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09:09:48

DHC 디젤동차

DHC PP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새마을호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통령 전용 열차로 운행중인 차량에 대한 내용은 경복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DHC 디젤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디젤동차
( 편성번호 · 열차번호 · 열차번호일반열차 · 차량번호)
<colbgcolor=gray> 간선열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관광열차 CDC( 현황): 파일:external/www.seatrain.co.kr/seatrain_LOGO.png · 파일:평화생명관광열차 로고.svg
RDC( 현황): 파일:경북나드리열차 BI.jpg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전동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1. 개요
1.1. 명칭
2. 제원
2.1. 대우중공업 제작분
2.1.1. 대우중공업 초기형 (1987)2.1.2. 대우중공업 중기형 (1988~1989)2.1.3. 대우중공업 후기형 (1992~1993)
2.2. 현대정공· 한진중공업 제작분
2.2.1. 현대정공 초기형 (1988)2.2.2. 현대정공 중기형 (1988~1991)2.2.3. 현대정공·한진중공업 후기형 (1992~1994)
3. 편성4. 디자인5. 성능6. 설비7. 역사
7.1. 노후화 및 퇴역7.2. 운행 시기
8. 보존 현황9. 사건 사고10. 매체 출연11. 여담12.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88_peace_train_of_Korean_National_Railroad.jpg
88 올림픽 랩핑을 적용한 DHC-PP 세계평화열차[1]
최후의 DHC-PP PMC 262호 2001년식 DHC-PP 경복호
Diesel Hydraulic Car[2]

1987년부터 2013년까지 운행한 대한민국 철도청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한 새마을호 전용 디젤 동력집중식 차량으로 KTX 개통 이전까지 대한민국의 철도를 대표하던 플래그십 철도차량이다.

흔히 새마을호라고 불렸던 열차가 바로 이 열차이다. 1987년부터 1994년까지, 총 58편성[3]을 현대정공과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이 나눠서 생산했다.[4] 현재는 이 세 회사의 철도차량 부문이 모두 현대로템으로 합쳐진 상태.[5]

일반 승객용 차량은 2013년에 모두 퇴역했으나 이 차량의 파생형인 대통령 전용열차 경복호 ITX-새마을 도색으로까지 바뀌면서 아직 현역으로 운행 중이다.

1.1. 명칭

한 세대를 풍미했던 차량인 만큼 여러 가지 별칭을 가지고 있다. 정식명칭은 상술한 DHC이나, PMC(Power Motor coach with Cab, 운전실과 기관실, 객실이 합쳐진 차량)라고도 불리며,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PP동차라는 별명이 가장 많이 쓰인다.[6]

PP동차라는 이름이 새마을호를 지칭하는 이미지로 굳어지긴 했지만 넓게보면 동력집중식 고속열차인 KTX-1이나 KTX-산천 역시 PP동차라고 부를 수는 있다.[7] 그러나 KTX가 등장하기 이전까지의 새마을호, 그중에서도 이 차량이 투입되는 전후동력형 새마을호만을 구분짓기 위해서 등장한 이름인 만큼 그 의미가 훨씬 깊다고 할 수 있다.

2. 제원

2.1. 대우중공업 제작분

2.1.1. 대우중공업 초기형 (1987)

파일:518-10m.jpg
초창기 도색[8]
차량 정보
구동 방식 디젤 동력집중식 동차
기관형식 MTU 12V396TC13
대차형식 1차 코일 스프링,
2차 공기 스프링 및 오일 댐퍼
도입량수 4량
도입년도 1987년
운행기간 1987~2007년
제작사 대우중공업
편성량수 5량 1편성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장 22,530㎜
전폭 3,000㎜
전고 3,700㎜
궤간 1,435㎜
자중 PMC:69.71t
T(A):37t
T(B):39t
T(F):39t
T(S):38t
차상신호장치 ATS
기어비 -
출력 1,500 HP / 1,800 RPM
견인동력 3,000 HP (1,500 HP set)
보조엔진 커민스 NT885G3 (355 HP)
최고속도 150㎞/h
주발전기 형식 3 BET 350 (235㎾)
대차제동 디스크 브레이크
제동 방식 전기-공기식 및 액압제동 }}}}}}}}}

2.1.2. 대우중공업 중기형 (1988~1989)

파일:PP동차 대우 88년식.jpg
공사화 이후의 3기 도색 (1988년식)
파일:PP동차 대우 89년식.jpg
공사화 이후의 3기 도색 (1989년식)[9]
차량 정보
구동 방식 디젤 동력집중식 동차
기관형식 MTU 16V396TC14
대차형식 1차 코일 스프링,
2차 공기 스프링 및 오일 댐퍼
도입량수 10량
도입년도 1988 ~ 1989년
운행기간 1988 ~ 2009년
제작사 대우중공업
편성량수 5, 6, 8량 1편성. 16량 중련편성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장 22,530㎜
전폭 3,000㎜
전고 3,700㎜
궤간 1,435㎜
자중 PMC:69.71t
T(A):37t
T(B):39t
T(F):39t
T(S):38t
차상신호장치 ATP(봄바르디어), ATS
기어비 -
출력 1,980 HP / 1,800 RPM
견인동력 3,960 HP (1,980 HP set)
보조엔진 MTU 8V183TE12 (361 HP)
최고속도 150㎞/h
주발전기 형식 HC434E (336㎾)
대차제동 디스크 브레이크
제동 방식 전기-공기식 제동 }}}}}}}}}

2.1.3. 대우중공업 후기형 (1992~1993)

파일:PP-DHC.jpg
공사화 이후의 3기 도색
차량 정보
구동 방식 디젤 동력집중식 동차
기관형식 MTU 16V396TC14
대차형식 1차 코일 스프링,
2차 공기 스프링 및 오일 댐퍼
도입량수 34량
도입년도 1992 ~ 1993년
운행기간 1992 ~ 2013년
제작사 대우중공업
편성량수 5, 6, 8량 1편성. 16량 중련편성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장 22,530㎜
전폭 3,000㎜
전고 3,700㎜
궤간 1,435㎜
자중 PMC:69.71t
T(A):37t
T(B):39t
T(F):39t
T(S):38t
차상신호장치 ATP(봄바르디어), ATS
기어비 -
출력 1,980 HP / 1,800 RPM
견인동력 3,960 HP (1,980 HP set)
보조엔진 MTU 8V183TE12 (361 HP)
최고속도 150㎞/h
주발전기 형식 HC434E (336㎾)
대차제동 디스크 브레이크
제동 방식 전기-공기식 제동 }}}}}}}}}

2.2. 현대정공· 한진중공업 제작분

2.2.1. 현대정공 초기형 (1988)

파일:다운로드-19.jpg
철도청 시절의 2기 도색
차량 정보
구동 방식 디젤 동력집중식 동차
기관형식 MTU 12V396TC13
대차형식 1차 세브론 고무 스프링,
2차 공기 스프링 및 오일 댐퍼
도입량수 4량
도입년도 1988년
운행기간 1988 ~ 2008년
제작사 현대정공
편성량수 5, 6량 1편성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장 22,530㎜
전폭 3,000㎜
전고 3,700㎜
궤간 1,435㎜
자중 PMC:69.71t
T(A):37t
T(B):39t
T(F):39t
T(S):38t
차상신호장치 ATP(안살도), ATS
기어비 -
출력 1,500 HP / 1,800 RPM
견인동력 3,000 HP (1,500 HP set)
보조엔진 커민스 NT885G3 (355 HP)
최고속도 150㎞/h
주발전기 형식 3 BET 350 (235㎾)
대차제동 디스크 + 답면
제동 방식 전기-공기식 및 액압제동 }}}}}}}}}

2.2.2. 현대정공 중기형 (1988~1991)

파일:PP동차 현대 88년식 중기형.jpg
철도청 시절 2기 도색 (1988년식)[10]
파일:PP동차 현대 89-91년식.jpg
공사화 이후 3기 도색 (1989-1991년식)
차량 정보
구동 방식 디젤 동력집중식 동차
기관형식 MTU 16V396TC14
대차형식 1차 세브론 고무,
2차 코일 스프링 및 오일 댐퍼
도입량수 10량
도입년도 1988 ~ 1991년
운행기간 1988 ~ 2011년
제작사 현대정공
편성량수 6·8량 1편성. 16량 중련편성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장 22,530㎜
전폭 3,000㎜
전고 3,700㎜
궤간 1,435㎜
자중 PMC:69.71t
T(A):37t
T(B):39t
T(F):39t
T(S):38t
차상신호장치 ATP(봄바르디어), ATS
기어비 -
출력 1,980 HP / 1,800 RPM
견인동력 3,960 HP (1,980 HP set)
보조엔진 MTU 8V183TE12 (361 HP)
최고속도 150㎞/h
주발전기 형식 HC434E (336㎾)
대차제동 디스크 + 답면
제동 방식 전기-공기식 제동 }}}}}}}}}

2.2.3. 현대정공·한진중공업 후기형 (1992~1994)

파일:GBSA-D.jpg
철도청 시절의 2기 도색
파일:ㅖㅖ차.jpg
공사화 이후 3기 도색
차량 정보
구동 방식 디젤 동력집중식 동차
기관형식 MTU 16V396TC14
대차형식 1차 세브론 고무
2차 코일 스프링 및 오일 댐퍼
도입량수 54량
도입년도 1992 ~ 1994년 (현대정공)
1992 ~ 1993년 (한진중공업)
운행기간 1992~2013년
제작사 현대정공
한진중공업
편성량수 5, 6, 8량 1편성. 16량 중련편성.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장 22,530㎜
전폭 3,000㎜
전고 3,700㎜
궤간 1,435㎜
자중 PMC:69.71t
T(A):37t
T(B):39t
T(F):39t
T(S):38t
차상신호장치 ATP(봄바르디어), ATS
기어비 -
출력 1,980 HP / 1,800 RPM
견인동력 3,960 HP (1,980 HP set)
보조엔진 MTU 8V183TE12 (361HP)
최고속도 150㎞/h
주발전기 형식 HC434E (336㎾)
대차제동 디스크 + 답면
제동방식 전기-공기식 제동 }}}}}}}}}

3. 편성

기본적인 조성 내역은 아래 표와 같다. DEC 디젤동차, ITX-새마을 등 다른 새마을호 동차는 고정편성이기 때문에 방향과 조성을 유지해야 했지만, DHC(PP)는 고정편성이 아니었기 때문에, 다양한 편성을 만들 수 있었다.
DHC-PP 조성
↑ 상행 ( 도라산[경의]· 서울[16량]아주 큰 차이가 있다. 복합운행에 적용되는 9000대 번호 없이 한 가지 열차번호로 갖고 운행했다.][해운대][대구][동해][경전]· 용산[17][장항]· 동대구[동해2][진해] 방면)
<rowcolor=#fff> 차량번호 차종 호차 객실 비고
특별동차
211~212
215~216
새마을호
101~108
111~171
172~206
251~262
MC 1 특실[특실전용편성]일반실
초기형: 24석
중기형, 후기형: 20석
[22]
특별동차
11~12
445~446
새마을호 특실
601~604
611~649
701~715
751~755
781~787
새마을호 식당
801~836
875~885
새마을호 일반실
301~444
501~557
581~585
T 2 특실
초기형: 20석
중기형 및 후기형: 60석


일반실
A타입: 68석
B~D타입: 64석
[23]
3 [24]
4 또는 미편성 [25]
5 또는 미편성 [26]
6 또는 미편성 [27]
7 또는 미편성 [28]
특별동차
211~212
215~216
새마을호
101~108
111~171
172~206
251~262
MC 4 ≤ # ≤ 8 특실[특실전용편성]일반실
초기형: 24석
중기형, 후기형: 20석
[30]
↓ 하행 ( 서울[경의]· 부산[16량]· 해운대[해운대]· 태화강[동해]· 부전[동해2]· 포항[대구]· 진주[경전]· 목포[호남]· 광주[호남]· 여수[40]· 익산[장항]· 진해[진해] 방면)
편성 량수 16(8+8)[43], 14(6+8)[44], 8, 8(4+4)[45], 6[46], 5[47], 4[48]
4량: MC(1,일반실)-T(2,일반실)-T(3,일반실)-MC(4,일반실)
5량: MC(1,일반실)-T(2,특실+식당)-T(3,일반실)-T(4,일반실)-MC(5,일반실)
6량: MC(1,일반실)-T(2,특실+식당)-T(3,일반실)-T(4,일반실)-T(5,일반실)-MC(6,일반실)
6량: MC(1,일반실)-T(2,일반실+식당)[49]-T(3,일반실)-T(4,일반실)-T(5,일반실)-MC(6,일반실)
7량: MC(1,일반실)-T(2,특실)-T(3, 일반실)-T(4,일반실)-T(5,일반실)-T(6,일반실)-MC(7,일반실)
7량: MC(1,일반실)-T(2, 일반실)-(3, 일반실)-T(4,일반실)-T(5,일반실)-T(6,일반실)-MC(7,일반실)
8량[50]: MC(1,일반실)-T(2,특실)-T(3, 일반실)-T(4,일반실)-T(5,일반실)-T(6,일반실)-T(7,일반실)-MC(8,일반실)
8량[51]: MC(1,일반실)-T(2,특실)-T(3,식당)-T(4,일반실)-T(5,일반실)-T(6,일반실)-T(7,일반실)-MC(8,일반실)
8량[특실전용편성]: MC(1,특실)-T(2,특실)-T(3,특실)-T(4,식당)[53]-T(5,특실)-T(6,특실)-T(7,특실)-MC(8,특실)[54]

4. 디자인

일반적으로 현대산과 대우산으로 나뉘며, 한진산은 현대정공 하청생산이라 현대산으로 분류된다.[55]

현대산과 대우산의 디자인이 다 다르고, 또 같은 현대산, 대우산 내부에서도 초기형과 중기형, 후기형의 디자인이 다 달라져 따로 놀다보니 여러모로 비판의 요소가 되기도 했다.

초기형의 경우 당시 철판을 휘게하는 야금기술의 부족으로 인해서 좀 엉성하게 보였다. 그래서 철도 동호인들은 빨래판이라 놀리기도 했는데 실제로 저 곡선 부분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두드려 만들었다, 현대산의 경우도 마찬가지.

그리고 중기형 이후 모델과 달리 엔진 사이즈가 작아서 좌석이 한 줄이 더 많아 선두차의 객실 창문 크기가 3개 다 똑같다는 것이 특징이다.

중기형의 경우 엔진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객실의 크기가 줄어 좌석이 한줄 줄어들었으며, 전두부의 형상이 변경되었다. 후기형에서 각 제조사간의 디자인의 차이가 확실히 드러난다.

대우산 후기형은 중기형 대비 전두부가 더 곡선이 진 데다가 동력차 운전실 측면 창문 모양이 달라졌고 측면 창틀 역시 흑색으로 변했으며, 후부 등(적색등)의 조사 방향이 전조등과 동일한 정면으로 바뀌었다.

현대산 후기형은 1992년식부터 헤드램프 위에 'V'자 형태의 빗물받이가 생겼고 더 나중에는 후부 등(적색등)의 위치가 전조등 아래에서 바깥으로 이동했는데, 배열이 현대산 초기형과 동일하다.

그리고 현대에서 만들었느냐 대우에서 만들었느냐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실제로는 대차나 동력 방식 등의 차이다. 다만 외형적으론 조금씩 차이가 나며 후기 생산분부터는 현대, 한진산은 V자 형상의 빗물받이가 있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파일:2803873848890d3e928eb02561e65bef.jpg
일명 중기형이라고 불리는 차량들은 복합열차 운행 시 원활하고 빠른 연결/분리를 위해 독일 호이트(Voith)사 에서 자동연결기[56]를 사와 개조하였는데 초기에는 그냥 연결기만 바꾸었지만 연결기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덮개를 닫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고, 만약 박살이라도 나면 부품도 전부 수입해야 하는 데다가 가격이 비싼지라, 이후 보호를 위해 연결기 부분을 늘렸는데, 대우산은 그나마 매끈하게 늘린 편이었지만 현대산은 그냥 파이프 달아놓은 듯한 툭 튀어나온 디자인이라 덕분에 오리주둥이라고 놀림받는 신세가 되었다.

당연하게도 길어진 연결기 부분에 맞춰 덮개도 전부 새로 제작하였다, 물론 복합열차에 사용되는 열차니 덮개를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었지만 그래도 자그마한 연결기용 커버는 꼭 씌우고 다녔다. 게다가 워낙에 비싼 연결기 부품이라, 폐차될 때마저도 정비창에 입고할 때 연결기를 따로 뽑고 현대산에 경우에는 그 길어진 주둥아리를 제거하고 기존의 연결기를 달았다. 다만 대우산은 그 디자인상 연결기만 뽑아냈다.

특이하게도 현대산 중기형인 130호는 기존의 자동연결기를 제거하고 주둥아리를 잘라낸 다음에도 깨끗하게 재도색까지 하고 멀쩡하게 운행했다.

또한 현대산 차량의 경우, 앞부분은 운전실 밑으로도 작업용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입구가 운전석 옆에 있다.

5. 성능

그러나 디자인 부분에서 욕을 먹고 멋대로 노는 등 순탄치 못했던 것과는 달리 최고속력 150 ㎞/h를 자랑하는 등 차량 자체의 성능은 제법 나왔던 특급열차인 것은 분명했다.

다만 축중이 지나치게 가벼워(15t 이하) 언덕을 올라가기 벅차서 경전선 마산-진주 구간[57], 전라선[58], 중앙선[59] 태백선에는 투입되지 못했었다. 이는 열차 전체 차량 중 동력대차가 전위축 두 개뿐인 데다가 동력차의 중량 또한 가벼웠기 때문인데, "상구배에서 한 번 서면 그걸로 끝"이란 말도 나왔을 정도.

다만 선로 개량후 경전선과 전라선에는 투입됐었고 중앙선은 일반 여객용 PP는 들어가지 못했으나 2017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당시 경복호가 제천역에서 포착됐다는 것으로 봐서 중앙선을 타고 넘어갔을 수도 있다.

파일:external/rrpstypo3.webhost9.net/MTU_16V_396_06cc6c28ba.jpg


주 기관은 MTU 16V 396TC 엔진으로 독일 MTU社 제품이다. 장보고급 잠수함 등 수많은 잠수함[60]에 쓰이는 것과 거의 같은 종류를 달아서 마력에 비해 당시로서는 획기적으로 조용한 편이었다.

K-2 흑표에도 국산 파워팩 개발에서 있었던 두산인프라코어의 삽질 이전에 생산된 1차 양산분은 MTU 사의 883시리즈 엔진을 달 정도로 검증된 엔진 메이커이다. 현재 396 시리즈는 단종되었고 동급의 신형 MTU 2000시리즈가 이를 대체한다. 해당 모델은 손원일급 잠수함에 들어가는 엔진과 같은 모델이다.[61]

6. 설비

초중기형은 유선형 객차와 유사한 객실설비를 갖추고 있었으나 1992년 이후에 대량 도입된 후기형의 경우 부수객차가 장대형과 거의 동일하여 장대형과 함께 한국철도 역사상 최고의 전설로 기억되고 있다.

이 때문에 2004년에 KTX-1이 상용 운행에 들어갔을 때 '비싼 주제에 좌석이 새마을보다도 못하냐/뭐 이리 불편하냐'고 욕을 좀 먹기도 했다. 'KTX 특실보다 신칸센 그린샤가 편하고 신칸센 그린샤보다 새마을호 일반실이 편하다'는 말도 있었을 정도니. 실제로 전 세계 2023년 현재 기준으로도 옛 새마을호 좌석보다 편한 열차 좌석은 일본 도호쿠 신칸센 그란 클래스를 제외하면 손에 꼽을 정도이다. 이후 한국철도는 좌석의 편안함에서 속도 향상으로 정책의 방향성이 변경됨에 따라 다시는 옛 새마을호 좌석과 같은 좌석은 도입하지 않게 되었다.[62]

7. 역사

1988 서울 올림픽 때 국가 이미지 좀 개선해본답시고 개발한 차량이다. 열차의 용도도 '우등형 유압식 디젤 동차'인 것을 보면, 우등식으로 했을 법하다.

1987년 7월 첫 영업운행을 했는데 당연히 경부선 핵심 정차역인 서울역, 대전역, 동대구역, 부산역(줄여서 서대동부.)만 서는 진정한 특급 새마을호를 대표하던 열차였다. 이듬해 올림픽을 대비하여 경주역 방향으로는 1988년식을 뽑자마자 넣어버리는 패기도 보여주었다.[63]

처음에는 대우중공업이 오랫동안 누적된 디젤동차 제작 기술력을 동원하여 만들었으나 경쟁 업체이던 현대정공도 그간 누적된 디젤기관차 제작 기술력을 동원하여 DHC 동차 제작에 뛰어들게 된다. 당시 점유율은 대우 6 : 현대 3 : 한진 1의 비율이었는데 DHC 동차는 이 간극이 줄어든 시발점이었다.[64] 이후 1988~1989년, 1992~1994년에 DHC 동차의 도입이 이뤄질 때마다 두 회사[65]의 간극이 줄어들게 되었고 똑같은 DHC 이름을 걸었음에도 계속된 개량으로 인해 무려 12가지의 파생형[66]이 존재했을 정도였다. 당시 대우그룹 사보에서는 이 열차의 디자인이 TGV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67]

전라선은 개량 전인 1988년부터 1993년까지 PP동차가 운행한적이 있다. 다만 전라선은 선형이 좋지 않았고 대부분 산악지형에 구배가 심해 중간에 멈춰서는 애를 먹었다.[68] 그래서 익산부터 여수까지 기관차가 연결되어 운행했는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결국 1993년부터 동차형을 다른 노선으로 넘기고 객차형으로 변경했다.

2004년 7월부터는 다시 동차형이 투입되기 시작했는데 새마을호의 대량 감편으로 인해 동차형이 남아돌기도 했고, 그 사이에 전라선의 복선화 및 개량이 이뤄지면서 운행에 무리가 없었기 때문이다.[69] 이후 1994년까지 차량도입이 이뤄졌으며, 경부선, 경전선, 호남선, 장항선, 동해남부선 등지에 투입되었다. 이 중에서 일부열차는 중련을 하여 복합열차로 운영되었으며, 1998년부터는 경부/호남선의 복합열차도 볼 수 있었다.[70]

2004년 KTX가 개통되면서 새마을호의 운행편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했는데, 차량이 남게되어 초기도입분 동차 상당수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에 묶여서 방치되었다. 또한 동대구 - 포항 같은 계통에 투입되는 수모를 겪기도 했지만, 얼마 못 가서 전라선 새마을호가 동차형으로 바뀌면서 다시 장거리 계통에 투입되었다.

이 시기부터 DHC 동차의 잔고장과 결함 문제가 심각해지기 시작했으며 이미 현업에서는 기관사들이 승무를 기피하는 수준까지 되고 말았다. 이후 2006년에 경의선, 진해선 새마을호[71] 운행개시에 따라 초기 도입분 일부가 다시 운행에 복귀했으며[72], 1990~1994년 도입분에 한해서 코레일 CI 도입에 따른 재도색이 2008년까지 이뤄졌다.[73]

2007년에는 최초의 PP동차인 101, 102호 동차가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에서 고철로 분해되어 철도동호인들의 공분을 샀다. 사실 상징성을 감안하면 철도박물관에 들어갈 법 했음에도 철도공사에서 무관심으로 일관한 것이 아쉬운 부분이었다.

2008년 1월 1일에는 장항선 열차의 익산 연장에 따라서 서천 - 장항 - 군산 - 임피 - 익산을 오가는 희대의 단거리 새마을호 계통이 등장하고 PP동차가 이 구간을 운행했으나 수요가 지나치게 없어서 몇 달도 안 되어서 없어졌다.[74] 그리고 현업을 넘어 철도 이용객 사이에서도 새마을호의 상습 지연, 차량 고장 등이 문제가 되던 게 이 시기였다.

7.1. 노후화 및 퇴역

대부분의 DHC 동차는 다른 차량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빠른 속도로 노후화가 진행되었다. 이는 동차의 특이한 구동 방식 탓이 큰데, 대부분의 중대형 디젤기관차는 디젤엔진으로 발전을 하여 그 전기로 대차의 모터를 돌려 운행하는, 고장이 덜하고 유지보수가 편한 디젤전기식을 동력 방식으로서 채택하고 있지만, DHC 동차는 디젤엔진과 대차가 유압식 변속기로 직접 연결된 디젤액압식을 채택하였다. 이 변속기의 대략적인 구조는 CVT 변속기와 비슷하다. 따라서 CVT의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낮은 내구성 문제를 거의 그대로 가지고 있었고, 이 때문에 전성기 시절 짱짱한 성능을 자랑하던 DHC는 KTX 개통을 전후하여 급격히 노후화가 진행되며 고물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게 되었다.

현직 기관사들 사이에서도 PP동차는 잔고장이 많고 알려지지 않은 자잘한 사건사고들이 꽤 많아서 2000년대 중후반부터는 승무 기피대상이었고 어지간히도 푸대접을 받았다고 한다. #

1990년대 초반까지의 도입분은 고장률이 특히 심각한 수준이라 운행 도중 다른 기관차에게 구원받는 경우도 자주 있었으며[75] 한 때는 모든 DHC 동차 견인 새마을호가 출발할 때부터 별도의 기관차를 통한 구원운전으로 운행하기도. 이 현상이 최고조에 달했던 2007~2008년 당시 새마을은 매일 지연되었다. 출발역부터 20분씩 지연을 안고 출발하는 경우가 많았고 당시 철도 커뮤니티들의 단골 주제이기도 했을 정도였다.

결국 일부 호남선 새마을호와 전라선 새마을호는 이 때부터 말썽투성이인 DHC를 버리고 기관차 견인 객차형으로 전환하게 되었다.[76]

경부선 새마을호도 2011년 2월부로 임시열차에 한해 기관차 견인 객차형이 첫선을 보였다. 이 때를 전후로 모든 DHC 동차형 새마을호 편성들이 예정에 없던 조기 중검수를 집중적으로 받았고, 이후에는 상황이 조금 나아지게 된다.[77]

많은 이들에게 '한국철도의 왕자', '새마을호의 상징' 등으로 회자되지만, 설계 문제로 인해 빠른 노후화가 진행된 말년의 DHC 동차는 틈만 나면 고장에다가 불안정한 출력으로 인한 잦은 구원 견인, 때가 타고 도장에 크랙이 생겨 보기 흉하게 일그러진 외관 등 다사다난했다. 성능과는 별개로 철도 동호인들을 제외하고 노후화가 진행된 2007~2013년 당시 DHC를 타본 사람들이 이 동차를 낡아빠진 고물로 기억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

후술할 사고로 1995년에 1량[78]이, 2003년에 1량이 결차되었지만[79] 2004년 KTX 이전까지는 정상적으로 운행했다. KTX가 개통되고 2004년에 1987~1988년 도입분 초기형 일부가 운행에서 빠지더니 2007년부터는 내구연한이 경과된 차량부터 퇴역을 시작했다.

2011년 중검수 이후로도 내구연한의 한계와 차량의 노후화로 인해 남아있던 중후기형 동차들마저 여전히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결국 코레일의 눈 밖에 난 DHC 동차는 2013년 1월 5일부로 전량 퇴역, 영업 운행에서 제외되었다. 2013년 1월 5일 상행 #1042( 포항- 서울), 하행 #1005(서울- 부산)[80] 열차가 DHC의 마지막 영업 운행이었다. 그간의 명성에 비해 마지막 운행은 생각 외로 초라했으나, 부산행 1005열차의 기관사가 서울역에서 출발할 때 열차의 상징인 공기기적을 서비스로(!) 내어 떠나가는 길을 소소하게나마 장식해 주었다.

그렇게 DHC 동차가 역사의 저편으로 물러난 이후 기관차 견인으로 전환됐던 DHC 부수객차도 2018년 4월 30일까지만 운행하고 2세대 새마을호 종운과 함께 전량 퇴역했으며, 새마을호라는 등급 자체가 비전철화 구간인 장항선을 제외하고는 전부 210000호대 전동차로 운행하는 ITX-새마을로 대체되었다. 장항선 역시 기존 장대형 새마을 객차가 모두 퇴역한 탓에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를 격상한 개조 객차로 운행한다.

DHC가 퇴역한 이후에도 "새마을은 앞뒤가 둥글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관차 견인방식의 새마을호가 들어왔을 때 무궁화호로 착각하기도 했다.[81][82]

7.2. 운행 시기

시기 경부선 동해남부선 경전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진해선 경의선
1987 ~ 1988년 서울 - 경주
1988 ~ 1992년 서울 - 부산
서울 - 해운대
서울 - 경주(울산)[83] 서울 - 광주
서울 - 목포
서울 - 여수[84]
1992 ~ 2003년 서울 - 부산
서울 - 해운대
서울 - 울산
서울 - 포항
서울 - 마산[85] 서울 - 광주
서울 - 목포
서울 - 장항[86]
2004 ~ 2008년 서울 - 부산
서울 - 해운대
서울 - 울산
서울 - 포항
동대구 - 포항[※]
서울 - 마산 용산 - 광주
용산 - 목포
대전 - 광주[※]
용산 - 여수[89] 용산 - 장항[90]
2008 ~ 2012년 서울 - (동대구)부산
서울 - 해운대
서울 - 포항
서울 - 부전[91]
동대구 - 부전[92]
서울 - 마산 용산 - 광주
용산 - 목포
용산 - 여수 용산 - 익산[93] 대구 - 진해[94] 서울 - 도라산
2012 ~ 2013년 서울(용산) - 부산
서울 - 해운대
서울 - 포항 서울 - 진주[95]

8. 보존 현황

파일:img_2152_1.jpg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 보존중인 130호

청도역에 126호가 보존중이며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 130호가 보존 중이다. 2015년 1월 현재 남은 동력객차 55대 중 44대는 재생 후 수출, 11대는 폐기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 수출이 무산되었다고 한다. 아마 이 44대들도 고철이 될 듯하다.(...) 두 곳 이외에도 직지사역에 158호가 있다. 섬진강 기차마을에 120호가 있지만 이쪽은 관리상태가 영 아닌데, 펜션의 일부로 마개조 된 상태다(...) 점촌역의 140호는 계속 보존할 예정이었으나 부식이 심해 결국 고철로 매각되었다.

PP동차 6량(172, 179, 185, 190, 191, 193호)이 2017년 8월 17일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서 제천조차장역으로 회송되었다. 제천 철도테마파크에 전시 예정인지는 모르지만 6량씩이나 회송된 건 철도동호계에서는 놀라운 일. 확인 결과 2017년 4월에 한국철도공사에서 철도차량보존협회가 설립되었는데 보존 대상에 이 6량이 포함되어 회송된 것.

현재도 중저항 전동차, RDC, 일부 특대형 기관차들과 함께 제천조차장역에 유치되어 있었으나 2019년 4월에 일부 차량만 남기고 매각되었다고 하였으나 그마저도 기각되고 2019년 6월 12일에 6량 모두 대단으로 회송되었으며 파쇄 후 고철로 매각되었다.

이 6량은 모두 1993년산 현대정공 제작분인데, 이 중 2량을 1994년산 특실 DHC동차 차량(261, 262호)와[96] 바꿔 보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힘을 얻어 한국철도공사 내에서도 고려중이었고, 제천으로 간 6량과 별개로 262호는 보존이 확정되어 구내에 유치 중이었던 거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후 한국철도공사가 입장을 바꾸면서 2021년 6월에 고철 매각되었다.

140, 261, 262호가 고철 해체됨에 따라서, 120호[97]와 126호[98], 130호[99], 158호[100]만 남게 되었다. 이 중에서 1대가 철도박물관에 보존될 법 한데도 정작 철도박물관에는 1대도 없다.

9. 사건 사고

10. 매체 출연

11. 여담

파일:PP동차 매우 매우 초창기 도색.jpg
도입 극초창기 당시에는 영국철도 43형을 연상시키는 노란색+파란색 도색이 적용되었다고 한다. 또한 객차 도색은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 처럼 파란색만 적용되었다. 다만 얼마 지나지 않아 흔히 알려진 빨간색+파란색 조합으로 변경되었으며, 따라서 현재 이 도색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다.

대우중공업분 동차와 현대정공/한진중공업 동차와의 경적음이 약간씩 다르다. 현대/한진산 동차가 대우산 동차보다 약간 음이 낮다.

2012년 진해군항제때의 대구발 진해행 새마을호 영상이다. 관광객들이 꽤나 많은지라 수시로 경적을 울려야하는데 이때, 새마을 동차의 주 기적음과 관제 기적음이 고스란히 남겨져있다.

2013년 1월 5일, 새마을 PP동차의 마지막 정규운행날 서울발 부산행 1005열차의 기관사가 서울역에서 출발할 때 열차의 상징인 관제기적을 울리는데, 한진 도입분 184호 동차의 관제경적과 위 영상에서의 170호 동차와는 대조된다.

몇몇 동차들은 노후화로 인하여 원음을 잃고, 해당 영상에서 처럼 높고 날카로운 '빼애앵' 소리가 난다.

12. 둘러보기

파일:현대로템 CI.svg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동차 (EMU/DMU/PP)
🚄 고속열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집중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100000호대 전동차[라](34개 편성 한정) 한국철도공사 110000·120000·140000호대 전동차
주식회사 SR 130000호대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150000호대 전동차 우즈베키스탄 아프로시욥 EMU-250 한국철도공사 160000호대 전동차
주식회사 SR EMU-32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용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HSR-350X운행 불가 HEMU-430X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연구·개발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EMU-370 EMU-400
}}}}}}}}} ||
[[대한민국의 일반철도| 🚅 {{{#000000 간선형·준고속형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EMU-18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수도권 전철 한국철도공사 XXX000호대 전동차
(GTX-C)수도권 전철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EMU-15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EMU-150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4차분수도권 전철 우크라이나 HRCS2
}}}}}}}}} ||
🚆 디젤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DEC[퇴역][대우] NDC[퇴역]-[대우]-
DHC-PP[퇴역][대우][현대][한진] 경복호[대우]
한국철도공사 9500호대 디젤동차[퇴역][대우] 한국철도공사 9000호대 디젤동차[퇴역][대우](CDC 제작 한정)
수출차량 보기
}}}}}}}}} ||
🚇 통근형·근교형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한국철도공사(형태별 분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9900호대 전동차(환승 불가능)[퇴역][대우] 1000호대 저항제어 2~8차분 (상세)[퇴역][대우][한진][현공]
1세대 납작이[대우][한진][현공] 일산선 전용 1세대 (상세)[퇴역][현공]
2세대 동작이·동글이 3세대 뱀눈이·삼눈이 4세대 주둥이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서울교통공사(세대별 분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00호대 저항제어 2~4차분[대우][현공] 2000호대 직각형 저항제어·초퍼제어
1~8차분
[퇴역][대우][한진][현공]
2000·3000·4000호대 광폭형 GEC 초퍼제어 1~5차분[퇴역][대우][한진]
1000·4000호대
VVVF 1세대
(상세)[대우][현공]
5000·7000·8000호대
VVVF 1세대
[현공][대우]
6000·7000·8000호대 VVVF 2세대[현공][한진] 2000·3000호대 VVVF 2세대
9000호대 3~4차분 5000호대 VVVF 3세대 2000·4000호대 VVVF 3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수도권 전철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항철도 1000호대(환승 불가능)
공항철도 2000호대 1~3차분 메트로9호선 9000호대 1~2차분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1차분[대우], 2차분 네오트랜스 D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부산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00호대 1세대(1~7차분) (상세)[한진][현공] 1000호대 2세대(8~10차분)
2000호대 1차분[한진], 2차분 3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광역시 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한진]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제작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 표준형 전동차 AUT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출용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국 SEPTA Silverliner V 싱가포르 J151형 타이완 EMU600
타이완 EMU900 홍콩 정관오선·뚱충선
미쓰비시 합작 EMU
홍콩 동철선 EMU
그 외 수출 차량보기
}}}}}}}}} ||
🚊경전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철제차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1차분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김포골드라인 1000호대
동북선 DL000호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자기부상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에코비 (UTM-0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가선 저상 트램 수소전기 트램 보기 수출차량 보기
}}}}}}}}} ||
🚂 기관차 견인 (Locomotive/Passenger Cars/Generator Cars)
⚙️ 기관차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디젤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기기관차[라][퇴역][현공]
한국철도공사 7100~7500호대 디젤기관차[라][현공]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기관차[라]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기관차[라] BR(방글라데시 철도청) 디젤기관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전기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기관차[라][대우]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기관차[라][대우]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기관차[라](73량 한정)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기관차
TCDD(터키 철도청) 전기기관차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전기기관차
}}}}}}}}} ||
💺 객차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국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대우][현대] 무궁화호 격하 특실 [대우]
무궁화호 클래식 객차[한진][현공] 무궁화호 나뭇결 객차[대우][한진]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 개조 새마을호 객차 (객차형 ITX-새마을)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해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국 LA 메트로링크 2층 운전객차 그 외 수출차량 보기
}}}}}}}}} ||
⚡️ 발전차 (문서 이동)
[라]: 라이센스 제작
[퇴역]: 전량 퇴역
[현공]: 현대정공 제작
[대우]: 대우중공업 제작
[한진]: 한진중공업 제작
}}}}}}}}} ||



[1] 대우중공업산 중기형 차량이다. [2] 대한민국에서 디젤엔진을 쓰던 기관차들이 9100호대 입환기 빼고는 전부 디젤전기기관차라서 엔진은 발전만 하고 그 전기로 모터를 구동하여 움직인 반면, 이 차량은 일반적인 내연기관 자동차처럼 디젤엔진으로 바퀴를 직접 구동한다. 이런 기계식 디젤 열차도 국내에서 다닌 건 대부분 CDC, NDC 같은 동력분산식 동차였지만 아예 기관차를 따로 뺀 동력집중식 편성으로 다닌 건 DHC가 유일하기에, DHC의 동력차는 대한민국에서 정규 운용을 한 유일한 순수 기계식 디젤기관차라고 보아도 된다. [3] 당시 도입된 동차가 총 116량이었다. 이후 1995년에 1대가 사고로 결차되고, 2003년에 다시 1대가 결차되면서 KTX 개통을 앞둔 시점에서는 57편성이 운행하고 있었다. [4] 대우중공업이 58량(29편성), 현대정공이 48량(24편성) 한진중공업이 10량(5편성)을 제작했다. 1차분은 8량, 2차분은 20량, 3차분은 41량, 4차분은 47량이 도입되었다. [5] IMF 외환위기 당시 과도한 경쟁을 줄여 비용낭비를 줄인다는 명분으로 정부주도로 합병되었다. 소위 빅딜 1호. 20년 후 우진산전, 다원시스 등 철도차량 완성차 업체가 다시 여럿 들어섰다. [6] 이는 차량의 특성에 붙여진 애칭인데 전후동력형 즉, 앞에서 견인하고 뒤에서 밀어주는(Push-Pull) 동차라고 해서 붙여졌다. 코레일 홈페이지에도 "새마을 PP"나 "PP"로 표기되었다. [7] PP동차라는 이름에 동력을 뜻하는 단어가 붙지 않은 것이 첫 번째 이유이고, 앞과 뒤에 있는 두 기관차가 힘을 주고 받는다는 점이 동일하다는 게 두 번째 이유이다. [8] 통칭 고추장도색으로, 대우산 초기형이며 당시 철도 동호인들은 마치 술집의 안주로 나오는 멸치 대가리에 고추장을 찍은 것 같다고 해서 저렇게 불렀다. [9] 88년식과 달리 연결기 부위가 돌출되어 있다. [10] 오리주둥이라고 불리는 차량이다. 자세한 건 디자인 문단에서 후술. [경의] 경의선 계통으로서 도라산 라이너라는 약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16량] 유일하게 분리 및 연결 작업없이 출발역부터 종착역까지 두 개 열차를 하나로 운행하는 열차가 존재했다. 현재 운행하는 KTX ITX-마음 복합열차와 비교할 때 [해운대] 구포역에서 부산 착발 열차와 연결 및 분리를 하는 복합열차였다. [대구] 대구선 계통, 즉 포항 착발 새마을호이다. 구 경주역에서 태화강(구 울산) 착발 열차와 분리 및 연결을 하는 복합열차였다. [동해] 동해선 계통, 즉 태화강(구 울산) 착발 새마을호이다. 구 경주역에서 포항 착발 열차와 분리 및 연결을 하는 복합열차였다. 2008년 이후로 부전역까지 연장운행했다. [경전] 마산 및 진주 착발 [17] 2004년 이후로 서울역을 대신하여 모든 호남지방 착발 열차의 기점 역할을 담당했다. [장항] 현재 운행하는 장항선 계통 무궁화호와 마찬가지로 천안역 이남 구간은 장항선을 (우회)경유했다. 따라서 익산역에서 1호차는 남쪽을 향했다. [동해2] 원래 서울 착발이었던 열차가 동대구 회차로 바뀌게 되었다. [진해] 진해선 계통으로서 진해 라이너라는 약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특실전용편성] [22] 상행 복합열차의 기준으로 뒷쪽에 있는 편성은 9호차가 된다. [23] 상행 복합열차의 기준으로 뒷쪽에 있는 편성은 10호차가 된다. [24] 상행 복합열차의 기준으로 뒷쪽에 있는 편성은 11호차가 된다. [25] 상행 복합열차의 기준으로 뒷쪽에 있는 편성은 12호차가 된다. [26] 상행 복합열차의 기준으로 뒷쪽에 있는 편성은 13호차가 된다. [27] 상행 복합열차의 기준으로 뒷쪽에 있는 편성은 14호차가 된다. [28] 상행 복합열차의 기준으로 뒷쪽에 있는 편성은 15호차가 된다. [특실전용편성] [30] 상행 복합열차의 기준으로 뒷쪽에 있는 편성은 16호차가 된다. [경의] [16량] [해운대] [동해] [동해2] [대구] [경전] [호남] 일부 호남선 계통 새마을호 열차는 익산역에서 전라선 열차와 분리 및 결합하는 복합열차로 운행했다. [호남] [40] 일부 전라선 계통 새마을호는 호남선 계통 열차와 익산역에서 분리 및 연결을 하는 복합열차였다. [장항] [진해] [43] 경부선(서울-부산)대부분, 경부선(서울-부산, 해운대(구포분리), 호남선(용산-광주(목포), 여수(익산분리)), 경부선+ 호남선(대전분리), 동해선(서울-울산), 동해선(서울-울산, 포항(경주분리) [44] 경부선(서울-부산), 호남선(서울-광주), 동해선(서울-포항) [45] 특별동차 [46] 호남선(서울-광주/목포), 전라선(서울-여수), 장항선(서울-장항), 속칭 도라산 라이너라 불린 경의선 새마을호 편성. 빨래판 동차 포함. [47] 1987년 도입 초기에는 5량 1편성이었다. 이는 당시 견인력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동력차의 무게가 동일할 시 부수차의 총 무게가 무거우면 공전에 더욱 취약하다. [48] 진해선 새마을호 말기, 경복호 [49] 식당과 겹쳐 냄새가 난다는 민원으로 특실이 일반실로 격하되었다. [50] KTX 개통 후 식당차 대신에 초기형 부수차 객실로 경부선에 투입하지만 2006년 5월 1일에 다시 3호칸은 식당칸으로 환원. [51] 가장 표준적인 편성. [특실전용편성] [53] 특이하게 4호차에 식당이 있었다. 이후 3호차로 변경. [54] 후에 MC 2량은 일반실로 격하되고, 이후 나머지 중간 특실도 전부 일반실로 격하된다. 장항선 편성 시 식당칸을 제외하고 7량 운행. [55] 단 중간의 부수객차는 한진형 대차를 사용한 독자 설계였다. [56] 샤펜베르크형 유럽식 밀착형 자동연결기. ICE 3, KTX-산천, KTX-이음에 중련 연결용으로 달려있는 Voith Type-10 연결기와 같은 모델이다. [57] 산인역 부근의 산인고개를 넘기 힘들어 한동안 경전선 새마을호 중 서울 - 마산만이 PP동차가 투입되었고 서울 - 진주는 객차형으로 운행해왔다. 2012년 마산~진주 복선전철화 구간 개통과 함께 이설되어 잠시 진주까지 운행하기도 했지만 노후화를 이유로 얼마 못가 ITX-새마을로 대체되었다. [58] 복선전철화 공사가 얼추 끝나가던 2004년 이후에는 PP동차가 투입되긴 했다. [59] 엄밀히 말해서 중앙선에 아예 입선하지 못한 것은 아니다. 서울 - 울산(現 태화강)/포항 새마을호 복합열차는 경부선 계통 취급이었으나, 이 계통이 경유하던 영천 - 경주 구간은 중앙선 구간이었다. 하지만 이 열차는 대부분의 구간을 경부선을 따라가며, 통상적인 중앙선 새마을호는 청량리 - 안동 구간이니 중앙선에 PP 동차가 못 들어갔다고 보는 것이 맞다. [60] 잠수함의 핵심은 소음 저감이다. [61] 장보고함은 이 엔진 시리즈의 8기통형을 사용했다. [62] 물론 아예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는 것은 아니라서 신규 열차의 좌석들은 헤드레스트(목배게) 설치, 전기 콘센트, USB포트 설치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기 때문에 여행에 불편할 정도는 아니다. 오하려 편의성 부분에서는 새마을호보다 진보한 부분이 훨씬 많다. 다만 옛 새마을호 좌석이 안락함에서는 워낙 넘사벽이라 그렇다. 현재 새마을호의 안락함은 프리미엄 버스가 어느 정도 대체하고 있다. [63] 이게 무슨 얘기냐면 공장에서 출고하자마자 시운전도 안 하고 행선판 끼워서 운행시켰단 소리다. 이후 경주행은 울산(태화강) 연장에 이어 부전까지 연장되었다. 당연히 요즘은 법적으로 정식 운행에 앞서서 시운전을 반드시 해야 하기 때문에 갓 제작완료한 열차를 바로 운행에 들어가게 하면 안 된다. 안전불감증이 흔하던 구 시대의 잔재였던 셈이었다. [64] 특히 현대정공은 기관차 제작은 경험이 있었지만 동차형은 이게 처음이었다. [65] 여기에 한진중공업이 꼽사리 낀 형태였으나 사실 한진중공업 차량은 현대정공 차량과 별 다를 바가 없었다. [66] 그래서인지 초기형 대우산과 초기형 현대산은 명목상 같은 차종이지만 외형이 상당히 이질적이었다. [67] 실제로 현대정공 1992년식은 KTX-1과 닮았는데, 이 때문에 KTX 도입 초창기 KTX와 새마을을 헷갈려 잘못 탑승한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68] 그래서 예전에 운행하던 DEC 동차도 전구간 운행이 이뤄지지 않았다. [69] 비슷한 시기에 대전 - 광주/동대구 - 포항 같은 중단거리 새마을호가 없어지면서 남는 동차를 여기로 이동시켰다. [70] 서울 - 부산/서울 - 광주 열차는 대전역에서 분리. [71] 적자로 인해 통근열차를 빼고 아예 동대구 - 진해 새마을호를 편성했는데, 이는 KTX의 환승수요를 노리고 편성한 것이다. 의외로 수요가 제법 있었던 편이다. [72] 물론 전부 복귀한 것은 아니어서 프레임이 휘어버린 103호는 그대로 2007년까지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구석에서 썩어가다가 해체되었다. [73] 1988년 도입분은 남은 내구연한이 짧아 신 CI를 칠하지 않고 구도색에 생긴 크랙과 뜯어진 스티커만 다시 보수했다. [74] 사실 이 기이한 계통이 생겨난 것은 장항선이 군산선을 흡수하면서 기존 장항선 열차를 익산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군산 - 익산 - 전주 통근열차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문제는 서울에서 아무리 첫 차가 5:30에 출발해도 정작 열차가 장항역에 도착하면 이미 9시가 넘어버리는 문제가 생겨 아침시간대 운행이 사라지고 만다. 계속해서 통근열차를 운행하기에는 수익성이 나빴으며, 열차를 감편시키기에는 정비효율 같은 문제가 있었다. 그러자 한국철도공사가 익산역에서 주박하던 새마을호 동차 1편성을 이용해 익산 - 서천 열차를 운행하게 된 것. 문제는 요금이 2배 이상 뛰었고, 군산역 장항역이 외곽으로 이설되었으며, 거기에 본래 전주까지 환승 없이 가던 열차였던게 바뀌어 익산에서 열차를 갈아타야 하는 문제가 있어 결국 이용객이 급감하여 4개월 만에 폐지되었다. 오죽하면 막판에는 이 열차의 주 수요 고객층이 '종운을 기념해서 시승한 철도동호인'인 웃지 못할 촌극이 벌어졌다. [75] 대표적인 사례가 이 사례. 부산에서 서울로 가는 새마을호가 대전역에서 고장나서 멈추자 7300호대 디젤기관차장폐단으로 견인했다고 한다. 고장으로 인한 지연이 1시간 20분이 나온건 덤. 더 나아가 아예 DHC를 구원 견인하는 영상 모음집도 존재할 정도이다. [76] 본래 산인고개 급구배로 인해 동차형을 투입할 수 없던 서울 - 진주 정도만 객차형으로 다녔으나 해당 계통이 경전선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인해 진주역의 종착역 기능을 없애면서 2007년 7월 시간표 개정 때 서울 - 마산으로 단축되었다. 그 과정에서 해당 계통에 동차형을 투입했고, 남는 객차형들을 호남, 전라선으로 이동시켰다. [77] 이 중검수 자체는 차량의 하자를 해결하는 목적도 있었지만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의 폐쇄에 따른 대응 성격도 있었다고 한다. 실제로 이 중검수가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때문에 해당 차량사업소가 철거에 들어갔으며, DHC 동차 검수시설도 모두 없애버렸다고 한다. 따라서 일상검수나 경정비를 제외한 중정비는 완전히 불가능해졌고, 내구연한이 20년인 1992~1994년 제작분도 아예 11~12년에 운행불가능 차량에 한해서 폐차시키게 된다.(이미 2010년 10월 경부고속선 동대구 - 부산 구간이 개통되면서 경부선과 동해남부선(서울 - 울산 - 부전) 열차 편수가 줄어 차량운용에도 여유가 생긴 뒤였다.) 사실 중검수도 맘만 먹으면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서도 할 수 있었으나 고속열차의 등장으로 인한 수요 감소와 당시 시대가 디젤동차를 굴리기엔 썩 좋지 않은, 셰일가스 붐이 일어나기 전의 고유가 시대였다. [78] 1995년 추석연휴 마지막 날(9월 8일) #3012 열차(주말운행, 부동대서)로 운행하던 중 옥천 삼거리 건널목에서 폐철을 실은 트럭과 충돌하여 트럭 운전자와 부기관사가 사망한 사건이 일어났다. 사고지점은 2003년 8월 12일에 입체교차로 변경되어 없어졌다. # [79] 대전 계룡육교 상판이 운행 중인 새마을호 열차를 덮쳐 35명이 중경상을 입은 사고. [80] 이 편성은 객차 개조를 한 상태로 영업에 투입되었다. 부산역에서 동력차를 분리하고 바로 기관차를 달아서 #1010편으로 발차. [81] 사실 앞뒤가 똑같다는 말은 전동차인 ITX-새마을로 대체된 지금도 통용되는 말이기는 하다. 다만 선두가 둥글게 돼있던 DHC 동차에 비해, ITX-새마을 동차는 선두가 다소 뾰족하다는 차이점이 있다. [82] 물론 DHC 동차 현역 시절에도 기관차 견인 새마을호가 간간이 다녔지만 DHC가 압도적으로 많았기 때문에 그런 것. 더군다나 DHC보다 먼저 등장한 DEC 동차는 단 2개 편성 밖에 없었던데다 운행노선도 제한적이었고, 객차형으로만 다니던 시절의 새마을호는 운임이 굉장히 비싸서 일반적인 서민들이 탈 엄두를 못 낼 정도였기에 기억하는 사람이 적은게 당연한 것이다. [83] 1989년에 울산으로 연장. [84] 1988년 ~ 1993년경 운행, 이후부터 객차형으로 변경. 이유는 전라선의 선형 불량과 구배 때문에 애를 먹었고 익산에서 여수까지 디젤기관차 구원 운행. KTX 개통 이전까지 유일한 2X1배열 특실이 운행하였다. [85] 2017년 현 시점에서 보면 나름 역사가 있는 새마을호...이긴 한데 개통 당시는 서대동부만 있었다. 원래 진주행이 객차형으로 다녔다가 PP형 새마을호의 마산으로 추가투입이 결정된 것은 1995년경. [86] 1991~1996년 6량, 1996~2001년 8량, 2001년 이후 특실/식당차를 제외한 5량편성으로 변경. [※] 얼마 되지 않아 폐지되었다. [※] [89] 신리 - 순천 복선전철화 개량 이후 재운행. [90] #1, #2, #3, #4 경부선 서대동부 새마을호가 폐지되면서, 해당열차에 사용됐던 PP동차가 식당차를 빼고 장항선으로 투입됨. [91] 울산에서 부전역까지 연장됨. [92] 경부고속철 2단계 개통 후 서울 - 부전에서 동대구 - 부전으로 감축됨. [93] 장항 - 군산 철도 연결 후 익산역까지 연장됨. [94] 정확히 2007년부터 운행되었다. [95] 경전선 개량에 맞춰 마산에서 진주역까지 연장되었다. 연장시기가 좀 늦은 것은 개량 전에는 중리역- 산인역, 함안역- 군북역간에 상당한 구배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구배에서는 PP가 까딱하면 퍼질 위험성이 높았기 때문에 객차형만 투입됐었다. [96] 참고로 261, 262호는 가장 마지막으로 도입된 DHC이기도 하다. [97] 연결기커버가 꽤나 길어져 KTX-1과 꽤 비슷해졌다. [98] 자동연결기 개조 차량이다. [99] 자동연결기 개조 차량이였으나, 말기때 자동연결기와 확장된 외장을 잘라내었다. [100] 보존중인 유일한 대우중공업분 동차이다. [101] 새마을호의 도색이 청색 도색으로 완전한 변경이 이루어진 시점은 2009년 중순이었고, 그 전까지는 아직 재도색을 하지 않은 차량이 남아있었다. [102] 사족으로 이 편 녹화를 하던 날에 강호동이 득남했다. 여담으로 이 열차는 용산발 목포행 새마을호 복합열차였다. [103] 2004년 이전에 방영되었다는 잘못된 정보가 나도는데, 빼꼼 시즌 1이 방영을 시작한 연도가 2007년으로 KTX 개통 시기(2004년)보다 3년이나 늦었다. 방영할 당시 KTX보다 인지도가 조금 더 높았고 친숙했던 새마을호를 등장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