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21:29:32

더불어민주당/2024년 전당대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더불어민주당/역대 전국대의원대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5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152484><colcolor=#FFF> 역사 2015년 12월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다른 정당과의 관계
전당대회 역대 전당대회 ( 제2차(2016) · 제3차(2018) · 제4차(2020) · 임시(2021) · 제5차(2022) · 제6차(2024))
선거 지지 기반 · 인재영입
20대 총선 20대 총선 체제 · 결과
19대 대선 경선 · 국민주권선대위 · 결과
7회 지선 결과
21대 총선 총선기획단 · 후보자 · 결과
20대 대선 경선 · 대선경선기획단 · 대한민국대전환 선대위 · 결과
8회 지선 통합선대위 · 박지현 사과 기자회견 논란 · 결과
22대 총선 정권심판·국민승리 선대위 · 공천 갈등 · 결과
비판 및 논란 정치·사회 관련 ·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 · 임미리 교수 고발 사건 · 초선 5적 논란 · 언론중재법 개정 논란 · 2021년 재보선 무공천 당헌 수정 · 경선 연기 논란 · 이낙연 지지자 선관위 결정 불복 시위 · 경선 무효표 규정 논란 · 노무현·김대중 합성물 게시 논란 · 당헌 80조 개정 논란 · 권리당원 전원투표 우선 당헌 신설 논란 · 3.1절 임시국회 논란 ·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 · 국회의원 티베트 방문 논란
대통령 문재인
집권정부 문재인 정부
관련 단체 전국청년당 · 1618위원회 · 민주연구원 · 민주주의 4.0 연구원 · 김은경혁신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 민주당(2014년) · 더불어시민당 · 열린민주당 · 새로운물결 · 더불어민주연합
디지털 공보단
기타 사회자유주의 · 진짜가 나타났다 ·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 · 민주당사 · 상록수 · 180석
관련 틀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상임고문단 · 계파 분류 · 19대 국회의원 · 20대 국회의원 · 21대 국회의원 · 22대 국회의원 }}}}}}}}}

1차(2015년)
제2대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 선출
2차(2016년)
초대 지도부 선출
대선 경선(2017년)
제19대 대선 경선
3차(2018년)
제3대 지도부 선출
4차(2020년)
제4대 지도부 선출
임시(2021년)
제5대 지도부 선출
대선 경선(2021년)
제20대 대선 경선
5차(2022년)
제6대 지도부 선출
6차(2024년)
제7대 지도부 선출
1차 전당대회는 새정치민주연합 시절이던 2015년 2월 8일에 진행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제6차 전국당원대회
<nopad>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wiki style="margin: -7px -12px" 2022년 8월 28일
5차 전당대회
2024년 8월 18일
6차 전당대회
2026년
7차 전당대회
}}}
선출 대상 당대표
최고위원 5인
방식 본선: 대의원 투표(14%)[1], 권리당원 투표(56%), 일반국민 여론조사(30%)
예비경선: 중앙위원 투표(50%), 권리당원 투표(당대표 예비경선 25%, 최고위원 예비경선 50%), 일반국민 여론조사(당대표 예비경선 25%, 최고위원 예비경선 0%)
당선인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당대표
미정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rowcolor=#fff> 수석최고위원
미정
최고위원
미정
최고위원
미정
최고위원
미정
최고위원
미정

1. 개요2. 쟁점3. 예상 후보군 (가나다순)
3.1. 당대표
3.1.1. 김두관 (원외, 재선)3.1.2. 박지원 (5선)3.1.3. 이재명 (재선)3.1.4. 임종석 (원외, 재선)3.1.5. 추미애 (6선)
3.2. 최고위원
3.2.1. 강선우 (재선)3.2.2. 김민석 (4선)3.2.3. 김병주 (재선)3.2.4. 민형배 (재선)3.2.5. 박완희 (재선 청주시의회의원)3.2.6. 이언주 (3선)3.2.7. 전재수 (3선)3.2.8. 전현희 (3선)3.2.9. 정봉주 (원외, 초선)3.2.10. 정원오 (3선 성동구청장)3.2.11. 정청래 (4선)3.2.12. 최대호 (3선 안양시장)3.2.13. 한준호 (재선)
4. 불출마 선언
4.1. 당대표4.2. 최고위원
5. 여론조사
5.1. 당대표
5.1.1. 예비경선 이전5.1.2. 예비경선 이후
5.2. 최고위원
6. 투표율7. 결과
7.1. 당대표 선거
7.1.1. 지역별 세부 결과
7.2. 최고위원 선거
7.2.1. 지역별 세부 결과
8. 총평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2024년 8월 18일로 예정된 더불어민주당의 제6차 전국당원대회(전당대회).

이 전당대회에서 선출되는 제7기 지도부는 2026년 6월 3일로 예정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지휘한다.

2. 쟁점

더불어민주당이 2024년 4월 10일에 진행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연합 포함 175석으로 여유롭게 압승하면서 2024년 정국 주도권을 완전히 장악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이에 따라 총선을 지휘했던 이재명 전 당대표가 이번 전당대회에서 민주당계 정당 역사상 최초로 선출되는 당수 연임에 나설지가 주목된다.[2]

3. 예상 후보군 (가나다순)

3.1. 당대표

3.1.1. 김두관 (원외, 재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김두관 (金斗官)
파일:김두관의원.jpg
출생 1959년 4월 10일 ([age(1959-04-10)]세)
경상남도 남해군
현직 더불어민주당 양산시 을 지역위원장
슬로건

3.1.2. 박지원 (5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박지원 (朴智元)
파일:박지원22대국회.png
출생 1942년 6월 5일 ([age(1942-06-05)]세)
전라남도 진도군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전남 해남군·완도군·진도군)
슬로건

3.1.3. 이재명 (재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이재명 (李在明)
파일:이재명 선관위 프로필.jpg
출생 1963년 12월 8일[3] ([age(1964-12-22)]세)
경상북도 안동시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인천 계양구 을)
슬로건
더불어민주당의 국회의원으로 추미애와 함께 차기 당권 주자로 가장 유력하게 점쳐지는 인물 중 하나이며, 나아가 제21대 대통령 선거의 유력한 대권주자로 거론되고 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대승으로 대권주자로서의 앞길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평가를 받으며, 이에 따라 당내와 지지층을 막론하고 연임론이 진지하게 제기되고 있다. 다만 전년도에 단행한 단식투쟁과 새해 벽두에 발생한 피습 사건 등의 후유증으로 건강상 문제를 겪고 있으며, 여러 재판 문제가 걸린 것이 변수이다.

만약 차기 대선에 출마할 경우 2026년 3월에 사퇴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의 당헌당규 상 대선 경선에 출마하는 사람은 선거일 기준 1년 전에 당직을 사퇴해야 한다고 규정하기 때문이다. 이재명이 당대표 연임에 성공한다면, 두 번째 임기는 만기로 채우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당규 개정이 이뤄지면서 임기를 만기로 채울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연임을 결심해 7월 초 사퇴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 실제로 그렇게 된다면 친명 당대표 출마 후보군[4]이 적어질 가능성이 크다.

6월 21일 최고위원회의를 끝으로 사퇴해 연임 도전에 나선다고 알려졌다. # 다만 이재명 본인은 아직 고민중이라고 밝혔다. #

이후 6월 24일 연임을 위해 당대표직을 사임하였다. #

3.1.4. 임종석 (원외, 재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임종석 (任鍾晳)
파일:임종석(더불어민주당).png
출생 1966년 4월 24일 ([age(1966-04-24)]세)
전라남도 장흥군
현직 더불어민주당 당원
슬로건

3.1.5. 추미애 (6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추미애 (秋美愛)
파일:추미애22대국회.jpg
출생 1958년 10월 23일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경기 하남시 갑)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슬로건
더불어민주당의 제2대 대표직을 역임한 바 있으며,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출마했지만 우원식 의원에 밀려 낙선했다. 이로 인해 오히려 당 대표직에 출마하는 것이 어떻느냐는 여론이 민주당 지지층 내에서 진지하게 거론되고 있다. 현임 이재명 대표의 연임에 대한 당내 지지도가 높지만, 지지층 내에서도 주로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 및 건강 문제[5]는 물론 비명계 세력 의원들의 트롤링 및 적대적 공세[6] 때문에 연임론에 대해 회의적이거나 우려하는 반응 역시 존재하며, 주로 이들이 윤석열 정부에 대한 민주당의 투쟁력과 내부의 적이라 불리우는 비명계의 제압을 이끌 수 있는 전투형 당 대표로 추미애 의원을 거론하고 있다. 일부 친민주당 성향 유튜브 채널에서도 당 대표직 출마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다만 일부 민주당 지지자들은 최고위원을 언급하고 있다.

3.2. 최고위원

3.2.1. 강선우 (재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강선우 (姜仙祐)
파일:100152702.jpg
출생 1978년 6월 2일 ([age(1978-06-02)]세)
대구광역시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서울 강서구 갑)
슬로건

3.2.2. 김민석 (4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김민석 (金民錫)
파일:100152475.jpg
출생 1964년 5월 29일 ([age(1964-05-29)]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서울 영등포구 을)
슬로건

3.2.3. 김병주 (재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김병주 (金炳周)
파일:김병주22대국회.png
출생 1962년 2월 7일 ([age(1962-02-07)]세)
경상북도 예천군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경기 남양주시 을)
슬로건

3.2.4. 민형배 (재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민형배|{{{#FFF 민형배 (閔馨培)[7]培로 기재되어 있다.]}}}]]
파일:100151839.jpg
출생 1961년 6월 15일 ([age(1961-06-15)]세)
전라남도 해남군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광주 광산구 을)
슬로건
21대 총선에서 전국 최고 득표율 당선됐고, 22대 총선에서도 호남의 맹주[8] 이낙연을 꺾고 재선에 성공했다.

최고위원에 도전한다는 설이 돌았다.

3.2.5. 박완희 (재선 청주시의회의원)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박완희 (朴完熙)
파일:.jpg
출생 1973년 12월 10일 ([age(1973-12-10)]세)
현직 충청북도 청주시의회의원
슬로건

3.2.6. 이언주 (3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이언주 (李彦周)
파일:이언주 2024.jpg
출생 1972년 11월 8일 ([age(1972-11-08)]세)
부산광역시 영도구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경기 용인시 정)
슬로건

3.2.7. 전재수 (3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전재수 (田載秀)
파일:221122-파란넥타이-고화질-테스트.jpg
출생 1971년 4월 20일 ([age(1971-04-20)]세)
경상남도 의령군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부산 북구 갑)
슬로건

3.2.8. 전현희 (3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전현희 (全賢姬)
파일:전현희22대국회.png
출생 1964년 11월 4일 ([age(1964-11-04)]세)
경상남도 통영시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서울 중구·성동구 갑)
슬로건

3.2.9. 정봉주 (원외, 초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정봉주 (鄭鳳株)
파일:정봉주(더불어민주당).jpg
출생 1960년 7월 2일 ([age(1960-07-02)]세)
서울특별시 노원구
현직 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
슬로건

3.2.10. 정원오 (3선 성동구청장)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정원오 (鄭愿伍)
파일:성동구청장_정원오.jpg
출생 1968년 8월 12일 ([age(1968-08-12)]세)
전라남도 여수시
현직 서울특별시 성동구청장
슬로건

3.2.11. 정청래 (4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정청래 (鄭淸來)
파일:100152897.jpg
출생 1965년 5월 18일[9] ([age(1965-05-18)]세)
충청남도 금산군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서울 마포구 을)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
슬로건

3.2.12. 최대호 (3선 안양시장)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최대호 (崔大鎬)
파일:최대호 선관위.jpg
출생 1958년 6월 10일 ([age(1958-06-10)]세)
전라남도 해남군
현직 경기도 안양시장
슬로건

3.2.13. 한준호 (재선)

<col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한준호 (韓俊鎬)
파일:한준호2022.jpg
출생 1974년 2월 20일 ([age(1974-02-20)]세)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현직 제22대 국회의원 ( 경기 고양시 을)
슬로건

4. 불출마 선언

4.1. 당대표

4.2. 최고위원

5. 여론조사

5.1. 당대표

5.1.1. 예비경선 이전

5.1.2. 예비경선 이후

5.2. 최고위원

6. 투표율

7. 결과

7.1. 당대표 선거

7.1.1. 지역별 세부 결과

7.2. 최고위원 선거

7.2.1. 지역별 세부 결과

8. 총평

9. 관련 문서


[1] 대의원 표의 가치가 권리당원 표의 20배가 넘지 않는다. [2] 거대 양당에서 당수를 중임하였던 경우는 많다. 민주당계 정당에서도 유진산, 김대중, 김영삼, 정세균, 정동영, 이해찬 등이 당수를 여러 번 맡았지만, 연임을 하여 중임한 정치인은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총재(1995.09~2000.01)가 유일하다. 다만 당시에는 거대 양당 모두 총재가 당수인 시절이었고, 새정치국민회의가 여당인 시절에는 대통령이었던 김대중 대신 총재 권한대행이 당권을 행사하는 등 당 운영 시스템이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 [3] 호적상 생년월일은 1964년 12월 22일이다. 생일이 불분명한데, 당대는 영아사망률이 높았던 시대 배경, 출생 신고에 출생 증명서가 필요하지 않은 등의 이유로 출생 신고가 늦어지고 생년월일이 제대로 기재되지 않는 일이 잦았다. 호적상의 생일은 어머니가 점쟁이에게 물어 정한 것이고, 1963년 12월 8일(음력 10월 23일)은 나중에 들은 생일인데, 이날도 확실하지는 않아 보인다고 한다. 호적상의 1964년 12월 22일은 여동생 이재옥의 생년월일이 1965년 6월 8일생인 것을 보면 실제 생일에 근접할 가능성은 없다. [4] 추미애, 정청래, 김민석, 박지원 등. [5] 실제로 단식 및 이재명 피습 사건의 후유증이 남아 있는 상태라고 알려져 있다. [6] 더 갈것도 없이 2023년엔 반란표를 던져 이재명 대표가 수사를 받도록 이재명 체포 동의안에 찬성하는 뒷통수를 치는 행위를 일삼았으며 무혐의로 풀려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이재명 대표에 대한 적대적인 여론전을 시도했다. 고민정 의원처럼 민주당이 내세운 정책인 종부세 폐지로 당원과 당에게 적대적인 행보를 보이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국회의원 후보 선출 당시 추미애와 우원식과의 투표 경쟁에서 당원들의 의견을 묵살하며 당심을 명분으로 우원식에게 다수의 표를 던져 선출시킴을 강행함과 동시에 당원들을 비판한 점, 그리고 우상호 의원처럼 같은 당원에게 적대적인 비명계 측에서 비명계에게 비판할 경우 당원에 대한 법적 고발 협박을 하거나 매도하는 등 친윤 및 친국민의힘 성향의 행보로 당내의 내홍을 야기하는 사보타주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비명계에 대한 여론이 상당히 최악인 상태여서 추미애 의원에 대한 당원들의 여론이 상당히 오르게 된 이점이 있다. [7] 여흥민씨세보 권22 259쪽, 전남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 학위 논문에는 [8] 사실 맹주라 하기엔 전성기에 비해 이미 지지율이 다 빠진 뒤였다. [9] 음력으로는 1965년 4월 18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