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18:26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서울 숭례문
  1.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2.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3. 여주 고달사지 승탑
  4.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5.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6.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7.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8.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9.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10. 익산 미륵사지 석탑
  11.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12.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13. 영천 거조사 영산전
  14. 안동 봉정사 극락전
  15.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16.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17.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18. 영주 부석사 조사당
  19. 경주 불국사 다보탑
  20.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21.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22.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23. 경주 석굴암 석굴
  24.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1.#26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1.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3. 성덕대왕신종
  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5. 경주 첨성대
  6.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7. 창녕 진흥왕 척경비
  8.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9.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10. 상원사 동종
  11.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12.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13.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14.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15.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16.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17. 혜심고신제서
  1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 및 석등
  19.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20. 부석사 조사당 벽화
  2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22.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23. 예산 수덕사 대웅전
  24. 영암 도갑사 해탈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76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1.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1)
  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4.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5.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6.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
  8.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9.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10.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11.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12. 금관총 금제 허리띠
  13.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14.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15.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16.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17.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18. 청자 참외모양 병
  19.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20. 청자 구룡형 주전자
  21.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22.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23. 김천 갈항사지 동 · 서 삼층석탑
  24.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2.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3.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4.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5.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6.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7. 계유명삼존천불비상
  8.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9. 이제현 초상
  10. 안향 초상
  11.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
  12.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13.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14. 청자 상감당초문 완
  15.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16.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1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4)
  18.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19. 용주사 동종
  20.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21.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2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23.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24. 녹유골호(부석제외함)
1.#126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1.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2. 금동관음보살입상
  3. 금동보살입상(1968)
  4.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5.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6. 징비록
  7.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8. 금동보살삼존상
  9.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10. 금동 용두보당
  11.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검 및 칼집 부속 / 투겁창 및 꺾창
  12.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13.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14. 나전 화문 동경
  15. 정문경
  16. 동국정운
  17.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18.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19. 귀면 청동로
  20.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21.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22.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6 /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7
  23.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6
  24. 송조표전총류 권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76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1.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2.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3.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4. 김정희필 세한도
  5. 장양수 홍패
  6.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7.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1)
  8.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9. 상지은니묘법연화경
  10.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11.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12. 천마총 금관
  13. 천마총 관모
  14. 천마총 금제 허리띠
  15. 황남대총 북분 금관
  16.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17.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18.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19. 토우장식 장경호
  20.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2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22. 단양 신라 적성비
  23.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24. 금동보살입상(197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01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1.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2.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3.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4. 충주 고구려비
  5.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6.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7.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 사리기
  8. 보협인석탑
  9. 감지은니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10. 백지묵서 묘법연화경
  11.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12. 금동탑
  13.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
  14.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 31
  15. 정선필 인왕제색도
  16. 정선필 금강전도
  17. 아미타삼존도
  18.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
  19.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20.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21.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22. 경복궁 근정전
  23. 경복궁 경회루
  24. 창덕궁 인정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
  1.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2.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3.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4.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6.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7. 백자 청화죽문 각병
  8.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9.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10. 백자 유개항아리
  11. 백자 달항아리(1991)
  12.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13. 포항 냉수리 신라비
  14.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1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16.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17.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1, 17
  18.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6
  19.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20.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21.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2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23. 귀함별황자총통(1596년조)
  24.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1.#276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2.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3.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4.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5. 백자 병형 주전자
  6.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7. 통감속편
  8.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
  9.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10.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11. 백제 금동대향로
  12.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13.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4.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15. 용감수경 권3~4
  16.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17.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18.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 나주 신촌리 금동관
  20.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21.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22. 갑사 삼신불 괘불탱
  23.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24.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301~336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 번호 없음 ]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117호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colcolor=#fff>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전라남도 장흥군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수량/면적 1구
지정연도 1963년 2월 21일
제작시기 통일신라 헌안왕 3년(859)

파일: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1.jpg

1. 개요2. 내용3. 복원4. 외부 링크5. 국보 제117호

1. 개요

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서기 859년( 통일신라 헌안왕 3년) 제작되어 현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에 봉안되어 있는 철조 비로자나불상. 현재 장흥 보림사(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로 224)에 소재 중이며, 국보 제117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

파일: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jpg

불상 높이 2.51 m, 무릎 너비 1.97 m.

현재 장흥 보림사의 대적광전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철제 불상으로, 현재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는 없어지고 불신(佛身)만 남았다. 신라 하대에 유행했던 철제 불상으로 상체에 비해 하체가 큰 편이다.

파일: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3.jpg

이 불상은 왼쪽 어깨 부분에 불상조상기 8행이 양각되었다. 명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當成弗時釋迦如來入滅
당성불시석가여래입멸
後一千八百八年耳此時
후일천팔백팔년이차시
情王卽位第三年也
정왕즉위제삼년야
大中十二年戊寅七月十
대중십이년무인칠월십
七日武州長沙副官金邃
칠일무주장사부관김수
宗聞奏 情 王▨八月[1]
종문주 정 왕▨팔월
廿二日勅下令▨躬作不[2]
입이일칙하령▨궁작불
覺勞困也
각로곤야
불상을 조성한 때는 석가여래 입멸 후 1808년이다. 이때는 정왕情王( 헌안왕) 즉위 3년이다. 대중 12년(858) 무인 7월 17일 무주 장사현 부관 김수종이 진주하여, 정왕은 8월 22일 칙령을 내렸는데 ▨ 몸소 지으시고도 피곤함을 알지 못하셨다.

기록 맨 앞에는 "불상을 조성한 때는 석가여래 입멸 후 1808년"이라고 했는데, 1950년대까지만 해도 동아시아 대승불교계는 석가모니가 기원전 1027년에 태어나 일흔아홉 살이 되는 기원전 949년에 사망했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기원전 949년을 석가모니 입멸 1년으로 삼아 1808년이 되는 해를 따지면 서기 859년이고 헌안왕 3년이다. 명문에서도 석가모니 입멸 후 1808년이 정왕(헌안왕) 즉위 제3년이라고 했으므로 일치한다.

다음 문장에는 대중(大中)이란 연호가 나온다. 당나라 선종이 사용하던 연호로, 대중 12년은 서기 858년, 헌안왕 2년이다. 명문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858년( 헌안왕 2년) 7월 17일에 당시 무주(武州)와 장사(長沙)의 부관(副官)으로 있던 김수종(金遂宗)[3]이 불상을 만들자고 왕에게 주청을 올리자 왕이 허락하였으으로 발원하여 이듬해(859) 완성하였다. 또한 보림사에 있는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의 탑비(塔碑)[4]에 따르면 859년 부수(副守) 김언경(金彦卿)이 사재를 들여 2500근짜리 노사나불(盧舍那佛)을 주성하였다고 하므로, 위의 두 기록을 종합해보면, 이 불상은 858년에 착수되어 859년에 완성되었음을 교차확인할 수 있다.

이 불상은 국보 제233-1호로 지정된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766년 제작) 다음으로 한반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기년명 비로자나불상인데, 현재 연대가 정확히 밝혀진 철불 중에서는 가장 이르다.[5] 법보신문 : 조성시기 확인된 두 번째 오래된 불상, 통일신라 불상 편년문제 실증에 중요한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불교언론 : 철불 조성의 배경 문제

이 때문에 이 철조 불상은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9세기 후반 한국에서 철이라는 소재로 불상을 만드는 새로운 양식의 선구적인 걸작품으로 높이 평가된다. 이에 1963년 2월 21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3. 복원

파일: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2.png
사진 출처 : 천지일보 - 문화재, 미숙한 보존 처리 ‘안 한만 못해’

학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본 불상과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복원해야 한다는 여론이 있었다. 학계에서 언론에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두 불상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잘못된 보존처리로 인한 문제점은 바로 국보 제63호인 ‘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국보 제117호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통해 드러났다. 비전문가가 가장 기본적인 보존 원칙을 무시한 채 보존처리를 했기 때문이다.

도피안사 불좌상의 경우 1988년에 도금공이 개금했는데 개금 당시 녹을 제거하지 않고 면이 고르지 않은 상태에서 칠을 하고 금박을 입힌 것이 드러났고, 보림사 불좌상의 경우에는 전문 지식이 없는 비전문가가 임의로 보존처리해 색상이 변하는 등 처리 전과 달라진 불상이 돼 종교 미학적 가치를 떨어뜨렸다며 논란이 됐다.

지난 2일 ‘문화유산 보존원칙과 합리적 판단’이란 주제로 열린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마지막 강연자로 나선 이수정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보존가로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당분야에 대한 세부적인 전문 지식도 필요하지만,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도 함께 길러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 두 국보 불상들은 1980년대에 한 번 정부가 주도하여 보존처리를 했지만, 여러 가지로 미숙하고 부실해서 차라리 안 하니만 못한 일이 되었다고 한다. 이에 두 불상 모두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새로이 보존처리 작업을 받았다. 연합뉴스 : "철불(鐵佛)에 웬 금박(金箔)?"

2007년 7월에 두 불상의 최종 보존처리 모습이 공개되었다.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황금옷 벗다 개금 벗겨내고 맨살 드러낸 '철불의 온화한 미소'

4. 외부 링크

5. 국보 제117호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의 대적광전에 모셔진 철로 만든 불상으로, 현재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잃고 불신(佛身)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불상의 왼팔 뒷면에 신라 헌안왕 2년(858) 무주장사(지금의 광주와 장흥)의 부관이었던 김수종이 시주하여 불상을 만들었다는 내용의 글이 적혀 있어서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달걀형의 얼굴에는 약간 살이 올라 있다. 오똑한 콧날, 굳게 다문 입 등에서 약간의 위엄을 느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다소 추상화된 모습이다.

통일신라 전성기(8세기)의 불상에 비해 긴장감과 탄력성이 줄어들었고,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가슴 앞에서 U자형으로 모아지며, 다시 두 팔에 걸쳐 무릎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옷주름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고 있지만 탄력을 잃은 모습이다. 이런 형태의 표현은 신라 불상에서 보여주던 이상적인 조형감각이 후퇴하고 도식화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9세기 후반 불상 양식의 대표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손은 왼손의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 모습으로 비로자나불이 취하는 일반적인 손모양이다.

이 작품은 만든 연대가 확실하여 당시 유사한 비로자나불상의 계보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신라말부터 고려초에 걸쳐 유행한 철로 만든 불상의 첫번째 예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이 행에서 정(情) 자를 앞뒤로 다른 글자와 한 칸씩 벌림은 원문 그대로이고 실수가 아니다. 정(情) 자가 임금의 이름이기 때문에 존경을 표하는 의미로 벌린 것이다. 한문에서 어떤 사람의 이름, 또는 그 사람을 가리키는 호칭을 쓰면서 경의를 표하는 의미로 한 칸 벌림은 나대(挪抬)라 부르는데, 한문 글쓰기의 한 가지 격식이다. [2] 입(廿) 자는 숫자 20을 뜻한다. [3] 신라 제42대 국왕인 흥덕왕의 이름도 김수종이지만, 한자도 다르고 시대도 수십 년 차이가 난다. [4]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비(寶林寺普照禪師彰聖塔碑), 884년 제작. [5] 물론 아직 연대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철불 중에는 이보다 연대가 더 이른 작품도 있을 것이다. 이보다 앞선 시기 철불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보원사지 출토 철제여래좌상이 꼽힌다. 하지만 이는 아직 학자들간에 이견이 있으므로 확실히 연대가 밝혀진 철불 중에서는 본 불상이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인정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