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15:24:34

하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하루(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하루🌙
오전 오후
새벽 아침 저녁

||<tablebordercolor=#ddd,#212121><tablealign=center><bgcolor=#ddd,#212121><-5> 날짜를 나타내는 순우리말 ||
1일 하루 2일 이틀 3일 사흘 4일 나흘 5일 닷새
6일 엿새 7일 이레 8일 여드레 9일 아흐레 10일 열흘
15일 보름 20일 스무날 21일 세이레 30일 그믐 ○일 며칠
{{{#!wiki style="margin: -16px -11px" 3~4일 사나흘/사날
4~5일 네댓새/너더댓새/나달
3~5일 사나나달 5~6일 대엿새 6~7일 예니레 7~8일 일여드레 }}}
다른 순우리말 보기
[ 참고사항 펼치기 · 접기 ]
◎ 달력의 1일~10일에는 접두사 '초'를 붙인다.
(예) 초하루, 초이틀 ··· 초열흘

◎ 11일 이상은 '열'을, 21일 이상은 '스물'을 앞에 붙인다.
(예) 11일 열하루, 12일 열이틀, 23일 스물사흘
단, 특별히 그 날짜를 부르는 표현이 있으면 그 표현을 대신 쓸 수 있다.

◎ 'ㄹ'로 끝나는 말은 기간이 아닌 날짜일 때 'ㄷ날'로 쓸 수 있다.
(예) 이튿날, 초사흗날, 초나흗날 등
단, '열흘'+'날'은 일부 방언을 제외하면 '열흗날'로 쓰지 않는다.

◎ 달력의 31일을 일컫는 낱말이 없다.
음력의 한 달은 29일 또는 30일이고 매월 말일이 그믐이다.
양력 31일을 그믐이라 해도 되나, 혼선이 우려된다면
"서른째 날, 서른한째 날"과 같이 풀어 써도 된다.


1. 개요2. 설명

1. 개요

1일, , 을 뜻하는 순우리말.

2. 설명

1일을 순우리말로 이르는 말이다. '하루'의 사전적 정의는 24시간 중에 자정에서 다음 자정까지를 뜻한다. 일상적인 표현으로 '하루'라는 말을 사용할때는 ' 아침부터 저녁까지' 또는 '막연히 지칭하는 어떤 날'의 뜻으로 쓰인다. 자세한 내용은 일(시간) 문서를 참조할 것.

절대 '1루'라 쓸 수 없다. 1은 '하나', '한'으로 읽는 법은 있어도 '하'로 읽는 법은 전혀 없다. 따라서 '1루'라고 쓰면 '일루'라고 읽어야 한다. 하루뿐만 아니라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아흐레, 열흘 등 세는 날짜를 나타내는 순우리말은 전부 마찬가지로 앞에 숫자를 붙여 표기할 수 없다.

본래 형태는 하나를 뜻하는 'ᄒᆞᆯ(←ᄒᆞᆮ)'과 날을 뜻하는 'ᄒᆞᆯ'[1]의 조합인 'ᄒᆞᄅᆞᆯ'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이후 중세 한국어에 이르면 단독 혹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ᄒᆞᄅᆞ',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ᄒᆞᇐ'로 나타나 이형태 교체 용언이 되었으며, 근대 한국어 시기에는 모음이 변화하여 'ᄒᆞ로' → '하로' → '하루'가 됨과 동시에 형태 교체 현상이 사라지면서 오늘날의 어형으로 정착하였다.

하루를 바삐 보내는 현대인의 모습을 패러디한 하루 시리즈라는 영상이 화제가 되었다. 하루 동안 벌어지는 일들을 다룬 영화 소설도 있다. 자세한 건 시간 진행이 더딘 작품 문서 참고.


[1] 이틀, 사흘, 나흘의 어원에도 들어간다. [2] 제주 방언 및 이북 지역의 방언들에서 나타나는 '하를/할ㄹ-'의 형태와 중세 한국어에서도 나타나는 'ᄒᆞᇐ'을 바탕으로 재구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