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1 18:24:02

영조/대중매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영조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F1400><tablebgcolor=#bf1400><:>
조선 국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c22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black,#ddd> 태조 <colbgcolor=#fff,#1f2023> 생애 | 건원릉 | 왕씨 몰살 | 이성계 여진족설 | 조선태조어진 | 전어도 | 종계변무 | 평가 | 여담 | 대중매체 | 가족관계
<rowcolor=black,#ddd> 태종 생애 | 평가 | 헌릉 | 태종우 | 일화 | 가족관계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세종 업적 | 비판과 반론 | 특이한 기록들 | 한양 대화재 | 가족관계 | 영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세조 생애 | 평가 | 광릉 | 어진 | 대중매체 | 기타
<rowcolor=black,#ddd> 예종 민수사옥 | 남이의 옥
<rowcolor=black,#ddd> 성종 생애 | 선릉
<rowcolor=black,#ddd> 연산군 생애 | 연산군묘
<rowcolor=black,#ddd> 선조 평가 | 목릉
<rowcolor=black,#ddd> 광해군 생애 | 대동법 | 평가 | 광해군묘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인조 평가 | 장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영조 생애 | 인물(성격) | 원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정조 생애 | 정조 어찰첩, 정조 한글어찰첩 | 가계 | 정조 어진 | 건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순조 홍경래의 난 | 세도정치
<rowcolor=black,#ddd> 철종 생애 | 임술농민봉기
<rowcolor=black,#ddd> 고종 생애 | 즉위 배경 | 홍릉 | 평가 | 여담
<rowcolor=black,#ddd> 순종 유릉 | 대중매체
}}}}}}}}} ||



1. 개요

사극에서는 단골 소재인 장희빈 사도세자 사이에 등장하는 관계로 본인이 주역이 되기보다는 사도세자의 비극이나 정조와 관련해서 조연급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장희빈이 주인공인 사극에서 아역으로 등장하고는 한다. 대중매체에서 영조를 다룰 경우 젊은 시절을 묘사할 때는 그의 뛰어난 통치력을 부각시키 영조 본인이 주가 되기보다는 박문수 등 동시대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는 대중매체에서 간접적으로 묘사되는 편. 주로 명신들의 활약에 대해 간신들이 모함을 하면 영조가 비호하는 식이다. 하지만 경종의 석연치않은 죽음에 대해 다룰 때는 젊은 나이가 무색할 정도로 노련한 정치력이 부각되기도 한다. 대부분은 형인 경종을 고의로 독살했다는 식으로 나온다.

나이가 든 후를 묘사할 때 임오화변에서 드러난 냉혹한 면모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노론 음모론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도세자를 희생시킨 것으로 묘사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2010년대 이후 당대의 정치 상황이 대중들에게 확실히 알려지면서 대놓고 악인이나 위선자로 묘사되는 경우도 많아졌다. 실제 역사에서는 노론이 되려 사도세자를 필사적으로 보호하는 입장이었고 영조가 이를 무시하면서 아들을 극심하게 학대했다가 끝내는 죽음으로 내몰았다는 사실이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탓이 크다. 때문에 이전에는 그를 성군으로 묘사하는 작품들이 많았으나 오늘날에는 막장 부모였던 악인으로만 나오는 편.

2. 드라마

파일:영조 최불암1.jpg
파일:영조 김성겸1.jpg
파일:인현왕후 연잉군.png 파일:한중록 영조.png
파일:영조 박근형.jpg
파일:영조 최불암2.jpg
파일:영조 조민기.jpg
파일:장희빈 이태리.jpg
파일:영조 김성겸2.jpg
파일:영조 이순재.jpg
파일:동이 연잉군.jpg 파일:동이 영조.png
파일:영조 전국환.jpg
파일:영조 한석규.jpg
파일:영조 김명곤.jpg
파일:영조 여진구.jpg
파일:해치_이금.jpg
파일:옷소매붉은끝동_영조.jpg

3. 영화

파일:상의원 유연석.jpg
파일:사도 영조.jpg
파일:궁합_왕.jpg

4. 만화

5. 소설



[1] '인현왕후'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한 장면은 경종과 가위 바위 보를 하며 즐겁게 노는 모습이었다. [2] <조선왕조 500년 - 한중록>에서 영조 역을 맡은 김성원이 다시 역을 맡았다. <조선왕조 500년 - 인현왕후>에서 영조의 아버지 숙종을 연기한 강석우가 이 작품에서는 영조의 손자인 정조를 연기했다. [3] 많은 배우들이 영조를 맡았지만 그 중 박근형이 연기한 영조가 최고의 영조 연기를 보여주었다는 것에는 거의 이견이 없다. 게다가 외모도 전해지는 어진과 거의 동일인 수준으로 닮았다. [4] 최불암은 <안국동 아씨>에 이어 22년만에 다시 역을 맡았다. [5] 김성겸은 < 하늘아 하늘아>에 이어 18년만에 다시 역을 맡았다. [6] 12년 후 손자가 영조 역할을 맡는다. [7] 영특한 모습과 어린 아이 특유의 귀여움으로 화제가 되었다. [8] 마지막회에서는 영조 역으로 2009년 MBC 드라마 < 탐나는도다>의 얀으로 알려진 이선호가 출연했다. [9] < 동이>는 특별 출연. [10] 12년 전 할아버지가 영조 역할을 맡았다. [11] 동명의 드라마로 방영. [12] 이는 2020년대 북한에 있는 명산들의 산신령들이 도탄에 빠진 북한을 구하기 위해 김일성의 조상에게 선약을 먹여 죽이려던 게 일이 꼬여 사도세자가 그 약을 먹고 혼수상태에 빠진 15일 동안 현대 대한민국의 청년으로 15년을 살고 돌아온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2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0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