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화베이 | 베이징 · 톈진 · 스자좡 · 후허하오터 · 타이위안 | |
둥베이 | 선양 · 다롄 · 하얼빈 · 창춘 | ||
화둥 | 직할시 | 상하이 | |
장쑤성 | 난징 · 쑤저우 · 우시 · 창저우 · 쉬저우 · 난퉁 | ||
저장성 | 항저우 · 닝보 · 진화 · 원저우 · 사오싱 · 타이저우 · 자싱 | ||
안후이성 | 허페이 · 우후 | ||
산둥성 | 칭다오 · 지난 | ||
장시성 | 난창 | ||
푸젠성 | 푸저우 · 샤먼 | ||
중난 | 광둥성 | 광저우 · 선전 · 포산 · 둥관 | |
하이난성 | 싼야 | ||
허난성 | 정저우 · 뤄양 | ||
후베이성 | 우한 | ||
후난성 | 창사 | ||
광시좡족자치구 | 난닝 | ||
특별행정구 | 홍콩 · 마카오 | ||
시난 | 청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12px-CRT_Logo.svg.png 충칭 · 쿤밍 · 구이양 | ||
시베이 | 시안 · 우루무치 · 란저우 | ||
건설 중 표시는 현재 건설중인 도시 |
상하이의 대중교통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도시철도 | 상하이 지하철 |
철도 역 |
상하이훙차오역 ・
상하이역 ・
상하이난역 ・
상하이시역 ・ |
|
시내버스 | 상하이 버스 | |
페리 | 상하이 페리 | |
주요 공항 | 상하이 훙차오 ・ 상하이 푸둥 | |
관련 기업 | 중국 국철 ・ 상하이 선퉁 지하철 집단 ・ 상하이 선카이 공공교통운영 ・ 상하이 마그레브 교통발전 | |
교통카드 | 이카통 |
上海地铁 | Shanghai Metro |
[clearfix]
1. 개요
중국 상하이시와 장쑤성 쑤저우시 일부[1]에서 운행하는 지하철 체계. 의외로 오래되지 않은 1993년 1호선이 개통하였으며 중국에서 가장 복잡한 지하철이다.초기 개통 시 서울 지하철을 참고하였는지 1~3호선의 색상 배정이 구 서울지하철공사 시절 서울 지하철과 동일하다(빨강/초록/노랑). 또한 아래 개념환승 문단에서 보듯 1970년대초 서울 지하철에서 계획상으로만 존재했던 노선공용 시스템[2]이 적용되어 있기도 하다. 다만 이후로는 상하이 쪽이 서울을 능가할 규모로 복잡해지면서 유사성은 거의 사라졌다.[3]
대부분의 노선은 상하이 선퉁 지하철 집단 유한공사(上海申通地铁集团有限公司)에서, 푸장선은 상하이 선카이 공공교통 운영관리 유한공사(上海申凯公共交通运营管理有限公司)에서 운영한다. 본래 5,6호선은 상하이 현대 궤도교통 고분 유한공사(上海现代轨道交通股份有限公司)에서 운영했으나 2009년부로 운영권이 상하이 선퉁 지하철 집단으로 넘어갔다.
중국의 철도역이 다 그렇듯 이것도 공항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안검색을 받는다. 특히 정치적 행사가 있는 날에는 경찰이 핸드백까지 철저하게 검사한다.
1999년만 해도 단 2개의 노선에 불과했던 지하철망이 무섭게 늘어나서 2021년 12월 30일 기준으로 영업거리가 803km[4]로 세계에서 영업거리가 가장 긴 지하철이다. 다만 한국의 수도권 전철이나 일본 수도권 도시철도망, 일본 간사이 도시철도망 등 여러 회사가 도시철도 시스템에 참여하는 경우를 포함하면 상하이 지하철의 영업거리 순위는 뒤로 많이 밀려났지만, 2023년도에는 쑤저우 지하철과 연결되었고, 차후 쑤저우 지하철의 연장계획을 감안하면 수도권 전철과 비슷해질 전망이다. 현재는 19호선 등도 계획 중에 있다.
2호선이 훙차오공항과 푸둥공항을 연결하고 있지만 이동거리가 상당하다. 만일 이 두 공항을 거치는 티켓이라면 차라리 두 공항 사이를 이동하는 리무진 셔틀버스[5]를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외부순환도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교통체증도 별로 없고 무엇보다 환승이나 정차 없이 직행으로 이동한다. 다만 2024년 말 공항연결선이 개통되면 40분에 직통으로 주파가 가능하니 이 걱정은 사라질 전망이다.
2023년 6월 상하이 지하철 11호선과 쑤저우 궤도교통 3호선을 연결하는 쑤저우 궤도교통 11호선이 개통되며 쑤저우 지하철과 연결되었다. 다만 직결운행은 불가능하며, 운임 체계의 차이 등으로 인해 화차오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16호선, 17호선, 푸장선, 자기부상선은 제3궤조집전식을 사용하며, 그 외에 모든 노선은 가공전차선을 사용한다.
러시아의 모스크바 지하철을 모티브로 해서 노선을 계획한 거리는 설도 있다.[6] 사실 참고했다고 해도 딱히 특별할 것도 없는 것이 1990년대 당시 중국이 지하철 건설에 있어서 후발주자라서 운영형태와 노선운용에 있어서 해외 주요 지하철의 운용상태를 참고해왔기 때문이다.
2. 운임
상하이 지하철 운임체계 (자기부상선 제외, 성인 편도 기준) | |||||||
거리 | 기본6km 이하 | 6km ~ 16km | 16km ~ 26km | 19km ~ 27km | 27km 초과 | ||
요금(元) | ¥3[7] | ¥4 | ¥5 | ¥6 | 상한없이 ¥1 /10km마다 |
자기부상선 운임체계 (성인 기준) | 요금 | 할인요금 |
편도 | ¥50 | ¥40[8] |
왕복 | ¥80 | X |
★ 서울지하철처럼 타고 내리는 역 거리를 최단거리로 계산한다.
★ 4시간의 탑승시간제한이 있으며 초과시 ¥3의 초과요금이 부과된다.
2.1. 교통 패스
- 1일표: ¥18(자기부상선 제외, 모든지하철 노선을 24시간 내 무제한 탑승가능)
- 3일표: ¥45(자기부상선 제외, 모든지하철 노선을 72시간 내 무제한 탑승가능)
- 자기부상+지하철 통합패스: 지하철1일표와 자기부상선 요금이 결합된 상품으로 두 종류가 있는데 자기부상선이 편도요금인지 아니면 왕복요금인지가 차이다. 편도 ¥55[9] , 왕복 ¥85[10]
3. 노선별 분류
3.1. 운영중인 노선
상하이 지하철 운행 노선 | |||
노선명 | 최초 개통연도 | 길이(㎞) | 역수 | 비고 |
상하이 지하철 1호선 | 1993년 | 36.9 | 28 | |
상하이 지하철 2호선 | 1999년 | 64.0 | 30 | |
상하이 지하철 3호선 | 2000년 | 40.3 | 29 | |
상하이 지하철 4호선 | 2005년 | 33.6 | 26 | |
상하이 지하철 5호선 | 2003년 | 32.7 | 19 | |
상하이 지하철 6호선 | 2007년 | 32.7 | 28 | |
상하이 지하철 7호선 | 2009년 | 44.3 | 33 | |
상하이 지하철 8호선 | 2007년 | 37.4 | 30 | |
상하이 지하철 9호선 | 2007년 | 64.0 | 35 | |
상하이 지하철 10호선 | 2010년 | 35.1 | 31 | |
상하이 지하철 11호선 | 2009년 | 82.4 | 38 | |
상하이 지하철 12호선 | 2013년 | 40.4 | 32 | |
상하이 지하철 13호선 | 2012년 | 38.8 | 31 | |
상하이 지하철 14호선 | 2021년 | 38.5 | 30 | |
상하이 지하철 15호선 | 2021년 | 42.3 | 29 | |
상하이 지하철 16호선 | 2013년 | 59.0 | 13 | |
상하이 지하철 17호선 | 2017년 | 35.3 | 13 | |
상하이 지하철 18호선 | 2020년 | 36.5 | 26 | |
상하이 지하철 푸장선 | 2018년 | 6.6 | 6 | |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 | 2002년 | 33.0 | 2 |
3.2. 건설/계획중인 노선
- 1호선 남부 연장 (계획중)
- 2호선 3단계 구간 (공사중)
- 2호선 남부 연장 (계획중)
- 5호선 남부 연장 (계획중)
- 9호선 동부 연장 (장기계획)
- 12호선 서부 연장 (공사중)
- 13호선 서부 연장 (공사중)
- 13호선 동부 연장 (장기계획)
- 13호선 동부 연장 (공사중)
- 14호선 서부 연장 (장기계획)
- 15호선 남부 연장 (계획중)
- 16호선 남부 연장 (장기계획)
- 17호선 1단계 서부 연장 (공사중)
- 17호선 2단계 서부 연장 (계획중)
- 18호선 1단계 연장 (공사중)
- 18호선 서부 연장 (장기계획)
- 19호선 (공사중) [2027년에 개통 예정]
- 20호선 (공사중) [2027년에 개통 예정]
- 21호선 (공사중) [2027년에 개통 예정]
- 22호선 (공사중)[11]
- 23호선 (공사중) [2027년 개통 예정]
- 23호선 서부 연장 (장기계획)
- 24호선 (장기계획)
- 25호선 (장기계획)
- 26호선 (장기계획)
- 공항선 (공사중)[12]
-
자민선 (계획중)
4. 안내방송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열차 문서 참고하십시오.5. 연계 교통
6. 환승
6.1. 이상한 개념환승
3-4호선간의 환승은 이산루역을 제외하면 모두
6.2. 막장환승
훙차오공항 제1터미널에 가기 위해 같은 이름의 지하철 10호선 역에서 내리면 다소 오래 걸어야 한다. 현재 제1터미널 확장 공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인데, 공사가 끝나면 지하철역에서 바로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또한 훙차오루역의 3/4호선과 10호선 간 환승이 상당히 불편한데, 갈아타려면 거의 1km에 가까운 거리를 걸어야 한다.
[1]
11호선
자오펑루역,
광밍루역,
화차오역 3개의 역이
쑤저우시의 현급시인
쿤산 시내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화차오진(花桥镇) 끄트머리 위치해 있다. 즉 쿤산의 털끝 정도만 건드렸다고 보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상하이 지하철 11호선 문서로.
[2]
종로선의 경우 1/5호선, 현 상하이 지하철의 경우 3/4호선 일부 구간.
[3]
사실 이는 특이한 것도 아닌 것이 유럽이든 미국이든 동아시아든 가까운 나라의 사례는 시범케이스로 삼아서 서로 참고한다. 실제로 국가관 간계가 으르렁대든 말든 물밑에서는 많은 교류가 일어난다. 지금이야 중국 주요도시 지하철의 연장이 서울을 넘지만, 이 당시의 중국에서 지하철이 개통된 도시라고 해봐야 베이징과 톈진밖에 없던 시절이었고, 노선도 베이징은 2개, 톈진은 딱 1개였을 정도로 노선망도 부실하였다. 이에 비하면 연장 길이가 상당하던 서울지하철은 당시 기준에서는 선진적인 체계를 지녔기 때문에 당시 상하이 지하철 담당자들이 서울지하철도 같이 참고했던것이었다. 심지어 북한의 경우도 2010년대 들어서는 KBS1의 방송 시스템을 아주 많이 참고하고 있다.
[4]
자기부상선을 포함하면 832km가 된다.
[5]
공항버스 1번(机场一线)으로 2024년 현재 이용요금 36元
[6]
기본 노선 구조가 상당히 비슷하다.
[7]
기본요금(起步价)이 중국에서 가장 비싼 도시다.
[8]
교통카드이용 또는 당일항공권이 있으면
[9]
자기부상선 편도표를 따로 사는 것보다 26% 할인된 금액
[10]
자기부상선 왕복표를 따로 사는 것보다 12.5% 할인된 금액
[11]
구 충밍선으로 시 당국에 의해 변경되었다.
#
[12]
자기부상선과는 다른 노선이며,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과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을 왕복하는 노선이다.
[13]
수인분당선 오이도~한대앞 구간도 배차간격이 상당히 긴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