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00:41:48

의인화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ickey_Mouse_.jpg
를 의인화 한 미키 마우스
언어별 명칭
<colbgcolor=#ddd,#333> 한국어 의인화
한자 擬人化
영어 Personification, Anthropomorphize[1]
1. 개요2. 상세3. 2차 창작4. 의인화와 관련있는 작품·사례5. 실제 공식 작품이 캐릭터를 의인화한 경우6. 의인화 팬아트가 많은 작품 또는 캐릭터들

[clearfix]

1. 개요

사람 아닌 것을 사람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

2. 상세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시기부터 사용하였다. 가령 로마 제국에서는 화해를 의인화 한 콩코르디아 여신을 모셨으며, 로마라는 국가 그 자체를 여신으로 의인화하기도 했다.

가치, 지역, 국가 등을 의인화해 그림으로 묘사하는 것은 이후 시대에도 계속되었고, 대표적인 예로 미국 국회의사당 지붕의 천장화 '워싱턴의 신격화'에서도 13개 식민지가 처녀의 모습으로 의인화되어 나타난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신들이 인간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는 설정도 따지고 보면 의인화의 한 종류다.

'의인화'라는 뜻이 단순히 외형적인 것뿐만이 아니라 사람이 아닌 대상의 내적인 심리 같은 것을 사람 처럼 묘사한 것도 의인화로 해당한다. 예를 들면 동물을 소재로 했지만 최종적으로는 사람의 행동을 빗대는 이솝 우화 같은 , 비행기, 백곰 카페, 쿵푸팬더, 우주적 존재[2] 등도 의인화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런 뜻으로는 주로 문학계 등 전문 분야에서 쓰인다. 이 중 쿵푸팬더 같은 경우는 수인화의 범주로도 들어간다.

나라 의인화(National personification)의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 엉클 샘 컬럼비아, 영국 존 불 브리타니아, 프랑스 마리안, 독일 게르마니아 등이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 / 영어 위키백과

3. 2차 창작

사람이 아닌 캐릭터나 사물 따위를 사람 형태로 재구성해서 그리는 팬아트. 하지만 사람이 아닌 것을 억지로 사람으로 그려내다 보니 원본을 알아보기 힘든 경우도 많기 때문에 자캐를 데려다 놓고 코스프레를 하는 것 같아서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대체로 미화되고 인간 형태라 거부감도 덜하니 뭐가 문제냐고 생각할지는 모르겠지만 가장 큰 문제는 종족이 바뀌고 결정적으로 특정 캐릭터의 아이덴티티를 가장 잘 상징하는 얼굴이 완전히 바뀌기 때문에 그렇다. 의외로 이런 사람이 많기 때문에 일본 2차 창작계에서는 의인화 일러스트를 투고하거나 자신의 홈페이지가 의인화를 취급할 때 의인화 주의를 반드시 표시한다. 모에화나 마찬가지로 원본 대상과 이 크면 아무리 미형이라도 다른 의미로 OME이기 때문이다.

퍼리 혹은 케모노 애호가들은 동물 캐릭터 의인화를 금기시한다고 카더라. 반대의 경우를 픽시브에서는 의수화(疑獸化)라고 부른다.

특히나 케모노 관련 분야에선 포켓몬이나 디지몬 같은 경우는 인기가 상당하다 보니 의인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편인데 역시 호불호가 상당히 갈린다.

동물 캐릭터나 그와 유사한 캐릭터를 수인으로 만드는 걸 의인화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수인화라 칭하는게 옳다.

엄연히 보면 모에화도 의인화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모에화와는 나름 큰 관련이 있지만 한국 오타쿠 사이에선 모에화에 비하면 생각보다 별로 쓰이지 않는 단어이다. 반면 일본에선 모에화라는 단어를 한국에 비해 매우 적게 쓰이는 편. 항목 참조. 나무위키에서 이 항목이 한동안 만들어지지 않은 이유도 이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직접 창작하는 그림쟁이 사이에서는 모에화보다 훨씬 많이 쓰이는 단어이다. 그림 커뮤니티 등에서는 의인화라는 단어를 훨씬 더 자주 볼 수 있다. 사실 둘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많이 다르다. 의인화는 대상의 이미지를 가지고만 한다면 모에화는 대상의 이미지보단 섹시 어필에 더욱 치중한다. 거기다 모에화는 대상의 성별을 신경 안 쓰고 무조건 미소녀로만 그려진다. 의인화 대상이 남성이어도 진지하게 인간 여성으로 의인화될 때가 있는데 예를 들어 픽시브에서는 '의녀화(擬女化)'로 표기하거나, 의인화 뒤에 ' 여체화'라고 주석을 달아 놓기도 한다.

그러나 의인화가 너무 단순하면 적당한 미형 캐릭터에 관련 코스프레를 시킨 정도로 보일 수 있다. 물론 일본식 모에에 거부감이 있는 아티스트는 미형 모에화를 단연코 거부하고, 최대한 의인화 대상의 이미지에 걸맞은 다양한 연령대, 인종, 체형 등을 시도하는 경우도 많다. 보통 양덕후가 다양하게 그린다. 한국은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인지 미소년/ 미소녀에 물건 코스프레 시키는 식의 의인화가 많다.

서양 그림계에서는 의인화의 범위가 넓어서 인간과 닮은 인외종족(일명 휴머노이드)도 포함한다. Humanization, Personification, 오타쿠계에서 쓰는 Gijinka 등의 단어가 있지만 Humanization은 잘 안 쓰이고 Personification이나 Gijinka라고 하는 경우가 더 많다. Gijinka는 원래 포켓몬 의인화를 뜻하는 단어였는데 오브젝트 헤드 등 인간은 아니지만 인간형인 디자인을 Humanization라고 하기엔 딱히 대체할 말이 없어서 종종 쓰이는 듯 하다. 하지만 실제로 '인간형 인외화'를 주로 그리는 사람들은 Gijinka보다는 my take on/my version of (캐릭터 이름)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쓰는 편이다. 가끔 혼용할 때도 있다. 배타적이고 개인 활동 위주인 한국 팬덤과 달리 각자의 의인화 디자인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활성화되어 있어 서로의 디자인을 모아 단체샷을 그리거나 역할극(RP)을 하는 등 교류 문화가 매우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아시아권에서도 '인간형 인외화'를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냥 인간화에 비해 수가 턱없이 적다. 그 때문인지, 별도의 장르로 분류되는 수인화(獸人体)를 빼면 인간형 인외화를 가리키는 단어도 정립되지 않아 의인화 뒤에 (?) 표시를 붙이는 식으로 표기한다. 그냥 '인외화'라고만 하면 다들 인간과 거리가 먼 인외( 크리쳐 등)를 생각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듯하다.

4. 의인화와 관련있는 작품·사례

5. 실제 공식 작품이 캐릭터를 의인화한 경우

6. 의인화 팬아트가 많은 작품 또는 캐릭터들


[1] 다만 이 단어에서 온 표현 Anthro는 의인화보다는 수인화를 뜻하므로 주의. [2] 기본적으로 정의가 의인화가 아니기에 아닌게 더 많다. [3] 주제 자체가 의인화는 아닌데 그냥 사실상의인화가 주제나 다름없는 수준이다. [4] 서비스 초창기에는 세계관이나 설정이 제대로 잡히지 않아서 총기 의인화 게임에 가까웠고, 전술인형들의 대사도 실제 총기에서 모티브를 따 온 게 많았다. 하지만 게임의 배경설정이 어느 정도 정리되고 스토리가 진행된 지금은 총기를 의인화한다는 컨셉은 줄어들고 독자적인 설정을 구축하는 중이다. 후속작인 뉴럴 클라우드 소녀전선2: 망명에서도 인형들의 이름이 총의 이름이 아닌 고유의 독자적인 이름으로 등장하면서 의인화 컨셉에서 완전히 탈피했다. [5] 공식 의인화가 있지만 등장하지 않는다. [6] 인사이드 아웃의 K-패치로 보면 된다. [7] 일부 카드 [8] 영원 일족이라는 일곱 개념이 의인화한 우주적 존재들이 등장하는 DC 코믹스 명작 만화. 주인공은 영원 일족의 셋째인 이다. 특이하게도 영원 일족은 그들이 직접 의인화된 것이 아니라, 인간의 관점에서는 의인화로 보일 뿐이라는 설정이다. 작가는 아메리칸 갓이라는 미드의 원작 소설을 썼으며, 휴고상 로커스상, 뉴베리 상, 카네기상 등을 받은 그레이브야드 북의 원작자이기도 한 닐 게이먼이다. [9] 주로 역사적 또는 전설상의 인물이 영령이 되나 관념이나, 탐사선 등을 의인화한 것도 있다. [10] 코코, 너츠, 밀크, 시럽, 콥페, 세이렌, 캔디, , 샤를, 라켈, 란스, 다비, 스포일러, 아로마, 미스 샤무르, 모후룬, 페코링, 장로님, 키라링, 스포일러2, 해리햄 해리. [11] 데이비드(BFDI)같은 의인화 물건이 아닌 경우도 있다. [12] 사실 이 영화에서 쿠파가 아예 평행세계의 인간(배우는 데니스 호퍼)으로 등장하긴 했다. 정확히는 평행세계의 공룡이 멸종하지 않고 작중 원래 지구의 인간과 비슷한 모습으로 수렴진화한 생물이란 설정이라서, 의인화가 아닌 설정 변경이라 판단하고 이 목록에 등재하지 않았다.(최후에 공룡이 된 건 퇴화 총을 맞고 그런 거라 본 모습으로 치지 않음.) 뭔가 원래 마리오 시리즈와 동떨어진 설정인데, 이 영화가 까인 이유 중 하나가 이거다. [13] 서양권에서는 의인화보다는 스머프 자체에 호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지 의인화 팬아트가 적은 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