동두천역)에서 소요산역까지는 다른 복선전철화 구간과 달리 단선 선로를 복선으로 증설하지 않고 전철 설비만 마련해두어 단선으로 운행했다. 전철 개통을 하면서 역사도 다시 지어 2층 규모의 큰 건물인 평범한 전철역이 되었다. 2006년 12월 15일 신역사로 이전한 직후 구역사는 철거되었다.
초대 역사 (1982년 준공, 2006년 철거) |
2.2. 전철화 이후
2006년 이후 2023년까지 소요산역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단선 저상홈과 단선 고상홈이 각각 하나씩 있는 역이었다. 이 두 승강장이 서로 상대식으로 마주보고 있는 구조였다. 전철화 공사 당시 역 건너편에 저상홈을 새로 만들고 기존 저상홈을 고상홈으로 높였다. 저상홈은 통근열차,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가 사용하였다.2대 역사 (2006년 12월 15일 준공) |
소요산역 맞이방 (연천역 연장 이후) |
소요산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9] |
역 안내도(1번 승강장 개통 전) 크게 보기 |
2017년 3월 1일부터 이 역에 있었던 통근열차 매표소가 폐쇄되었다. 따라서 역무원들이 더 이상 발권 업무를 하지 않았고 열차 내에서 승무원에게 승차권을 구입해야 했었다.
2017년 7월 1일부터 2019년 4월 1일까지 평화생명관광열차가 한탄강역에 더 이상 정차하지 않는 대신 이 역에 정차했었다.
2019년 4월 1일부터 경원선 동두천~연천 구간 전철화 공사로 인하여 통근열차 운행이 임시 중단되었고 그 대신 통근열차가 운행하는 구간, 요금 그대로 대체 운송 버스가 운행했다.
2020년 9월 14일부터 2023년 12월 15일까지 1호선 종착 기능이 기존 승강장에서 전 공영주차장 부지에 지은 임시 승강장으로 넘어갔었다. 기존 상대식 승강장과 저상홈은 철거하고 바로 옆에 소요산역 신역사를 지었다.
1호선이 연천역으로 연장되어 승강장이 고가 위로 올라갔으며 지금과 마찬가지로 승강장을 제외한 구간은 전부 복선 노반 전제 단선으로 지어졌다. 또한 경원선 급행은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판문점과 동위도에 위치해 있는 역이다.
3. 역 주변 정보
소요산으로 가는 등산로가 있다. 아울러 역 주변으로 소요산 등산객들을 상대하는 것으로 보이는 식당과 편의점 등이 있고, 마을도 인근에 몇 개가 있다.3.1. 출입구 정보
소요산역 출입구 정보 | |
1 |
소요산 국민관광지 자유수호평화박물관 경기북부 어린이박물관 동두천농협 소요산지점 상봉암 일반산업단지[10] 소요초등학교 동두천시청 환경사업소 |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2a4><bgcolor=#0052a4> 연도 ||
||<bgcolor=#0052a4> 비고 ||
2006년 | 4,799명 | [11] |
2007년 | 5,730명 | |
2008년 | 6,156명 | |
2009년 | 6,262명 | |
2010년 | 7,310명 | |
2011년 | 7,993명 | |
2012년 | 8,730명 | |
2013년 | 8,960명 | |
2014년 | 9,122명 | |
2015년 | 8,738명 | |
2016년 | 8,837명 | |
2017년 | 8,783명 | |
2018년 | 8,182명 | |
2019년 | 7,888명 | |
2020년 | 5,407명 | |
2021년 | 5,484명 | |
2022년 | 5,737명 | |
2023년 | 5,382명 | |
2024년 | 4,037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소요산에 등산하러 가는 등산객들이 꽤 많아서 역 이용객은 꽤 있으며, 원래 계획에서의 공식 종착역이었던 동두천역보다 약 1.5배 승하차객이 더 많다. 개통 초기에는 동두천역의 이용률이 더 높았으나, 2010년에 소요산역이 동두천역 수요를 앞질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등산객 이외의 수요는 많지 않고, 등산객들이 대부분 노인들이라 노인 무임승차가 적용되기 때문에 수송 수입 자체는 크지 않다. 주말에 보면 역무원들이 노인들을 안내하는 광경을 볼 수 있다.
그 외 이용객은 군인들이다. 소요산역 부근은 조금만 이동해도 각종 군부대가 넘쳐나는 곳이라 아침에는 휴가 나가는 군인으로, 오후에는 휴가 복귀하는 군인들이 매우 많다. 특히 제28보병사단과 제5보병사단 소속 군인들이 눈에 자주 띈다. 주로 연천군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지금은 없어진 CDC 통근열차로 대광리역, 신망리역에서 소요산역까지 타고 와서 1호선으로 갈아탔기 때문에 서부전선에서 근무했던 전역자들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기분이 동시다발로 드는 역이다. 다만 연천역 연장 이후로는 연천군에 위치한 부대에 속하는 군인들이 연장 구간의 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군인 수요가 예전 같지는 않다. 소요산역 인근 뿐만 아니라 연천군에도 군부대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 통근열차 #===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80c379><bgcolor=#80c379> 연도 || [[통근열차(열차등급)|
통근열차
]] ||<bgcolor=#80c379> 비고 ||2002년 | 2,087명 | |
2003년 | 2,362명 | |
2004년 | 715명 | |
2005년 | 527명 | |
2006년 | 389명 | |
2007년 | 213명 | |
2008년 | 216명 | |
2009년 | 173명 | |
2010년 | 167명 | |
2011년 | 166명 | [12] |
2012년 | 190명 | |
2013년 | 169명 | |
2014년 | 127명 | |
2015년 | 97명 | |
2016년 | 102명 | |
2017년 | 35명 | |
2018년 | 28명 | |
2019년 | 32명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승강장
승강장 |
↑ 청산 | |||
2 | ㅣ | ㅣ | 1 |
동두천 ↓ |
1 | 수도권 전철 1호선 |
당역 종착 (인천발 열차) |
2 |
청산·
전곡·
연천 방면 의정부· 광운대· 구로· 인천 방면 당역 종착 (인천발 열차) |
기존 승강장과는 다르게 고가 선상에 위치해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신 승강장과 기존 역사 사이에는 임시방편으로 기존 선로를 가로지르는 연결 통로를 통해 신 승강장으로 연결된다. #
2023년 12월 16일 1번 승강장은 공사가 아직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2번 승강장으로 양 방향 열차가 모두 다니고 있다.
따라서 1번 승강장이 개통하기 전까지는 탑승하기 전에 행선지를 꼭 확인하고 열차에 타야 하는데, 하필 양 종착역이 각각 인천역과 연천역으로 모음 하나 차이이기 때문에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다. 노인 승하차 비율이 높은 것에 더해 이에 대한 공지 또한 매우 부실해서 주변 승객들에게 묻는 상황이 자주 보인다.
2024년 12월 25일 기준 대합실 및 1번 승강장의 공사가 완료되었기 때문에 추후 개통할 예정이다. #1 #2
===# 임시승강장 시절 #===
|
|
1호선 임시역명판 | 1호선 임시승강장 |
↑ 초성리 | 종착역 | ||
ㅣ | ㅣ | 1 | |
동두천 ↓ |
1 | 수도권 전철 1호선 | 완행 |
의정부·
광운대·
구로·
인천 방면 당역 종착 |
2023년 12월 15일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역 중 하나였다. 구 승강장은 저상홈 1면과 고상홈 1면이 마주보는 상대식 승강장이었으며 연천까지의 단선 전철화 사업이 진행되면서 저상홈은 그대로 철거, 고상홈은 동쪽으로 밀려난 자리의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되었다. 2023년까지의 모습은 가능역의 의정부북부역 시절 임시 승강장의 모습과 비슷하다.
임시승강장 옆 선로는 (구)초성리역까지 가는 화물 열차를 위한 선로이다. 출입구가 차량 맨 마지막 칸 타고 내리는 곳 쪽에 붙어 있기 때문에 소요산역에 도착할 때 즈음 많은 승객들이 맨 마지막 칸으로 모여 끝쪽 통로가 붐비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승강장이 임시 승강장으로 이설된 이후부터는 구내에서 선로가 분기되는 관계로 타는 곳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해당 현상은 약간이나마 완화되었으나, 역사는 여전히 열차 도착 후 인파로 채워진다.
구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선로와 (화물선로 포함) 전차선은 모두 철거되었으며, 구 승강장도 조만간 철거 할 것으로 보인다. 철거 된 이후에는 구 용산선과 같이 숲길로 재탄생 할 것으로 예상된다. #
6. 연계 교통
소요산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구분 | 노선 |
소요산역 (16136) |
<colcolor=#ffffff> 공항 | |
시내 | ||
소요산역 (16140) |
공항 | |
시내 |
7. 기타
8.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daa> 경원선 |
연천 -
전곡 -
청산 -
소요산 -
동두천 -
보산 -
동두천중앙 -
지행 -
덕정 -
덕계 -
양주 -
녹양 -
가능 -
의정부 -
회룡 -
망월사 -
도봉산 -
도봉 -
방학 -
창동 -
녹천 -
월계 -
광운대 -
석계 -
신이문 -
외대앞 -
|
서울 지하철 1호선 |
제기동 -
동묘앞 -
동대문 -
종로5가 -
종각 -
시청 -
|
|
경인선 |
구로 -
구일 -
개봉 -
오류동 -
온수 -
역곡 -
소사 -
부천 -
중동 -
송내 -
부개 -
부평 -
백운 -
동암 -
간석 -
주안 -
도화 -
제물포 -
도원 -
동인천 -
|
|
경부선 |
남영 -
용산 -
노량진 -
대방 -
신길 -
영등포 -
신도림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독산 -
금천구청 -
석수 -
관악 -
안양 -
명학 -
금정 -
군포 -
당정 -
의왕 -
성균관대 -
화서 -
수원 -
세류 -
병점 -
세마 -
오산대 -
오산 -
진위 -
송탄 -
서정리 -
평택지제 -
평택 -
성환 -
직산 -
|
|
천안직결선 |
두정 -
|
|
장항선 |
천안 -
봉명 -
쌍용(나사렛대) -
아산 -
탕정 -
배방 -
온양온천 -
|
|
병점기지선 |
병점 -
|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
금천구청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원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전† - - - - - - - - - - - - - - - - - - 광역전철 전용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정차,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정차, : 수도권 전철 1호선 정차 |
}}}}}}}}} |
[1]
"자재암에 임시 열차", 동아일보, 1921.09.21
[2]
"소요산 열차 운전", 동아일보, 1932.09.30.
[3]
"망월사와 소요산 임시 정거장 개시", 동아일보, 1933.08.31.
[4]
"망월사소요산행 임시정거장 설치", 동아일보, 1935.04.07
[5]
"유수기절한 소요산 코-스", 조선일보, 1937.10.03.
[6]
"근교산책지각역 임시승강취급", 조선일보, 1938.03.20.
[7]
"경승지에 가정차 일분간", 조선일보, 1939.09.29.
[8]
"'소요산 구경 특 열차운행", 조선일보, 1956.10.27.
[9]
소요산 역사를 형상화하였다.
[10]
동두천역과 역세권 중복
[11]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2]
초성천 철교 유실로 인한 운행 중단 기간 제외
[13]
공사 완료 시 사용될 예정이다.
[14]
마이트란츠 게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