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1 13:57:18

불멸의 이순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드라마의 원작에 대한 내용은 불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의 플래시 게임에 대한 내용은 불멸의 이순신(게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5px -1px -11px"
1981
[[대명(드라마)|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흑).png 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png
대명
]]
1982
[[풍운(KBS)|파일:풍운 로고(흑).png 파일:풍운 로고.png
풍운
]]
1983
[[개국(드라마)|파일:개국 로고.png
개국
]]
1984
[[독립문(드라마)|파일:독립문 로고(흑).png 파일:독립문 로고.png
독립문
]]
1985
[[새벽(드라마)|파일:새벽 로고(흑).png 파일:새벽 로고.png
새벽
]]
1986~1987
[[노다지(드라마)|파일:노다지 로고(흑).png 파일:노다지 로고.png
노다지
]]
1987
[[이화(드라마)|파일:이화 로고(흑).png 파일:이화 로고.png
이화
]]
1987~1989
[[토지(1987년 드라마)|파일:토지 로고(흑).png 파일:토지 로고.png
토지
]]
1989~1990
[[역사는 흐른다|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흑).png 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png
역사는 흐른다
]]
1990
[[여명의 그날|파일:여명의 그날 로고.png
여명의 그날
]]
1991
[[왕도(드라마)|파일:왕도 로고(흑).png 파일:왕도 로고.png
왕도
]]
1991~199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흑).png 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png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1992~1993
[[삼국기|파일:삼국기 로고.png
삼국기
]]
1993~1994
[[먼동|파일:먼동 로고.png
먼동
]]
1995
[[김구(드라마)|파일:김구 로고.png
김구
]]
1995~1996
[[찬란한 여명|파일:찬란한 여명 로고.png
찬란한 여명
]]
1996~1998
[[용의 눈물|파일:용의 눈물 로고 신.png
용의 눈물
]]
1998~2000
[[왕과 비|파일:왕과 비 로고.png
왕과 비
]]
2000~2002
[[태조 왕건|파일:태조 왕건 로고.png
태조 왕건
]]
2002~2003
[[제국의 아침|파일:제국의 아침 로고.png
제국의 아침
]]
2003~2004
[[무인시대|파일:무인시대 로고.png
무인시대
]]
2004~2005
[[불멸의 이순신|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흑).png 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불멸의 이순신
]]
2006
[[서울 1945|파일:서울 1945 로고(흑).png 파일:서울 1945 로고.png
서울 1945
]]
2006~2007
[[대조영(드라마)|파일:대조영 로고.png
대조영
]]
2008
[[대왕 세종|파일:대왕 세종 로고.png
대왕 세종
]]
2009
[[천추태후(드라마)|파일:천추태후 로고.png
천추태후
]]
2010~2011
[[근초고왕(드라마)|파일:근초고왕 로고.png
근초고왕
]]
2011~2012
[[광개토태왕(드라마)|파일:광개토태왕 로고(흑).png 파일:광개토태왕 로고.png
광개토태왕
]]
2012~2013
[[대왕의 꿈|파일:대왕의 꿈 로고.png
대왕의 꿈
]]
2014
[[정도전(드라마)|파일:정도전 로고(흑).png 파일:정도전 로고.png
정도전
]]
2015
[[징비록(드라마)|파일:징비록 로고.png
징비록
]]
2016
[[장영실(드라마)|파일:장영실 로고(흑).png 파일:장영실 로고.png
장영실
]]
2021~2022
[[태종 이방원(드라마)|파일:태종 이방원 로고(B).png 파일:태종 이방원 로고.png
태종 이방원
]]
2023~2024
[[고려 거란 전쟁|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블랙.png 파일:고려 거란 전쟁 로고 화이트.svg
고려 거란 전쟁
]]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000 40%, #000000 1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등장인물 ( 전라좌수영) · 평가 · 시대 구현 오류 · 유튜브 스트리밍
}}}}}}}}}}}} ||
KBS 1TV [[KBS 대하드라마|{{{#white 대하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2004~2005)
不滅의 李舜臣 / Immortal Admiral Yi Sun-sin
파일:attachment/blmleysnsn.jpg
<colbgcolor=#000000><colcolor=white>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 · / 21:30
방송 기간 2004년 9월 4일 ~ 2005년 8월 28일
방송 횟수 104부작
장르 대하사극
제작 KBS 자체제작
제작비 350억원
채널 KBS 1TV[1]
제작진 <colbgcolor=#000000><colcolor=white> 연출 이성주[2], 김정규, 한준서
극본 윤선주, 윤영수, 장기창, 박영숙
김태희(스토리텔러)
이성은(보조 작가)
원작 김훈 저,
소설 《 칼의 노래
김탁환 저,
소설 《불멸》
출연 김명민, 최재성, 이재룡, 최철호, 김명수
해설 김종성
스트리밍
[[Wavve|
Wavve
]]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영상
3. 등장인물4. 음악5. 탐구6. 평가7. 기타8. 유튜브 스트리밍

[clearfix]

1. 개요

2004년 9월 4일부터 2005년 8월 28일까지 방영된 22번째 KBS 대하드라마. 최고 시청률 32.3%로 2005년 시청률 1위를 달성한 대하드라마이다. 첫방부터 시청률 15%를 넘긴 대작이다.

2. 공개 정보

충무공 이순신을 다루고 있으며, 총 104화에 2부 편성의 스페셜 특집이 방송되어 총 106화로 완결되었다. 회차별 구분으로, 1 ~ 4회는 에필로그, 5회 ~ 56회[3]는 1부, 57회 ~ 93회[4]는 2부, 94회 ~ 104회[5]는 3부로 구분한다. KBS 사극에서 4:3 비율 SD로 제작된 마지막 드라마이다.

기존의 KBS 대하 드라마와는 다르게 이순신의 청년 시절은 ' 로맨스 사극'으로 꾸려졌다[6]. 미진과의 러브 스토리와 훗날 이순신의 부인이 되는 방연화와의 보이지 않는 삼각관계를 선보인다. 어느 날 왜군의 습격으로 미진과 헤어진 이순신은 미진을 그리워하면서 방연화와 결혼하게 된다. 이 때 습격을 한 왜군의 수장 와키자카 야스하루와의 대결을 예고한 장면과 무과 시험을 치르는 이순신을 미진이 지켜보는 장면의 예고편 연출이 상당했다.

2014년, 한국 영화 명량의 인기로 인해서, 9년 만인 2014년 9월 1일부터 2014년 10월 28일까지 매주 월요일 ~ 목요일에 재방영했었다. 방영 내용은 이전의 내용을 33회로 축약하며, 전문가의 해설(신병주 교수)을 추가로 덧붙여 재편집하여 방영하였다. 기사, 홈페이지.

유튜브 Drama KBS 채널에서 2015년 12월 26일까지는 무료로 다시 보기가 가능하였으나, 그 다음날인 12월 27일 이후로는 다시 보기를 할 수가 없게 되었다. 그 이유는 KBS도 그날(12월 27일)부로 유튜브 영상 국내 서비스를 중단해버렸기 때문이다. 대신 2020년 6월부터 KBS Drama Classic 채널에서 시작한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몇 달 마다 한 번씩 5일 간 연속으로 전편을 방송하고 있다. 지금까지 방송한 기록은 이 문서 참조. KBS my K에도 자체 홈페이지에 전편이 다 수록돼 있어서 무료로 다시 볼 수는 있지만, 16:9 비율인데다 화질이 좀 떨어지는 게 흠이다.[7]

유료로는 wavve나 위에서 언급한 KBS Drama Classic 채널에서 1단계 이상 멤버십에 가입하면[8] 전편을 볼 수 있다.

2.1. 영상

불멸의 이순신 메인 테마곡.
불멸의 이순신 오프닝 테마곡 칼의 노래.[9]

오프닝을 비롯한 드라마의 OST는 애니메이션 원더풀 데이즈로 유명한 음악감독 원일이 작곡했다. 장엄함과 비장함을 두루 갖춰 15년이 지난 지금도 '국내 대하사극 최고의 OST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10][11] 오프닝 음악은 7회부터 18회까지 잠시 바뀌었다가 원래 것으로 돌아왔다.

19화부터는 이순신의 이름이 새겨질 때 칼로 베는 간지폭풍 효과음이 추가되었다.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불멸의 이순신/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음악

불멸의 이순신 엔딩. 성악가 임형주가 부른 곡으로 노래 제목은 불멸의 혼이다

드라마 마지막을 장식하는 곡으로 충무공 이순신의 일생을 잘 표현한 가사가 인상적이다.
가슴 가르는 저들의 붉은 눈빛을 보라
온 몸 조이는 저들의 검은 그림자를 보라
이 넓은 바다가 파도로 품어낸
보라 지켜가야 할 우리의 조국
끝이 없는 절망 속의 성웅
당신 모습 내게 다가오네
(간주)
나의 이 한 목숨 죽어 흙이 되도
사랑하는 나의 조국 이 땅을 지키리라
끝이 없는 절망 속에서도
당신 모습 내게 다가오네
파도처럼 세상 변했지만
불멸의 영혼 살아 숨쉬네

5. 탐구

5.1. 시대 구현 오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불멸의 이순신/시대 구현 오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원작?

원작은 소설인 ' 칼의 노래'와 ' 불멸'로 보도되었는데, 칼의 노래는 당시를 풍미했던 베스트셀러였고 불멸은 지명도는 낮았지만 숨겨진 걸작이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

사실상 후술할 내용에서 김훈이 자신의 작품 이름을 빼달라고 하긴 했지만 칼의 노래와 겹치는 부분은 첫회의 고뇌 장면이나 명량 해전 전야 부분 정도로 사실상 이름만 빌려준 셈이고, 논란이 될 만한 내용인 원균 맹장론이나 이순신 역적 가문 출신설 등 대부분의 내용은 김탁환의 불멸에서 따왔다. 이순신을 연기한 배우 김명민이 이순신의 캐릭터를 연기하기 위해 칼의 노래를 틈틈이 반복해서 읽었다고 하는데, 그 이상의 각본 원작으로서의 의미는 부여하기 힘들 것이다.

김탁환의 불멸의 경우는 사실 김탁환이 연작으로 구상한 허균에 대한 이야기에서 중간 부분에 해당되는 이야기, 김탁환은 허균이 조선을 개혁으로 이끌 반항아이자 혁명가로 묘사했기 때문에 마지막 부분에서 허균이 이순신에게 역성혁명을 유도하는 발언을 하고 이순신은 거기에 솔깃해서 가담하려다가 일이 잘못되어[12] 전사를 가장해 자살하는 것으로 처리되었다.

문제는 이 작품이 드라마화된다는 이야기를 듣자 상당히 많은 독자들과 역사 덕후들의 비판을 받았고, 결국 드라마를 위해서 개작한 10권짜리판으로 개정되었다는 거다.[13] 드라마의 독자적인 이야기를 상당히 많이 넣었고 이순신도 인간적이지만 인격적으로 결함이 없는 인물로 변형[14], 다만 이순신 가문 역적론[15]이나 원균 맹장론은 그대로 수록했다.

다만 김탁환에 대해서 변명 아닌 변명을 하자면 김탁환 식의 역사 인식은 미국의 포스트모던형 대하 소설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실지로 고어 비달의 "미국 제국사"[16] 등에서 묘사한 역사 서술 방식, 즉 역사적 사실과 현대의 정치사를 (어느 정도의 왜곡을 가미해) 묘하게 대입하는 방법이나 인물 묘사 방법[17]이 비슷하다. 다만 고어 비달의 경우는 적어도 현존하는 역사 기록을 대조함으로서 쏟아지는 비판에 대해서 성실하게 반응하고 토론하는 반면, 불멸에 나오는 그 많은 기록에 대해서 김탁환은 거의 응답하지 않는 편이다.

6.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불멸의 이순신/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기타

- 진린 수군 장수들과 대치했을 때[28]
조선 수군의 앞길을 막는 자가 있다면 명나라 수군도독이 아니라 하늘이라 해도 내 가차없이 베고 전장으로 나아갈 것이오
- 진린이 이순신에게 철군하는 왜군들에게 길을 열어주라고 할때
황명이 아니라 하늘의 명이라 해도 나는 결단코 적에게 길을 내 주지 않을 것이오
- 사또 이방이 거벽( 대리시험)을 하라고 할 때(이순신의 청년시절)
사리에 어긋나는 일은 사또의 명이 아니라 주상전하의 명이라고 해도 받을 수 없소이다
진린이 만력제에게 이순신을 요동으로 불러오자고 쓴 상소문
이순신이 왜군 포로에게 명심보감을 읽어주는 모습을 기록했다는 명나라 사신 운덕의 글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이순신에 대한 감상을 남긴 글
이 글들은 당연히 멋대로 창작된 글인 만큼 원문이 남아있을리도 없고 문체도 16세기 동아시아 문체가 전혀 아닌 현대식 문체이기에 이런 내용의 글을 보면 절대로 무턱대고 신뢰하지 말고 주의해야 한다.

8. 유튜브 스트리밍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불멸의 이순신/유튜브 스트리밍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용의 눈물하고 대조영등과 마찬가지로 KBS 2TV에서 재방송 했었던 경우도 있다. [2] 작가(윤선주)의 차기작인 대왕 세종 연출자로 낙점되었으나 드라마 2팀장으로 발령이 나서 고사했다. [3] 이순신의 어린시절 ~ 임진왜란 발발. [4] 임진왜란 시작 ~ 이순신의 삼도수군통제사 다시 부임. [5] 이순신의 삼도수군통제사 다시 부임 ~ 이순신의 전사. [6] 그 이유는 이순신이 무과 급제하기 전까지 실제 기록이 대부분 전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7] 사실 그동안 제국의 아침과 더불어서 '공식 홈페이지' 내 '종영 드라마 다시보기'에서 2000년대 대하드라마 중 등장하지 않은 쪽에 속했다. [8] 1단계(사극) 1,990원, 2단계(명작) 2,990원. [9] 1화 방영 당시. 참고로 현재 이 곡은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에서 관악곡 '명량'이라는 이름으로 행사시 임석상관 및 내빈 입장곡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원곡보다 박자가 조금 빠르다. 영상 [10] 혹자는 국뽕유발 BGM이라고도 한다. [11] OST로는 DVD2의 부록으로 발매가 되었지만 그 어떤 음악[37]사이트에도 공유되지 않으며 드라마 내에서 사용한 몇몇음악은 넣어지지도 않았다는것은 큰 아쉬움으로 남았다. 그중 한 예로 거북선 테마나 다름없는 음악이 있는데 OST 목록에선 빠졌다. [12] 여차저차 윤두수가 그걸 알아서 경고 편지를 보냈다. [13] 최초의 '불멸'(미래지성, 1998년)은 4권이었다. [14] 원작에서는 개인적 감정으로 적장에게 인질을 주는가 하면 원균에게 엊어맞고 정치적으로 원한이 있는 장수들(이를테면 원균파)을 고의로 작전에서 빼는 등 인격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는데, 드라마에서는 주인공이 주인공인 만큼 이러한 면모들이 거의 통째로 생략되었다. [15] 사실 이 관련 이야기들은 대부분 이문열의 <시인>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다만 시인의 주인공 김삿갓은 진짜 역적 자손. 그리고 이걸 고증을 무시하고 그냥 소설이라 생각한다면 말은 된다. 그렇게 출중한 명장이 두 번이나 과거에 떨어진 거나 조정 등쌀에 평생 고통받았다. [16] 미국 건국부터 1960년대까지를 무대로 한 가문의 흥망성쇠를 그린 대하 소설, 한국에서는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만 번역되었다. [17] 대통령 링컨의 경우는 미국에서 상당한 논란거리가 되었다. 정치적으로 약간 비겁한 일을 하고 지나치게 인간화된 링컨이나 제국주의적인 시각으로 남북전쟁을 그렸다는 점. [18] 당장 아래에 언급될 미국인 만화가 온리콤판도 이 드라마를 보고 작품 연재를 한 사례다. [19] 다만 제1차 당항포 해전 당시 가토 기요마사의 군기가 붙어있는 4척의 대선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가토 기요마사 소속의 함선 일부가 이순신과 싸운 정황은 있다. [20] 정작 김상중은 10년 후 징비록에서 유성룡을 맡았다. [21] 아무래도 이순신의 역대 해전들 중에서 가장 첫손으로 꼽히는 한산도 대첩에서 상대 지휘 장수가 바로 와키자카 야스하루였기에 특별히 라이벌로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순신의 해전들 중에서 명량 해전과 함께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되는 해전인데다,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명량 해전에도 참군했었기에 더더욱 라이벌 기믹에 적합한 인물이었을 듯. 실제로 드라마에서 한산도 대첩의 연출은 다른 전투들에 비해서 제작진이 공을 많이 들인 티가 난다. [22] 특히 일본 시청자들이 유별나게 좋아했던 대사가 다름 아닌 "방포하라!"였다. [23] 불갤의 불'빠'들은 흔히 말하는 '무개념 빠'라고 부를 수 없으며, 김경진의 임진왜란을 읽고 드라마의 고증 오류에 대해 정확히 알아 이 드라마에 대해 비판할 점은 정확하게 비판했다. [24] 초반부에 선조로 나오다 제작진과의 마찰로 하차한 조민기의 말에 따르면 "대본 연습을 하러 갔는데 군대 제대 후 여자가 이렇게 없는 자리는 처음이었다."였다고 한다. [25] 단, 김탁환은 해사 졸업생이 아니라 그저 단기 교수사관이었고, 불멸을 쓴 것은 전역 후 훨씬 미래의 일이다. [26] 그나마 장밋빛 인생의 최진실과 해신의 최수종이 거론되었지만, 극소수에 불과했다. [27] 세 명이 각각 최우수상, 우수상을 받았다. [28] 1회 시작 장면이다. [29] 명량 해전 편에서 입고 나왔던 그 갑옷이다. 참고로 그 다음으로 비싼 의상은 충무공의 갑옷. [30] SBS에서 모래시계를 1998년 1월 14일부터 수목-토일 4회 재방영했지만, '밑져야 본전'(수목 시간에는 30% 이상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본 방송 당시의 명성을 재확인시켰으나 주말 시간에는 동시간대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KBS 1TV 용의 눈물 때문에 손해를 봄) 성적에 그친 것도 '명성황후' 재방영 편성 취소의 이유로 풀이된다. [31] 정욱이 출연한 제국의 아침 태조 왕건 등은 주요 배우들이 KBS 출연금지 명단에 올라있는(정욱('제국의 아침' 탄문 역) - 유사 수신 행위 규제법 위반 송영창('태조 왕건' 철원 성주 역) - 원조교제 나한일('태조 왕건' 변사부 역) - 특정 경제 범죄 가중 처벌법 위반) 탓인지 UHD 명품 역사관 목록에서 제외됐다. [32] 2021년 현재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서울 강남구 갑)이다. [33] 기리시탄 포로와 대화한 조선인 신자 자신이 세스페데스한테 영세받았다고 말했다. [34] 황병관(야인시대), 마루오까(야인시대), 왕발(야인시대), 유지광(야인시대), 임화수(야인시대), 김동진(야인시대), 김관철(야인시대), 이석재(야인시대), 신마적(야인시대), 유진산(야인시대), 김좌진(야인시대), 김영태(야인시대), 이화룡(야인시대), 김기홍(야인시대), 가미소리(야인시대) 최동열, 권상사, 장택상(야인시대), 독사(야인시대), 김후옥, 원노인, 염동진(야인시대), 박용직, 김두한(야인시대)(어린시절), 나석주, 박헌영(야인시대), 김형사(야인시대), 사고야마, 김종원(야인시대), 신영균(야인시대), 작두(야인시대), 홍영철(야인시대) 등. [35] 드라마에서는 격군들이 노를 저으며 이동하는 걸로 묘사되지만 촬영 시에는 배에 장착된 엔진을 이용해서 움직였다. 불멸에 이순신 비하인드 스토리 영상을 보면 지휘망루에 조타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36] 2005년 방송 3사 최고시청률 드라마.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