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00:48:58

정조(조선)/가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정조(조선)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F1400><tablebgcolor=#bf1400><:>
조선 국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c22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black,#ddd> 태조 <colbgcolor=#fff,#1f2023> 생애 | 건원릉 | 왕씨 몰살 | 이성계 여진족설 | 조선태조어진 | 전어도 | 종계변무 | 평가 | 여담 | 대중매체 | 가족 관계
<rowcolor=black,#ddd> 태종 생애 | 평가 | 헌릉 | 태종우 | 일화 | 가족 관계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세종 업적 | 비판과 반론 | 특이한 기록들 | 한양 대화재 | 가족 관계 | 영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세조 생애 | 평가 | 광릉 | 어진 | 대중매체 | 기타
<rowcolor=black,#ddd> 예종 민수사옥 | 남이의 옥
<rowcolor=black,#ddd> 성종 생애 | 선릉
<rowcolor=black,#ddd> 연산군 생애 | 여담 | 연산군묘
<rowcolor=black,#ddd> 선조 평가 | 목릉
<rowcolor=black,#ddd> 광해군 생애 | 대동법 | 평가 | 광해군묘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인조 평가 | 장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영조 생애 | 인물(성격) | 원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정조 생애 | 정조 어찰첩, 정조 한글어찰첩 | 가계 | 정조 어진 | 건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순조 홍경래의 난 | 세도정치
<rowcolor=black,#ddd> 철종 생애 | 임술농민봉기
<rowcolor=black,#ddd> 고종 생애 | 즉위 배경 | 홍릉 | 평가 | 여담
<rowcolor=black,#ddd> 순종 유릉 | 대중매체
}}}}}}}}} ||




1. 가계
1.1. 조상1.2. 배우자/자녀
2. 기축별감 사건(1769년)3. 20년 간의 짝사랑(1766년~1786년)4. 병오년의 변고(1786년)5. 상상 임신(1781년, 1787년)

1. 가계

1.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정조
(正祖)
<colbgcolor=#fff3e4,#331c00> 장조
(莊祖)
<colbgcolor=#ffffe4,#323300> 영조
(英祖)
숙종
(肅宗)
화경숙빈 최씨
(和敬淑嬪 崔氏)
소유영빈 이씨
(昭裕暎嬪 李氏)
증 좌찬성
이유번
(贈 左贊成 李楡蕃)
증 정경부인
한양 김씨
(贈 貞敬夫人 漢陽 金氏)
헌경왕후
(獻敬王后)
영풍부원군
홍봉한
(永豊府院君 洪鳳漢)
홍현보
(洪鉉輔)
풍천 임씨
(豊川 任氏)
한산부부인
이씨
(韓山府夫人 李氏)
이집
(李潗)
기계 유씨
(杞溪 兪氏)

1.2. 배우자/자녀

2. 기축별감 사건(1769년)

1769년(영조 45년), 정조는 여동생 청선공주의 남편 흥은위 정재화, 그리고 별감들과 기생집을 드나드는 등 방황의 시간들을 보낸다. 이 일은 일명 '기축별감사건'으로 《한중록》에 기록되어 있다. 이후 정조가 여색을 가까이 하지 않는 모습과 대조적인데, 이 때 정조의 나이가 흔히 질풍노도의 시기라 불리는 18세였던데다, 세손빈과 금슬이 친밀치 못했고, 마음에 둔 궁녀에게는 거절당했으니 일종의 사춘기의 반항이었을지도?

3. 20년 간의 짝사랑(1766년~1786년)

정조가 26살이던 1778년(정조 2년), 왕대비 정순왕후 후궁 간택령을 내리면서 정조는 궁인을 가까이 하지 않는다고 말하였다. 이 간택령으로 간택된 후궁이 바로 홍국영의 여동생 원빈 홍씨이다.
"대궐(大闕) 안에 있는 궁인(宮人)을 어찌 많지 않다고 하겠습니까마는, 주상(主上)의 본래부터의 성념(聖念)이 미천(微賤)한 처지의 사람에게서는 마음을 두지 않으려고 합니다."[3]
"빈( 의빈)을 후정(후궁)의 반열에 둔지 지금까지 20년이다."
嬪之置後庭之列廿載于玆
- 정조, 《어제의빈묘지명》 #

앞서 여러 기록에 나오듯 정조는 여색을 가까이 하지 않은 왕이었다. 그런데 순애보적인 모습도 보이는데, 정조가 직접 쓴 《 어제의빈묘지명》에 그 일화가 전한다.

1766년(영조 42년), 정조는 15살이던 당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친정집 청지기의 딸이자 처소 궁녀였던 나인 성덕임(당시 14세)에게 승은을 내리려 했다. 그러나 의빈 성씨는 세손빈(당시 14세)가 아직 아이를 낳지 못했으니 울면서 못한다고 사양하고 죽음을 맹세하고 명을 따르지 않았다고 한다. 이는 맞는 말이라 정조는 이를 받아들여 다시 재촉하지 않았다.

당시 실록이나 일기에 이 사건이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당시 일은 오랫동안 비밀로 한 것 같은데, 아버지 사도세자가 궁녀들을 가까이해서 할아버지 영조의 눈밖에 나 죽기까지 했던 과거를 생각한다면 첫날밤을 막 치른 젊은 세손이 세자와 같은 비행을 저지른다고 영조의 눈밖에 날 우려가 있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그 때문인지 정조도 즉위할 때까지 가만히 있었다.

이후 후사(後嗣) 문제 때문에 15년 동안 후궁(원빈 홍씨, 화빈 윤씨)을 뽑았고 다시 의빈에게 승은을 명하였지만 또 사양했다. 또 사양한 이유는 안 나와 있다. 그러자 정조가 의빈의 사속(私束, 궁녀가 부리는 하인)을 책벌한 연후에야 비로소 스스로 명(승은)을 따랐다고 한다.[4]

여색을 가까이 하지 않았던 정조가 15년이나 기다려 취할 정도면 의빈 성씨는 상당히 재색(材色, 미모를 갖추다)[5]을 갖춘 여인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정조가 직접 쓴 어제의빈묘지명에 따르면 여홍(=여공, 바느질·자수)에 민첩하고, 요리도 잘하고, 붓글씨도 범상치 않고[6], 수학도 잘했다고 한다.

의빈 성씨는 정조에게 대단한 총애를 받아서 연년으로 유산 2번, 문효세자, 딸 하나를 낳지만 딸은 옹주 책봉되기도 전에 요절해 죽었다. 거기다 의빈 성씨는 만삭인 상태에서 문효세자를 잃고 슬퍼하다 사망해 마지막 아이 또한 복중 사망한다. 5년간 5번의 임신은 정조가 그만큼이나 의빈을 매우 총애했다는 뜻이다. 정조는 의빈 성씨와 그 아들 문효세자의 무덤(효창원)에 몇 번이나 거둥(왕의 행차)하였고,[7] 이 때문에 오늘날 서울 용산구 효창동에 있는 고개의 이름이 거둥고개가 되었다는 슬픈 이야기가 전한다. 서울 지명 사전

여담이지만 숙종 - 영조 - 사도세자 - 정조에 이르기까지 4대 째 웃전의 궁녀에게 반했다. 숙종은 증조모 장렬왕후 처소의 궁녀였던 희빈 장씨에게,[8] 영조와 사도세자는 각각 법모/조모인 인원왕후 처소의 궁녀였던 영빈 이씨, 경빈 박씨에게, 정조는 어머니 처소의 궁녀 의빈 성씨에게 반해 후궁으로 삼았고 아들인 문효세자를 얻었다.

4. 병오년의 변고(1786년)

임오화변으로부터 24년 뒤인 1786년(정조 10년, 병오년)에는 유독 정조와 관련된 인물들이 많이 죽었다. 5월 11일, 맏아들 문효세자 홍역이 발병한 지 8일 만에 훙서(薨逝)했으며,[9] 7월에는, 계조모 정순왕후의 오라비인 김귀주가 유배지인 흑산도에서 죽었다. 9월 14일, 셋째를 임신 중이던 후궁 의빈 성씨가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으로 졸(卒)하였고, 11월에는 조카 상계군 담이 의문사했다.[10]

정조는 이러한 불행의 원인이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 자리(지금의 양주 변두리 지역)가 흉지(凶地)이기 때문이라고 판단했고, 정조 11년( 1787년)에 올라온 상소에 따라 사도세자의 무덤을 수원 화산(華山)에 천장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11]

5. 상상 임신(1781년, 1787년)

《정조실록》에 의문의 산실청 기록이 두 번 보인다. 산실청은 비빈의 출산을 돕기 위해 설치하는 임시관청으로 보통 출산 6일 뒤에 철수된다. 《정조실록》 첫 산실청 기록은 1781년(정조 5년) 1월, 후궁 화빈 윤씨의 산실청 설치 기록이다. 10개월 뒤인 《일성록》1781년 11월에 화빈의 출산을 고대하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그 뒤 어디에도 출산 기록은 없고, 화빈의 산실청이 무려 30개월이나 지속되었다는 기록만 보인다.

비슷한 케이스로 1787년(정조 11년) 9월, 이번에는 정조의 정비 효의왕후가 임신하여 산실청을 설치했다. 정조는 6년 전 화빈이 임신하자마자 산실청을 설치했으나 출산에 이르지 못한 실망감 때문인지 이번에는 해산달에 산실청을 설치했다. 그러나 1년이 넘도록 출산하지 못했고, 결국 1788년(정조 12년) 12월, 산실청을 철수했다.

이들의 경우 공통적으로 산실청이 1년 넘게 지속되었으나 어디에도 출산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볼 때 임신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상상 임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2]

그런데 화빈처럼 중전 효의왕후도 상상 임신이었지만 화빈과는 다른 점이 효의왕후의 경우에는 상상 임신이었어도 산실청을 철수한 기록이 실록에 남아 있는데 반해, 화빈은 산실청을 철수한 기록도 없다.


[1] 숙선옹주의 손자 홍승억마저 후손을 남기지 못하고 죽게되어 정조의 친자손들은 현재 전부 절손되었다. [2] 정조대에 가선 왕실의 손이 워낙 귀해졌고 모친은 정조에게 가장 사랑받는 여자였는데다가 이미 위로 각각 2번의 유산과 요절이 있었기 때문에 태어나기만 했으면 금이야 옥이야 자랐을 텐데 엄마 뱃속에서 세상 빛도 못 보고 죽었다. [3] 1778년, 정순왕후의 후궁 간택령(조선 왕조 실록) [4] "承恩之初以內殿之姑未誕育涕泣辭以不敢矢死不從命予感之不復迫焉後十五年廣選嬪御復以命嬪又固辭至責罰其私屬然後乃從命自當夕之月卽有身以壬寅九月誕元良是歲封昭容旋進秩宜嬪以子貴也", 정조 《어제의빈묘지명》 [5] "嬪之葬必用予銘豈爲才色之不忘乎哉", 정조 《어제의빈묘지명》 [6] 실제로 정조의 두 여동생 청연공주, 청선공주와 전10권에 달하는 고전 소설 《곽장양문록》을 필사하기도 했다. [7] 문효세자가 먼저 죽고 뒤이어 의빈 성씨가 죽었는데 정조는 모자(母子)가 함께 있으라고 의빈 성씨를 아들 문효세자 옆에 묻어줬다. 아무리 친모여도 후궁 왕세자 옆에 묻히는 건 이례적인 일이다. 정조가 기존 규례를 깨고 배려해 준 모양이다. [8] 숙빈 최씨는 웃전 소속은 아니다. [9] 우연의 일치이지만, 아버지 사도세자도 뒤주에 갇힌 지 8일 만에 죽었다. [10] 자살했다는 설, 아버지 은언군이 죽였다는 설이 있다. [11] 그리고 신기하게도 진짜 나중에 순조가 되는 아들이 태어난다. 더욱 놀라운 건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와 생일 일자가 같아서 이걸 보고 더 좋은 길조라고 정조는 생각 했다고 한다. [12] 정조 5년(1781년), 정조 11년(1787년)은 정조가 무남이던 때였다. 왜냐면 정조의 장남인 문효 세자는 정조 6년~정조 10년까지 살았고 정조의 차남인 순조는 정조 14년( 1790년)에 태어났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7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