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07:33:29

우리말 겨루기

우리말겨루기에서 넘어옴
파일:KBS 1TV 로고.svg 시사교양 프로그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퍼즐 챔피언
1~33회 34~65회 66~87회 88~141회
142~263회 264~302회 303~374회 375~399회
400~491회 492~510회 511~555회 556회~
특집
우리말 달인 | 시청률
}}}}}}}}} ||
KBS 1TV 시사교양 프로그램
우리말 겨루기
Woorimal Battle
파일:우리말겨루기_2022.jpg
<colbgcolor=#302f37><colcolor=white> 장르 퀴즈쇼, 토크쇼
방송 기간
ON AIR
2003년 11월 5일 ~
([dday(2003-11-05)]일, [age(2003-11-05)]주년)
방송 시간 매주 월요일 오후 7:40 ~ 8:30
제작 KBS 시사교양본부 - 제3영상, 빠삐용미디어
채널 KBS 1TV
재방송 채널 KBS LIFE | KBS Kids
진행 박지원
성우 박형욱[1]
HD 제작 여부 HD 제작 ・ 방송(2009년 ~ )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프로그램 소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당신의 도전이 아름다운 우리말을 꽃피웁니다
대한민국 유일, 한글 퀴즈 쇼 <우리말 겨루기>
}}}}}}}}} ||

1. 개요2. 특징3. 로고 변천사4. 참여 방법5. 역대 진행자6. 시청자 문제7. 시청률8. 유튜브 스트리밍
8.1. 특징8.2. 역사
9. 여담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여러분, 주저하지 마십시오. 바로 이 자리는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한석준 아나운서 진행 당시 클로징 멘트.

KBS 1TV에서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40분에 방송하는 시사교양 퀴즈쇼로 2024년 4월 29일에 1000회를 맞았다.

2003년 11월 5일부터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되어 방송되고 있으며[2], 대한민국의 일반인 퀴즈 프로그램 중에선 지금도 방영되고 있는 가장 유일한 프로그램이다. 성우는 박형욱이며[3], 진행자는 박지원 아나운서다.

첫방송된 해인 2003년부터 2008년까지는 4:3 비율의 아날로그 SD 방송으로 제작하다가 2009년 이후 16:9 비율의 HD 방송으로 전환했다.

2. 특징

프로그램 명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어와 관련된 문제를 푸는 게 주요 내용이다. 프로그램 제목을 이렇게 지은 건 물론이고 응원 구호까지 우리말만 사용하는 것도 프로그램 특유의 취지를 지키기 위해서라고 한다.

방송 초창기엔 미국 퀴즈 프로그램 휠 오브 포츈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있었지만, 진행 방식이 바뀌면서 자연스럽게 잦아들었다.

우리말 단 하나만 다뤄서 타 퀴즈 프로그램들보다 난도가 훨씬 높으며, 토종 한국인에게도 어렵다. '우리말'이라는 큰 굴레가 있어 다른 퀴즈 프로그램들보다 쉬워 보일지 모르나 다른 퀴즈 프로그램들이 여러 가지 장르의 고난도 문제를 폭넓게 낸다면, 여기는 반대로 순수 우리말의 단어[4], 맞춤법, 띄어쓰기[5], 문학 등 여러 부류를 깊게 출제한다.

달인이 나올 확률은 이 프로그램보다 먼저 탄생하고 먼저 종영된 퀴즈 대한민국 따위는 명함도 못 내밀 정도로 대한민국 역대 퀴즈 프로그램들 중에서 최고 난도를 자랑한다. 방송 횟수를 감안했을 때 약 6%의 회차[6]에서만 달인이 나올 정도로 상당히 어렵다.[7] 이게 빈말은 아닌 게, 문제를 풀면서 아나운서가 출연자들에게 해당 문제의 답을 그렇게 고른 이유나 문제로 나온 단어의 뜻 등 지엽적인 것들을 질문하며, 매끄럽게 대답하기 위해선 공부를 많이 하는 게 좋다. 요즘 같은 경우 그 날 방송에서 우승한 도전자가 시종일관 좋은 모습을 보여주다가도 마지막 달인 문제 도전 단계로 왔을 때 2단계 띄어쓰기에서 달인 도전에 실패하는 경우가 일쑤며, 여러 번 재도전한 참가자가 나와도 달인의 영광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8]

예심을 통해 선발된 일반인 참가자들이 퀴즈 대결을 벌여서 결정된 우승자가 우리말 달인에 도전하는 방식이다. 우리말 달인이 될 때의 상금은 우승자의 점수에 따라 결정되므로 룰 개편 시마다 미묘하게 달라져 왔다. 2013년 11월 25일 방송분(492회)부터는 달인 상금이 3,000만 원으로 고정되었으며 명예 달인 및 왕중왕 추가 상금 문제에 성공하는 경우에는 이에 3분의 1이 주어진다.

달인 상금의 10%는 이웃 돕기, 장학금으로 사전 공제된다. 우승자가 도전했던 최다 달인 상금은 201회 방송분의 3,872만 원, 역대 달인 중에서 최다 상금 수령자의 기록은 179회 방송분의 12대 달인이 받은 3,504만 원이며, 진행 방식 변경이 없는 한 이 기록이 깨질 가능성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3. 로고 변천사

파일:우리말 1세대.png * 1세대(1~93회): 우리말 겨루기의 '말'의 밑 'ㄹ' 부분이 크게 벌려져 있다. 겨루기는 '루' 부분은 마름모 모양, 나머지는 네모 모양이다. 초창기에만 쓰고 오래 쓰지 않은 시기.
파일:우리말 겨루기 2세대.jpg * 2세대(93~746회): 우리말 겨루기 로고를 가장 오래 쓴 시기. 우리말 부분은 명조체를, 겨루기는 한컴소망체를 사용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기억하던 시기였으며 당시 출판된 책도 이 로고를 사용했다.
파일:우리말 겨루기 로고.png * 3세대(747회~현재): 판본체 로고를 사용 중이다.[9]

4. 참여 방법

5. 역대 진행자

역대
(대수)
진행자 방송 기간 비고
1대 정재환 이화선 2003년 11월 5일 ~ 2003년 12월 3일
2대 서민정 2003년 12월 24일 ~ 2004년 11월 6일
3대 김현욱 2004년 11월 13일 ~ 2005년 4월 30일 [13]
4대 한석준 2005년 5월 2일 ~ 2010년 5월 3일
5대 엄지인 2010년 5월 10일 ~ 2022년 3월 7일 [14]
임시 조수빈 2015년 4월 12일 ~ 2015년 8월 31일 [15]
강승화 2016년 12월 26일 ~ 2017년 4월 10일
성세정 2017년 9월 25일 ~ 2018년 2월 12일 [16]
6대 박지원 2022년 3월 14일 ~ 현재
임시 김종현 2022년 12월 19일 [17]
2023년 4월 3일
2023년 6월 12일
2023년 8월 7일

6. 시청자 문제

7. 시청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리말 겨루기/시청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유튜브 스트리밍

8.1. 특징

8.2. 역사

9. 여담

10. 둘러보기

파일:KBS 1TV 로고.svg 월요일 프로그램
이전 ON AIR 다음
19:00~19:40 19:40~20:30 20:30~21:00
KBS 뉴스 7 우리말 겨루기 KBS 1TV 일일 드라마


[1] 80회부터 합류했으며 925회에서 밝혀진 바로는 미리 녹음하는 게 아니라 녹화 때 직접 문제를 읽어준다. 또한 일부 문제에선 내레이션과 등장인물 더빙도 소화한다. [2] 원래 명칭은 《 퍼즐 챔피언》이다. [3] 과거엔 김영진 성우와 같이 보조 성우를 맡았다. [4] 특히 어휘의 경우 2005~2010년 상반기 달인 도전에선 띄어쓰기보다도 난도가 높은 유형 중 하나다. 띄어쓰기는 용법만 알면 어느 정도 풀 수 있는 반면, 어휘 부분은 사실상 찍어 맞히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2007년 이후엔 초성 열기를 통해 도움을 얻을 수 있었지만, 그렇게 해도 통과하기 힘든 건 매한가지였다. [5]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가 최고의 난도로 꼽히는 이유 중 하나다. 한국인들도 이 분야에는 자신없어하거나 쩔쩔매는 경우가 많으니… 2011년 하반기부터는 범위에서 제외되었다가 2012년부터 다시 돌아왔다. 대신 예전처럼 긴 문장을 주고 전부 찾는 것이 아니라 한 단어를 객관식으로 푸는 방식이다. 2013년 하반기에는 다시 예전처럼 긴 문장을 주고 띄어쓰기와 맞춤법을 맞히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현재는 다시 2012년 진행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2024년엔 간혹 띄어쓰기가 틀린 단어를 고르는 문제가 달인 문제가 아닌 2단계에서 출제되는 경우도 있다. [6] 도전 골든벨이 약 13%, 퀴즈 대한민국이 12%인데, 이 프로그램은 그 반토막이니 얼마나 어려운지 알 수 있다. 물론 전분야를 다루는 도전 골든벨이나 퀴즈 대한민국도 만만치 않은 난도를 자랑한다. [7] 444회의 우승자가 우리말 겨루기를 '우리말 고시'에 비유했다. 상대평가 기준 2등급이 나오기 위해선 상위 11% 이내는 들어야 하는데, 이것마저도 뛰어넘는다. [8] 2024년 기준으로 달인 비율만 따졌을 때, 재도전자가 달인에 등극할 가능성은 약 39% 정도 된다. 퀴즈 대한민국 (10명, 약 16%)보다는 재도전자가 타이틀을 딸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긴 하지만, 그래도 만만치는 않다. [9] 747~749회의 경우 방송 시작할 때 판본체 로고를 사용했지만, 촬영장 내에서는 2세대 로고를 사용했다. [10] 2023년 11월까지는 십자말풀이 25문제를 푸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대체로 20~40분 정도 걸리지만, 이걸 5분 컷 낸 것도 모자라 합격까지 한 사람도 있다. [11] 어떤 편은 처음 출연한 사람끼리 대결하는 반면, 어떤 편은 4인의 도전자의 우승 횟수의 총합이 10회를 넘어가는, 말 그대로 죽음의 조인 경우도 있다. [12] 따라서 몇 년 전에 경쟁자로 만난 도전자를 다시 만날 수도 있다. [13] 이 때에는 핸드 마이크를 들고 진행했다.( 2004년 11월 13일 제외) [14] 12년 간 진행한 역대 최장수 MC며, 900회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육아를 위해서 하차하게 되었다고 한다. 2012년 런던 올림픽 때엔 오언종 아나운서가 3주 간 임시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때는 황정민(19기) 아나운서가 임시로, 2020년 1월 6일과 13일에는 엄지인 아나운서의 휴가로 인해 각각 김희수(28기) 아나운서와 윤수영(31기) 아나운서가 임시로 진행했으며, 2020년 12월 14일부터 2021년 1월 11일(2020년 12월 21일 제외)까지는 김선근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그 외 수개월 이상 임시로 진행한 아나운서는 후술한다. 1년 3개월 후인 2023년 5월 1일, 아침마당 여자 진행자로 6년 만에 복귀해 재진행 중이며 1000회 특집에서 깜짝 등장했다. [15] 엄지인 아나운서의 출산 휴가로 인해 임시로 진행했다. [16] KBS의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해서 대신 진행했다. [17]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KBS 뉴스 9 주말 대신 현지 뉴스 진행으로 인해 현지에 가 있어서 대신 진행했다. [18] 예전엔 3명에게 수여했다. [19] 2018년에 종영한 1 대 100에서도 출제된 문제에 나온 보기나 단어들이 연관 검색어로 뜨는 경우가 있다. [20] 휴가, 출장 및 개인 사정으로 인해 2021년 5월 3일부터는 이재성 아나운서가 시청자 퀴즈 임시 코너를 맡은 바 있다. [21] 상황에 따라서는 자막으로 대체되는 경우도 있다. [22] 단, 13~16회는 한 출연자 사정으로 인해 올라오지 않았다. [23] 18회, 31회, 34회, 36회, 39회, 41회, 63회, 66회 제외. [24] 그 이전에 짤막하게 우리말을 다루는 바른말 고운말이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한 바 있다. [25] 이는 연예인 특집, 유명인 출제일 때도 해당된다. [26] 김현욱 아나운서의 우리말 겨루기 하차 과정에서 2003년 12월 24일부터 공동 MC로 활약한 서민정도 하차했으며, 그 이후에는 연기에만 전념해 왔다. [27] 두 의원 모두 바다가 있는 곳을 지역구로 두었다는 게 공통점이다. 하태경 의원의 지역구는 부산 해운대구 갑이고 이 의원의 지역구는 전남 여수시 갑이다. [28] 두 의원 모두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있어서 개인적으로 친하다. 한편 이혜훈 의원은 다리를 다쳐서 출연자들 중 유일하게 의자에 앉은 상태로 방송했다. 다만, 결승전에선 선 채로 풀었다. [29] 둘 다 바른정당 출신이며 무소속 의원은 국민의당 출신이다. [30] '집어먹던'을 '집어 먹던'이라고 답해 아쉽게 실패했다. 이후 박 의원이 "이 문제가 우리 상금을 집어먹었다"고 농담을 던진 바 있다. [31] 출연자의 가족이나 직장 동료의 응원 영상으로 대체되었다. [32] 그 때문인지 원곡자를 조용필로 아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33] KBS 교양 채널에 업로드되어 있다. [34] 이는 1079회 TV비평 시청자데스크에서 언급되었다. [35] 여기선 2년 간의 유예 기간은 적용되지 않으며, 예선 결과 우승자나 달인 위주로 뽑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