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91호 | |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陶器 騎馬人物形 明器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토기 |
수량/시설 | 1쌍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제작시기 | 신라시대(5세기) |
1. 개요
陶器 騎馬人物形 明器. 일제강점기 1924년 경주시 금령총에서 출토된 토기 한 쌍으로, 신라시대 도자기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이자,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과 함께 고대 기마인물을 묘사한 대표적인 걸작 토기로 꼽힌다. 기마인물 도상(騎馬人物陶像) 또는 기마 인물형 토기 등 이름으로도 알려졌다.도기 기마인물형 명기는 국보 제91호로 지정되었고,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 중이다.
2. 내용
한 쌍으로 이루어진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는 말을 타고 있는 사람이 판 위에 올라가 있는 모습이다.얼핏 보면 단순한 조각상으로 보이지만 엑스레이로 검사한 결과, 말 위에 있는 잔에 구멍이 뚫려 있어 뱃속으로 이어지고, 앞가슴에 대롱은 물이 나오는 구멍으로 일종의 주전자로 확인됐다.
국가유산명에서 나타나는 것처럼[1] 무덤에 부장하고자 따로 만들어졌다고 추정되나, 왕이 썼던 것일 수도 있으며 그때 신라 사람들의 생활 양식을 본떠 만든 것은 확실하다.....…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한 쌍. 좌측이 주인상, 우측이 하인상이다. |
이 한 쌍의 토기는 신라시대 유물 중에서도 중요한 유물로 평가 받는데, 신라 시대의 마구[3] 및 말 장식의 형태, 신라 시대의 의복(특히 모자)의 형태, 무기 등이 섬세하게 묘사 되어 있어서, 현재 남아 있는 자료가 거의 없는 당시 신라의 문화에 대해 단편적으로나마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는 그 미적, 사료적 가치를 인정 받아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91호로 지정되었다.
3. 기타
80원 보통우표[4] | 20원 기념우표[5] | 80원 보통우표[6] |
-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는 1977년 8월 15일, 1983년 6월 15일에 발행된 80원권 보통우표와 1979년 10월 15일 발행된 20원권 한국미술 5천년 특별 기념우표의 도안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한국을 대표하는 22개 문화유산의 홀로그램 중 하나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 처음 발굴한 지 거의 100여 년이 지난 2019년, 금령총을 다시 발굴해 조사했는데 과거에는 찾을 수 없었던, 말의 머리와 앞다리만 남은 토우를 발견했다. 이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의 말과 아주 닮아있어서 같은 장인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차이점은 새로 발견한 토우의 말은 입을 벌리고 혀를 내밀었다는 것뿐이다. 결국 말의 나머지 부분은 재발굴조사에서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 관련 기사
- 1989년 문화방송 방송종료영상에 사용되기도 했다.
4. 외부 링크
5. 국보 제91호
경주시 금령총에서 출토된 한 쌍의 토기로 말을 타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다. 주인상은 높이 23.4㎝, 길이 29.4㎝이고, 하인상은 높이 21.3㎝, 길이 26.8㎝이다. 금령총에서 1924년에 배모양 토기와 함께 출토되었으며, 죽은 자의 영혼을 육지와 물길을 통하여 저세상으로 인도해 주는 주술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두 인물상은 두꺼운 직사각형 판(板)위에 다리가 짧은 조랑말을 탄 사람이 올라 앉아있는 모습이다. 말 엉덩이 위에는 아래로 구멍이 뚫린 등잔이 있고, 앞 가슴에는 긴 부리가 돌출되어 있어 비어있는 말의 뱃속을 통해 물을 따를 수 있게 되어 있다.
두 인물상의 모습은 말 장식이 화려한 주인상의 경우 고깔 형태의 띠와 장식이 있는 삼각모(三角帽)를 쓰고 다리위에 갑옷으로 보이는 것을 늘어뜨렸다. 하인상은 수건을 동여맨 상투머리에 웃옷을 벗은 맨 몸으로 등에 짐을 메고 오른손에 방울같은 것을 들고 있어 길을 안내하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이 인물상 형태의 토기는 신라인의 영혼관과 당시의 복식, 무기, 말갖춤 상태, 공예의장(工藝意匠) 등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두 인물상은 두꺼운 직사각형 판(板)위에 다리가 짧은 조랑말을 탄 사람이 올라 앉아있는 모습이다. 말 엉덩이 위에는 아래로 구멍이 뚫린 등잔이 있고, 앞 가슴에는 긴 부리가 돌출되어 있어 비어있는 말의 뱃속을 통해 물을 따를 수 있게 되어 있다.
두 인물상의 모습은 말 장식이 화려한 주인상의 경우 고깔 형태의 띠와 장식이 있는 삼각모(三角帽)를 쓰고 다리위에 갑옷으로 보이는 것을 늘어뜨렸다. 하인상은 수건을 동여맨 상투머리에 웃옷을 벗은 맨 몸으로 등에 짐을 메고 오른손에 방울같은 것을 들고 있어 길을 안내하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이 인물상 형태의 토기는 신라인의 영혼관과 당시의 복식, 무기, 말갖춤 상태, 공예의장(工藝意匠) 등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