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104호 |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수량/면적 | 1기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제작시기 | 통일신라 문성왕6년(845)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1. 개요
통일신라 문성왕 6년(844)년 또는 문성왕 17년(855)에 제작된 승탑[1]으로, 염거화상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2] 본 승탑의 내부에서 동제염거화상탑지[3]가 발견되었는데, 이 덕분에 염거화상탑의 제작시기뿐만 아니라 염거화상탑이 한반도에 현전하는 승탑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는 염거화상탑은 한반도 승탑들의 효시이자, 후대에 승탑 양식에서 일종의 모범이 되어 영향을 크게 미쳤으리라 추측한다.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은 본래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에 위치한 흥법사지에 있었다고 하는데, 이를 뒷받침할 만한 명확한 근거가 없어서 문화재명에 전( 傳)이라는 글자가 붙었다. 흥법사(興法寺)의 창건연대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는 없지만 신라 때라고 전한다. 조선지대까지도 명맥이 이어졌으나 14세기 말 임진왜란 때 폐사됐다고 추정된다. 흥법사와 관련된 유물로는 본 승탑을 비롯하여, 보물 제365호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보물 제463호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보물 제464호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 등이 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수난을 겪는 바람에 염거화상탑과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였고 진공대사탑비과 삼층석탑만이 겨우 제자리를 지켰다.[4][5]
본 승탑의 주인인 염거화상은 통일신라의 승려로, 출생시기는 불명확하지만 동제염거화상탑지에 의하면 844년에 입적했다. 그는 진전사(陳田寺)[6] 도의선사(道義禪師)의 제자이자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 804∼880)[7]의 스승이자 구산선문 중 가지산문(迦智山門)의 2대 조사였다.[8]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은 1962년에 국보 제104호로 지정됐고, 2021년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 중이다.
2. 수난사[9]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된 염거화상탑 | 경복궁 야외에 전시되어 있었을 때 찍힌 사진으로 보인다.[10] |
염거화상탑은 일제강점기 이후 원위치를 떠나 여기저기 떠돌아 다녀야 했다. 우선 원위치에서 일본인들이 불법적으로 반출하려다가 딱 걸리는 바람에 1914년 경에 서울 탑골공원으로 옮겨졌고,[11] 이후 불명확한 시기에 경복궁 경내로 옮겼다가,[12] 조선총독부 청사 건물에 들어간 국립중앙박물관 앞뜰로 1986년에 다시 옮겨졌고, 2005년에는 용산에 새롭게 개관한 국립중앙박물관을 따라간 뒤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다.
문제는 염거화상탑을 탑골공원으로 옮기기 전의 본래 위치가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현재 남아 있는 관련 기록에는 "탑동공원내(塔洞公園內)로 옮겼다."[13]라고 쓰고는 원위치를 강원도 원주시 흥법사지라고만 기록해서, 그냥 원위치가 흥법사지인갑다 하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여러차례의 답사와 조사를 통해 현지 주민들은 염거화상탑이 옮겨진 바를 전혀 모르며, 흥법사지에 염거화상탑이 서 있던 흔적도 딱히 없어서 이 기록이 확실하지 않다는 것이 확인됐다.[14] 따라서 일제강점기 때 염거화상탑의 원위치를 흥법사지라고 한 것은 근거 없는 조작이거나 착오하여 오기했다고 추정한다. 이에 따라 염거화상탑의 원래 위치가 흥법사지인지 불명확하기에, 이름에 '전(傳)'이라는 딱지가 붙게 됐다.
염거화상탑을 탑골공원에서 경복궁으로 옮기면서 승탑 내부에서 동제염거화상탑지를 발견했는데, 옮기기 위해 승탑을 해체하고 재조립하는 과정에서 상륜부 장식들이 관리 미흡으로 분실됐다거나 몰래 빼돌려져 일본으로 반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었고, 염겨화상탑은 이렇게 상륜부가 없어진 채로 2018년까지 계속 그대로 전해져 왔다. 그런데 2018년 7월 9일 국립중앙박물관은 수장고에 정리도 안 된 상태로 잠들어 있는 유물들의 조사 과정에서 염거화상탑의 상륜부를 찾아냈다고 밝혔고, 복원을 진행하여 현재는 상륜부까지 온전하게 남아 있는 상태다.[16]
3. 내용
국립중앙박물관 염거화상탑 설명판 |
몸돌 아래의 기단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윗돌, 가운데돌, 밑돌로 구분한다.[21] 다만 염거화상탑의 원형이 그대로 보존된 것은 아니라서, 기단의 밑돌 아래에 또 바닥돌이 있어서 사실 이것이 밑돌이었고, 본 승탑을 원위치에서 옮기던 중 소실되었다고 보기도 한다.[22] 현재는 밑돌 아래에 정사각형의 바닥돌을 새로 깔아놓았다.
염거화상탑 기단부 |
염거화상탑 몸돌과 지붕돌 |
염거화상탑 지붕돌 처마 부분의 비천상 비천상 아래에는 문과 자물쇠, 문고리, 꽃 무늬가 새겨진 아치형 장식이 있다. |
다만,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지붕돌 위에 있던 상륜부를 분실했다가 다행히도 2018년도에 다시 찾아 복원했는데, 문제는 일제강점기 때 찍힌 사진에 있는 모습과 현재 복원한 모습이 다르다는 것이다. 상륜부를 분실 하기 전에 이를 찍은 사진이 남아 있어 이를 토대로 보면, 상륜부는 3단(보륜[寶輪]-복발[覆鉢]-보륜)으로 구성되고 가운데 공 모양 복발을 돌기가 돌출된 보륜들이 위아래로 감싸는 형태이다. 하지만 현재 복원해 놓은 모습은 보륜-보륜-복발인데, 어째서 이렇게 다르게 복원했는지 그 이유는 불명확하다. 어쨌든 잃어버렸던 상륜부를 찾아서 세부적인 모습을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는 불행 중 다행으로, 다른 승탑들의 상륜부 형태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기도 하다.[32]
이외에도 염거화상탑은 제작시기와 탑에 모셔진 사리의 주인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귀중한 유물이라 할 수 있다. 탑골공원에서 경복궁으로 염거화상탑을 옮기면서 승탑 내부에서 동제염거화상탑지가 발견되어 본 승탑의 제작시기를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동제염거화상탑지는 동판에 염거화상탑에 관한 내용을 간략하게 새긴 것이다.
會昌四秊歲次甲子季秋之月兩旬九日遷化廉巨和尙塔去𥼶迦牟𡰱佛入𣵀槃一千八百四年矣
회창사년세차갑자계추지월양순구일천화염거화상탑거석가모니불입열반일천팔백사년의
當此囯慶膺大王之時
당차국경응대왕지시
회창會昌 4년 간지가 갑자이던 해 9월 29일에 천화한(돌아간) 염거화상의 탑으로 석가모니불이 열반에 든 지 1804년이 지나서인데, 이 나라 경응 대왕(문성왕)의 때이다.
동제염거화상탑지 명문[33]
회창사년세차갑자계추지월양순구일천화염거화상탑거석가모니불입열반일천팔백사년의
當此囯慶膺大王之時
당차국경응대왕지시
회창會昌 4년 간지가 갑자이던 해 9월 29일에 천화한(돌아간) 염거화상의 탑으로 석가모니불이 열반에 든 지 1804년이 지나서인데, 이 나라 경응 대왕(문성왕)의 때이다.
동제염거화상탑지 명문[33]
명문에 염거화상탑이라고 명확하게 표기되어 본 승탑에 모셨던 사리가 염거화상의 것이 분명하다. 이와 함께 이미 이 시기부터 승탑을 탑이라는 명칭으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회창(會昌)은 당나라 무종의 연호로 염거화상의 입적 시기를 회창 4년 갑자(甲子)로 적었는데, 회창 4년은 서기 844년으로 간지는 갑자이며,[34] 또한 삼국사기에 따르면 경응(慶膺)은 신라 문성왕(文聖王)의 이름이므로 문성왕 6년임이 분명하다.
2014년에 국립춘천박물관이 발간한 조사보고서 <선림원종·염거화상탑지>에 실린 논문 "염거화상탑지와 탑에 대한 고찰"의 저자 강삼혜 학예연구사는 논문에서 염거화상이 844년에 입적했고 화상의 승탑을 855년에 완성했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이후로는 염거화상탑/탑지를 조성한 때를 855년으로 본다. 자세한 내용은 동제염거화상탑지 항목 참조.
4. 외부 링크
- 한국어 위키백과: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염거화상탑
-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 전흥법사 염거화상탑
- e뮤지엄: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 두산백과: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5. 국보 제104호
통일신라 말의 승려 염거화상의 사리탑이다. 염거화상(?∼844)은 도의선사의 제자로, 선(禪)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었던 당시 주로 설악산 억성사에 머물며 선을 널리 알리는데 힘썼다. 체징에게 그 맥을 전하여 터전을 마련한 뒤 문성왕 6년(844)에 입적하였다.
이 탑은 원래 강원도 흥법사터에 서 있었다 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탑이름 앞에 ‘전(傳:∼라 전하다)’자를 붙이게 되었고, 원래 위치에서 서울로 옮겨진 후에도 탑골공원 등 여러 곳에 옮겨졌다가 경복궁에 세워졌으나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탑은 아래위 각 부분이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기단(基壇)은 밑돌·가운데돌·윗돌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마다 소박한 조각이 멋스럽게 펼쳐져 있다. 밑돌에는 사자를 도드라지게 새겼고, 가운데돌에는 움푹 새긴 안상(眼象)안에 향로를 새겨 두었다. 2단으로 마련된 윗돌은 아래단에는 연꽃을 두 줄로 돌려 우아함을 살리고 윗단에는 둥그스름한 안상(眼象) 안에 여러 조각을 두어 장식하였다.
사리를 모셔둔 탑신(塔身)의 몸돌은 면마다 문짝모양, 4천왕상(四天王像)을 번갈아 가며 배치하였는데, 입체감을 잘 살려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지붕돌은 당시의 목조건축양식을 특히 잘 따르고 있어서 경사면에 깊게 패인 기왓골, 기와의 끝마다 새겨진 막새기와모양, 밑면의 서까래표현 등은 거의 실제 건물의 기와지붕을 보고 있는 듯하다.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은 탑을 옮기기 전까지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
탑을 옮겨 세울 때 그 안에서 금동탑지(金銅塔誌)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통일신라 문성왕 6년(844)에 이 탑을 세웠음을 알게 되었다. 사리탑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나 단아한 기품과 깨끗한 솜씨가 잘 어우러져 있다. 이후 대부분의 사리탑이 이 양식을 따르고 있어 그 최초의 의의를 지니는 작품이다.
이 탑은 원래 강원도 흥법사터에 서 있었다 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탑이름 앞에 ‘전(傳:∼라 전하다)’자를 붙이게 되었고, 원래 위치에서 서울로 옮겨진 후에도 탑골공원 등 여러 곳에 옮겨졌다가 경복궁에 세워졌으나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탑은 아래위 각 부분이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기단(基壇)은 밑돌·가운데돌·윗돌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면마다 소박한 조각이 멋스럽게 펼쳐져 있다. 밑돌에는 사자를 도드라지게 새겼고, 가운데돌에는 움푹 새긴 안상(眼象)안에 향로를 새겨 두었다. 2단으로 마련된 윗돌은 아래단에는 연꽃을 두 줄로 돌려 우아함을 살리고 윗단에는 둥그스름한 안상(眼象) 안에 여러 조각을 두어 장식하였다.
사리를 모셔둔 탑신(塔身)의 몸돌은 면마다 문짝모양, 4천왕상(四天王像)을 번갈아 가며 배치하였는데, 입체감을 잘 살려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지붕돌은 당시의 목조건축양식을 특히 잘 따르고 있어서 경사면에 깊게 패인 기왓골, 기와의 끝마다 새겨진 막새기와모양, 밑면의 서까래표현 등은 거의 실제 건물의 기와지붕을 보고 있는 듯하다.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은 탑을 옮기기 전까지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없어졌다.
탑을 옮겨 세울 때 그 안에서 금동탑지(金銅塔誌)가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통일신라 문성왕 6년(844)에 이 탑을 세웠음을 알게 되었다. 사리탑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나 단아한 기품과 깨끗한 솜씨가 잘 어우러져 있다. 이후 대부분의 사리탑이 이 양식을 따르고 있어 그 최초의 의의를 지니는 작품이다.
[1]
승탑은
불교
승려의 묘탑을 지칭하는 말이다.
[2]
하지만 안타깝게도 현재 염거화상의 사리는 사라지고 없다.
[3]
보물 제1871호로 지정되었다.
[4]
흥법사지는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5호로 지정되었다.
[5]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 흥법사지
[6]
진전사는 강원도 양양군에 있던 사찰로 조선 시대에 폐사가 되었다가 2005년에 재건되었다. 진전사지는 강원도 기념물 제5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절터에는 국보 제122호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등이 남아 있다.
[7]
장흥
보림사를 창건한 개산조이기도 하다.
[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9]
본 단락은 전적으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의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항목을 주 텍스트로 삼아 작성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10]
상륜부가 없는 상태다.
[11]
출처: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 염거화상탑
[12]
이때 옮기면서 승탑 내부에서
동제염거화상탑지가 발견됐다고 한다.
[13]
탑동공원은 탑골공원의 별칭이다.
[14]
현지답사 때 현지 주민들로부터 확인한 바에 의하면, 여기서 옮겨진 것은 앞서 언급된 '진공대사탑 및 석관'인 듯하다.
[15]
이를 머리장식이라고도 한다.
[16]
출처:
경향신문 2018년 7월 9일 기사 - 홍법국사탑 등 국보와 보물 고려 승탑들, 제 모습 찾는다...중앙박물관, 상륜부 찾아내 복원 예정
[17]
이를 탑신(塔身)이라고도 한다.
[18]
이를 옥개석(屋蓋石)이라고도 한다.
[19]
각 기단, 몸돌, 지붕돌 등을 바닥과 평행하게 자른다고 쳤을 때, 그 단면이 8각형의 형태를 띄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참조:
두산백과 - 팔각원당형 승탑
[20]
출처: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 염거화상탑,
e뮤지엄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21]
혹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선 기단을 상대석, 중대석, 중대받침으로 보기도 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22]
염거화상탑과
쌍봉사 철감선사탑을 비교해 살펴보면, 염거화상탑에도 본래는 밑돌(바닥돌)이 있었으리라는 추측에 힘이 실린다. 물론 원래부터 없었을 가능성도 있다.
[23]
풍화에 의해 사자들의 형태가 그다지 뚜렷하지는 않다.
[24]
가운데돌 위부터 몸돌 아래 까지를 윗돌이라 하는데, 참고 문헌에 따라 이 부분을 '2단으로 된 윗돌' 혹은 '상대석과 탑신굄돌'로 상이하게 구분한다. 본 문서에서는 전자의 시각을 따르도록 한다.
[25]
참고문헌에 따라서는 비천상으로 보기도 한다. 참조: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 염거화상탑
[26]
이를 우주(隅柱)이라고 한다.
[27]
이렇게 새긴 문 장식을 문비(門扉)라고 한다.
[28]
따라서 총 8개의 면 중에 6면에 문과 사천왕 등의 장식이 있고 나머지 2면에는 장식이 없다.
[2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30]
다만 잡상은 고려시대 건축에 들어서야 그 존재가 확실하게 확인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잡상의 흔적이 아닐 수도 있다.
[31]
비천상은 처마의 모든 면은 아니고 한 면 씩 건너 뛰어서 총 4면에 배치되어 있다.
[32]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전)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33]
해독한 명문과 번역문의 출처: <국립춘천박물관 소장품 조사연구보고서 I: 선림원종·염거화상탑지>, 2014, 국립춘천박물관, 150쪽
[34]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 갑자
[35]
출처: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서울 - 전흥법사 염거화상탑,
두산백과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36]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구례 연곡사 동 승탑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