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07:56:50

이치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상남도의원에 대한 내용은 이치우(1959)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6px -10px"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82b9> 파일:KBS 성우극회 로고.png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82b9><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성우
특기
(1948)
구민, 양일민, 윤진, 이춘사, 장민호†, 최무룡
남해연†, 박현숙†, 백금녀†, 복혜숙†, 이혜경†, 장서일
제1기
(1954)
김수일, 박용기†, 신원균†, 심영식, 오승룡†, 이창환
고은정, 김소원, 김소희, 윤미림†, 최옥순
1955 김기갑, 김재형†, 이우영†, 주상현
김복희, 김옥희, 서계영, 정은숙†, 천선녀
제2기
(1956)
김성원†, 김영배, 김인태†, 김현직†, 남성우†, 류기현†, 심완기, 정근우, 최길호†, 최을선
안영주†, 임옥영
1957 김형진†, 이승길
유병희
제3기
(1958)
남일우†, 박병오, 박신호, 오정환, 우한수, 최응찬
전계현
1960 맹관영, 정건우†, 황일청
김영옥, 오현주, 전원주, 황화자
제4기
(1961)
김민규, 김장환, 이강식정철호, 최흘
고경미, 김선희, 김순원, 김순자, 김용림, 오해영, 이광자, 이은주, 이혜영, 정연옥, 최난희, 추영순
제5기
(1961)
김경호, 김계원†, 김인배, 민대식, 신세인, 양충, 이기명, 임종국†, 채동식
제6기
(1962)
마옥자, 박민아, 박향자, 이승옥, 현혜정
1963 김규상, 김무생†, 김영식, 박웅, 이봉우, 이완호†, 진성만, 홍계일
권미혜, 김선희, 김수희, 김인순, 김훈미, 남미라, 박정자, 박찬옥, 사미자, 손유진, 송영숙, 양구자, 오경자, 이경애, 이정선, 장미자, 전원주, 전윤희, 최지숙
제7기
(1964)
김종성, 안종국†, 유강진, 이강룡, 이치우†, 조명남
김세원, 우소연, 이선영, 이영민, 장유진
제8기
(1965)
박상일†, 유재덕, 원한묵
정민희
1966 김병관†, 김봉근, 배한성, 안정훈†, 황원
박영남, 박윤아, 방유성, 이민자, 이주실, 홍금숙
제9기
(1967)
김용식, 김진동†, 김태연†, 박상규, 박춘일, 이광세, 이성주, 이영래, 장건일†, 정기항, 조달호†, 차재완
김순환, 김을동, 노명순, 마혜진, 명순희, 문옥현, 송도순, 이소연, 최희정
제10기
(1968)
김승경, 김정경, 남궁윤, 온영삼, 유민석, 윤병훈†, 이동주, 이종성
권영희, 김숙, 김정희, 나병옥, 이경자, 이민숙, 이정은, 임수아, 정영숙, 주희
제11기
(1969)
박광남†, 송두석, 양지운, 오필탁, 유만준, 이정환, 이종임, 주호성, 탁원제
나수란†, 최수민
제12기
(1970)
김규식, 김세한, 송용태, 이근욱, 이인성, 한상덕
김정미, 손정아
제13기
(1971)
김도현, 김동희, 노민, 문영래, 박상규, 윤주상, 이인성, 이재명
강연숙, 박윤경, 이영주, 최은숙, 한혜숙
제14기
(1972)
김기섭, 김동수†, 김정호, 엄주환
남현경, 이민정
1973 김진태, 박찬, 송세윤, 신동훈, 정동환
김민, 박은숙, 서금옥, 성선녀, 유지영, 이숙, 이향숙, 최옥희
1975 김용채, 조동희
장미선, 최복금, 한수경
1976 설영범, 오세홍
권희덕†, 송연희
제15기
(1977)
김난일, 김새영, 김용백, 김환진, 백진, 서학, 송찬, 이윤선, 이정구, 이종구, 장정진†, 정동열
강미형, 고선형, 김성희, 김정애, 박신영, 성병숙, 안경진, 유명숙, 이연수, 이진화, 정경애†, 한명희, 한인숙, 허경림, 현숙희, 황복희
1978 나한일, 서지원†, 유해무, 이봉준, 임효택, 장광, 이병철
전기병, 홍경화
1979 박제길, 유영환, 윤기황
강희선, 이나진†, 임은정, 홍영란, 황정란
제16기
(1980)
김창주, 신흥철, 유제상, 이호인
서미옥, 이연희, 이주옥, 최문자
제17기
(1982)
김종환, 김준, 백순철†, 안종익, 윤병화, 이규화, 장세준†, 장승길
김수경, 김혜경, 문지현, 서혜정, 유남희, 임은영
제18기
(1983)
강구한, 김영민†, 김익태, 성창수†, 유동현, 임성표, 최병상†, 이경영
이선희, 윤인석†, 이다금, 정옥주
제19기
(1984)
김태웅, 손원일
류선, 박수옥, 이현선, 정미숙
제20기
(1986)
박규웅, 박상훈†, 박홍식, 홍시호, 김하균
강은영, 권현수, 김양희†, 김옥경, 김정주†, 김혜미, 박은경, 신상숙, 조미란, 차명화, 최아란, 함수정, 황재경, 한상영, 임원빈
제21기
(1988)
강수진, 경진호†, 김민석, 문관일, 서문석, 이재용, 이현걸, 홍승섭
문일옥, 송덕희, 안정실, 이덕, 임명주, 장혜선, 조현옥, 최덕희, 최윤정, 한경애
제22기
(1990)
김경응, 김수중, 김승준, 김일†, 김한희†, 남기원, 서광재, 한석규, 한택심, 한호웅, 홍성헌
김순영, 김은아, 문선희, 박미선, 이연승, 임란, 조유연, 조진숙
제23기
(1992)
구자형, 김관진†, 김소형, 서윤석, 성완경, 손선근, 오인성, 이승주, 장호비, 전인배
권성은, 김지민, 김희선, 박성현, 배정미, 서민이, 송민경, 안소연, 양정애, 오세윤, 오수경, 이선, 정미경, 홍성희
제24기
(1994)
김영진, 박정민, 성수경, 이주원
김수진, 김진주, 박형욱, 신영애, 신혜경, 이용순, 이윤수, 이윤정, 이태경, 임아영, 장우영, 전유정, 주유랑, 최윤아
제25기
(1995)
김경수†, 김승태, 김우정, 석원희, 이원준, 정훈석, 조영호
구민선, 은영선, 임미진
제26기
(1997)
류다무현, 변영희, 원호섭, 유동균, 이장원, 임진응
김상현, 오길경, 은미, 이명원, 정소희, 정현경, 한정미
제27기
(1999)
사성웅, 안용욱, 양석정, 윤세웅, 이규석
김지혜, 민지, 소연, 신소윤, 이현주
제28기
(2000)
고재균, 김래환, 변현우, 임채헌, 위훈, 최정호
김명주, 김민아, 김정아, 김혜주, 윤현정†, 이주연
제29기
(2002)
박찬희, 신찬혁, 유호한†, 윤동기, 이재웅, 홍진욱
김희영, 나지형, 송정희, 이미향, 임주현, 전숙경
제30기
(2003)
곽윤상, 김대중, 손정성, 이광수, 진웅, 최창석
권연희, 서지연, 안영아, 유지원, 은정, 최하나
제31기
(2005)
박영재, 방우호, 심승한, 이지환, 주재규, 차진욱
박지윤, 양현, 오인실, 윤승희, 이승주, 홍선영
제32기
(2006)
김석환, 남도형, 백승철, 이병용, 장민혁, 정형석
강유경, 김희진, 박희은, 안소이, 전지원, 전진아
제33기
(2008)
김목용, 김태영,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
제34기
(2009)
김두용, 김상백, 배영규, 윤호, 이찬우, 임정길
신송이, 우현주, 이미연, 이미형, 이제인, 홍수정
제35기
(2010)
백선우, 이희탁, 조연우, 최현철, 한복현
권문정, 공경은, 김태리, 김소희, 지화정
제36기
(2011)
권도일, 권창욱, 김도담, 김동하, 박상훈, 탁원정
강규리, 김민신, 박상경, 사문영, 선은혜, 이영미
제37기
(2012)
김인, 박노식, 백성식, 전상조, 조민수, 채안석
금령, 김두리, 김자연, 윤정화, 조경아, 최윤정
제38기
(2013)
김현수, 박진우, 신범식, 심인종, 윤용식, 전종구
길라영, 김사라, 우성은, 이아름, 전영수, 한혜정
제39기
(2014)
공준호, 서승휘, 송대선, 이상운, 임호기, 장병관
김경진, 김한나, 문지영, 변혜숙, 안세미, 이슬
제40기
(2015)
김진수, 석승훈, 이규창, 이정민, 장희문, 허성재
민아, 남유정, 서다혜, 오주희, 이명호, 이자영
제41기
(2016)
구지원, 선우현수, 이진무, 정의진, 최결, 홍후백
김성화, 리우, 송하랑, 이다슬, 이현애, 채지희
제42기
(2017)
김용, 김인형, 박주광, 임주완, 하지형
신온유, 이지선, 임희진, 최하리, 허예은
제43기
(2018)
김용석, 나은혁, 서정익, 오해성, 이명상
김나혜, 나인애, 박하진, 방시우, 혜원
제44기
(2019)
김희승, 송백경, 장지민, 지병문, 황원종
김다운, 김봄, 김이안, 김성희, 유인선
제45기
(2020)
송기원, 유선일, 이수안, 최현식
박의주, 정해은, 천송이, 한이정
제46기
(2021)
박기욱, 박성광, 윤세하, 이창현
김순미, 배하경, 수현, 이눈솔
제47기
(2022)
이주봉, 이현준, 임의주, 전병하
강한별, 권선영, 오은수, 최현지
제48기
(2023)
박준모, 이도하, 전종건, 최우성
박송, 엄지은, 임지현, 주예진
제49기
(2024)
김시우, 김용효, 정상일, 최인일
김정운, 배주원, 유승희, 정수현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송백경 성우를 포함 회색은 문서가 없는 성우이고, 최연소 성우는 밑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제명되거나 사망한 성우는 취소선으로, 사망한 성우는 † 표시를 한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04da1> 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 C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 기수 및 년도 성우
제1기(1955) 이우영†, 주상현†, 김기갑, 김재형†, 최길호
정은숙†, 천선녀, 서계영, 김옥희
제2기(1956) 김성원†, 정근우, 김영배, 류기현†, 김인태
임옥영
제3기(1957) 김형진†, 이승길
유병희
제4기(1958) 이치우
제5기(1960) 맹관영, 황일청, 이영달†, 정건우
김영옥, 전원주, 백수련, 오현주
제6기(1963) 최병학
김선희
제7기(1966)
박윤아
제8기(1967) 이광세
제9기(1969) 주호성
특채 제1기(1972) 김정호, 김동수†, 김기섭
남현경
제10기(1973)
박은숙, 이숙
제11기(1976)
이상춘, 송연희
당시 제12기(1978) 이봉준, 나한일, 임효택, 윤병화
특채 제2기(1981) 순동운, 최연식†, 윤헌길
제12기(1982) 김현우, 김익태, 강용기
제13기(1983) 도용구, 장광복, 유재근
이재경, 이은경
제14기(1985) 김수중, 남병곤
지미애
제15기(1987) 이대영, 김형일
최덕희
제16기(1988) 민응식
김은정
제17기(1991) 이병조, 천세권
김병림, 김수진, 김태현
제18기(1994) 박호조
송민정, 진영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대원방송 · 투니버스 · EBS · KBS · MBC · PBC
회색은 문서 없음, 취소선은 사망, 탈퇴, 제명
}}}}}}}}} ||
이치우
李致雨|Lee Chi-u
파일:이치우배우.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출생 1939년 4월 10일
경성부 영등포출장소 흑석정
(現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1]
사망 2013년 12월 29일[2] (향년 74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본관 경주 이씨[3]
신체 172cm, 75kg
가족 아버지 이종록
남동생 이성우
부인, 슬하 1남 1녀
학력 배재고등학교 (졸업)
서라벌예술대학 (연극영화과 / 전문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 / 학사)
종교 개신교
데뷔 성우: 1958년 CBS 성우극회 4기
배우: 1959년 국립극장 연기인양성소 1기
1. 개요2. 생애
2.1. 약사2.2. 양길 역 이후 출연이 뜸했던 이유2.3. 동아마라톤 대회 사료 관련 인터뷰
3. 출연작
3.1. TV 드라마/시트콤3.2. 연극3.3. 영화3.4. 외화3.5. 라디오 드라마
4. 수상 경력5. 참고 자료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성우 겸 배우.

2. 생애

2.1. 약사

1939년 4월 10일 경성부 흑석정에서 이종록(李鍾祿)의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래로 남동생 이성우(李聖雨)[4]와 여동생[5]이 있었다. 아버지 이종록은 1937년 7회 동아마라톤 대회 우승자였는데, 6.25 전쟁 때 납북돼 남은 가족들이 힘든 세월을 보냈다.

그는 배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8년 CBS 4기 성우로 데뷔했다. 얼마 뒤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하여 제2작전사령부에서 하사로 전역했으며, 정훈부대가 창설될 때의 공로로 상도 받았다. 전역 뒤 1959년 국립극장 연기인양성소 1기로 배우 수업을 받아 수료 뒤 본격적으로 배우 생활을 시작했고, 1962년 극단 '동인극장'의 창단 멤버로 참여한 바 있다. 1964년에 DBS 2기로 이적했지만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KBS 7기로 분류되었다. 전성기 시절 외화에서 리 J. 콥 안소니 퀸의 KBS판 전담 성우로 이름을 날렸다. 특히 안소니 퀸 전담은 1972년 <길> 이래 여러 차례 도맡아 했는데,[6] 후술할 <TV가이드> 1987년 제291호에 따르면 해당 연기를 하게 된 비결은 성우 및 연극배우 활동을 하면서 다져진 능숙한 발성 연기에 음색도 앤서니 퀸과 비슷했고, 듬직한 거구[7]에 굵고 신중한 목소리, 용모, 몸놀림 등이 퀸과 비슷했다고 한다.( 동아일보 기사)

배우로서는 1967년부터 국립극단으로 돌아간 후 같은 해 KBS 일요연속극 <선덕여왕>에서 비담 역으로 출연하면서 브라운관에 처음 모습을 드러냈고, 1970년에는 이남섭 감독의 영화 <의리의 사나이 돌쇠>[8]에 출연해 본격적으로 은막에 모습을 드러냈다.[9] 1972년 KBS 주간 드라마 한중록[10]에서 영조 역을 맡았는데 이 때 혜경궁 홍씨 역이 당대 인기 여배우 김자옥이었다.[11] 1976년에는 극단 '현대극장' 창설에도 참여해 간판 배우로 연기를 지속하는 한편, 1986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할 정도로 배움에 대한 열정도 컸다.

또한 1966년 TBC 라디오 드라마 <광복 20년>을 비롯해 1982년 8.15 특집극 <그 여름의 이틀>부터 1994년 <다큐멘터리극장>까지 백범 김구 역할로 여러 차례 출연하여 이영후에 버금가는 백범 전문 배우로도 유명했다. 연기할 당시 신장의 차이는 있었으나 음색과 용모가 비슷하다는 평을 받았고, 이 역할에 애착을 보인 덕에 백범의 비서 선우진과 각별한 사이로 지낼 정도였다. 1985년작 KBS 대하드라마 <새벽>에서 이 역을 맡을 적 안경, 정장, 중절모 등을 특별 주문하고 <백범일지>를 5번이나 탐독하는 등 연기에 열의를 다했다.

1998년 3월 11일 모친상을 당했다. 2002년 초에 방영한 구름속의 산책 이후로는 건강 문제로 1년에 한 작품 정도로 단역 출연을 했고, 한동안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통원치료를 병행했다가 2013년 향년 74세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2.2. 양길 역 이후 출연이 뜸했던 이유

2007년 동아일보와 인터뷰에서 말하길, 자신은 23살 때[12] 연극배우와 성우로 사회 생활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젊은 날 무대를 마치고 나면 변변한 안주도 없이 동료들과 말술을 했다고. 72년 영조 역에 캐스팅돼 한참 주가를 올리고 있는데 당뇨가 심해졌다. 쉬어야 하는데 무리한 스케줄은 물론 먹는 것도 마음대로 먹었다고. 50대가 되자 결국 방송을 많이 소화할 수 없었다고 한다. 당뇨 합병증으로 폐렴과 심장 질환이 생겨 폐의 삼분의 일을 잘라냈고[13], 그 상태로 태조 왕건 양길 역을 맡아 열연했다.

결국은 양길 역 때문에 남한산성에 대기하던 도중 다시 피를 토한다. 그래도 끝까지 스케줄을 소화하고 양길 처형 장면까지 완료한 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으로 후송됐다. 그 때 다시 폐수술로 재절제를 하는 바람에 2007년 당시 그의 폐는 절반이 채 남지 않은 상태였다. 심근 경색까지 오면서 무릎 혈관을 이식하는 대수술까지 받았다고 한다. 마라톤 선수였던 부친의 튼튼한 폐를 물려받아 그나마 이정도라며 독자들에게 금주, 금연과 운동을 당부했다.

2.3. 동아마라톤 대회 사료 관련 인터뷰

그의 아버지 이종록씨 역시 배재고등보통학교 출신으로 7회 동아마라톤 우승자(경영단축마라톤)였는데, 당시 1937년은 그 전 해의 손기정 일장기 삭제 사건으로 동아일보가 정간됐을 때 치러진 대회라 사진 기록이 남아있지 않았다고. 이치우 씨가 1977년 7월에 당시 사진과 관련 자료를 찾아내 동아일보에 기증했다. 부친이 마라톤 대회에 나갈 때마다 자신을 트럭에 태워 구경을 시켜줬고 납북 직전까지 철도국 육상부 감독을 맡았다고 말했다. 납북 당시 나이가 불과 32세였다.

이종록 씨는 1936년 6회 동아마라톤(경영단축마라톤) 준우승, 1937년 7회 대회 우승자다. 1937년 대회 때 배재고보 3학년으로 19살이었다고 한다. 이후로는 동아마라톤 대회에는 출전하지 않았다.(동아마라톤 약사에서 발췌)

3. 출연작

3.1. TV 드라마/시트콤

3.2. 연극

3.3. 영화

3.4. 외화

3.5. 라디오 드라마

4. 수상 경력

5. 참고 자료

6.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문서 삭제식 이동: 이치우 → 이치우(1939))


[1] <TV가이드> 1989년 제406호(6월 17일) p70. [2] # 2013년 부고. [3] 38세 ○우(雨) 항렬. [4]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방사선과를 전공하고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방사선과장, 동국대학교/WISE캠퍼스/학부/의과대학 교수,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장 등을 지냈다. [5] 매제는 서철(徐鐵)로 국방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6] <TV가이드> 1987년 제291호 기준으로 <사막의 라이온>까지 15회라고 했지만, 본인의 더빙작을 비디오테이프로 녹화하려 했다가 원본 필름을 찾지 못해 정확한 횟수는 모른다고 했다. [7] 안소니 퀸은 185cm. 이치우의 172cm는 21세기에는 평균보다 조금 작은 키이나, 그 세대는 평균이 162~165cm 에 불과해 170을 넘으면 운동선수에게서나 볼 수 있는 큰 키였다. [8] 1969년작 KBS 일요연속극 <녹슬은 단검>의 극장판이다. [9] 이미 국립극장 연기인양성소 시절인 1959년에 연출가 최현민의 권유로 < 고종황제와 의사 안중근>에 출연한 바 있었다. [10] 흔히 아는 드라마 한중록은 MBC 대하드라마였고 1989년작이었다. 사도세자는 최수종, 영조는 김성원이 연기했다. [11] 당시 사도세자 역이 남일우 씨였는데 아들 역이 오히려 1살 위였다. 남일우는 배우 김용림의 남편이며 배우 남성진의 아버지다. 김용림은 KBS 성우 4기로 이치우보다 어리지만 3기수 위이다. [12] 성우로 데뷔한 58년은 알려진 나이로는 20살 때였을텐데 실제 36년 생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 관련 자료를 찾아봤더니 아버지 이종록 씨는 36년 때 고등학교 2학년이었다. 23살이 아니라 20세 때가 데뷔다. [13] 당시 인터뷰 내용: '런닝구에 구멍 나듯 폐에 구멍이 생겼다더군요. (당뇨로) 면역력이 떨어지다 보니 아스페르길루스증이라고 곰팡이 균에 폐가 감염이 된 겁니다. 당뇨는 이처럼 10년 이상 소리없이 진행되다 어느날 합병증의 얼굴로 복병처럼 달려듭니다'란 멋진 말을 덧붙였다. 2007년 인터뷰였다. [14] 실제로는 이순재가 5살이 더 많다. [A] 국방부 국방홍보원 제작. [16] 제작은 1991년에 했다. [A] 국방부 국방홍보원 제작. [A] 국방부 국방홍보원 제작. [19] 폐 절제술로 호흡 자체가 힘들었을텐데 끝까지 해냈다. [20] MBC 방영판에서는 김기현. [21] MBC 방영판에서는 김기현. [22] 1962년 리처드 플레이셔 감독 연출작. [23] 2002년에 나온 한국 DVD 제목은 영어 제목인 메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