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08:40:30

고종(대한제국)/즉위 배경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종(대한제국)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09C00, #E8CB2D 20%, #E8CB2D 80%, #C09C00)"
고종 관련 문서}}}
생애 · 홍릉 · 어진 · 즉위 배경 · 평가 · 대중매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a122d, #6d1b43 20%, #6d1b43 80%, #4a122d)"{{{#!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6d1b43><tablebgcolor=#6d1b43> 파일:기린 흉배.png 흥선대원군
관련 문서
}}}
생애 · 섭정 배경 · 평가 · 여담 · 매체

1. 개요2. 고종과 선왕 철종과의 관계3. 철종 승하 당시 왕실 상황
3.1. 은언군가3.2. 은신군가3.3. 은전군가
4. 인평대군파의 종가에서 택군하는 선택지?5. 그럼에도 흥선군의 로비가 즉위에 영향을 미쳤다

1. 개요

조선 제26대 국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고종의 즉위 배경을 다룬 문서이다.

굳이 별도로 문서를 분리해 작성해야 할 정도로 고종의 즉위 배경은 매우 복잡하다. 이는 조선 후기부터 이어진 왕실의 잦은 절손[1] 현상에 기인하며,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2. 고종과 선왕 철종과의 관계

파일:IMG_0262.jpg
<colbgcolor=#bf1400> 2018년 9월 9일에 방영된 KBS 〈역사저널 그날〉에 등장한 철종-고종 가계도
어질어질하다

고종은 선왕 철종과 즉위 전까지는 법적( 양자제도)으로 9촌이었고,[2][3] 실제 혈통상으로는 무려 17촌(고종은 철종의 17촌 조카 = 7종질 = 7종 조카[4][5][6]이었다. 고종은 원래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직계 8대손으로, 인평대군의 형 효종의 후손들로 이어진 왕실 직계와는 정말 너무나도 멀고 먼 방계였다. 그러나 할아버지 남연군이 정조의 이복동생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하여 가까운 직계 왕실의 일원이 되었다.

그래도 17촌이나 9촌이나 일반적인 시각에서는 먼 친척 관계의 촌수였다.

3. 철종 승하 당시 왕실 상황

그래서 흥선군의 정치공작으로 철종과 가까운 다른 왕손을 제치고, 고종이 왕이 되었다는 얘기가 돌았다. 결론부터 말하면,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파일:조선후기 왕실 가계도(혈통).png
<colbgcolor=#bf1400>양자 관계를 배제하고 실제 혈통 계보만 그린, 철종 사망 당시(1864년 1월) 효종 계열 남계 자손 가계도.
연한 노란색 바탕 인물은 친아들 없이 사망한 사람들이며, 저 표의 인물들 중 1864년(고종 즉위년) 1월, 고종의 즉위하는 달 기준 영평군과 재성( 경은군)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망했다.
그 전에 알아둬야 할 것은 왕위 계승의 법칙상 후임 왕은 반드시 선왕의 아랫대나 최소한 같은 항렬에서 나와야 했고,[7][8] 저 당시 철종의 후계자가 될 종친들 중 핏줄상 가장 가까운 게 17촌이었다는 것이다. 5촌 조카 재성이 있긴 했지만 밀려났다. 이유는 후술. 그리고 재성과 영평군을 제외하면 효종의 실제 남자후손이 아예 없었으며, 그나마 가장 가까운 혈통이 효종 형제들( 소현세자, 인평대군)의 후손들인데, 그들 중 철종의 조카 뻘인 사람들과 철종의 촌수를 계산하면, 무려 17촌이 되는 것이다.[9]

철종이 사망할 당시 왕손들은 전부 족보상 사도세자의 후손들, 정확하게는 서자 3명 은언군, 은신군,[10] 은전군의 후손들이었다. 당시 철종의 조카뻘 항렬인 왕손들은 은언군 계열인 재덕( 덕안군), 재성( 경은군), 은신군 계열인 재원( 완림군), 재긍( 완영군), 재면( 흥친왕), 명복(고종), 재선( 완은군), 은전군 계열인 재근( 인양군)이 있었다.[11][12]

3.1. 은언군가

재덕과 재성은 은언군의 장손 익평군의 아들이었다. 이 중 재덕은 은언군의 제사를 받들어야 하는 종손이었으며 양자였다. 그런데다 실제로는 중종 때 갈라진 덕흥대원군의 후손이었기에 혈통적으로 너무 멀었으며, 입양 시기도 철종이 죽기 바로 직전이었다.

재성은 익평군의 친아들로 철종의 이복형 영평군을 제외하면 철종과 혈연상 가장 가까웠지만 고작 3살밖에 안 된 너무 어린 아이인데다 서출이었다. 여기서 '서출이 왜 문제인가?'하고 의아해 할 수 있다. 왕족의 서출이면, 일반 사가와는 다르게 왕족으로 대우받고 왕이 된 경우[13]가 이전에 더러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것은 왕의 4대손까지만 적용되는 것이었고, 재성은 왕의 5대손을 넘어갔기 때문에 일반 사대부가의 서얼과 같은 위치로 간주되었다.[14]

애당초 재성이 저런 결격 사유로 인해 은언군 가문을 잇지 못했기 때문에 재덕의 입양이 이뤄진 것이었다. 그래서 재성이 혈통 기준으로는 최우선 순위였지만, 밀려났다. 저런 상황 때문에 은언군 가문에서는 왕을 배출할 수 없었다.[15]

3.2. 은신군가

흥선군의 아버지 남연군이 바로 이 은신군의 양자이다. 남연군과 그의 자손들은 실제로는 인조의 아들 인평대군의 직계 후손이었기 때문에 혈통상으로 그나마 왕통과 가장 가까웠다. 또한 후손들도 나름 많이 있어 현실적으로도 가장 안정적으로 왕위를 이을 수 있는 집안이었다.

3.3. 은전군가

서열상 은신군가보다 낮았으며, 실제로는 인조 계통조차 아닌 선조의 9남 경창군의 후손이라서[16] 왕통과의 혈연적 거리가 위의 은신군가보다도 더 멀었다. 즉, 법적으로든 실제 혈연상으로든 은신군가에게 계승권이 밀리면 밀렸지 결코 앞서지 못하는 처지였다.

4. 인평대군파의 종가에서 택군[17]하는 선택지?

파일:인평대군 종가 수정2.png
<colbgcolor=#bf1400>양자 관계를 배제하고 실제 혈통 계보만 그린, 철종 사망 당시 인평대군 종가 남계 자손 가계도.
진익의 후손만 표시되었으며, 연한 노란색 바탕 인물은 남연군의 일가이고, 밑으로 계보가 이어지지 않은 사람들은 아들없이 죽었거나 아직 아들을 못 낳은 사람들이다.
빨간색 테두리는 철종의 조카뻘 항렬, 즉 다음 왕 후보가 될 수 있었던 항렬이다.
어차피 실제 효종계가 끊겼고, 사도세자의 후손들이 전부 양자라면, 차라리 그냥 가장 가까운 혈통인 인평대군파의 종손을 왕으로 세우면 되지 않냐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따져도 남연군 집안에서 선택해야 했다. 왜냐하면 남연군은 상술했듯 인평대군의 직계 후손인데, 그중에서도 인평대군 4대 종손 진익의 차남 병원의 차남이기 때문이다. 종손을 옹립하자면서 중간에 갈라진 집안에서 고른다는 말이 모순으로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문단의 요지는 양자 입적 등 법적 요소를 다 배제하고, 오롯이 종가의 적장자 혈통만을 따졌을 때도 남연군 집안이 최우선위였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째서 저런 이야기가 나왔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인평대군 종가 자체는 진익의 장남 병순(즉, 남연군의 큰아버지)의 후손으로 이어졌지만, 철종 사망 당시 병순의 후손들 중 철종의 조카뻘 항렬은 없었다. 그리고 당시 인평대군의 종손인 연응은 철종과 같은 항렬이었다.[18]

그래서 차순위인 병원의 후손들 중에서 골라야 했는데, 병원의 장남 도중 계열은 3남 휘중의 장손 재윤이 고종 즉위 후에 양자로 들어가 이었다.

그렇다면, 병원의 차남 계열에서 고르는 것이 최선인데, 그 차남이 바로 남연군이다. 즉, 족보상으로든, 혈통상으로든 어떻게 따지고 들어가도, 은신군 - 남연군 후손들 중에서 다음 왕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

5. 그럼에도 흥선군의 로비가 즉위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남연군 후손들은 많았고, 그 중에서도 굳이 명복이 국왕으로 선택받은 것은 순수한 흥선군의 정치적 로비 결과이다. 심지어 흥선군의 형인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에겐 모두 아들이 1명씩 있었으며, 흥녕군과 흥완군의 자식은 양자였지만, 이들도 다 친동생들의 자식이라 남연군의 자손인 것은 매한가지라서 혈통의 문제는 없었다.[19] 흥선군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종법상의 서열을 무시하고, 자신의 아들을 왕으로 내세웠다.

원래 종법제 하에서 적통 아들이 1명뿐인 경우에는 다른 계통으로 입양시키지 않고, 그 다음 순위 서열에 해당하는 사람이 입양가는 관습은 있었다. 그러나 이는 절대적인 규칙이 아니었으며, 이를테면, 새로 입적하는 집안이 본가보다 서열이 더 높은 경우에는 적통 아들, 심지어는 차기 종손을 입적시키는 일도 있었다. 이러한 사례로는 대표적으로 경창군의 10대 종손이 될 예정이었으나, 흥완군에게 출계한 을경( 완순군), 경창군의 증손 연은군 가문의 7대 종손이 될 예정이었으나, 영평군에게 출계한 순달( 청안군) 등이 있다. 그런 점을 볼 때 재원, 재면, 재긍이 철종 혹은 익종의 양자로 들어가는 것 역시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선택지였다.

재긍은 생모가 세도 가문 신 안동 김씨이어서 안동 김씨 세도를 경계하던 차기 왕위 지명 최종결정권자인 효유대왕대비( 신정왕후) 조씨는 재긍을 후계자로 정할 마음이 전혀 없었다. 이는 정치적인 요소가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아무리 형 흥완군에게 양자로 보냈다지만, 자신의 적장자인 재면 대신[20] 차남인 명복을 왕으로 추대한 것도 나름 이유가 있었다. 철종이 사망할 당시 재면은 19살로 당시 기준으로는 성인이었다. 따라서 재면이 왕위에 오르면 흥선군이나 대왕대비가 섭정하며 권력을 마음대로 주무르는 것이 어렵거나, 사실상 불가능했다. 그래서 흥선군은 나이가 찬 재면이 아니라, 아직 어려 당분간은 마음대로 쥐고 흔들 수 있는 둘째 아들, 즉 어린 12살 명복을 다음 왕으로 추대한 것이었다.

혈통 문제 및 흥선군의 사전 작업으로 명복이 제26대 임금 고종으로 정식 즉위했다. 흥완군의 양자로 갔던 형 재면은 동생인 고종의 즉위로 인해 본가로 돌아가 본래 가문인 흥선대원군의 대( 운현궁)를 다시 정식으로 이었다.


[1] 가문을 이을 자손을 두지 못함 [2] 철종이 명경대왕대비( 순원왕후) 김씨에 의해 순조의 양자로 입적하여 정조의 손자가 되었다. 정조는 사도세자(장조)의 이복형인 진종( 효장세자)의 양자였으므로, 법적으로 사도세자의 현손(4대손) 고종과 진종의 증손(3대손) 철종은 영조를 공통조상으로 한 9촌 간이다. [3] 고종이 익종( 효명세자)의 양자로 입적하여 왕이 되었으므로, 즉위 후에는 철종과 3촌 작은아버지, 조카지간이다. [4] 종질=5촌, 재종질=7촌, 3종질=9촌, 4종질=11촌, 5종질=13촌, 6종질=15촌, 7종질=17촌 [5] 실재 혈통상으로 고종 태황제(본인) → 흥선대원왕(1대조) → 남연군(2대조) → 이병원(3대조) → 이진익(4대조) → 안흥군(5대조) → 의원군(6대조) → 복녕군(7대조) → 인평대군(8대조) → 인조(9대조) → 효종(10촌) → 현종(11촌) → 숙종(12촌) → 영조(13촌) → 장조 의황제(14촌) → 은언군(15촌) → 전계대원군(16촌) → 철종 장황제(17촌) [6] 법적으로 고종 태황제(본인) → 문조 익황제(1대조) → 순조 숙황제(2대조) → 정조 선황제(3대조) → 장조 의황제(4대조) → 영조(5대조) → 진종 소황제(6촌) → 정조 선황제(7촌) → 순조 숙황제(8촌) → 철종 장황제(9촌) [7] 사실 유교적 종법상 엄밀히 따지면 같은 항렬이라도 선대 군주보다 나이가 많으면 안된다. 인종- 명종, 경종- 영조 같이 동생이 이은 케이스도 있긴 하지만 명종은 인종 사망 당시 마지막으로 남은 적통이었고(나머지는 모두 서자 출신), 영조는 왕손이 귀해지는 바람에 가까운 친척이 아무도 없었다. 그리고 이런 경우는 나이가 더 어려야 했기 때문에 철종의 친형 영평군이나 철종의 친척 형 흥선대원군은 왕이 될 수 없었다. [8] 철종은 예외적으로 항렬상 선왕 헌종의 숙부 뻘이었지만 본인의 가계를 제외한 나머지 왕족들이 너무 먼 왕족들이라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어 법도를 어기고 즉위시킨 것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또 법도를 어기는 것은 무리였으므로 나이가 다소 어리더라도 가급적 (헌종과는 같은 항렬인) 철종의 아들뻘 항렬('재'O 돌림) 중에서 다음 왕을 정하는 것이 예법에 맞는 행동이었다. [9] 이들의 공통조상인 인조를 기준으로, 철종은 인조의 8대손이고, 소현세자파, 인평대군파의 조카뻘되는 왕족들은 9대손이다. [10]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제사를 받드는 봉사손(奉嗣孫)이었다. 그러나 죽은 후에 지명받았으며, 항렬상 계보가 명확하지 않아서 당시에는 은신군을 사도세자의 친자로 인식했다. [11] 철종의 형 회평군은 자식 없이 죽었고 영평군 또한 후사가 없었다. 영평군은 훗날 양자를 들이는데, 고종 즉위 이후의 일이다.( 어른의 사정 때문에 회평군의 후사는 두지 않았다.) [12] 은전군파의 재근에겐 동생 3명이 있었지만 다 고종 즉위 이후에 태어나서 저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13] 서출로서 국왕이 된 대표적인 예가 영조, 순조. [14] 그의 조상 중 마지막으로 임금이었던 사람은 5대조 영조였다. 고조부 사도세자가 장종(莊宗)으로 추존되기는 했지만, 그것은 한참 뒤인 대한제국 수립(1897년) 이후의 일이었다. [15] 만일 재성의 나이가 고종이랑 비슷하거나 조금 많았다면, 재성이 즉위할 가능성도 있었을 것이다. [16] 정확히는 은전군의 양손자로 입적한 완평군(재근의 아버지)이 경창군의 9대손이었다. [17] 擇君. 더 나은 임금을 선택하다. [18] 연응의 아들인 재극은 고종이 즉위한 이후에 태어나서 저 당시에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았다. 그리고 병순의 차남 화중의 손자 재하가 생존해 있긴 했지만, 그는 원래 광평대군파 출신으로 나중에 입양왔다. [19] 흥녕군의 양자는 재원(흥완군의 친자)이었고, 흥완군의 양자는 재면(흥선군의 친자), 흥인군의 아들은 재긍이었다. [20] 심지어 고종 즉위 후 다시 불러들여 본인의 후사를 잇게 하기도 했다. 이를 보면 사실상 흥완군의 양자로 들어갔다는 건 배제할 이유는 아니었던 셈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23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2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