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분당선의 신설 예정 역에 대한 내용은
신분당선/국립박물관 정거장 문서 참고하십시오.이촌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촌(국립중앙박물관)역 | ||||
진접 방면
신용산 ← 1.3 ㎞ |
4호선 (430) |
오이도 방면
동 작
동작대교 통과 →2.7 ㎞ →
|
|||
이촌역 | |||||
문산 방면
용 산 ← 1.9 ㎞ |
경의·중앙선 (K111) |
지평 방면
서빙고 1.7 ㎞ → |
|||
경의·중앙선 중앙선 급행
|
용문 방면
옥 수 5.2 ㎞ → |
}}}}}}}}} | |||
역명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원선 |
이촌 Ichon 二村 / [ruby(二村, ruby=イチョン)][a] |
|||
용산삼각선 | |||||
경의·중앙선 | |||||
4호선 |
이촌 (국립중앙박물관) Ichon (National Museum of Korea) 二村(國立中央博物館) / 二村(国立中央博物馆)[2] / [ruby(二村, ruby=イチョン)][a] |
주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원선 | |||
경의·중앙선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71길 42 ( 이촌동 17-69) | ||||
4호선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83 ( 용산동5가 17-112) | }}}}}}}}} | |||
관리역 등급 및 소속 영업사업소 | ||||
경원선 |
무배치간이역 (
가좌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 용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
4호선 |
동작영업사업소 이촌역 (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 |
|||
운영 기관 | ||||
경원선 | 한국철도공사 | |||
4호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원선 | 1978년 12월 9일 | ||
경원선 (당시 국철)
|
||||
4호선 | 1985년 10월 18일 | |||
중앙선 | 2005년 12월 16일 | |||
경의·중앙선 | 2014년 12월 27일 | }}}}}}}}} | ||
역사 구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지하 2층 (
4호선) 지상 1층 ( 경의중앙선) |
}}}}}}}}} | ||
승강장 구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4호선, 경의중앙선) |
}}}}}}}}} | ||
철도거리표 | ||||
용산 방면
용 산 ← 1.9 ㎞ |
경원선 이 촌 |
백마고지 방면
서빙고 1.7 ㎞ → |
||
용산삼각선[5] |
종점
|
[clearfix]
1. 개요
- 수도권 전철 4호선 430번.[6]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83 ( 용산동5가 17-112) 소재.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111번.[7]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71길 42 ( 이촌동 17-69) 소재.
1978년 경원선 간이역으로 영업개시
중앙박물관, 이촌한강공원으로 가는 길목
이촌역은 1978년 12월 1일 역사 신축 준공에 이어 같은 해 12월 9일 경원선의 배치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1985년 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하면서 환승역이 되었는데, 당시 역사는 307㎡ 규모의 철근콘크리트조 슬라브 지하 1층 건물이었다. 이후 1994년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어 을종승차권대매소로 지정,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인근에 학교와 더불어 국립중앙박물관, 이촌한강공원 등이 위치하고 있어 즐길 거리가 풍부하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중앙박물관, 이촌한강공원으로 가는 길목
이촌역은 1978년 12월 1일 역사 신축 준공에 이어 같은 해 12월 9일 경원선의 배치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1985년 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하면서 환승역이 되었는데, 당시 역사는 307㎡ 규모의 철근콘크리트조 슬라브 지하 1층 건물이었다. 이후 1994년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어 을종승차권대매소로 지정,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인근에 학교와 더불어 국립중앙박물관, 이촌한강공원 등이 위치하고 있어 즐길 거리가 풍부하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역 안내도 (
크게보기)
|
4호선의 병기역명은 국립중앙박물관이다. 2007년 8월 1일에 부여된 병기역명으로,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병기역명인 국립중앙박물관까지 방송하지만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에서는 이촌 역명만 방송한다.
4호선은 용산동5가, 경원선(경의중앙선)은 이촌동에 있다. 경의중앙선 선로가 이촌동의 북쪽 경계라서 이촌역 역 주소도 이촌동으로 처리하는 것. 그래서 4호선-중앙선 환승통로부터 용산동5가에 속한다.
2.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경원선)
경의·중앙선 4번출구 |
경의·중앙선 출구는 동부이촌동 방면으로 난 4번출구 하나뿐이고, 1985년 4호선 개통 이전까지 출구는 이것 하나뿐이었다. 4번 출구에는 다른 출입구와는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엘리베이터 등 승강편의시설이 없어 승객들이 불편을 겪어왔는데 2019년 말에서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경의·중앙선 대합실에서는 승강장 및 4호선 대합실로 가는 통로가 두 개 있다. 하나는 경의·중앙선 개표구를 지나야 나타나는 통로로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승강장으로 진입할 수 있고 계단과 에스컬레이터를 그냥 지나치면 4호선 대합실로 연결된다. 다른 하나의 통로는 개표구를 지나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는 통로인데, 경의·중앙선 승강장으로 통하는 엘리베이터가 있으며 개표기가 엘리베이터 바로 앞에 있다. 엘리베이터를 그냥 지나치면 4호선 대합실 비운임구역(1번 및 5번 출구)으로 연결된다. 이 통로는 비운임구역만 지나므로 경원선 선로를 건너 동부이촌동과 서빙고로를 잇는 지하보도 역할도 한다.
이 역과 서빙고역 사이에는 절연구간이 있다. 원래 한강대교 하부에 절연구간이 있었으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강릉선 KTX 대비용으로 전차선 개량을 동시에 시행하여 2017년 여름부터 옮긴 것이다.
용산삼각선이 이 역에서 용산역 방향으로 조금 간 곳에서 분기하여 한강철교로 향한다. 용산역 방향으로는 급커브 때문에 소음도 엄청난데다 속도도 거의 기어가는 수준이다.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어 문산까지 연장된 지금은 서울 마포구나 경기도 고양, 파주 등지에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 4호선 한강 이남 구간으로 이동 시 배차 간격으로 보나 환승 난이도로 보나 이촌역에서 환승하는 게 서울역행을 타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사실상 경의·중앙선 상행선에서 착석 찬스를 노릴 수 있는 마지막 역이기도 하다. 1호선 급행의 영향으로 내리는 사람들이 여전히 꽤 많으나 용산역에서는 이제 내린 만큼 많이 탄다.
과거에는 3-1번 출구 인근이 무임승차로 악명높았다. 아파트를 끼고 있는 도로 앞의 야트막한 담장 하나만 넘으면 바로 경의·중앙선 승강장으로 진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은 담장을 증축한 듯해서 더 이상 불가능할 듯하다.
경의선 문산급행 열차는 평일 출.퇴근시간대 정차한다. 용문/ 팔당부터 이촌역까지 각역정차하고 다음 역인 용산역에서부터 급행으로 운행하기 시작한다.[8]
이촌역은 4호선이 서울교통공사 관할이지만, 코레일 관할인 경의중앙선 대합실에서 코레일의 4호선 단독 노선도와 4호선의 첫차/막차 시간대 안내를 볼 수 있다.
경의·중앙선 지상역들 중 가좌역, 상봉역과 함께 맞이방이 지하에만 있고 지상에 없는 역이다.
2.2. 수도권 전철 4호선
4호선 대합실 |
다음역 동작역과의 사이의 거리는 무려 2.7㎞로 한국철도공사 관리 구간을 제외한 지하철 1~9호선 전 역 구간 중 두 번째로[10] 가장 길고 아름다운 거리를 자랑하는데 이는 서빙고로를 쭉 따라가다가 급드리프트 후 지상으로 올라와 동작대교에 진입하기 때문이다. 형제격인 3호선의 압구정역은 곧바로 지상으로 올라와 동호대교를 건너서 옥수역에 들어온다. 동작대교 자체가 반포대교를 제외하면 인근의 교각들 사이에서 상당히 긴 편이기도 하다.
4호선은 신용산역 방향 및 동작역 방향으로 각각 R=250의 급커브가 있다. 그러나 상당히 크게 돌아가기 때문에 쾌속으로 지나가는데 소음과 진동이 생각만큼 심하진 않다.
향후 4호선 측에는 급행화를 위해 대피선이 지어질 예정이다. 관련 보고서(p.928 참조)
2.3. 환승
두 노선이 평행하게 붙어 있어서 환승 거리는 그리 길지 않다. 경의·중앙선 승강장은 지상 1층에 있고 4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어 환승동선도 지상-지하 환승역 치고는 상당히 짧다.다만 환승통로가 많이 좁고 굽은데다가 자잘한 계단이 많다. 이 때문에 환승통로에는 2021년까지 엘리베이터가 없어서 휠체어 이용객은 그 좁은 환승통로에 설치되어 있는 휠체어리프트를 이용해야 했다. 2021년에 환승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으나 4호선 운임구역과 경의중앙선 지평 방향 승강장을 잇는 엘리베이터만 설치되어 있어서 문산 방향 승강장으로 가려면 여기서 다시 경의중앙선 대합실로 내려가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 한다.
과거 경의선과 중앙선이 직결하기 전에는 4호선에서 중앙선 용산역 방향으로 환승하는 사람은 십중팔구 용산역에서 1호선을 타고 노량진역~ 명학역이나 경인선 연선으로 가려고 하거나 동인천, 천안 급행으로 갈아타려는 사람들이었다. 애초에 목적지가 군포시 이남이라면 금정역에서 갈아타는 게 낫고, 중구 이북이면 배차 간격이 더 짧은 4호선으로 서울역에서 환승하는 게 훨씬 나으며, 남영역 인근에 가려면 숙대입구역을, 환승 목적이 아닌 용산역을 이용하려면 신용산역을 이용하는 편이 더 낫다.[11] 신용산역과 용산역은 150m 밖에 안 떨어져 있으므로 도보로 이동하기에도 부담 없다. 그럼에도 용산역에서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승강장(2번)과 급행 출발 승강장(3번)이 계단을 건너지 않아도 맞은편에서 바로 갈아탈 수 있는 평면 환승을 지원하는 데다 시발역이라 편히 앉아갈 수 있어서 편하게 인천, 부천 방면으로 가려는 사람들이 이렇게 이용하는 편이다.
또한 버스로 이촌동에서 용산역으로 바로 가는 게 의외로 불편하고,[12] 신용산역에서 용산역까지의 거리가 아주 가깝진 않은데다 중간에 실외를 한번 경유해야 되기 때문에 시간표만 잘 맞춰 탄다면 긴 배차와 느린 속도를 감안해도 용산역으로 가는 제일 빠르고 편한 방법이다.
3. 역 주변 정보
이촌역 남쪽과 북쪽이 완전히 다른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이촌역 남쪽에는 이촌 한강맨션 아파트, 건영 한가람아파트, 한강 대우아파트, 코오롱 이촌아파트, LG한강자이 아파트가 있다. 이들 아파트 상가들에 은행들이 몰려 있다. SC제일은행 이촌동지점, KB국민은행 동부이촌동지점, 우리은행 동부이촌동지지점, IBK기업은행 동부이촌동WM센터, 김제 수협 동부이촌동지점[13], 신한은행 동부이촌동지점이 있다. 4대 금융지주회사 은행 중 하나은행만 이촌역 주변에 지점이 없다. 옛날에는 서울은행 동부이촌동지점이 있었으나 하나은행의 서울은행 인수 후 동부이촌동 지점을 폐쇄했다. 이촌역 남쪽에 있는 학교로는 용강중학교와 서울신용산초등학교, 중경고등학교가 있다.
동부이촌동으로 통칭되는 역 남쪽의 아파트 밀집지역은 종로구의 평창동, 성북구의 성북동, 용산구의 한남동 등과 더불어 강북의 대표적인 부촌이다.(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고)
이촌역 북쪽에는 용산 시티파크, 용산 파크타워 아파트와 국립중앙박물관이 있다.
옛 미군기지 내 헬기장 부지를 주한미군으로부터 양도받아 기존 경복궁역 인근에 있던 국립중앙박물관을 이 역 인근으로 이전하였다. 이 역 북쪽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을 제외하고는 군사시설지역으로 몰려 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4호선 이촌역은 박물관 나들길이라는 지하통로로 연결되어 있는데, 경의중앙선 승강장에서는 접근하기 약간 까다롭다.
국립중앙박물관 옆에는 역시 미군기지를 반환하여 조성한 용산가족공원도 있다.
이촌역 서쪽에는 용산세무서와 용산철도고등학교, 한강초등학교, 용산역사박물관이 있다.
서울시내에 보기드문 건널목이 용산역과 서빙고역 사이에 4개가 있다. 용산역 방면에 있는 이촌역에 붙어있는 건널목은 돈지방 건널목이고 용산역에 가까운 건널목은 백빈 건널목, 용산삼각선에 있는 건널목은 삼각백빈 건널목, 서빙고역 방면에 있는 건널목은 서빙고북부 건널목이다. 이 중 이촌역 서쪽에 바로 붙어있는 돈지방 건널목은 서빙고로와 이촌로를 이어주는 유일한 도로인지라 차량 통행량이 많다. 서빙고로에서는 한강대교 방면으로 좌회전이 불가능해서 용산역 앞 도로에서 P턴을 하여 한강대교 방면으로 진행해야하기 때문이다. 별로 중요해보이지 않는 왕복 2차선 골목길이지만 용산구 일대의 교통의 요지인지라 이 건널목을 쉽게 없앨 수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경원선에 열차가 워낙 많이 다니는데다가 건널목 양 옆이 서행운전을 해야하는 구간이기 때문에[14] 차단기가 내려오는 시간이 매우 길어 좌회전 신호가 켜져도 건널목때문에 통과를 못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용산역 앞 P턴 코스도 만만치 않게 정체가 심한데다가 주행 거리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그냥 이 쪽을 선택하는 운전자들도 많다. 용산구청에서는 2019년, 늦어도 2026년까지 이촌역 일대의 재개발 및 구획정리사업을 통해 이촌역 전후로 있는 건널목 4곳을 모두 폐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2곳은 단순 폐쇄, 2곳은 4차로 지하차도 건설로 입체화할 예정이라고 한다.
3.1. 출구 정보
이촌(국립중앙박물관)역 출구 정보 | |
4호선 이촌(국립중앙박물관)역 대합실 이용 | |
1 |
한강로지구대 용산동5가 용산파크타워 용산시티파크 |
2 |
서빙고동 방면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용산가족공원 |
3 | 동작대교 방면 |
3-1 |
래미안첼리투스아파트 서울신용산초등학교· 용강중학교 강촌아파트 중경고등학교 삼익아파트 이촌동코오롱아파트 이촌동현대아파트 |
5 |
용산세무서 용산철도고등학교 |
경의·중앙선 이촌역 대합실 이용 | |
4 |
이촌치안센터 이촌한강공원 용산청소년센터 한강대우아파트 이촌동두산위브트리지움 한가람건영아파트 동부센트레빌아파트 이촌동우성아파트 이촌1동주민센터 한강자이아파트 |
이촌역 4번 출구 앞 보도에서 이촌역 역명판 위로 남산서울타워가 잘 보이는데, 이는 꽤 알려진 사진 포인트이기도 해서 많은 아마추어 사진작가들이 들르는 곳이다.
4번 출구의 폴사인은 경의·중앙선만 표기하고 있으며 3-1번 출구는 4호선만 표기하고 있다. 다른 출구는 4호선과 경의·중앙선을 전부 표기하고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4e3><bgcolor=#00a4e3> 연도 ||
||
||<bgcolor=#00a4e3> 총합 ||<bgcolor=#00a4e3>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8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78년 | 미개통 | 10,852명1,402명 | ||||||
1979년 | 2,691명 | ||||||||
1980년 | 2,627명 | ||||||||
1981년 | 2,957명 | ||||||||
1982년 | 3,512명 | ||||||||
1983년 | 3,925명 | ||||||||
1984년 | 3,890명 | ||||||||
1985년 | 자료없음 | 3,130명 | |||||||
1986년 | 2,251명 | ||||||||
1987년 | 2,145명 | ||||||||
1988년 | 3,871명 | ||||||||
1989년 | 3,664명 | ||||||||
1990년 | 3,869명 | ||||||||
1991년 | 3,352명 | ||||||||
1992년 | 2,942명 | ||||||||
1993년 | 2,996명 | ||||||||
1994년 | 12,389명 | 3,055명 | 15,444명 | ||||||
1995년 | 12,490명 | 3,213명 | 15,703명 | ||||||
1996년 | 11,106명 | 5,397명 | 16,503명 | ||||||
1997년 | 10,351명 | 6,138명 | 16,489명 | ||||||
1998년 | 10,265명 | 4,727명 | 14,992명 | ||||||
1999년 | 자료없음 | 5,247명 | - | ||||||
2000년 | 10,334명 | 1,909명 | 12,243명 | 비고 | |||||
2001년 | 10,570명 | 1,999명 | 12,569명 | ||||||
2002년 | 10,754명 | 2,087명 | 12,841명 | ||||||
2003년 | 10,880명 | 2,307명 | 13,187명 | ||||||
2004년 | 10,509명 | 5,912명 | 16,421명 | [15] | |||||
2005년 | 13,704명 | 8,235명 | 21,939명 | ||||||
2006년 | 18,121명 | 9,870명 | 27,991명 | ||||||
2007년 | 15,635명 | 8,960명 | 24,595명 | ||||||
2008년 | 17,228명 | 8,425명 | 25,653명 | ||||||
2009년 | 20,133명 | 8,389명 | 28,522명 | }}}}}}}}} | |||||
2010년 | 21,353명 | 8,200명 | 29,553명 | ||||||
2011년 | 21,474명 | 8,219명 | 29,693명 | ||||||
2012년 | 20,807명 | 8,195명 | 29,002명 | ||||||
2013년 | 20,495명 | 8,225명 | 28,720명 | ||||||
2014년 | 21,039명 | 8,535명 | 29,574명 | ||||||
2015년 | 20,226명 | 10,554명 | 30,780명 | ||||||
2016년 | 20,242명 | 10,841명 | 31,083명 | ||||||
2017년 | 20,683명 | 10,852명 | 31,535명 | ||||||
2018년 | 20,237명 | 10,306명 | 30,543명 | ||||||
2019년 | 20,074명 | 10,057명 | 30,131명 | ||||||
2020년 | 12,311명 | 6,547명 | 18,858명 | ||||||
2021년 | 13,006명 | 6,890명 | 19,896명 | ||||||
2022년 | 16,980명 | 8,717명 | 25,697명 | ||||||
2023년 | 19,440명 | 9,815명 | 29,255명 | ||||||
출처
|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16]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2023년 기준으로 두 노선의 이용객 수를 합하면 29,255명으로, 인근이 부촌임을 감안하면 꽤나 많은 편이다. 4호선 이촌역은 국립중앙박물관 방면에, 경원선 이촌역은 동부이촌동 방면에 출입구가 있어 각각의 이용 패턴이 뚜렷이 갈라지는 편이다. 전자는 주로 박물관 이용객 및 버스 환승객과 소수의 주한미군 부대 관련인들이고, 후자는 동부이촌동 지역 주민들이 이용한다. 경의·중앙선(경원선) 출입구의 경우 외진 골목길 사이에 있어 이용률이 낮았다.
하지만 2005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개통되면서 경원선측 게이트 이용객이 하루 평균 8천 명대로 급증했고, 2014년에는 경의선의 용산역 연장개통으로 인한 경의·중앙선의 탄생으로 연결 범위가 용산역 서쪽까지 확대되자 하루 평균 만명 이상으로 이용객이 껑충 뛰었다. 그렇다고 4호선 게이트의 이용률이 줄어든 것 또한 아니라서 2005년에 국립중앙박물관 개관으로 이용객이 두 배 이상 뛴 이래 하루 평균 3만 명의 승객들이 이용하고 있었지만 2020년에 코로나19로 인해 승객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현상을 보였다.
동부이촌동 일대 아파트 재건축이 2024년 이후 본격화할 예정이라, 일시적으로 이용객이 크게 감소하였다가 재건축 완료 이후 이촌역 이용객이 증가할 예정이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지상 1층)
경의·중앙선 승강장 |
↑ 용산 | |||
1 | ㅣ | ㅣ | 2 |
서빙고 ↓ |
1 | 경의·중앙선 | 용산· 가좌· 대곡· 문산 방면 |
2 | 회기· 상봉· 덕소· 용문 방면 |
문산 방면 승강장의 6-2번 출입문 앞에 무임승차가 가능한 철문이 있다.
2020년 6월부터 9월까지 스크린도어 개량공사를 위해 스크린도어를 개방했었다.
5.2. 수도권 전철 4호선 (지하 2층)
4호선 승강장 | 4호선 역명판 |
신용산 ↑ | |||
하 | ㅣ | ㅣ | 상 |
↓ 동작 |
상 | 4호선 | 명동· 동대문· 창동· 진접 방면 |
하 | 사당· 금정· 안산· 오이도 방면 |
이 역은 동작방면으로 6퍼밀 상구배가 있다.
서울시 2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이후 급행화시 열차가 대피할 수 있게 설계가 바뀔 것이라고 한다.
이 역부터 회현역까지 환승역과 비환승역이 번갈아나온다.[17]
6. 연계 버스
이촌역 정류소는 각각 1번 출구와 5번 출구 뒤에 있으며, 나머지 정류소는 4번 출구로 나와 아파트 단지 사이로 5분 정도 걸어가야 나온다.이촌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구분 | 노선 |
이촌역 (03263) | <colcolor=#ffffff> 간선 | |
이촌역 (03264) | 간선 | |
이촌동한가람아파트.이촌역 (03217) |
지선 | |
간선 | ||
동부이촌동 (03730) | 공항 | |
이촌동한강맨션.이촌역 (03218) |
지선 | |
간선 | ||
동부이촌동 (03648) | 공항 |
7. 기타
- 이 역과 마찬가지로 4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인 서울역까지 갈 때 경의·중앙선으로는 한 번에 갈 수 없지만 4호선으로는 한 번에 갈 수 있다.
[a]
이천역과 가타카나 표기가 같다.
[2]
병기역명은 4호선 열차에서 보이는 스크린도어 안쪽에 표시된다.
[a]
[4]
경부선 서울기점 4.0km 지점
[5]
경원선 용산기점 0.8km 지점
[6]
2000년 영어 표기 개정 이전엔 30번이였다.
[7]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전엔 K131번이였다.
[8]
반대로 문산발 팔당/용문급행 열차는 용산역까지만 급행으로 운행한 뒤 '급행' 표시를 떼고 평범한 팔당/용문행이 되어 각역정차하기 때문에 이촌역에서는 완행열차와 다를 바 없다.
[9]
"용산구, 이촌역~용강중학교간 지하보도 개통", 2007.11.09. 시정일보
[10]
9호선이 개통 전까진 가장 긴 구간이었다. 가장 긴 구간은
개화역 ~
김포공항역 구간이다.
[11]
각각의 역들은 도보로 10분이면 다른 역으로 도착이 가능하다.
[12]
이촌동 내에서 유일하게
한강대로 북쪽으로 달리는
서울 버스 100은 사실상 4호선을 따라가는 노선이라 신용산역에 설 뿐이고 용산역에 바로 꽂아주는
서울 버스 400은
경원선 철길 건너 정류장에만 정차한다.
[13]
이촌동에는
전북특별자치도 연고 인구가 꽤 있는 편이다. 그래서
김제시에 있는 김제수협이 이촌동으로 온 것.
[14]
한 쪽은 이촌역이 코앞이고, 다른 한 쪽은 곡선구간이다.
[15]
경의·중앙선의 자료는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16]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
[17]
다만
신용산역이
용산역과 통합되면 이 타이틀은 깨진다.
8.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4호선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e3> 진접선 | 진접 - 오남 - 별내별가람 - 불암산 |
서울 지하철 4호선 |
불암산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이수) - 사당 - 남태령 | |
과천선 |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 |
안산선 |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3c7a6> 경의선 |
도라산 -
임진강 -
운천 -
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능곡 -
행신 -
강매 -
한국항공대 -
수색 -
가좌 -
신촌 -
|
용산선 |
가좌 -
서강대 -
효창공원앞 -
|
|
경원선 |
용산 -
이촌 -
서빙고 -
한남 -
옥수 -
응봉 -
|
|
중앙선 |
중랑 -
망우 -
양원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원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전†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