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연방당 ■
민주공화당 ■
휘그당 ■ 민주당 ■ 공화당 |
}}}}}}}}} |
해리 S. 트루먼 행정부
Harry S. Truman Administration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945년 4월 12일 ~ 1953년 1월 20일 | ||
출범 이전 | 이후 |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행정부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행정부 | }}} | |
<colbgcolor=#0044C9> 대통령 | 해리 S. 트루먼 / 제33대 | ||
부통령 | 앨번 W. 바클리 / 제35대 | ||
여당 |
|
|
▲ 미합중국 제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취임 선서 |
[clearfix]
1. 개요
제33대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이 이끌었던 행정부로, 전임자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이 임기 중 병사하여 당시 트루먼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하면서 1945년 4월 12일에 출범하였고 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면서 재선에 성공하여 1953년 1월 20일까지 존속하였다.제2차 세계 대전 시대를 종결하고 전후 시대를 연 행정부이며, 본격적으로 냉전이 시작된 시기이다.
2. 내각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4C9; border-right: 10px solid #0044C9;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
직위 | 명단 |
부통령 | <colbgcolor=#fff,#1f2024> 앨번 W. 바클리 | |
국무장관 | 에드워드 스테티니우스 주니어→ 제임스 F. 번즈 → 조지 C. 마셜 → 딘 애치슨 | |
재무장관 | 헨리 모겐소 주니어 → 프레드 M. 빈슨 → 존 웨슬리 스나이더 | |
국방장관 | 제임스 포레스탈 → 루이스 A. 존슨 → 조지 C. 마셜 → 로버트 A. 로벳 | |
법무장관 | 프랜시스 비들 → 톰 C. 클라크 → J. 하워드 맥그래스 → 제임스 P. 맥그래너리 | |
체신장관 | 프랭크 C. 워커 → 로버트 E. 해네건 → 제시 M. 도널드슨 | |
내무장관 | 해럴드 L. 아이크스 → 줄리어스 알버트 크루그 → 오스카 L. 채프먼 | |
농무장관 | 클로드 R. 위커드 → 클린턴 앤더슨 → 찰스 F. 브래넌 | |
상무장관 | 헨리 A. 월리스 → W. 에이버럴 해리먼 → 찰스 W. 소여 | |
노동장관 | 프랜시스 퍼킨스 → 루이스 B. 슈웰렌바흐 → 모리스 J. 토빈 |
}}} }}}}}}}}} |
해리 S. 트루먼 행정부 내각 1953년 1월 20일 해리 S. 트루먼 전 대통령 퇴임일 기준 |
||||
대통령 | 부통령 | 국무장관 | 재무장관 | 국방장관 |
해리 S. 트루먼 |
앨번 W. 바클리 |
딘 애치슨 |
존 웨슬리 스나이더 |
로버트 A. 로벳 |
법무장관 | 체신장관 | 내무장관 | 농무장관 | 상무장관 |
제임스 P. 맥그래너리 |
제시 M. 도널드슨 |
오스카 L. 채프먼 |
찰스 F. 브래넌 |
찰스 W. 소여 |
노동장관 | ||||
모리스 J. 토빈 |
3. 주요 사건
3.1. 1945년
- 4월 12일 - 제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취임 및 행정부 출범
- 4월 16일 ~ 5월 2일 - 베를린 공방전
- 4월 28일 - 베니토 무솔리니 사망
- 4월 30일 - 아돌프 히틀러 사망
- 5월 ~ 1946년 - 페이퍼클립 작전
- 5월 - 냅코 프로젝트 수립
- 5월 8일 - 나치 독일 플렌스부르크 정부의 항복
- 5월 23일 ~ 1949년 10월 7일 - 연합군 점령하 독일 성립
- 6월 20일 - 베르너 폰 브라운 미국 망명
- 6월 26일 - 유엔 헌장 조인
- 7월 9일 ~ 1955년 7월 27일 - 연합군 점령하 오스트리아 성립
- 7월 16일 - 최초의 핵실험 트리니티 실험 성공, 미국의 핵개발 성공
- 7월 15일 ~ 11월 - 헤센 보석 도난 사건
- 7월 17일 ~ 8월 2일 - 포츠담 회담
- 7월 24일 ~ 7월 28일 - 구레 군항 공습
- 7월 26일 - 포츠담 선언
- 7월 28일 - 인디애나폴리스 침몰사건
- 8월 6일 - 히로시마 리틀보이 투하
- 8월 9일 - 나가사키 팻 맨 투하
- 8월 15일 - 쇼와 덴노의 항복 선언
- 8월 15일 ~ 1949년 12월 7일 - 제2차 국공내전
- 8월 25일 - 한반도 38선 확립, 남북분단
- 9월 2일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 9월 9일 ~ 1948년 8월 15일 - 미군정 성립
- 9월 11일 - 도조 히데키 자살 미수 사건
- 10월 2일 ~ 1952년 4월 28일 - 연합군 점령하 일본 성립
- 10월 3일 ~ 1946년 2월 15일 - 소련군정 성립
- 10월 24일 - 유엔 설립
- 11월 ~ 1946년 -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 12월 16일 ~ 12월 26일 -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 12월 20일 - 미네소타 기아 실험 종료
- 12월 27일 - 신탁통치 오보사건
3.2. 1946년
- 1월 1일 - 쇼와 덴노의 인간선언
- 1월 10일 - 제1차 유엔 총회
- 3월 - 윈스턴 처칠 총리의 철의 장막 발언
- 3월 4일 - 미국-예멘 왕국 수교
- 3월 20일 - 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 3월 21일 - 미합중국 전략공군사령부 설립
- 3월 21일 - 미합중국 전술공군사령부 설립
- 4월 1일 - 연합군 점령하 일본의 국가총동원법 폐지
- 4월 1일 -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 4월 18일 - 국제연맹 해산
- 5월 ~ 1948년 - 극동국제군사재판
- 5월 15일 -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발표
- 6월 ~ 7월 - 크로스로드 작전
- 7월 1일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설립
- 7월 4일 - 필리핀 자치령 독립, 필리핀 공화국 수립
- 7월 4일 - 미국-필리핀 수교
- 11월 1일 - 미국-인도 수교
- 12월 7일 - 와인코프 호텔 화재사고
- 12월 9일 ~ 1947년 - 뉘른베르크 의사 재판
3.3. 1947년
- 1월 2일 ~ 4월 17일 - 뉘른베르크 밀히 재판
- 1월 3일 - 제80대 미국 의회 개원
- 1월 15일 - 블랙 달리아 사건
- 3월 12일 - 트루먼 독트린 발표
- 4월 16일 - 텍사스 시티 폭발 사고
- 5월 21일 - 2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 7월 ~ 1951년 - 마셜 플랜 시행
- 7월 2일 - 로스웰 UFO 추락 사건
- 7월 8일 ~ 1948년 1월 19일 - 뉘른베르크 인질 재판
- 8월 15일 - 맨해튼 계획 종료
- 8월 15일 - 미국-파키스탄 자치령 수교
- 9월 2일 - 미주상호원조조약
- 9월 8일 - 미국-버마 연방 수교
- 9월 18일 - 국방부 설립[1]
- 9월 18일 - 중앙정보국 설립
- 9월 18일 - 미합중국 공군 설립, 미국 공군부 설립
- 9월 28일 - 육군부 설립
- 11월 14일 - 제2차 유엔 총회
- 11월 25일 - 할리우드 블랙리스트 작성 시작
- 11월 28일 - 뉘른베르크 최고사령부 재판
3.4. 1948년
- 2월 16일 - 미국- 네팔 왕국 수교
- 4월 ~ 5월 - 샌드스톤 작전
- 4월 16일 - 유럽경제협력기구 설립
- 5월 3일 - 파라마운트 판결
- 6월 21일 ~ 6월 25일 - 1948년 공화당 전당대회, 토머스 E. 듀이 대통령 후보 지명[2]
- 6월 24일 ~ 1949년 5월 12일 - 베를린 봉쇄
- 7월 2일 ~ 7월 15일 - 1948년 민주당 전당대회, 해리 S. 트루먼 대통령 후보 지명[3]
- 7월 14일 ~ 8월 11일 - 뉘른베르크 폴 재판
- 8월 15일 - 대한민국 정부 수립, 미군정 폐지
- 10월 29일 - 미국- 스리랑카 수교
- 11월 2일 - 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2월 10일 - 세계 인권 선언 채택
- 12월 12일 - 제3차 유엔 총회
3.5. 1949년
- 1월 1일 - 미국 정부의 대한민국 정부 승인
- 1월 3일 - 제81대 미국 의회 개원
- 1월 20일 - 제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취임 및 2기 행정부 출범
- 2월 18일 - 미국-요르단 수교
- 2월 20일 - 주한미국공사관의 대사관 승격
- 3월 25일 - 한미 수교
- 3월 28일 - 미국-이스라엘 수교
- 4월 4일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창설
- 6월 26일 - 주한미군 철수
- 8월 29일 - 소련의 핵개발 성공
- 12월 28일 - 미국-인도네시아 합중공화국 수교
3.6. 1950년
- 1월 12일 - 애치슨 라인 선포
- 2월 17일 - 미국-베트남국 수교
- 6월 16일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6월 25일 - 6.25 전쟁
- 7월 2일 - 주문진항 해전
- 7월 5일 - 오산 전투
- 7월 7일 ~ 7월 9일 - 천안 전투
- 7월 11일 - 미국-캄보디아 왕국 수교
- 7월 13일 - 공주 전투
- 7월 14일 - 대전 전투
- 7월 24일 - 유엔군사령부 설립
- 7월 29일 - 미국- 라오스 왕국 수교
- 9월 15일 ~ 9월 16일 - 인천 상륙 작전
- 9월 22일 ~ 9월 28일 - 9.28 서울 수복
- 10월 18일 ~ 10월 20일 - 평양 탈환작전
- 10월 19일 ~ 12월 6일 - 평양시정위원회 설립
- 10월 19일 - 중국의 6.25 전쟁 개입
- 11월 7일 - 1950년 미국 중간선거
- 12월 15일 ~ 12월 26일 - 흥남 철수
3.7. 1951년
- 1월 3일 - 제82대 미국 의회 개원
- 1월 4일 - 1.4 후퇴
- 2월 6일 - 우드브리지 열차 탈선 사고
- 4월 7일 ~ 5월 24일 - 그린하우스 작전
- 4월 11일 - 더글라스 맥아더 유엔군사령관 해임
- 8월 30일 -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체결
- 9월 1일 -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체결
- 9월 8일 - 미일안전보장조약 체결
- 10월 - 버스터-쟁글 작전
- 12월 24일 - 미국-리비아 왕국 수교
3.8. 1952년
- 4월 28일 -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체결, 일본 국권회복
- 4월 ~ 11월 15일 - 아이비 작전
- 6월 16일 - 미합중국 육군 특수작전부대 창설
- 7월 1일 ~ 7월 11일 - 1952년 공화당 전당대회,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후보 지명[4]
- 7월 21일 ~ 7월 26일 - 1952년 민주당 전당대회, 애들레이 E. 스티븐슨 대통령 후보 지명[5]
- 9월 30일 - 길핀 카운티 제인 도 살인사건
- 10월 3일 - 영국의 핵개발 성공
- 11월 4일 - 1952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1월 4일 - 미국 국가안보국 설립
- 12월 2일 ~ 12월 5일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당선인 방한, 이승만-아이젠하워 한미회담
3.9. 1953년
- 1월 3일 - 제83대 미국 의회 개원
- 1월 20일 - 해리 S. 트루먼 대통령 퇴임 및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취임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044C9><tablebgcolor=#0044C9> |
해리 S. 트루먼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4C9> 일생 | 생애 | |
역대 선거 |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948년 미국 대통령 선거 | ||
정책 | 냉전자유주의 | ||
외국 정상 | 아돌프 히틀러 · 윈스턴 처칠 · 이오시프 스탈린 · 마오쩌둥 · 장제스 · 김일성 | ||
기타 |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 남조선국방경비대 | ||
트루먼 행정부 | |||
외교 | 페이퍼클립 작전 · 트루먼 독트린 · 마셜 플랜 · 베를린 봉쇄 · 북대서양 조약,( NATO), ·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미일안전보장조약 | ||
사건사고 | 제독들의 반란 · 오퍼레이션 크로스로드 | ||
군정 | 미군정 · 평양시정위원회 | ||
자유주의 | }}}}}}}}} |
[1]
전쟁부,
해군부, 국가군사기구 통합.
[2]
부통령 후보는
얼 워런.
[3]
부통령 후보는
앨번 W. 바클리.
[4]
부통령 후보는
리처드 닉슨.
[5]
부통령 후보는
존 스파크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