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1:45:07

입헌민주당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입헌민주당이라는 당명을 사용했던 다른 정당들에 대한 내용은 입헌민주당(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tablebordercolor=#2d3865><tablebgcolor=#2d3865> 파일:일본 국회의사당 흰색 아이콘.svg 일본 국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2차 이시바 내각
(2024 ~ 현재)
연립여당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자유민주당

115석파일:1px 투명.svg 191석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
공명당

27석파일:1px 투명.svg 24석
야당
파일:입헌민주당 흰색 아이콘.svg
입헌민주당

39석파일:1px 투명.svg 148석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
일본유신회

21석파일:1px 투명.svg 38석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
국민민주당

9석파일:1px 투명.svg 28석
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
일본공산당

11석파일:1px 투명.svg 8석
파일:참정당 심볼.svg
참정당

1석파일:1px 투명.svg 3석
무소속
14석파일:1px 투명.svg 12석
재적
245석 • 465석
공석
3석 • 0석
※ 정당조성법상 정당 요건을 충족 못하는 정치단체는 무소속으로 분류
정당 구분 (원내 · 원외)
좌측은 참의원(상원) 의석 수, 우측은 중의원(하원) 의석 수 }}}}}}}}}
입헌민주당
(신설 합당)
입헌민주당 (현재)
국민민주당
(신설 합당)
사회민주당
(개별 합류)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상하조합.svg
'''입헌민주당
立憲民主党
{{{#!wiki style="margin:0px -10px; letter-spacing:-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469c> 슬로건 本気の政治改革!
진정한 정치개혁!
약칭 民主党(민주당)[2][3], 立憲(입헌)
창당일 2020년 9월 15일
정치 이념 자유주의 ( 일본)
사회자유주의
입헌자유주의[4]
반신자유주의
진보주의
내부 계파 :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10] ~ 중도좌파[11][12]
주소
도쿄도 치요다구 나가타초 1초메 1-11-1 미야케자카 빌딩[13]
대표 노다 요시히코 / 10선 (, 40·42~50대)
대표대행 쓰지모토 기요미 / 초선 (, 26대)
나가츠마 아키라 / 9선 (, 42~50대)
오구시 히로시[14] / 7선 (, 44~50대)
부대표 공석
간사장 오가와 준야 / 7선 (, 44~50대)
정무조사회장 시게토쿠 카즈히코 / 5선 (, 46~50대)
국회대책위원장 류 히로후미 / 8선 (, 43~50대)
선거대책위원장 오구시 히로시 / 7선 (, 44~50대)
참의원
39석[15] / 248석 (15.7%)
중의원
148석[16] / 465석 (31.8%)
도도부현의회
235석 / 2,662석 (8.8%)
시구정촌의회
1,103석 / 32,430석 (3.4%)
당 색
파란색 (#00469C)
당원 수 114,839명
(2024년 8월 기준)
국제 조직

(옵저버)
정치학원 릿켄정치숙
기관지 입헌민주
공식 사이트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상하조합.svg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라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입헌민주당 포스터(2024년 10월).jpg
2024년 10월 포스터 - 정권교대야말로, 최대의 정치개혁.[17]
1. 개요2. 강령3. 로고4. 당사5. 역사
5.1. 창당 전5.2. 2020년5.3. 2021년5.4. 2022년5.5. 2023년5.6. 2024년5.7. 2025년
6. 계파7. 정치 성향8. 한국에 대한 시각9. 소속 의원10. 지도부11. 그림자 내각12. 지지 기반
12.1. 세대12.2. 지역
13. 다른 정당과의 관계14. 역대 선거 결과
14.1. 중의원 선거14.2. 참의원 선거
15. 역대 포스터1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입헌민주당 슬로건 배너.jpg 파일:2024.09 입헌민주당 당대회.jpg
진정한 정치개혁.
2024년 9월 입헌민주당 임시 전당대회
政権交代こそ、最大の政治改革。
정권교대야말로, 최대의 정치개혁.
일본 정당. 혁신계 최대 정당으로 현 제1야당이다.

2020년 9월 15일, 구 입헌민주당 구 국민민주당, 노다 요시히코 내각총리대신을 중심으로 하는 무소속 교섭 단체였던 사회보장 재건을 위한 국민회의(社会保障を立て直す国民会議)가 신설 합당하여 출범했다.

2. 강령

입헌민주당은 입헌주의와, 숙의제 민주주의를 중요시하는 민주정치를 수호하고, 국민의 생명과 생활을 지키는 국민이 주역인 정당으로서, '자유'와 '다양성'을 존중하는 이념 속에서 사람이 중심이 되는 '공생사회'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협력의 틀 속에 '미래에 대한 책임'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당이다.

그래서 위 원칙을 바탕으로 개개인의 일상생활과 일터, 지역의 목소리를 강조하여 내일을 위한 준비를 중요시함으로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집권당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철학을 구현하겠다는 강한 결단으로서 '입헌민주당'을 창당하였다.

당의 목표

3. 로고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svg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svg
이전 로고 현재 로고
현재 로고는 2020년 9월 30일부터 사용한 새 로고다. 2017년부터 써온 기존의 로고도 병용한다고 한다.

4. 당사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469c><tablealign=center>
파일:2024 입헌민주당.jpg 파일:입헌민주당 당 본부.jpg
||
現 입헌민주당 당사[18]

5. 역사

일본의 자유주의 정당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 현재
(2012 ~ 현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노다 내각 이전
민주당 유신당 생활당 신당 개혁
유신당 생활당과 야마모토 타로와 친구들
민진당 자유당 해산
입헌민주당 민진당 희망의 당 자유당
국민당 희망의 당
으로 합류
국민민주당 레이와 신센구미
입헌민주당 국민민주당
교육무상화를 실현하는 모임 국민민주당
일본유신회
로 흡수 합당
보수정당 혁신정당
}}}}}}}}} ||

5.1. 창당 전

창당 직전 신당의 당명과 대표를 선거했는데, 각각 舊 입헌민주당의 당명이었던 입헌민주당 에다노 유키오 舊 입헌민주당 대표가 결정되어 신설 합당이지만, 舊 입헌민주당이 흡수하는 것과 같은 모양새가 되었다. 또한 기관지 역시 구 입헌민주당의 기관지인 입헌 민주를 그대로 따와 사실상 흡수 합당으로 취급 받고 있다. 그리고 舊 국민민주당의 합당 반대파들이 新 국민민주당을 창당할 예정이라 일본 정계에서도 새롭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애초에 양당이 민진당에서 분당한 것이기도 하므로. 당의 크기는 2009년 이전 민주당과 비견될만큼 커졌지만 여러모로 머쓱한 통합이 되었다는 평가다.

사실 舊 희망의당 분당도 비슷하게 진행되었다. 민진당 합류 찬성파가 舊 희망의 당을 해산하고 새로 국민당을 창당한 다음 국민당이 민진당에 흡수합당되는 방식으로 창당한게 국민민주당이고, 합류 반대파가 舊 희망의 당의 명맥을 잇는 정당을 새로 창당한게 新 희망의 당이다.

5.2. 2020년

5.3. 2021년

5.4. 2022년

5.5. 2023년

5.6. 2024년

5.7. 2025년

6. 계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입헌민주당/계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정치 성향

입헌민주당은 개헌에 긍정적[24]인 현 당 대표 노다 요시히코 화제회, 이즈미 겐타 前 대표의 신정권연구회가 당 내 보수파를 맡고 있고, 개헌에 부정적인 호헌파 에다노 유키오, 간 나오토 등의 나라의 모습 연구회, 구 일본사회당 출신 인사로 구성된 생추어리가 당 내 진보파를 맡고 있다.

한편, 비주류 계파로는 완전히 좌익적 성향을 띄는 사회민주주의 포럼, 구 호소노 고시 계파였고 현재는 집단지도체제 비슷하게 운영되는 중도 성향의 자서회, 마에하라 세이지의 구 료운카이 소속, 오자와 그룹이 있다.[25]

입헌민주당에서 가장 보수적인 의원들은 에다 겐지, 와타나베 슈, 류 히로후미, 겐바 고이치로 등이 있는데 이들은 당 주류는 아니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중도 내지 중도우파라 본다. 반면, 쓰지모토 기요미, 요시다 다다토모 중도좌파 ~ 좌익 성향으로 평가받는 의원들도 있다.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하위 조직인 아시아자유민주연맹의 옵저버로 참여할 정도로 자유주의 스탠스를 분명히 하고 있는 정당이긴 하지만, 신자유주의에 대해서는 매우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26]

사회자유주의 정당답게 성소수자 권리 문제에서도 친화적인 스탠스를 취한다. LGBT 권리 단체들과 적극 연대하고 있으며 동성결혼 제도화를 공식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 또한 부부별성을 지지하는 의원들도 많으며, 자민당에 비해 보다 친 여성, 친 환경적 사회 정책을 표방한다.

한편, 외교적으로는 자유민주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둘기파에 가까운 기조를 취하고 있으나 이것도 파벌에 따라 케바케라서 자민당 강경파와 별 다를 바 없는 대외관을 가지는 의원들도 생각보다 꽤 있다. 입헌민주당은 하토야마 유키오 아시아주의 성향도 있고, 또 더 이전 20세기 시절에는 소련, 중국 등에 대한 친공 노선을 취한 일본사회당에서 온 세력도 일부 있어서인지[27] 친중, 친한이라는 이미지도 있다.

2024년 9월 노다 요시히코 前 총리가 대표로 부임한 이후 일본공산당과의 연계를 중단하고 교육무상화를 실현하는 모임, 국민민주당, 일본유신회 같은 입헌민주당보다 우파 성향의 야당과 연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더 보수화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다만 노다 대표가 총리 재임 시절에 비해 성향이 조금 왼쪽으로 옮겨간 것의 영향 때문인지 정책적으로는 이전과 큰 차이점이 없는 상태다.

8. 한국에 대한 시각

일본사회당, 자민당, 국민신당, 일본신당, 신당 사키가케, 신생당 등 여러 정당 출신의 인사들로 구성되어 있고 계파도 다양하기 때문에 한국, 그리고 기타 국제 외교 노선도 다양한 편이다. 다만 2022년 당에서 발표한 외교 정책을 보면 한국과 관련된 문제에선 원론적이긴 하지만 일본내 온건 보수주의자들과 비슷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 구체적으론 독도는 국제법에 따른 평화적 해결, 징용공 배상 문제는 1965년 한일협정으로 해결되었다는 입장[28], 위안부 문제도 2015년 위안부 합의를 준수하라는 입장이다.

계파별로 보면 간 담화를 발표한 간 나오토와 같이 한국과 원만한 관계를 추구하는 계파인 나라의 모습 연구회도 있고, 더 나아가 과거사 문제에 있어서 진보적인 입장을 보였던 일본사회당 출신의 혁신 계열 인사들이 주축이 된 생추어리라는 계파도 있다.[29] 그런가하면 류 히로후미, 하라구치 가즈히로처럼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긍정적이고 과거사 인식이 아베 신조 전 총리와 크게 다르지 않아보이는 우익 계열의 인사들도 있다.[30] 심지어 겐바 고이치로처럼 한국을 원색적으로 비난[31]하는 작자도 있다.[32]

그래도 일단 자민당에 비하면 헌법 9조 개정반대에 적극적이고 평화주의를 내세우는 정당이라 그런지 전체적으로는 반한적인 분위기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반한은 영향력이 적은 당내 보수파들이 주로 보이고 있다. 또 그 보수파도 자민당 내 보수방류(강경파)에 비하면 반한 성향은 약한 편이다. 이즈미 겐타 전 대표, 아즈미 준 국회대책위원장, 에다 겐지 前 대표대행 등 입민 內 보수파 의원들 대다수는 친한은 아니지만, 최소한 혐한이라기보다는 한국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에 가깝고, 현 대표인 노다 요시히코 또한 자민당보다 강경한 행보를 보였던 총리 재임 당시에 비하면 성향이 조금 왼쪽으로 옮겨가 중도에 가까워진 편이다. 또한 류 히로후미 같은 우익 ~ 극우 성향 의원들도 2020년대에 들어서는 중도화되는 추세다.

2019년 한일 무역 분쟁에서는 선거에 이용하기 위해 외교를 악용한다며 아베를 비판하는 분위기가 주류였다.

반면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비교적 진보, 리버럴 성향에 가깝다고 알려진 에다노 유키오 전 대표도 독도를 일본의 고유 영토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무조건 한국 입장을 대변하는 식의 개념에는 부합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33] 그래서 일본의 정치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우익을 싫어하는 한국인들은 입헌민주당보다 일본공산당을 더 지지하는 경우도 있다.

확실히 일본 사회가 21세기 들어 넷 우익 등이 설치면서[34] 역사수정주의를 내세우는 세력이 많아진 것 때문인지, 비록 입헌민주당이 민주당-민진당의 '당내 좌파' 계열이 주축이 된 정당이라 일본 내에서는 상당히 좌경화 되었다고 인식하기는 해도[35], 역사 관련해서는 하토야마 유키오 시절 민주당 시기보다 훨씬 우경화된 경향이 있다.[36] 가령 2023년 3월 윤석열 대통령이 방일했을때 입헌민주당 당 대표 이즈미 겐타는 초계기 문제 평화의 소녀상 관련한 질문을 했다고 하는데, 입헌민주당은 소녀상 철거를 요구했다고 한다. # 심지어는 강원도 평창에 민간에서 아베 전 총리로 연상된다고 일각에서 주장하는 남성이 소녀상에 무릎 꿇는 동상을 세웠는데, 당시 입헌민주당 측에서[37] 조형물을 설치한 한국 정부가 식물원에 예산을 지원하고 있는거 아니냐는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 그러나 일부 일본 언론에서도 지적하듯이 2015년 위안부 합의에서 소녀상에 대한 해결은[38] 일본 대사관 근처의 소녀상에 국한된 것으로 상이 설치된 곳은 사립 식물원이기 때문에 정부에 철거 운운할 사안도 아니다. # 어쨌든 분명히 정도 차는 있지만, 2024년 당권을 잡은 노다 요시히코 같이[39] 자민당과 대외관에 있어 큰 차이가 없어보인다는 지적을 받은 바 있는 인사들도 일부 있다.

9. 소속 의원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69c><tablebgcolor=#00469c>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69c><tablebgcolor=#00469c>
입헌민주당
제50대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코 에미 가마타 사유리 가메이 아키코 가미야 히로시 가와우치 히로시
가이에다 반리 겐마 겐타로 겐바 고이치로 고미야마 야스코 고야마 노부히로
고야마 지호 고즈 다케시 고토 유이치 곤도 가즈야 곤도 쇼이치
구로이와 다카히로 기와하라다 에이세이 기이 다카시 기쿠타 마키코 나가츠마 아키라
나가토모 요시히로 나카지마 가쓰히토 나카타니 가즈마 노다 요시히코 노마 다케시
니시무라 지나미 니시카와 마사히토 니시카와 아쓰시 다지마 가나메 다카마쓰 사토시
다카하시 에이 다케마사 고이치 다케우치 치하루 데라다 마나부 데즈카 요시오
류 히로후미 마노 사토시 마부치 스미오 마스타 세키오 마쓰다 이사오
마쓰시타 레이코 마쓰키 겐코 마츠오 아키히로 마키 요시오 모리야마 히로유키
모리타 도시카즈 미도리카와 다카시 미스미 소타 미야카와 신 미즈누마 히데유키
미치시타 다이키 바바 유키 반노 유타카 사사키 나오미 사이토 유키
사카모토 유노스케 사카이 나츠미 사쿠라이 슈 사토 고지 소노 하지메
시게토쿠 가즈히코 시나 다케시 시노다 나오코 시노하라 고 시노하라 다카시
시라이시 요이치 시모노 고스케 시모조 미쓰 시바타 가즈유키 스기무라 신지
스에마쓰 요시노리 스즈키 다케유키 스즈키 요스케 쓰무라 게이스케 쓰쓰미 가나메
쓰지 히데유키 아리타 요시후 아라이 유타카 아베 도모코 아베 유미코
아오야마 야마토 아오야기 요이치로 아즈마 가쓰야 아즈미 준 아쿠쓰 유키히코
안도 준코 야나기사와 쓰요시 야라 도모히로 야마 도시히로 야마기시 잇세이
야마노이 가즈노리 야마다 가쓰히코 야마오카 다쓰마루 야마자키 마코토 야마하나 이쿠오
야자키 겐타로 야타가와 하지메 에다 겐지 에다노 유키오 오가와 준야
오구마 신지 오구시 히로시 오니시 겐스케 오사카 세이지 오자와 이치로
오시마 아쓰시 오쓰지 가나코 오쓰카 사유리 오쓰키 구레하 오치아이 다카유키
오카다 가쓰야 오카다 사토루 오카다 하나코 오카모토 미쓰노리 오카모토 아키코
오카와라 마사코 오카지마 가즈마사 오타케 리에 와세다 유키 와타나베 소
와타나베 슈 요시다 하루미 요시카와 하지메 유노키 미치요시 이가라시 에리
이마이 마사토 이사카 노부히코 이시카와 카오리 이즈미 겐타 이치키 도모코
오쿠노 소이치로 요네야마 류이치 우메타니 마모루 이나토미 슈지 이케다 마키
이토 슌스케 하라구치 가즈히로 하세가와 가이치 하시모토 게이고 하타노 쓰바사
혼조 사토시 후지오카 다카오 후지와라 노리마사 후쿠다 아키오 후쿠다 준타
후쿠모리 와카코 후토리 히데시 히라오카 히데오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69C><tablebgcolor=#00469C>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69C><tablebgcolor=#00469C>
입헌민주당
참의원 의원 (2022년~2025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도쿠나가 에리 다나부 마사요 다카기 마리 고니시 히로유키 미즈노 모토코
스기오 히데야 사이토 요시타카 후쿠야마 데쓰로 고가 유키히토 쓰지모토 기요미
오니키 마코토 고가 치카게 시바 신이치 무라타 교코 아오키 아이
이시바시 미치히로 미즈노 모토코 가쓰베 겐지 요코사와 다카노리 이시가키 노리코
오누마 다쿠미 구마가이 히로토 나가하마 히로유키 시오무라 아야카 마키야마 히로에
미즈노 모토코 우치코시 사쿠라 하타 지로 타지마 마이코 모리모토 신지
노다 쿠니요시 기시 마키코 미즈오카 슌이치 오자와 마사히토 모리야 다카시
가와다 료헤이 이시카와 타이가 }}}
}}}}}}

10. 지도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00469C;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469C,#008ccd> 초대
에다노 유키오
2대
이즈미 겐타
3대
노다 요시히코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69C><tablebgcolor=#00469C>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69C><tablebgcolor=#00469C>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6px;"
독립기구 (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 <colbgcolor=#ffffff,#1F2023> 오구시 히로시 선거대책위원장 대리 <colbgcolor=#ffffff,#1F2023> 콘도 카즈야
노다 쿠니요시
선거대책부위원장 키시 마키코
상임의결기관 (양원의원총회)
양원의원 총회장 카와다 류헤이 대의사회 회장 고미야마 야스코
중앙당 지도부
대표 노다 요시히코 대표대행 나가츠마 아키라
쓰지모토 기요미
오구시 히로시
부대표 (참) 공석 부대표 (중) 공석
당무집행기구
간사장 오가와 준야 간사장 대리 테즈카 요시오
다나부 마사요
부간사장 야마오카 타츠마루 | 오치아이 다카유키 | 아오야마 야마토 | 모리야마 히로유키 | 겐마 켄타로 | 이시카와 카오리 | 혼죠 사토시 | 카츠베 켄지 | 타지마 마이코
정무조사회
정무조사회장 시게토쿠 가즈히코 정무조사회장 대행 오니시 겐스케
기이 다카시
고니시 히로유키
정무조사부회장 오구마 신지 | 이나토미 슈지 | 시노하라 고 | 야마자키 마코토 | 오카모토 아키코 | 사쿠라이 슈 | 나카타니 카즈마 | 오누마 타쿠미 | 키시 마키코 | 쿠마가이 요시토
정무조사회장 보좌 야마기시 잇세이 | 아라이 유타카 | 우메타니 마모루 | 오쓰카 쿠레하 | 코즈 타케시 | 스에츠구 세이이치 | 스즈키 케이스케 | 츠츠이 카나메 | 바바 유키 | 후지오카 타카오 | 후토리 히데시 | 혼죠 사토시 | 야마다 카츠히코 | 요시다 하루미 | 와타나베 소 | 오니키 마코토 | 코가 치카게 | 시바 신이치 | 타카기 마리 | 하타 지로 | 미즈노 모토코 | 미야구치 하루코 | 무라타 쿄코
상임간사회
상임간사회 의장 기쿠타 마키코
홋카이도 블록 상임간사 키시 마키코 도호쿠 블록 상임간사 요코사와 타카노리
키타칸토 블록 상임간사 사카모토 유노스케 미나미칸토 블록 상임간사 오자와 마사히토
도쿄 블록 상임간사 테즈카 요시오 호쿠리쿠신에츠 블록 상임간사 테즈카 요시오
도카이 블록 상임간사 요시다 츠네히코 긴키 블록 상임간사 사쿠라이 슈
주코쿠 블록 상임간사 유노키 미치요시 시코쿠 블록 상임간사 시라이시 요이치
큐슈 블록 상임간사 노마 타케시 지방의원 네트워크 대표 유사미 유키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국회조직
국회대책위원장 류 히로후미 국회대책위원장 대리 야마노이 가즈노리
사이토 요시타카
국회대책부위원장 고토 유이치 | 요시카와 하지메 | 모리야마 히로유키 | 노마 타케시 | 겐마 켄타로 | 모리타 토시카즈 | 오쓰카 쿠레하
참의원 의원회장 미즈오카 슌이치 참의원 의원회장 대행 마키야마 히로에
참의원 간사장 다나부 마사요 참의원 간사장 대리 키시 마키코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사이토 요시타카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대리 이시바시 미치히로
모리모토 신지
카츠베 켄지
참의원 정책심의회장 고니시 히로유키 참의원 정책심의회장 대리 쿠마가이 요시토
고문단
최고고문 에다노 유키오 상임고문 오카다 가쓰야
이즈미 겐타
파일:logo_w.svg
역대 당대표
}}}}}}}}}}}} ||

11. 그림자 내각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 화이트.svg
{{{+1 일본국 [[그림자 내각|{{{#ffffff 그림자 내각}}}]] 각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노다 그림자 내각
노다 요시히코
외무대신
납치문제담당대신
노다 쿠니요시 우치코시 사쿠라 와타나베 슈 시나 다케시
마키 요시오 야마노이 가즈노리 가네코 에미 다지마 가나메
고미야마 야스코 곤도 쇼이치 마키야마 히로에 시게토쿠 가즈히코
스기오 히데야 오카모토 아키코
안전보장대신
후쿠야마 데쓰로
내각부 특명담당대신
<rowcolor=#FFF>
금융담당*
(예산 및 결산담당 겸임)
방재담당
(내각부 총괄 겸임)
행정개혁담당
(공무원제도개혁 겸임)
후쿠시마재생담당
시나 다케시 스기오 히데야 마키야마 히로에 오카모토 아키코
<rowcolor=#FFF>
오키나와 및 북방대책 담당*
(지방창생·소비자 및 식품안전대책담당 겸임)
젠더·공생·고독고립대책 담당
어린이정책 담당
경제재정정책 담당
이시카와 카오리 요시다 하루미 니시무라 지나미 마부치 스미오
* 내각부설치법상 의무적으로 임명.
국가행정조직 }}}}}}}}}

12. 지지 기반

12.1. 세대

일단 기본적인 지지층은 전후 전쟁의 참상을 겪고 리버럴한 사회 분위기 속에 청년기를 지낸 이른바 단카이 세대(현재 70대)였지만, 21세기 들어 정권 창출을 위해 입헌민주당에서는 젊은층들을 투표장으로 새롭게 끌어내기 위하여 고심하고 있다. 다만 2020년 기준 에다노 유키오 대표 개인이 화제가 되는 것과는 별개로 이들의 정치 관심도가 매우 낮은 편이라 크게 실적으로 이어지진 않고 있었다. 그러다 2023년 비자금 스캔들 등으로 자민당 지지율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반대로 입헌민주당은 젊은층 포함 전체적 지지율이 어느정도 올라갔다. 2024년 중의원 선거 출구조사 기준으론 70대 이상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을 얻긴 했지만, 그 외에도 전세대에서 비교적 골고루 지지를 얻었다.

12.2. 지역

수도권 지지는 치바현[40], 가나가와현[41], 도쿄도 등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다른 국가의 리버럴/좌파 정당들은 수도권이나 최대도시가 우호세력인 경우가 많으나, 입헌민주당은 전신인 민주당이 2012년에 벌어진 소비세 인상 추진으로 촉발된 갈등을 봉합하지 못하고 인상 반대파가 국민 생활이 제일로 분당, 이후 여러 과정을 거쳐 국민민주당으로 이어져오고 있어 수도권 지지세 회복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42]

지방에서는 삿센히로후쿠(札仙広福)[43] 지역의 지지세가 꽤 있는 편이다. 삿포로 센다이는 각각 홋카이도와 도호쿠의 수부도시로 화이트칼라 계층이 의식화되어 있는 편이라 정체성 정치가 고전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곳이다. 거기서 더 나아가 아이누 탄압의 역사로 홋카이도, 동일본 대지진이나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영향으로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전역에서도 지지세가 제법 있다. 한편, 히로시마 원폭에 대한 집단기억, 후쿠오카는 전통적으로 한반도, 중국 지역과의 많은 교류로 내셔널리즘 성향이 강한 자민당에 대한 안티테제에 가까운 지지세가 어느정도 있었지만, 2020년대 들어선 좀 약세인 편이다.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으로서 노동조합의 조직률이 높은 아이치현[44], 미에현[45], 시즈오카현[46]에도 기반을 갖고 있다. 특히 아이치현. 입헌민주당을 지지하는 노조 조직들로는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렌고)에[47] 소속되어 있는 전일본자치단체노동조합(자치로), 일본우정그룹노동조합(JP노조), 일본교직원조합(일교조), 정보산업노동조합연합회(ICTJ), 일본사철노동조합총연합회(사철총련), 일본기간산업노동조합연합회(기간노련), 산업별노동조합JAM이 있고, 그 외 전국노동조합연락협의회(전노협), 전일본항만노동조합(전항만), 전일본건설운수연대노동조합(전일건)에서도 일부 지지를 얻고 있다.

자민당의 몇몇 거물들이 1990~2000년대 내분 사태로 민주당에 합류할 때 넘어온 니가타현, 나가노현, 이와테현에서도 지지세가 있다.

2024년 기준 입헌민주당은 크게 보면 홋카이도부터 동북부, 수도권을 관통해 중부의 주부 지역까지는 우세~경합 구역이 많은 반면, 간사이부터 규슈까지 서부 지역은 오키나와나 교토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곤 약세를 보이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13. 다른 정당과의 관계

13.1. 국민민주당

초기에는 사이가 그리 나쁘지 않았으나 국민민주당이 49회 중원선 이후 호헌파 야권연대를 탈퇴하겠다는 뜻을 나타냈고, 이후 자공정권에 협력하는 모습이나 2024년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고이케를 지지하는 등 어그로를 끌어 리버럴은 물론 입헌민주당 내의 반자민 보수파와도 사이가 영 안좋아졌다. 다만 2024년 10월 중의원 선거 직후 자민당이 연립내각을 제안해도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으면서 입민당, 자민당, 독자 노선 등 여러 갈래 속에서 향후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13.2. 혁신계열 정당[48]

통합 과정에서 舊 입헌민주당 계열이 주도권을 잡은 만큼 통합 이후에도 선거에서 호헌 연대를 구축할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14일자로 사민당의 내부 갈등이 드러나며 사민당 국회의원 4명 중 3명이 합류하는 의안이 당 대회에서 통과되며 사실상의 연내 합당이 성사되었다.

9월 24일 공산당 시이 가즈오 위원장은 모든 선거구에서 단일화가 되지 않더라도 여권과 야권이 경합을 펼치는 지역을 중심으로 단일화를 하는 것을 기본으로 조정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선거 공조 이전에 야권연합정권을 구성할 것을 합의하고 공동 공약을 구성하자고 입헌민주당에 제안했다. 만약 입민당으로의 정권교체가 이루어질 경우 일본 역사상 최초로 공산당이 정권 구성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이야기는 2021년에 치러진 제49회 중원선까지의 이야기로, 입공 공투의 여파로 입민당이 비자민 중도보수 성향 유권자들의 지지를 잃어 오히려 의석이 줄어드는 참패를 겪은 후 공산당과 거리두려는 경향을 보이면서 갈등이 커지고 있다. 레이와 역시 소비세를 둔 의견 갈등으로 관계가 좋지 못하다.

입민당 지도부가 점점 보수화되는 도중에 결정적으로 2024년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공산당의 지원을 받은 렌호가 참패하였고, 이후 치러진 대표 선거에서 대표적인 당내 보수파인 노다 요시히코가 당선되면서 입공 공투 노선은 사실상 파기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공산당도 이에 반발해 기존과 달리 소선거구에 후보를 적극적으로 공인하고 있다.

다만, 2024년 50대 총선에서도 나가노현, 미야기현 등 일부 도도부현과 일부 선거구에서는 개별적으로 단일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당 지도부도 묵인하고 있는걸 보면 최소한의 끈은 잡고 가는 모양새.

13.3. 일본유신회

처음부터 보수 성향의 일본유신회와 리버럴 색채가 강한 입헌민주당은 제1, 2야당임에도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 그렇기에 반 자민-공명 연립 전선의 야당 공조도 보통은 입헌- 사민- 공산- 레이와 호헌파 / 유신-국민의 중도~중도우파로 나누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졌지만 2021년-2022년 스가가 사퇴하는 등 벌어진 여러 사건을 계기로 상황이 바뀐다.

하시모토와 마쓰이는 아베-스가와 친했는데 스가가 사임한 후 기시다가 취임하자 유신이 약간 씩 자민당에 적대적인 행보를 보이기 시작한 것이 입민-유신 연대의 시작이다. 우선 입헌민주당에서는 리버럴 성향이 강한 에다노 유키오 집행부가 2021년 49회 중원선의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총사퇴한 뒤 보수파 출신인[49] 이즈미 겐타 집행부가 출범하면서 기존의 호헌파 연대를 해체하는 수순에 들어섰고, 유신회는 2022년 26회 참원선을 앞두고 연대하던 국민민주당이 유신회와 논의도 없이 기시다 내각의 예산안에 단독으로 찬성표를 던지면서 사이가 틀어졌다. 뒤이어 참원선에서 유신회가 부진한 성적을 거둔 점에 대한 책임을 지고 마쓰이 이치로 대표가 사퇴했는데, 마쓰이 전 대표는 원래 입민당과는 거리를 두고 자민당과 가까이 하는 입장이었다.

2022년 연말을 기점으로 자민-공명(+국민민주) / 입헌-유신간의 연대 및 대립 구도가 뚜렷해진 상황이었으나 유신 측에서 2023년 연초에 있었던 고니시 히로유키 의원의 '원숭이' 발언을 이유로 연대 파기를 선언했으며, 이후 유신이 통일지방선거에서 당세를 확장하는 등 입헌을 위협하였으나 유신내에서 반입헌 성향이 강한 바바 노부유키 일본유신회 공동대표가 제2자민당이 목표라느니 자민-공명 정권과 연정할 수 있다는 반자민 지지층을 털어내는 발언과 입헌을 쳐 부순다는 망언을 지껄이는 등 지지율을 추락시키고 효고현지사의 파와하라 사건의 진상규명을 방해하는 등 국정유신과 오사카유신의 끊임없는 불상사로 연대가 이루어질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14. 역대 선거 결과

14.1. 중의원 선거

연도 의석수 정원 득표율(지역구/비례대표) 결과
2021 96
[▼13]
465 29.96%/20.00% 제1야당
2024 148
[▲52]
465 29.01%/21.20% 제1야당

14.2. 참의원 선거

연도 의석수
개선/비개선
정원 득표율(지역구/비례대표) 결과
2022 39
17/22
[▼6]
242 15.33%/12.77% 제1야당

15. 역대 포스터

역대 포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4년 10월
정권교대야말로, 최대의 정치개혁.
2023년 10월
사람들에게 미래에 바른 정치로
2023년 7월
지금의 건강보험증을 지키겠습니다
파일:입헌민주당 포스터(2024년 10월).jpg
파일:입헌민주당 포스터(2023년 7월 11일).jpg
2023년 1월
더 좋은 미래로!
2022년 4월
생활안전보장
2021년 12월
자, 힘을 합쳐서
파일:입헌민주당 포스터(2023년 1월 20일).jpg
파일:입헌민주당 포스터(2022년 4월 25일).jpg
파일:입헌민주당 포스터(2021년 12월).jpg
2021년 8월
바꾸자
2020년 11월
당신을 위한 정치
파일:입헌민주당 포스터(2021년 8월).jpg
파일:입헌민주당 포스터(2020년 11월).jpg
}}}}}}}}} ||

16. 둘러보기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의 정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eee,#333> 신좌파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 일본노동자공산당 · 신사회당(지방) · 일본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혁명적마르크스주의파 ·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전국위원회(지방)
혁신 녹색당 그린스 재팬(지방) · 레이와 신센구미(5/9) · 사회민주당(2/1) · 우엉의당 · 일본공산당(11/8)
자유주의 입헌민주당(38/147)
보수주의 국민민주당(10/28) · 공명당(27/24) · 자유민주당(115/190) · 퍼스트회 · 츠바사의 당
극우 국가사회주의 일본 노동자당 · 일본보수당(0/3) · 일본제일당 · 참정당(1/3) · 일본국민당
지역주의 가리유시클럽 · 감세일본(지방) · 도민퍼스트회(지방) · 도쿄·생활자 네트워크(지방) · 신당대지(지방) · 아이누 민족당 · 오키나와 사회대중당(1/0) · 일본유신회(21/37) · 정당 소조 · 지역정당 교토당(지방) · 재생의 길
종교 행복실현당(지방)
단일쟁점 모두가 만드는 당(지방)
▪️ ~당(숫자): 해당 정당이 보유한 일본 참의원 중의원의 의석 수
▪️ ~당(지방): 지방자치단체장 혹은 지방의회 의석을 보유한 원외정당
}}}}}}}}}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69C><tablebgcolor=#00469C> 파일:에다노 유키오.svg 에다노 유키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469C><colcolor=#ffffff> 정치 (구) 사이타마현 제5구 · 사이타마현 제5구
역대 선거 제40회 중의원 · 제41회 중의원 · 제42회 중의원 · 제43회 중의원 · 제44회 중의원 · 제45회 중의원 · 제46회 중의원 · 제47회 중의원 · 제48회 중의원 · 제49회 중의원 · 제50회 중의원
소속 일본신당 · 신당 사키가케 · 구 민주당 · 민주당 · 민진당 · (구) 입헌민주당 · (신) 입헌민주당 · 나라의 모습 연구회 · 생추어리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69C><tablebgcolor=#00469C> 파일:오자와 이치로.svg 오자와 이치로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469C><colcolor=#ffffff> 정치 (구) 이와테현 제2구 · 이와테현 제4구 · 이와테현 제3구
가족 부친 오자와 사에키
역대 선거 제32회 중의원 · 제33회 중의원 · 제34회 중의원 · 제35회 중의원 · 제36회 중의원 · 제37회 중의원 · 제38회 중의원 · 제39회 중의원 · 제40회 중의원 · 제41회 중의원 · 제42회 중의원 · 제43회 중의원 · 제44회 중의원 · 제45회 중의원 · 제46회 중의원 · 제47회 중의원 · 제48회 중의원 · 제49회 중의원 · 제50회 중의원
소속 자유민주당 · 신생당 · 신진당 · 1998년 자유당 · 민주당 · 국민 생활이 제일 · 일본 미래당 · 생활당 → 생활당과 야마모토 타로의 동료들 → 2016년 자유당 · 국민민주당· (신) 입헌민주당 · 헤이세이 연구회 · 오자와 그룹 }}}}}}}}}

일본의 자유주의 정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logo_w.svg
입헌민주당
39석파일:1px 투명.svg 148석
다른 정당 ( 혁신 · 자유 · 보수 · 단일쟁점) }}}괄호 안에서 왼쪽은 일본 참의원, 오른쪽은 일본 중의원 의석 수.}}}}}}}}}

파일:오사카부의회 로고.gif
오사카부의회의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립여당
[[오사카유신회|오사카유신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공명당|공명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야당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무소속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입헌민주당|민주넷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일본공산당|일본공산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민주넷'은 입헌민주당 1+ 무소속 1로 구성된 회파이다. }}}}}}}}}



[1] 2017년에 창당한 구 입헌민주당과 2018년에 창당한 구 국민민주당을 주요 전신으로 한다. 구 입헌민주당 민주당 민진당을 거쳐 활동해온 중도좌파 성향의 혁신파 인사들이 주도하고 있었고, 구 국민민주당 민진당 희망의 당의 합당 이후 민주당 - 민진당 시절부터 당내 우파로 분류된 중도파 중도우파 인사들이 주도하고 있었다. 2020년 9월 이 두 정당을 양대 축으로 하여 신설합당하는 과정에서 구 국민민주당 내 상대적 우파 위치에 있던 · 국회의원 14인이 합당에 반대하며 분당, 새로운 신 국민민주당을 창당하며 떨어져나갔다. 따라서 중도파에서 중도좌파까지, 일부 소수 좌익 인사들까지 포괄하는 진보·자유주의 혁신정당으로 자리매김했다. 과거 일본 민주당과 정치적 스펙트럼이 유사하긴 하나 조금 더 진보적인 면을 보인다. [2] 구 민주당과 구별하기 위해서 언론 보도시 입민(立民), 입헌민주(立憲民主), 입헌민(立憲民), 입헌(立憲), 입(立)이라고 표기한다. [3]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공식 약칭으로 사용했는데, 국민민주당도 동일한 약칭을 사용해서 비례투표에서 민주당이라고만 쓴 표는 안분표로 처리되었다. [4] 입헌민주당 강령 중 일부 (당의 목표 '입헌주의에 기초한 민주정치' : '입헌주의'를 지키고, '상징천황제' 하에서 일본국 헌법에 정한 '국민주권주의', '기본적 인권의 존중', '평화주의' 수호를 목표로 함) [A] 화제회, 신정권연구회 계열. 민진당 내 선명한 사회자유주의자들이 창당했던 구 입헌민주당과 달리 다소 보수적이였던 구 국민민주당과 구 입헌민주당의 신설합당한 정당이라, 구 입헌민주당보다 당 내에 상대적으로 더 보수적인 인사들이 늘었다. [6] 21세기 일본 정치에서 보수자유주의라는 용어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주로 민주당-민진당-입헌민주당 계열은 '리버럴'(リベラル)이나 '자유주의'(自由主義)라는 용어로 사용되는데 미국과 비슷하게 사회자유주의를 의미해 '보수주의'와 대조적으로 사용된다. 즉 일본에서는 입헌민주당 당내 우파를 보수자유주의/자유보수주의라고 하지 않고 그냥 보수주의라고만 칭한다. 따라서 보수자유주의가 아닌 온건 보수주의라고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A] [B] 생추어리( 곤도 쇼이치), 사회민주주의 포럼( 요시다 다다토모) 계열. 계파 내부에서도 좌파 성향이 강한 인사들은 민주사회주의 성향을 강하게 보여준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쓰지모토 기요미. [B] [10] "Japan's ruling conservatives have been returned to power, but amid voter frustration, challenges lurk for Kishida". The Conversation. 1 November 2021. Retrieved 13 November 2021. The main opposition, the centrist Constitutional Democratic Party, lost 13 seats, to end up with 96. Other smaller opposition parties only shifted slightly, with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dropping two to ten, and the centre-right Democratic Party for the People gaining three to reach 11. [11] Sieg, Linda (26 August 2018). "Japanese PM Abe seen headed for extended term despite policy doubts". Reuters. Retrieved 21 October 2019. [12] 중도좌파( 생추어리), 중도좌파~ 좌익( 사회민주주의 포럼 계열), 중도~ 중도우파( 에다 겐지, 와타나베 슈, 류 히로후미 등 기타 보수파), 중도( 신정권연구회, 화제회, 지세이카이) 등 의원들 성향이 꽤 다양하지만 주류인 나라의 모습 연구회는 중도~중도좌파로 분류된다. 신 국민민주당에 참여하지 않는 구 국민민주당 주류파의 합당으로 나라의 모습 연구회 성향 자체도 중도화되었다. [13] 원래 민주당 시기 때부터 사용되던 국민민주당의 본부였으나 신설 합당되면서 건물을 물려받았고, 2022년 12월 1일 당 본부를 완전히 미야케자카 빌딩으로 옮겼다. [14] 선거대책위원장 겸임 [15] 지역구 31석, 비례대표 15석 [16] 지역구 104석, 비례대표 44석 [17] 포스터 속 인물은 입헌민주당 대표인 노다 요시히코. [18] 민주당 시절부터 임대하던 건물인 미야케자카 빌딩(三宅坂ビル)으로 원래는 펜탁스의 본사였다. 위 사진은 2022년 12월 1일 당 본부를 미야케자카 빌딩으로 옮긴 이후, 2023년 2월 23일 당 로고가 새겨진 간판을 붙인 사진이다. [19] 실제로 에다노 유키오가 134표를 듣고 많이 놀라는 눈치를 보였다. [20] 현재는 자민당과 함께하고 있지만 원래 민주당 - 민진당 출신이고, 입헌민주당 내에 호소노의 파벌이 포진해있어 에다노를 찍었을 가능성이 있다. [21] 헌법 9조 2항 삭제가 아닌 3항을 추가. [22] 전 입헌민주당 소속 나가노현 참의원 의원 하타 유이치로의 동생이다. [23] 다만 같은 날 실시되었던 도쿄도의회 보궐선거에서는 입민당뿐 아니라 자민당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4] 9조 개헌에까지 긍정적이라는 것은 아니다. 일본에서 개헌 이슈라 하면 한국에서 우려하는 평화헌법 폐기 주장 외에도 참의원 선거구 조정 등 보다 포괄적인 것을 의미한다. [25] 료운카이는 일본에서는 단순 중도로 지칭되지만, 중도 ~ 중도우파로 보는 사람도 많다. [26] 에다노 유키오를 비롯한 당 주류 파벌들도 신자유주의를 강하게 반대한다.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도 반신자유주의를 주요 이념으로 넣고 있다. # [27] 이들을 일부 계승한 입헌민주당 내 계파인 생추어리는 친중 이미지가 있다. [28] "한국 내에서 원한반도 출신 노동자(원징용공)에 의한 소송이 잇따르고 있어, 일본의 기업에 배상을 요구하는 등의 움직임이 있습니다만, 국제법을 존중한 적절한 대응을 실시하도록, 한일 청구권 협정에 근거한 협의를 실시해, 우리나라 기업의 이익을 지킵니다." [29] 다만 친한보다는 친중에 방점이 조금 더 찍힌 편이라는 의견도 있다. [30] 참고로 현 대표인 노다 요시히코는 2010년대 초 총리 시절 이명박 대통령과 회견에서 위안부 문제를 논의했으나, 모르쇠, 강경 일변도의 모습을 보여 MB가 답답해 할 지경이었다고 한다. 물론 당시엔 이미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이 급격히 우경화되던 시기라 이에 눈치 본 노다가 더 그런 측면도 있지만 이후 이명박도 환상을 접었는지 2012년 독도 방문과 일왕 사죄 발언 등 대일 강경 스탠스를 취하면서 당시 한일관계는 그야말로 아작이 나고 만다. [31] 일례로 2020 도쿄 올림픽 선수촌에 후쿠시마산 식품이 제공되는 가운데 한국 대표팀이 음식을 따로 조달하는 것을 가지고 이 작자는 "한국이라는 나라는 나도 여러 가지로 마주 대한 적이 있으나 여러 평가나 지적이 있다. 아무리 해도 감정이 우선한다거나 과학적·합리적 사고를 잘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있다"고 한국을 맹비난했다. # [32] 이건 자민당에도 해당되는 이야기인데 누카가 후쿠시로 중의원 의장은 한국에 비교적 비둘기파로 알려진 이시바 시게루보다 더 급진적인 친한 성향을 보였고, 아베 신조와 친한 의원들 중에서는 아베보다 더 반한 내지 혐한 정책을 내세우는 의원도 있다. 일본의 양당이 외교 문제에 있어서도 꽤나 스펙트럼이 넓은 편인데 사실 이것도 과거에 비하면 좀 좁아진 것이다. [33] 사실 하토야마 유키오, 야마조에 타쿠 정도를 제외하면 일본 내에서 대놓고 독도 문제를 한국 측에 유리하게 인식하는 정치인이나 세력은 거의 없는 편이다. 독도 문제에 대해 열려있다고 알려진 일본공산당도 독도 문제는 역사 문제를 해결한 다음에야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할 뿐이지, 일본의 되찾아야 하는 영토라는 점에 대해서는 딱히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는 한국에서 친일 성향이 있는 정치인들도 독도 영유권은 한국에 있다고 주장하는 것과 비슷할 것이다. 애초에 영토 문제란 것이 역사관이나 도덕성 문제와는 별개인 면도 있다보니 국내 정치에선 상대쪽 편 들기가 매우 어려운 부분이 있다. 때문에 부정하거나 그냥 침묵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34] 사실 인터넷이 세계주의, 자유주의도 전파시켰지만, 한편으론 배타적 민족주의와 극우 사상도 전파시킨다는 지적은 이전부터 여러차례 나온 바 있다. 유럽 일부 지역에서 극우정당이 발호한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보기도 한다. 양날의 검인 셈이다. [35] 일본 내에서는 당연히 대한 외교보다는 자국 기준 사회경제적 정책으로 판단할테니, (대한 외교에서 이전보다 강경한) 현 입헌민주당이 (되려 친한이였던 하토야마 유키오 시절) 구 민주당때보다 경제정책이나 사회문화적으로 훨씬 좌경화되었다고 보고 있다. [36] 다만 하토야마 유키오는 일본 리버럴뿐 아니라 혁신 진영 내에서조차도 드문 매우 전향적인 인사였기 때문에 애초에 그가 일본 리버럴 주류를 대변했다고 보기도 어렵다. 국내에선 퇴임 이후 서대문형무소에 와서 도게자 한 사람으로도 유명하다. 5.18 묘지나 노무현 대통령 묘역 참배도 했다. 국내 강경 NL계 언론인 자주시보조차 하토야마 유키오가 한미일 군사훈련이 북한에 대한 침략연습이라고 맹비난한 것을 언급하며 이러한 입장은 일본공산당에서조차 보기 어렵다고 회고할 정도였다. # 문제는 하토야마 유키오가 총리 퇴임 이후 정치인으론 이미 몰락한 상황이라 현재는 일본 리버럴계에서도 큰 힘을 쓰지 못한다는 것이다. [37] 정확하겐 일본유신회랑 같이 제기했다고 보도되었는데 후술된 보도를 보더라도 유신회 간부만 나와서 인터뷰했다. [38] 이마저도 '철거하겠다'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한 것은 아니고 '노력하겠다' 정도 뉘앙스였다. 그리고 외교가에서 이런 표현은 냉정하게 보면 립서비스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는게 현실이다. [39] 해당 문서에도 있지만 노다는 자위관의 아들로, 2005년 ' 야스쿠니 신사에는 전범이 없다'는 망언을 내뱉는 바람에 당시 한국 중국 등으로부터 상당한 비난을 받은 바 있다. 다만 총리 재임 시절엔 주변국 눈치도 좀 봤는지 야스쿠니 신사 참배는 하지 않았고, 총리직에서 퇴임한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어느 정도 진보화되었다는 평도 있는데 실제 그런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 [40] 나리타 투쟁의 영향이 있다. [41] 합성세제 사용 증가로 인한 수질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에서 처음 합성세제에 대한 법적 규제를 이끌어낸 사회운동단체 합성세제대책위원회(合成洗剤追放対策委員会)(현. 가나가와 네트워크 운동(神奈川ネットワーク運動))이 사회민주당 내 주요 지지세력 중 하나였던 것이 계기가 되고 있다. [42] 다만 2024년 중의원 선거에선 수도권 세를 상당히 회복해, 도쿄, 가나가와에선 의석 1당이 되었다. [43] 삿포로, 센다이, 히로시마, 후쿠오카 4개의 인구 100만명 이상인 2군 대도시를 묶어서 이르는 말. [44] 린나이, 브라더 공업는 아이치현 나고야에 본사 소재, 토요타는 아이치현 토요타에 본사 소재 등이 있다. [45] 키오시아, 웨스턴디지털의 메인 사업장은 미에현 욧카이치에 소재 등이 있다. 이온그룹도 지금은 본사를 이전했지만 미에현 향토기업 출신으로 창업주 아들인 오카다 가쓰야가 이른바 민주왕국이라 불리기도 한 미에현 3구에 터줏대감으로 자리잡았다. [46] 야마하, 스즈키는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에 본사 소재 등. [47] 여긴 2020년대 기준 국민민주당을 지지하는 세력도 있다. [48] 일본공산당, 사민당, 레이와 신센구미. [49] 다만 항목에도 있듯 지금은 호헌, 부부별성, 동성혼, 탈원전 찬성 등 이전보다 꽤 좌경화된 상태다. [50] 다른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