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07:36:31

먼동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5px -1px -11px"
1981
[[대명(드라마)|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흑).png 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png
대명
]]
1982
[[풍운(KBS)|파일:풍운 로고(흑).png 파일:풍운 로고.png
풍운
]]
1983
[[개국(드라마)|파일:개국 로고.png
개국
]]
1984
[[독립문(드라마)|파일:독립문 로고(흑).png 파일:독립문 로고.png
독립문
]]
1985
[[새벽(드라마)|파일:새벽 로고(흑).png 파일:새벽 로고.png
새벽
]]
1986~1987
[[노다지(드라마)|파일:노다지 로고(흑).png 파일:노다지 로고.png
노다지
]]
1987
[[이화(드라마)|파일:이화 로고(흑).png 파일:이화 로고.png
이화
]]
1987~1989
[[토지(1987년 드라마)|파일:토지 로고(흑).png 파일:토지 로고.png
토지
]]
1989~1990
[[역사는 흐른다|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흑).png 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png
역사는 흐른다
]]
1990
[[여명의 그날|파일:여명의 그날 로고.png
여명의 그날
]]
1991
[[왕도(드라마)|파일:왕도 로고(흑).png 파일:왕도 로고.png
왕도
]]
1991~199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흑).png 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png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1992~1993
[[삼국기|파일:삼국기 로고.png
삼국기
]]
1993~1994
[[먼동|파일:먼동 로고.png
먼동
]]
1995
[[김구(드라마)|파일:김구 로고.png
김구
]]
1995~1996
[[찬란한 여명|파일:찬란한 여명 로고.png
찬란한 여명
]]
1996~1998
[[용의 눈물|파일:용의 눈물 로고 신.png
용의 눈물
]]
1998~2000
[[왕과 비|파일:왕과 비 로고.png
왕과 비
]]
2000~2002
[[태조 왕건|파일:태조 왕건 로고.png
태조 왕건
]]
2002~2003
[[제국의 아침|파일:제국의 아침 로고.png
제국의 아침
]]
2003~2004
[[무인시대|파일:무인시대 로고.png
무인시대
]]
2004~2005
[[불멸의 이순신|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흑).png 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불멸의 이순신
]]
2006
[[서울 1945|파일:서울 1945 로고(흑).png 파일:서울 1945 로고.png
서울 1945
]]
2006~2007
[[대조영(드라마)|파일:대조영 로고.png
대조영
]]
2008
[[대왕 세종|파일:대왕 세종 로고.png
대왕 세종
]]
2009
[[천추태후(드라마)|파일:천추태후 로고.png
천추태후
]]
2010~2011
[[근초고왕(드라마)|파일:근초고왕 로고.png
근초고왕
]]
2011~2012
[[광개토태왕(드라마)|파일:광개토태왕 로고(흑).png 파일:광개토태왕 로고.png
광개토태왕
]]
2012~2013
[[대왕의 꿈|파일:대왕의 꿈 로고.png
대왕의 꿈
]]
2014
[[정도전(드라마)|파일:정도전 로고(흑).png 파일:정도전 로고.png
정도전
]]
2015
[[징비록(드라마)|파일:징비록 로고.png
징비록
]]
2016
[[장영실(드라마)|파일:장영실 로고(흑).png 파일:장영실 로고.png
장영실
]]
2021~2022
[[태종 이방원(드라마)|파일:태종 이방원 로고(B).png 파일:태종 이방원 로고.png
태종 이방원
]]
2023~2024
[[고려 거란 전쟁|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블랙.png 파일:고려 거란 전쟁 로고 화이트.svg
고려 거란 전쟁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KBS 1TV 대하드라마
먼동 (1993~1994)
The Break of Dawn
파일:먼동 오프닝 FHD 리마스터축소.png
<colbgcolor=#797776><colcolor=white>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토요일 21:30
방송 기간 1993년 4월 24일 ~ 1994년 4월 16일
방송 횟수 50부작
장르 대하사극
제작 KBS 자체제작
채널 KBS 1TV


<colbgcolor=#797776><colcolor=white> 책임프로듀서 장기오
프로듀서 정영철
연출 이녹영, 김종선
극본 김항명, 성위환, 김금순[1]
조연출 김영진, 이재상
기술감독 김상겸 → 오재환
조명감독 임길신 → 이석찬
촬영 하병원, 황의원
카메라감독 송재기
미술감독 이석우(KBS아트비전)
음악 최경식
원작 홍성원 저,
소설 《먼동》
출연 하희라, 김진태, 정성모, 이동준, 박진성, 음정희, 박민아, 박병호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등장인물3. 여담

[clearfix]

1. 개요

1993년부터 1994년까지 방영한 14번째 KBS 대하드라마. 조선 말기인 1885년부터 일제강점기 3.1운동이 일어난 해인 1919년까지 다루었다.

홍성원 작가가 1987년부터 4년간 <동아일보>에 연재한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했으며 극본은 김항명, 연출은 김종선&이녹영 PD, 음악은 최경식[2], 타이틀 디자인은 이일구 등이 각각 맡았다. KBS 대하드라마 역사상 마지막으로 매주 토요일에만 방영됐던 드라마다.

2. 등장인물

3. 여담



[1] 1회 오프닝 크레딧에 보조 작가 2명의 이름이 나온다. [2] MBC <여명의 눈동자>와 SBS <모래시계> 등의 음악제작에 참여했다. [스포일러1] 원작에서는 김태환의 조부가 송근술(송보경의 아버지)의 친부라, 사실은 김태환과 송보경은 사촌 사이다. 다만 공중파 방송에서는 서로 몰랐다고 해도 사촌끼리 성관계를 갖고 아이까지 생긴다는 내용을 방영하기 난처했는지, 송보경이 송근술의 친딸이 아니라 송보경과 김태환도 혈연관계가 아닌 것으로 각색되었다.(첫 아내와 사별한 송근술이 다른 여자를 보쌈해 데려와서 새 아내로 삼았는데, 새 아내는 보쌈될 당시 쌍둥이(송보경과 송필배)를 임신하고 있었다.) [스포일러2] 송근술은 갓난아기 때 김효순 집앞에 버려져서 김효순 일가의 노비로 자랐다. 알고보니 송근술은 예전에 김효순이 반란 진압군의 대장을 맡았을 때 반란이 일어난 지역 양반의 서녀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연좌제가 있던 시대라서, 반란이 일어난 지역 양반들은 자기들의 불이익을 줄이기 위해 중앙정부가 보낸 진압군 우두머리에게 자기네 딸을 첩으로 내주고 연줄을 만드는 관례가 있었다.) 그런데 나중에 그 양반이 반란군 무리와 내통했다는 모함을 받아 가문 전체가 망하게 되자, 의지할 데 없어진 송근술의 모친이 갓난아이를 데리고 김효순을 찾아왔다. 그러나 김효순은 자신도 반란에 연루될까 두려워 송근술 모친을 외면했고, 절망한 송근술 모친은 갓난아이를 대문에 둔 채 목을 메어 자살했다. 송근술은 자신이 김효순의 친아들인데 평생을 김효순의 종으로 살았다는데 원한을 품고 김효순 집안을 망치려고 친일파가 된다. [5] 연설자 역 배우와 동명이인. [6] 당시 '박태민' 명의로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