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09:56:0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서울 숭례문
  1.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2.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3. 여주 고달사지 승탑
  4.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5.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6.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7.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8.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9.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10. 익산 미륵사지 석탑
  11.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12.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13. 영천 거조사 영산전
  14. 안동 봉정사 극락전
  15.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16.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17.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18. 영주 부석사 조사당
  19. 경주 불국사 다보탑
  20.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21.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22.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23. 경주 석굴암 석굴
  24.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1.#26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1.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3. 성덕대왕신종
  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5. 경주 첨성대
  6.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7. 창녕 진흥왕 척경비
  8.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9.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10. 상원사 동종
  11.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12.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13.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14.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15.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16.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17. 혜심고신제서
  1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 및 석등
  19.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20. 부석사 조사당 벽화
  2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22.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23. 예산 수덕사 대웅전
  24. 영암 도갑사 해탈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76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1.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1)
  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4.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5.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6.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
  8.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9.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10.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11.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12. 금관총 금제 허리띠
  13.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14.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15.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16.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17.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18. 청자 참외모양 병
  19.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20. 청자 구룡형 주전자
  21.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22.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23. 김천 갈항사지 동 · 서 삼층석탑
  24.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2.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3.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4.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5.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6.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7. 계유명삼존천불비상
  8.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9. 이제현 초상
  10. 안향 초상
  11.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
  12.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13.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14. 청자 상감당초문 완
  15.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16.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1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4)
  18.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19. 용주사 동종
  20.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21.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2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23.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24. 녹유골호(부석제외함)
1.#126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1.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2. 금동관음보살입상
  3. 금동보살입상(1968)
  4.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5.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6. 징비록
  7.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8. 금동보살삼존상
  9.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10. 금동 용두보당
  11.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검 및 칼집 부속 / 투겁창 및 꺾창
  12.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13.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14. 나전 화문 동경
  15. 정문경
  16. 동국정운
  17.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18.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19. 귀면 청동로
  20.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21.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22.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6 /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7
  23.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6
  24. 송조표전총류 권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76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1.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2.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3.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4. 김정희필 세한도
  5. 장양수 홍패
  6.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7.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1)
  8.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9. 상지은니묘법연화경
  10.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11.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12. 천마총 금관
  13. 천마총 관모
  14. 천마총 금제 허리띠
  15. 황남대총 북분 금관
  16.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17.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18.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19. 토우장식 장경호
  20.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2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22. 단양 신라 적성비
  23.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24. 금동보살입상(197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01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1.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2.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3.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4. 충주 고구려비
  5.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6.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7.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 사리기
  8. 보협인석탑
  9. 감지은니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10. 백지묵서 묘법연화경
  11.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12. 금동탑
  13.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
  14.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 31
  15. 정선필 인왕제색도
  16. 정선필 금강전도
  17. 아미타삼존도
  18.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
  19.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20.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21.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22. 경복궁 근정전
  23. 경복궁 경회루
  24. 창덕궁 인정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
  1.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2.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3.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4.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6.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7. 백자 청화죽문 각병
  8.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9.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10. 백자 유개항아리
  11. 백자 달항아리(1991)
  12.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13. 포항 냉수리 신라비
  14.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1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16.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17.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1, 17
  18.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6
  19.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20.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21.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2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23. 귀함별황자총통(1596년조)
  24.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1.#276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2.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3.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4.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5. 백자 병형 주전자
  6.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7. 통감속편
  8.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
  9.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10.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11. 백제 금동대향로
  12.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13.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4.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15. 용감수경 권3~4
  16.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17.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18.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 나주 신촌리 금동관
  20.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21.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22. 갑사 삼신불 괘불탱
  23.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24.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301~336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 번호 없음 ]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102호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 | Stupa of State Preceptor Hongbeop from Jeongtosa Temple Site, Chungju
<colbgcolor=#315288><colcolor=#fff>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면적 1기
지정연도 1962년 12월 20일
건축시기 고려 현종 8년 (1017년)
파일:k20220611_174827.jpg
<colbgcolor=#315288>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국보 제102호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고려시대 현종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는 화강암 승탑[1]으로 홍법국사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홍법국사실상탑(弘法國師實相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은 본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의 정토사지에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인 1915년 일본인들에 의해 탑비와 함께 조선총독부 청사 앞뜰로 옮겨졌다. 정토사(淨土寺)의 창건연대과 같은 세부 연혁은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으나, 약간의 기록이 남아 있어 본래의 그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 성종때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고려때 정토사에 고려왕조실록을 보관했었다고 전하는데, 이로 미루어보아 고려시대에는 상당히 중요한 사찰이었던 듯 하다. 하지만 알 수 없는 시기에 폐찰되어 조선 중기에는 이미 폐사지로 남아 있던 것으로 보인다.[2]

정토사가 폐사된 이후 홍법국사탑과 홍법국사탑비, 법경대사탑비가 남아 자리를 지키고 있다가, 일제강점기에 들어와 홍법국사탑과 홍법국사탑비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서울로 옮겨지고 법경대사탑비만이 마지막까지 남아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정토사터는 충주댐 건설로 인해 인공호수인 충주호가 들어서면서 완전히 수몰되어 버렸고, 마지막까지 제 자리에 남아있던 법경대사탑비는 결국 인근으로 옮겨지게 됐다.[3] 정토사와 관련된 유물로는 본 승탑을 비롯하여, 언급된 보물 제17호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보물 제359호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등이 있다.

본 승탑의 주인인 홍법국사(弘法國師)는 신라말부터 고려초기 시기에 활동한 승려로, 문헌상 남아 있는 그의 행적은 전해지는 것은 없으나 다행히도 홍법국사탑비가 남아 있어 생애를 파악할 수 있다. 그는 승려로서의 최고 법계인 국사로 책봉됐을 만큼 당대에 명망이 높았던 고승이라 짐작 가능하다. 홍법국사탑비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그는 목종 시기에 입적한 것으로 보이는데, 목종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시호를 홍법으로 내리고 탑명을 실상(實相)이라 하였다고 한다. 이에 따라 홍법국사탑을 홍법국사실상탑이라고도 부른다.[4]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은 1962년에 국보 제102호로 지정됐으며, 2023년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 보관하고 있으며, 2026년 개관할 국립충주박물관이 준공되면 이전하여 전시할 예정이다.

2. 내용

파일:k20220611_173452.jpg
<colbgcolor=#315288> 국립중앙박물관 홍법국사탑 설명판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은 전체 높이 2.55m이며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홍법국사탑의 구성은 받침돌과[5] 기단, 몸돌,[6] 지붕돌[7]로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신라~고려시기까지 승탑들의 전형인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을[8] 보이나 몸돌을 아예 구형(공모양)으로 만들어서 파격을 줬다. 또한 지붕돌 일부에 손상이 가긴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파일:k20220611_173611.jpg
<colbgcolor=#315288> 홍법국사탑 기단부
기단 부분에선 중대석이 눈에 띄는데, 구름 속에서 꿈틀거리는 용을 8각형의 각 면마다 섬세하게 사실적으로 새겼다.[9] 윗돌의 테두리에는 연꽃이 새겨져 있으며, 몸돌과 만나는 부분은 평평한 면을 두고 여기엔 연꽃 문양을 촘촘하게 새겼다.

홍법국사의 사리가 모셔졌던 몸돌은 본 승탑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인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구형으로 만들어서 다른 일반적 승탑들과의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10] 몸돌에 새겨진 장식도 매우 인상적인데, 마치 공에 끈 3개를 묶듯이 두 줄로 된 선을 상하좌우로 한바퀴 씩 둘러서 서로 십자(十字)로 교차하게 했다. 또한 이렇게 만나는 4개의 교차점들에는 작고 단정한 꽃모양 장식을 새겨서 자칫 밋밋해 보일 수 있는 구에 미적인 포인트를 줬다. 몸돌의 위로는 원통 기둥이 하나 올라와서 지붕돌과 만난다.
파일:k20220611_174006.jpg
<colbgcolor=#315288> 홍법국사탑 지붕돌 안 쪽의 조각
지붕돌도 8각의 형태인데 전체적으로 삿갓 모양을 하고 있다. 지붕돌의 귀퉁이 일부는 파손되어서 없다. 지붕돌 끄트머리들의 각 추녀마다 꽃모양의 큰 귀를 달았었는데, 안타깝게도 현재는 거의 다 떨어져나가고 없다. 지붕 표면에는 별다른 장식은 없으나, 대신 지붕돌 안 쪽에는 비천상과 꽃이 번갈아가며 조각되어 있다. 홍법국사탑이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전시되어 있어서 지붕돌 안 쪽을 자세히 관찰하기는 어렵지만, 이 역시도 다른 장식들 못지않게 대단히 수준 높은 조각솜씨를 보여준다.[11]
파일: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1.jpg
파일: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2.jpg
상륜부가 복원되기 전의 모습 과거 경복궁 시절의 사진으로 추정된다.
기단 아래에서 승탑 전체를 받치고 있는 받침돌은 8각을 이루고 있는데 돌 표면에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줄무늬가 있다. 받침돌 위에는 승탑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전형적인 형태의 기단이 있다. 기단은 세 부분으로 나눠서 볼 수 있는데, 연꽃 무늬를 새긴 하대석(아랫돌)과 무늬가 새겨진 중대석(가운데돌) 그리고 또다시 연꽃 무늬를 새긴 상대석(윗돌)으로 구분 가능하다.
바로 위의 사진들에는 지붕돌 위의 상륜부(相輪部)[12]가 없는데, 아예 증발해 버린 채로 상당히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었다. 일제강점기 때 홍법국사탑을 서울로 옮기기 이전에 촬영한 사진에는 상륜부가 명확하게 확인되나, 2018년까지 행방이 묘연했었다. 그러다가 2018년 7월 9일 국립중앙박물관은 수장고에 정리도 안 된 상태로 잠들어 있는 유물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홍법국사탑의 상륜부를 찾아냈다고 밝혔고, 복원을 진행하여 현재는 상륜부까지 온전한 상태다.[13]
파일:k20220611_173720.jpg
<colbgcolor=#315288> 홍법국사탑 후면
이외에도 홍법국사탑은 대략적인 제작시기와 탑에 모셔진 사리의 주인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귀중한 유물이라 할 수 있는데, 홍법국사탑비가 남아 있어서 꽤나 자세한 내역이 전해졌다.[14] 홍법국사의 행적은 문헌 자료로 전해지는 것은 없지만, 탑비에 기록된 비문을 통해 파악 가능한데 우선 탑의 주인이 홍법국사임이 확인되며, 탑비의 건립시기를 현종 8년(1017년)이라 밝혀서 최소한 1017년 경에는 홍법국사탑이 만들어졌었을 것이라고 추측 할 수 있다.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은 팔각원당형이라는 승탑의 전형을 따르고 있지만 탑신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파격을 행하여 미적으로 가치가 높고 새로운 기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고려시대를 대표할 만한 승탑 중 하나로 평가 받는다. 또한 승탑 전반에서 보이는 섬세한 조각 솜씨와 재료 자체에서 드러나는 돌무늬가 잘 조화되었고, 전체적으로 곡선을 능수능란하게 사용하여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주는데, 고려시대 석조 공예의 뛰어난 역량을 보이는 걸작 중 하나라고 평가 받는다.[15] 또한 탑비도 같이 전해져서 승탑의 주인과 제작 연대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은 이와 같은 다양한 가치들을 인정 받아 일찍이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02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4. 국보 제102호

대한민국의 국보 제102호
고려 목종 때의 승려인 홍법국사의 탑으로, 충청북도 중원군(현 충주시)의 정토사 옛터에 있던 것을 1915년에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홍법국사는 통일신라 말부터 고려 초에 활약하였던 유명한 승려로서 당나라에서 수행하고 돌아와 선(禪)을 유행시켰으며, 고려 성종 때 대선사(大禪師)를 거쳐 목종 때 국사(國師)의 칭호를 받았다.

기단(基壇)은 네모난 바닥돌을 깐 후에 8각의 아래받침돌을 놓고, 그 위로 엎어놓은 연꽃무늬가 새겨진 높직한 괴임을 두어 가운데받침돌을 올린 후 다시 윗받침돌을 얹어 놓은 모습이다. 가운데받침돌에는 구름을 타고 있는 용이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고, 윗받침돌에는 아래와 대칭되는 솟은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이 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탑신(塔身)의 몸돌로, 둥근 공모양을 하고 있다. 몸돌에는 공을 가로·세로로 묶은 듯한 십(十)자형의 무늬가 조각되어 있으며, 그 교차점에는 꽃무늬를 두어 장식하고 있다. 지붕돌은 별다른 장식은 없으나 여덟 곳의 모서리마다 꽃조각을 둔 것이 눈에 띄는데, 아쉽게도 대부분이 없어져 버렸다. 삿갓 모양으로 깊숙이 패인 지붕돌 밑면에는 비천상(飛天像)이 조각되어 있다.

전체적인 구성에서는 8각형을 기본으로 하는 신라의 탑형식을 잃지 않으면서 일부분에서 새로운 시도를 보여준 작품으로, 제작연대는 고려 현종 8년(1017)이다. 공모양의 몸돌로 인해 ‘알독’이라고 불려지기도 한 이 탑은 새로운 기법을 보여주는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탑으로, 섬세한 조각과 단조로운 무늬가 잘 조화되어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있다.

5. 둘러보기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의 문화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보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충주 고구려비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보물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철조여래좌상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충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선림보훈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사적 ||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장미산성 숭선사지
누암리 고분군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명승 ||
탄금대 충주 계립령로 하늘재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국가민속문화재 ||
충주 윤양계 고택 이응해장군 묘 출토복식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국가등록문화재 ||
조선식산은행 충주지점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시도유형문화재 ||
충주 경종 태실 충주 창동리 오층석탑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미륵대원지 석등 충주 미륵대원지 삼층석탑 충주향교
충주 이상급 신도비 충주 청녕헌 충주 제금당
충주 축성사적비 충주 단호사 삼층석탑 충주 창동리 마애여래상
충주 최응성 고가 삼탄집 충주 오갑사지 석조여래좌상
이수일 진무공신교서 심현담요해 지리신법
평산신씨 종가 고문서 충주 이수일 신도비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충주 추평리 삼층석탑 충주 원평리 삼층석탑 충주 청룡사 위전비
불설사십이장경 인천안목 권상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유백증 정사공신교서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귀부 충주 창동리 석조약사여래입상
충주 충렬사비 묘법연화경 임경업 추련도
충주 용화사 석조여래입상 충주 미륵대원지 사각석등 충주 혜원정사 석불좌상 및 복장유물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7, 8 묘법연화경 권1 묘법연화경 권1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시도기념물 ||
충주 칠금동 제철유적 충주 박팽년 사당 충주산성
충주 대림산 봉수 충주 문주리 요지 충주 미륵리 요지
대림산성 충주 주정산 봉수 충주 김생사지
충주 조동리 고인돌 충주 조동리 유적 충주 팔봉서원
충주 신청리 고인돌 충주 부흥사 방단적석유구 충주 견학리 토성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1d2088> 문화재자료 ||
충주 영모사 충주 숭선사지 당간지주 충주 연안이씨 쌍효각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보살의좌상 충주 문주리 석조여래좌상 충주 신흥사 석조나한상군
충주 지당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강천리 석조여래입상 충주 청룡사지 석종형승탑
충주 창룡사 다층청석탑 충주 이시진 효자각 충주 수회록
충주 고불선원 소조여래좌상 충주 봉불사 석조약사여래입상 충주 한남군 사당
조웅 선무원종공신녹권

}}}}}}}}} ||


[1] 승탑은 불교 승려의 묘탑을 지칭하는 말이다. [2] 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정토사지, 두산백과 - 정토사지 [3] 이로 인해 정토사지는 국가 사적이나 시도지정기념물 등과 같은 문화재로 보호받지 못했다. [4] 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홍법국사 [5] 이를 지대석(地臺石)이라고도 한다. [6] 이를 탑신(塔身)이라고도 한다. [7] 이를 옥개석(屋蓋石)이라고도 한다. [8] 각 기단, 몸돌, 지붕돌 등을 바닥과 평행하게 자른다고 쳤을 때, 그 단면이 8각형의 형태를 띄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참조: 두산백과 - 팔각원당형 승탑 [9] 다만 풍화에 의해 용들의 형태가 다소 마모됐다. [10] 이에 착안해 정토사지가 있던 마을의 사람들은 이 승탑을 알독으로 불렀다고 전해진다. [1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12] 이를 머리장식이라고도 한다. [13] 출처: 경향신문 2018년 7월 9일 기사 - 홍법국사탑 등 국보와 보물 고려 승탑들, 제 모습 찾는다...중앙박물관, 상륜부 찾아내 복원 예정 [14] 세월의 흐름에 의해 풍화되어 비문이 마멸된 부분이 많아 온전한 내용 파악은 어렵다고 한다. [15]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