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15:03:16

권희덕

{{{#!wiki style="margin: -6px -10px"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82b9> 파일:KBS 성우극회 로고.png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82b9><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성우
특기
(1948)
구민, 양일민, 윤진, 이춘사, 장민호†, 최무룡
남해연†, 박현숙†, 백금녀†, 복혜숙†, 이혜경†, 장서일
제1기
(1954)
김수일, 박용기†, 신원균†, 심영식, 오승룡†, 이창환
고은정, 김소원, 김소희, 윤미림†, 최옥순
1955 김기갑, 김재형†, 이우영†, 주상현
김복희, 김옥희, 서계영, 정은숙†, 천선녀
제2기
(1956)
김성원†, 김영배, 김인태†, 김현직†, 남성우†, 류기현†, 심완기, 정근우, 최길호†, 최을선
안영주†, 임옥영
1957 김형진†, 이승길
유병희
제3기
(1958)
남일우†, 박병오, 박신호, 오정환, 우한수, 최응찬
전계현
1960 맹관영, 정건우†, 황일청
김영옥, 오현주, 전원주, 황화자
제4기
(1961)
김민규, 김장환, 이강식정철호, 최흘
고경미, 김선희, 김순원, 김순자, 김용림, 오해영, 이광자, 이은주, 이혜영, 정연옥, 최난희, 추영순
제5기
(1961)
김경호, 김계원†, 김인배, 민대식, 신세인, 양충, 이기명, 임종국†, 채동식
제6기
(1962)
마옥자, 박민아, 박향자, 이승옥, 현혜정
1963 김규상, 김무생†, 김영식, 박웅, 이봉우, 이완호†, 진성만, 홍계일
권미혜, 김선희, 김수희, 김인순, 김훈미, 남미라, 박정자, 박찬옥, 사미자, 손유진, 송영숙, 양구자, 오경자, 이경애, 이정선, 장미자, 전원주, 전윤희, 최지숙
제7기
(1964)
김종성, 안종국†, 유강진, 이강룡, 이치우†, 조명남
김세원, 우소연, 이선영, 이영민, 장유진
제8기
(1965)
박상일†, 유재덕, 원한묵
정민희
1966 김병관†, 김봉근, 배한성, 안정훈†, 황원
박영남, 박윤아, 방유성, 이민자, 이주실, 홍금숙
제9기
(1967)
김용식, 김진동†, 김태연†, 박상규, 박춘일, 이광세, 이성주, 이영래, 장건일†, 정기항, 조달호†, 차재완
김순환, 김을동, 노명순, 마혜진, 명순희, 문옥현, 송도순, 이소연, 최희정
제10기
(1968)
김승경, 김정경, 남궁윤, 온영삼, 유민석, 윤병훈†, 이동주, 이종성
권영희, 김숙, 김정희, 나병옥, 이경자, 이민숙, 이정은, 임수아, 정영숙, 주희
제11기
(1969)
박광남†, 송두석, 양지운, 오필탁, 유만준, 이정환, 이종임, 주호성, 탁원제
나수란†, 최수민
제12기
(1970)
김규식, 김세한, 송용태, 이근욱, 이인성, 한상덕
김정미, 손정아
제13기
(1971)
김도현, 김동희, 노민, 문영래, 박상규, 윤주상, 이인성, 이재명
강연숙, 박윤경, 이영주, 최은숙, 한혜숙
제14기
(1972)
김기섭, 김동수†, 김정호, 엄주환
남현경, 이민정
1973 김진태, 박찬, 송세윤, 신동훈, 정동환
김민, 박은숙, 서금옥, 성선녀, 유지영, 이숙, 이향숙, 최옥희
1975 김용채, 조동희
장미선, 최복금, 한수경
1976 설영범, 오세홍
권희덕†, 송연희
제15기
(1977)
김난일, 김새영, 김용백, 김환진, 백진, 서학, 송찬, 이윤선, 이정구, 이종구, 장정진†, 정동열
강미형, 고선형, 김성희, 김정애, 박신영, 성병숙, 안경진, 유명숙, 이연수, 이진화, 정경애†, 한명희, 한인숙, 허경림, 현숙희, 황복희
1978 나한일, 서지원†, 유해무, 이봉준, 임효택, 장광, 이병철
전기병, 홍경화
1979 박제길, 유영환, 윤기황
강희선, 이나진†, 임은정, 홍영란, 황정란
제16기
(1980)
김창주, 신흥철, 유제상, 이호인
서미옥, 이연희, 이주옥, 최문자
제17기
(1982)
김종환, 김준, 백순철†, 안종익, 윤병화, 이규화, 장세준†, 장승길
김수경, 김혜경, 문지현, 서혜정, 유남희, 임은영
제18기
(1983)
강구한, 김영민†, 김익태, 성창수†, 유동현, 임성표, 최병상†, 이경영
이선희, 윤인석†, 이다금, 정옥주
제19기
(1984)
김태웅, 손원일
류선, 박수옥, 이현선, 정미숙
제20기
(1986)
박규웅, 박상훈†, 박홍식, 홍시호, 김하균
강은영, 권현수, 김양희†, 김옥경, 김정주†, 김혜미, 박은경, 신상숙, 조미란, 차명화, 최아란, 함수정, 황재경, 한상영, 임원빈
제21기
(1988)
강수진, 경진호†, 김민석, 문관일, 서문석, 이재용, 이현걸, 홍승섭
문일옥, 송덕희, 안정실, 이덕, 임명주, 장혜선, 조현옥, 최덕희, 최윤정, 한경애
제22기
(1990)
김경응, 김수중, 김승준, 김일†, 김한희†, 남기원, 서광재, 한석규, 한택심, 한호웅, 홍성헌
김순영, 김은아, 문선희, 박미선, 이연승, 임란, 조유연, 조진숙
제23기
(1992)
구자형, 김관진†, 김소형, 서윤석, 성완경, 손선근, 오인성, 이승주, 장호비, 전인배
권성은, 김지민, 김희선, 박성현, 배정미, 서민이, 송민경, 안소연, 양정애, 오세윤, 오수경, 이선, 정미경, 홍성희
제24기
(1994)
김영진, 박정민, 성수경, 이주원
김수진, 김진주, 박형욱, 신영애, 신혜경, 이용순, 이윤수, 이윤정, 이태경, 임아영, 장우영, 전유정, 주유랑, 최윤아
제25기
(1995)
김경수†, 김승태, 김우정, 석원희, 이원준, 정훈석, 조영호
구민선, 은영선, 임미진
제26기
(1997)
류다무현, 변영희, 원호섭, 유동균, 이장원, 임진응
김상현, 오길경, 은미, 이명원, 정소희, 정현경, 한정미
제27기
(1999)
사성웅, 안용욱, 양석정, 윤세웅, 이규석
김지혜, 민지, 소연, 신소윤, 이현주
제28기
(2000)
고재균, 김래환, 변현우, 임채헌, 위훈, 최정호
김명주, 김민아, 김정아, 김혜주, 윤현정†, 이주연
제29기
(2002)
박찬희, 신찬혁, 유호한, 윤동기, 이재웅, 홍진욱
김희영, 나지형, 송정희, 이미향, 임주현, 전숙경
제30기
(2003)
곽윤상, 김대중, 손정성, 이광수, 진웅, 최창석
권연희, 서지연, 안영아, 유지원, 은정, 최하나
제31기
(2005)
박영재, 방우호, 심승한, 이지환, 주재규, 차진욱
박지윤, 양현, 오인실, 윤승희, 이승주, 홍선영
제32기
(2006)
김석환, 남도형, 백승철, 이병용, 장민혁, 정형석
강유경, 김희진, 박희은, 안소이, 전지원, 전진아
제33기
(2008)
김목용, 김태영,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
제34기
(2009)
김두용, 김상백, 배영규, 윤호, 이찬우, 임정길
신송이, 우현주, 이미연, 이미형, 이제인, 홍수정
제35기
(2010)
백선우, 이희탁, 조연우, 최현철, 한복현
권문정, 공경은, 김태리, 김소희, 지화정
제36기
(2011)
권도일, 권창욱, 김도담, 김동하, 박상훈, 탁원정
강규리, 김민신, 박상경, 사문영, 선은혜, 이영미
제37기
(2012)
김인, 박노식, 백성식, 전상조, 조민수, 채안석
금령, 김두리, 김자연, 윤정화, 조경아, 최윤정
제38기
(2013)
김현수, 박진우, 신범식, 심인종, 윤용식, 전종구
길라영, 김사라, 우성은, 이아름, 전영수, 한혜정
제39기
(2014)
공준호, 서승휘, 송대선, 이상운, 임호기, 장병관
김경진, 김한나, 문지영, 변혜숙, 안세미, 이슬
제40기
(2015)
김진수, 석승훈, 이규창, 이정민, 장희문, 허성재
민아, 남유정, 서다혜, 오주희, 이명호, 이자영
제41기
(2016)
구지원, 선우현수, 이진무, 정의진, 최결, 홍후백
김성화, 리우, 송하랑, 이다슬, 이현애, 채지희
제42기
(2017)
김용, 김인형, 박주광, 임주완, 하지형
신온유, 이지선, 임희진, 최하리, 허예은
제43기
(2018)
김용석, 나은혁, 서정익, 오해성, 이명상
김나혜, 나인애, 박하진, 방시우, 혜원
제44기
(2019)
김희승, 송백경, 장지민, 지병문, 황원종
김다운, 김봄, 김이안, 김성희, 유인선
제45기
(2020)
송기원, 유선일, 이수안, 최현식
박의주, 정해은, 천송이, 한이정
제46기
(2021)
박기욱, 박성광, 윤세하, 이창현
김순미, 배하경, 수현, 이눈솔
제47기
(2022)
이주봉, 이현준, 임의주, 전병하
강한별, 권선영, 오은수, 최현지
제48기
(2023)
박준모, 이도하, 전종건, 최우성
박송, 엄지은, 임지현, 주예진
제49기
(2024)
김시우, 김용효, 정상일, 최인일
김정운, 배주원, 유승희, 정수현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송백경 성우를 포함 회색은 문서가 없는 성우이고, 최연소 성우는 아랫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제명되거나 사망한 성우는 가운뎃줄로 한다. }}}}}}}}}

권희덕
權熙德 | Gwon Hui-deok
파일:권희덕.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출생 1956년 4월 10일
충청남도 대전시[1]
사망 2018년 3월 16일 (향년 61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안동 권씨[2]
가족 배우자 구자흥(具滋興)[3], 슬하 2남
학력 서울예술전문대학 (방송연예 / 전문학사)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 최고국제관리과정 / 수료)
종교 개신교
소속 DBS 성우극회 7기
KBS 성우극회 14기 ( 프리랜서)
활동 시기 DBS 전속: 1976년 ~ 1979년
KBS 전속: 1980년 ~ 1982년
프리랜서: 1983년 ~ ?
아마추어 성우: ? ~ 2018년

1. 개요2. 생애3. 출연작
3.1. 애니메이션3.2. 영화 / 외화3.3. 광고3.4. 지역광고3.5. TV 방송3.6. 음반3.7. 기타
4. 수상 경력5. 참고/관련 자료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여성 성우.

2. 생애

1964년 대전대흥국민학교 3학년 때 KBS 라디오 어린이 프로그램 < 누가누가 잘하나>를 통해 방송 활동을 시작했다. 1976년 DBS 7기로 입사했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 14기로 분류되었다. 동기로는 오세홍, 설영범, 송연희가 있다.

성우 초년병 시절에는 노인 역할을 맡다가 1978년 서울식품공업 '서울찐빵' CF를 시초로 광고 내레이션을 하는 과정에서 점차 아가씨 목소리를 주로 맡기 시작했으며, 1985년부터 10여년간 태평양의 화장품 광고 내레이션을 많이 맡는가 하면 최진실, 유지인, 황신혜, 임예진, 오현경 등 당대 인기있는 젊은 여배우들의 목소리 대역이기도 했고 1990년대 초반 기준 여성 광고모델 5명 중 1명꼴이 권희덕의 목소리일 정도였다. 잉그리드 버그먼, 멕 라이언, 임청하처럼 유명 외국 배우들까지 전담했다. 1982년 국민서관[4] 카세트 테이프 녹음에 참여하기도 했고, 1992년 '서울사운드디자인'도 세웠다.

그러다 갑자기 한국성우협회에서 일방적으로 영구 제명 처리됐다. 추방 이후엔 다른 후배들이 빈 자리를 대체했고, 문하생을 양성하면서 2007년 '시로 세상을 아름답게'를 세워[5] 기업인 등에게 시낭송 파일을 보내고, 장애인을 위해 목소리로 봉사활동하였다. 현재 CJ ENM 성우인 이자명 한신정은 성우 공채 시험에 합격하기 전에 권희덕 밑에서 연기를 배웠다.

제명 사유로는 성우 공채 제도를 반대하고 독자적으로 성우를 육성하려다 한국성우협회의 눈엣가시가 되었다는 점이 유력하다.[6] 하지만 그 이후 성우협회에서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했는지 독자적으로 성우를 키우는 경우가 늘어났다. 박조호, 임하진과 비교하면 부당하고 불합리하다는 평이 많다. 성우 공채 제도를 반대하며 대안으로 성우 기획사 제도를 주장했는데, 단순히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 하나로 성우 활동에 일부 제재를 가하는 게 아닌 영구 제명을 해버렸으니 성우협회는 성우 한 명을 버리는 삽질을 한 것과 다름없다.[7][8][9]

유명한 대사로 "남자는요, 여자하기 나름이에요!"가 있다. 1988년 최진실이 나온 삼성전자 VCR '톱스타' 광고에 나오는 대사다. 사실 당시에는 한국 영화나 드라마도 성우가 더빙을 했는데[10] 권희덕은 최진실 전담 성우였다.[11][12]

독실한 개신교 신자라 개신교 관련 잡지에 나와 인터뷰를 했다. 실제로 직접 녹음해서 만든 성경 어플리케이션(권희덕의 소리성경)도 있다. 그 외에 개신교 배우들과 성우들이 참여한[13] 드라마 바이블의 공동 감독으로 참여하였다.
파일:DBVoice2.png

2018년 3월 16일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향년 61세.[14] # 원로 성우 최흘이 사망한 지 한 달만에 권희덕도 사망하면서 한국 성우계는 또 다시 비보를 접해야 했다. 또한 자신이 전담했던 최진실도 고인이었기 때문에 안타까움을 더했다. 부고 소식을 들은 애니메이션 팬들, 성우 팬들, 최진실의 팬들, 임청하의 팬들은 큰 슬픔에 빠졌다.

3. 출연작

3.1. 애니메이션

3.2. 영화 / 외화

3.3. 광고

3.4. 지역광고

3.5. TV 방송

3.6. 음반

3.7. 기타

4. 수상 경력

권희덕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 한국방송대상
성우/내레이션상
이완호
정희선
(1995년)
권희덕
김기현
(1996년)
정경애
김명수
(1997년)

}}} ||

5. 참고/관련 자료

6. 관련 문서



[1] 현 대전광역시 중구. [2] 시중공파-화천군파(花川君派) 37세손 희(熙)자 항렬을 쓴다. 다음은 출처 사진들이다. 파일:권희덕 족보.png 파일:화천군파 항렬도.png [3] 공연기획자, 초대 명동예술극장장. [4] 1960년 창립한 영유아, 아동 도서 전문 출판사에서 발간한 '어린이 정서교육 전집'. 매일 동화나 동시를 1편씩 들려주도록 고안된 이야기책으로 국내외 유명 아동문학가의 창작동화, 동시, 국내외 전래동화, 구전동화 등 총 366편이 예쁜 삽화와 함께 수록되어 있었다. [5] 2010년 (사)시세아로 사단법인화됨. [6] 후배 성우 김종환 역시 같은 사유로 KBS 성우극회 명단에서 삭제되었다. [7] 사실 공채나 기획사나 서로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이 옳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기획사 제도는 기획사의 높으신 분들의 의도에 따라 본업 외에도 다른 업종으로 활동영역을 넓힘으로써 수익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일본처럼 아이돌급의 인기를 가진 성우들이 난립할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 공채 제도는 수준미달의 지망생을 공채 시험에서 직접 걸러냄으로써 양질의 성우를 골라내 연기력을 상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더빙 시장이 좁아지면 답이 없다. [8] 2010년대 들어 청소년•성인 대상의 애니메이션, 외화 더빙이 방송에서 비중이 급격히 줄어들고, 극장판 애니메이션도 비성우 배우나 아이돌, 개그맨들이 차지하면서 성우의 활동 범위가 갈수록 좁아지고 현 성우 공채의 각종 문제점들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 그래서 그 당시의 한국성우협회 선견지명을 갖추지 못했다며 안타까워하는 성덕들도 있다. 그나마 배우를 겸하는 성우들이나 여러 예능에 출연하는 서유리가 몇 안 되는 예외 사례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게임의 더빙 활동이 비약적으로 늘고 있는데다 일본 아이돌 성우의 부족한 연기력, 국내 성우들의 인지도, 우수한 실력 대비 낮은 수익성 등 여러 이유로 때문에 성우 갤러리나 라디오 갤러리에서도 성우 기획사제도를 염려하거나 반대하는 목소리가 여전히 높은 편이다. [9] 하지만 한국성우협회에게 잘못을 했었지만 한편으로는 안타깝게 퇴출된 성우이기도 하다. 더 죄질이 큰 성우들의 사례들도 있는데도 같은 후배 성우들에게 힘으로 폭행하고 그 배역을 맡은 성우도 있었고 성우라는 직업으로 성희롱 사건으로 더 큰 문제로 물의를 일으킨 성우도 있었는데 오히려 두 가지가 더 죄질이 컸는데 거의 20년이 되도록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다시 복귀를 할 수 없었던 성우이기도 하다. [10] 동시녹음이 대세가 된 21세기 이후에서야 얼핏 이해가 가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후시녹음이 일반적인 시대에는 흔한 일이었고, 신인이야 발성 문제로 그렇다 쳐도 베테랑 연기자들조차 스케줄 문제로 대역 성우에게 목소리를 맡기는 경우도 있었다. 가장 유명한 것이 홍진호의 그 유명한 "야, 세르게이! 작은 고추의 매운 맛을 보여주마!"다. 지금도 몇몇 어린이 완구 광고에서도 후시녹음이 쓰이는데, 후시녹음이 일반적이었던 시대와의 차이점이라면 전문 성우가 아니라 실제 아역배우의 목소리로 광고에 나오는 어린이의 목소리를 후시녹음한다는 것이다. [11] 광고 녹음을 위해 기업 관계자와 미팅하면 처음에는 탐탁지 않은 반응이었다고 한다. 목소리와 외모가 매칭이 되지 않아 시원찮은 반응이었는데 일단 녹음을 하게 되면 다들 놀라고 태도가 달라졌다고. [12] 다만 권희덕이 더 이상 최진실의 목소리에 더빙을 맡지 않겠다고 선언한 뒤, 1994년 하반기부터 나오는 광고들에는 최진실이 직접 음성을 맡았다. [13] 다만 타 종교인이나 무종교인인 성우도 드라마 바이블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14] 배우 최진실이 떠난 후 10년 동안 더 살았다. [15] 재방영판에서는 최진실로 수정되었다. [16] MBC 방영판에서는 김수희. [17] 박은숙, 홍영란, 장정진, 설영범 등 당대 유명 성우들과 함께 참여했다. [18] DJ DOC 1~2집 음반을 낸 회사이기도 하다. [19] 그 외에 시편 일부와 공동 감독으로도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