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9:36:52

포츠담 선언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191919> 한국어 포츠담 선언
영어 Potsdam Declaration
일본어 ポツダム宣言[1]
중국어 波茨坦宣言 (ㄅㄛ ㄘˊ ㄊㄢˇ ㄒㄩㄢ ㄧㄢˊ[2])
波茨坦公告 (ㄅㄛ ㄘˊ ㄊㄢˇㄍㄨㄥ ㄍㄠˋ[3])

1. 개요2. 전문3. 선언문의 해석4. 일본의 반응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포츠담 선언 나치 독일의 항복 이후에도 전쟁 수행 의지를 꺾지 않는 일본 제국 무조건 항복[4]을 촉구하면서 독일 포츠담에서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영국 총리 클레멘트 애틀리 중화민국 주석 장제스[5]가 1945년 7월 26일 포츠담 회담 도중 발표한 선언문이다.

이 최후통첩문에서 연합군은 일본 제국이 이 통첩의 수락을 거부했을 시 즉각적이면서도 완전한 파멸을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고, 결과적으로 일본 제국은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사건 이후인 8월 15일에 히로히토 천황이 선언을 수락하며, 옥음방송으로 포츠담 선언의 수용을 발표했다.[6]

2. 전문

Proclamation Defining Terms for Japanese Surrender
일본의 항복 조건을 규정하는 선언
Issued, at Potsdam, July 26, 1945
1945년 7월 26일 포츠담에서 발표

1. We-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the President of the Nat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 Prime Minister of Great Britain, representing the hundreds of millions of our countrymen, have conferred and agree that Japan shall be given an opportunity to end this war.

1. 수억의 우리 동포들을 대표하여 우리들 미합중국의 대통령, 중화민국 국민 정부의 총통, 그리고 영국의 수상은 일본에게 이 전쟁을 끝낼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 협의했고 합의에 이르렀다.

2. The prodigious land, sea and air forces of the United States, the British Empire and of China, many times reinforced by their armies and air fleets from the west, are poised to strike the final blows upon Japan. This military power is sustained and inspired by the determination of all the Allied Nations to prosecute the war against Japan until she ceases to resist.

2. 서부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지상군과 공군 전력을 증강해 온 미합중국, 대영제국 중국의 엄청난 육해공군은 일본을 향한 최후의 일격을 가할 태세를 마쳤다. 이 군사력은 일본이 저항을 멈출 때까지 전쟁을 수행할 연합국의 투지에 의해 유지되고 또 고무되었다.

3. The result of the futile and senseless German resistance to the might of the aroused free peoples of the world stands forth in awful clarity as an example to the people of Japan. The might that now converges on Japan is immeasurably greater than that which, when applied to the resisting Nazis, necessarily laid waste to the lands, the industry and the method of life of the whole German people. The full application of our military power, backed by our resolve, will mean the inevitable and complete destruction of the Japanese armed forces and just as inevitably the utter devastation of the Japanese homeland.

3. 각성한 전 세계 자유인들의 힘에 대한 독일의 무의미하고 헛된 저항의 결과는 일본 인민들에게 하나의 사례로써 지독하고 명확하게 다가온다. 이제 일본에 집중되는 그 힘은 저항하는 나치에 가했을 때, 어쩔 수 없이 모든 독일 인민들의 산업과 삶의 터전인 땅들을 초토화시켰을 때보다도 가늠할 수 없을 만큼 강력하다. 우리의 결의가 지지하는 우리의 모든 군사력의 적용 일본군의 완벽하고 필연적인 전멸과 그에 따라 어쩔 수 없는 일본인의 고향의 철저한 파멸을 의미할 것이다.

4. The time has come for Japan to decide whether she will continue to be controlled by those self-willed militaristic advisers whose unintelligent calculations have brought the Empire of Japan to the threshold of annihilation, or whether she will follow the path of reason.

4. 일본이 일본 제국을 절멸의 문턱까지 끌고 온 우둔한 계산을 한 아집에 찬 군국주의자 조언자들에게 계속 지배당할 것인지, 아니면 이성으로 향하는 길을 따를 것인지를 결정할 시간이 도래했다.

5. Following are our terms. We will not deviate from them. There are no alternatives. We shall brook no delay.

5. 아래는 우리의 요구 조건이다. 우리는 이 요구 조건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다른 대안은 없다. 우리는 어떤 지연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6. There must be eliminated for all time the authority and influence of those who have deceived and misled the people of Japan into embarking on world conquest, for we insist that a new order of peace, security and justice will be impossible until irresponsible militarism is driven from the world.

6. 반드시 일본의 국민들을 세계 정복에 착수시킴으로써 기만하고 잘못 이끈 자들의 권력과 영향력을 영원히 제거해야한다. 우리는 새로운 평화의 질서, 안전과 정의가 무책임한 군국주의를 지구상에서 몰아내지 않는 한 불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바이기 때문이다.

7. Until such a new order is established and until there is convincing proof that Japan's war-making power is destroyed, points in Japanese territory to be designated by the Allies shall be occupied to secure the achievement of the basic objectives we are here setting forth.

7. 이러한 새로운 질서가 확립될 때까지, 그리고 일본이 전쟁을 일으킬 만한 힘이 남아있지 않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생길 때까지, 우리가 주장한 필수적인 목표들을 확실하게 달성하기 위해 연합군은 일본 내의 특정 지점들을 지정하고 점령할 것이다.

8. The terms of the Cairo Declaration shall be carried out and Japanese sovereignty shall be limited to the islands of Honshu, Hokkaido, Kyushu, Shikoku and such minor islands as we determine.

8. 카이로 선언의 요구 조건들이 이행될 것이며 일본의 주권은 혼슈, 홋카이도, 규슈, 시코쿠, 그리고 우리가 결정하는 부속 도서로 제한될 것이다.[7]

9. The Japanese military forces, after being completely disarmed, shall be permitted to return to their homes with the opportunity to lead peaceful and productive lives.

9. 일본군은 완전히 무장해제된 후, 평화롭고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

10. We do not intend that the Japanese shall be enslaved as a race or destroyed as a nation, but stern justice shall be meted out to all war criminals, including those who have visited cruelties upon our prisoners. The Japanese Government shall remove all obstacles to the revival and strengthening of democratic tendencies among the Japanese people. Freedom of speech, of religion, and of thought, as well as respect for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shall be established.

10. 우리는 일본 민족이 노예가 되거나 일본국이 멸망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의 포로들을 학대한 자들을 포함한 모든 전범들은 엄격하게 재판받을 것이다.[8] 일본 정부는 일본 인민들의 민주주의적 성향의 부활과 강화를 가로막는 모든 장애물을 제거해야 한다. 기초적인 인권을 존중하는 것 뿐만 아니라 언론, 종교 그리고 사상의 자유가 확립되어야 한다.

11. Japan shall be permitted to maintain such industries as will sustain her economy and permit the exaction of just reparations in kind, but not those which would enable her to re-arm for war. To this end, access to, as distinguished from control of, raw materials shall be permitted. Eventual Japanese participation in world trade relations shall be permitted.

11. 일본은 자국을 전쟁을 위한 재무장을 시킬 수 있는 산업을 제외하면 경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종 산업들을 유지할 수 있고, 현물로써 적절한 배상에 대한 징수를 허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배와는 구별되는, 원자재에 대한 접근이 허가될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일본의 세계 무역 거래의 참여가 허가될 것이다.

12. The occupying forces of the Allies shall be withdrawn from Japan as soon as these objectives have been accomplished and there has been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freely expressed will of the Japanese people a peacefully inclined and responsible government.

12. 연합국의 점령군은 이러한 목표가 완수되고 일본 국민들의 자유로운 의지에 따라 평화를 지향하는 책임 있는 정부가 수립되는 즉시 일본에서 철수할 것이다.

13. We call upon the government of Japan to proclaim now the unconditional surrender of all Japanese armed forces, and to provide proper and adequate assurances of their good faith in such action. The alternative for Japan is prompt and utter destruction.

13. 우리는 일본 정부에게 이제 일본군의 무조건적인 항복을 선언하고 이러한 조치에 대한 일본 정부의 적절하고 충분한 성의있는 보장을 제공할 것을 촉구한다. 이에 대한 일본의 다른 대안은 즉각적이고 완전한 파멸이다.
선언문 원문 1[9] 선언문 원문 2[10]

3. 선언문의 해석

"우리는 결코 이 요구 조건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다른 대안은 없다. 어떠한 지연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We will not deviate from them. There are no alternatives. We shall brook no delay.)"라는 단호한 문장으로 일본 제국의 무조건 항복에 대한 그들의 굳건한 의지를 표현하면서, 연합국은 그들의 조건을 세세히 설명 해주었다. 덧붙여서 이러한 조건이 달성된다면 연합국의 점령군은 일본에서 곧 철수할 것임도 명확히 밝혔다.

항목별로 요약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제1~5항: 서문. 일본의 무모한 군국주의자들이 세계 인민과 일본 국민에 지은 죄를 뉘우치고 이 선언을 즉각 수락할 것을 요구.
제6항: 군국주의의 완전한 배제.
제7항: 연합군의 일본 점령.
제8항: 카이로 선언의 실행과 일본 영토의 한정.
제9항: 항복과 무장 해제를 전제로 한 일본군의 귀국 보장.
제10항: 일반 일본 국민의 신변 보장, 전쟁 범죄자의 처벌, 민주주의의 부활과 강화, 언론·종교·사상의 자유 및 기본적 인권 존중의 확립.
제11항: 군수 산업의 금지, 그 외 산업 및 경제 유지, 원자재의 수탈 금지 및 수출입의 허가.
제12항: 민주주의 정부 수립과 동시에 점령군의 철수 약속.
제13항: 일본 군대의 무조건 항복 촉구.

4. 일본의 반응

연합군도 당시 일본 국민들에게 천황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고 있었기에 그 존폐에 대해서는 굳이 언급하지 않았다.[12] 다만, 전범 재판의 당사자들인 핵심 지도층은 둘째치더라도 다른 일반인들에게도 이 선언이 '천황을 재판장으로 끌어내려는 연합국의 뜻'이란 식으로 해석될 여지는 충분히 있었고, 연합국도 천황제 존속을 인정한 것이지 기존의 천황인 히로히토를 처벌하지 않겠다고 명시하지는 않았다.[13] 결국 일본 정부는 이 포츠담 선언을 "묵살"한다고 밝혔으나, 미국은 몰락 작전으로부터 발생할 미군의 천문학적인 인명피해를 막고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유도하기 위해 원폭을 투하했다.[14]

사실, 포츠담 선언의 내용은 애매한 선전포고 선빵을 때린 일본 제국의 전적, 그리고 연합군과의 격차를 고려하면 매우 파격적인 조건이었다. 이후의 경제제재에 대한 논의도 없었고, 재무장 제한에 대한 이야기도 없었다. 이는 일본을 멸망시려는 의도가 아니라 일본을 점령하여 동아시아에서 장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미국의 의향이 있었고, 또한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게 아니라 중간에 끼어들었다고 간주되어 죄질이 상대적으로 가볍다고 평가됐기 때문이다.[15] 특히나 이는 독일에 제시한 항복 조건과 비교했을 때 의도가 더욱 선명했다.

이후 SCAP의 행정,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등 전후 처리까지 미국 일본의 편의를 봐준 일화가 많다. 이 경우는 주변 강대국과 이해관계가 충돌한 독일과 달리, 일본은 그런 강대국이 없어서 미국이 독자적으로 일본을 쥐고 흔들었기 때문이다. 중국이 건재했다면 엄청난 반발에 부딪쳤겠지만, 국공내전 및 전후 혼란을 수습하느라 외교에 신경 쓸 여력이 없었다.

5. 같이 보기



[1] ポツダムせんげん [2] bō cí tǎn xuān yán [3] bō cí tăn gōng gào [4] 이 '무조건'이라는 조항이 당시 일본 제국 항복을 주저시킨 가장 큰 문제였다는 의견도 있다. 왜냐하면 무조건 항복이란 천황의 안위를 위협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전후 연합군 최고사령관이였던 더글러스 맥아더가 일본의 사정을 감안해 천황제를 유지하였으나, 원자폭탄은 이미 터진 이후였다. [5] 포츠담 회담에는 스탈린이 참석했지만, 당시 소련은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장제스가 선언에 이름을 넣었다. 장제스는 대륙타통작전으로 입은 피해를 복구하느라 회담에는 참여하지 못했다. 소련의 대일 선전포고는 8월 8일에 이루어진다. [6] 원자폭탄의 위력에 관해 특별히 설명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실제 선언문에선 저런 막연한 경고로 그쳤다. [7] 카이로 선언은 일본이 1914년 이후 태평양에서 차지한 섬들, 만주, 요동 반도, 타이완 섬 등 구 중국의 영토, 그리고 일제 치하의 조선 등 일본이 제국주의적 확장을 통해 부당하게 획득한 영토의 몰수를 요구한 선언으로, 8번 항목은 이를 재확인하고 전후 일본의 영토를 다시금 규정한 것이다. [8] 전후 극동국제군사재판이 실시되었다. [9] 미국 정부. 설명을 위한 각주까지 달려 있다. [10] 일본 국회도서관 [11] 물론 포기하여야 하는 영토에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도 포함이다. [12] 연합국은 무솔리니 실각 후 이탈리아 왕국이 항복 교섭을 요청하였을 때도 다른 요구조건(식민지 유지, 유고슬라비아에서 병합한 영토 유지 등)은 수용할 수 없으나, 왕정 보전 및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왕위 유지는 수용했다. 1946년에 이루어진 이탈리아의 왕정 폐지는 연합국 주도가 아니라, 자발적인 개헌을 통해 진행되었다. [13] 실제로 미국은 전후 천황제를 폐지하거나 히로히토를 처벌하지 않았기에 연합국이 천황의 안위 보장을 굳이 명시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천황제 유지 및 히로히토 불기소라는 미국의 내부 결정과 별개로 적국인 일본에 연합국의 강한 결의를 관철하기 위함이었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14] 사족으로 이 '묵살'의 경우 한국어로는 묵살이 '완전히 무시한다' 정도의 의미밖에 없지만 일본어에는 1. '무시한다', 2. '보류한다'라는 2가지 뜻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고, 그래서 당시 일본의 입장문에 대한 논쟁도 있다. 하지만 전쟁 중에 2번으로 해석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고, 당연히 연합군도 1로 받아들였다. 애초에 패배가 거의 확정난 마당에 보류하고 싶었으면 연기나 보류 등의 단어를 직접 언급해야 했으나, 이를 발표한 스즈키 간타로는 대놓고 '(포츠담 선언은) 아무런 중요성이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전쟁을 지속할 노력을 할 뿐이다'라고 발언하며 1의 의미가 맞다는 것을 확인사살하였다. 게다가 애당초 5조에서 어떤 지연도 용납하지 않겠다고 한 이상 보류도 무시와 다를 게 없었다. 즉, 전후 사정을 볼 때 연합국이 '오역'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오역/일반사회 문서에도 이에 대한 설명이 있다. [15] 이는 연합국이 추축국 가운데에서도 독일을 가장 큰 책임국으로 지목했기 때문이다. 미국 역시 진주만 공습 결정에 있어 미국을 공격하라는 독일의 설득이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했다. 이런 이유로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도 사형에 해당하는 B, C급 전범 혐의까지 유죄 판결을 받지 않으면 징역형을 받고 얼마 안되어 석방되는 사례도 빈번했다. [16] 5월 8일 주코프가 서명한 이 항복조건은 일부 독일군이 산발적인 저항을 계속하는 계기가 되었다. [17] 물론 안 지켜진 경우도 있었는데 일례로 고위직 포로들의 경우 자신들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소련이 넘겨달라고 요구해도 거부했다. [18] 물론 태평양 전선의 경우 소련은 마지막에 숟가락만 올렸기 때문에 타 연합국에 일본군 포로 회부를 요구할 명분이 전혀 없었는데, 실제 소련은 종전 일주일 전까지 일본과 중립관계를 유지했다. 사실 엄밀히 보면 소련이 일본군을 장기간 억류한 것도 포츠담 선언을 명백히 위반하는 행위였으며 후에 서방 연합국들도 이를 비난했다. 게다가 타 연합국과 비교해도 미국의 지분이 압도적이었는데 영국과 영연방 및 중국도 전쟁 내내 방어전에 급급했으며 전쟁 막판에야 일본군에 대해 제한적으로나마 공세를 개시했다. 반면 미국은 전쟁 내내 일본에 공세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1945년 3월에 가서는 일본 본토 공습을 수행하며 일본을 최후의 모퉁이까지 몰아세웠다. [19] 애초에 문서 자체에 '지뢰 제거 등'이 명시되어 있다. [20] 다만 천황이 일본에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던 시기 자체가 극히 제한적이며, 따라서 상징적 존재와 마찬가지였고 실권을 흔들었던 도조 히데키 및 군국주의자들은 재판에 회부되어 처벌을 받았다. [21] 다만 이 지역은 1957년 국민투표로 결국 서독으로 반환되었다. [22] 이마저도 남사할린은 과거 일본이 러일전쟁을 통해 러시아로부터 빼앗은 토지였고 1943년에야 내지에 편입되었기에 사실상 그 성격은 조선, 대만 등 식민지 상실과 크게 다를 바 없었고 그나마 쿠릴 열도 정도만이 외국으로부터 무력으로 빼앗은 토지가 아니었다. 특히 쿠릴 열도 남부에 해당하는 북방영토는 막부 시기에 편입된 고토였기에 현재까지 러일 양국의 분쟁 대상이다. 하지만 여전히 독일의 본토 손실과 비교하면 가볍다는 인상은 지울 수 없다. [23] 다만 북방 지역 뿐만 아니라 남방 지역에서도 일본의 본토(내지) 손실은 있었는데 미국은 류큐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를 일본의 시정권에서 제외하여 자국의 군정 관할에 편입했다. 그러나 주민들의 반발과 미일관계의 급진전으로 이 영토들은 순차적으로 일본에 반환되었다. 미국도 피를 흘려 점령한 오키나와만큼은 소련의 칼리닌그라드처럼 태평양 전쟁의 전리품으로 유지하고 싶었기에 주민 투표까지 실시했으나 오키나와 주민들이 압도적으로 일본 복귀를 지지했고 결국 1972년에 오키나와를 일본에 최종적으로 반환하여 영토 문제를 매듭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