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장르 판타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010101,#e5e5e5> 연대 | 남성향 | 성향 혼재 | 여성향 | |||||||||
1세대 (~90년대)G |
판타지 소설 · 어반 판타지 · 무협( 구무협 · 신무협) · SF 소설 · 밀리터리물 · 대체역사물 | ||||||||||||
2·3세대 (00년대) |
양판소 · 퓨전 판타지 ( 차원이동물 · 이고깽 · 환생물 · 이군깽) · 판협지 · 정통 무협 · 영지물 · 기갑물 · 드래곤물 / 게임 판타지 · 라이트 노벨 · 현대 갑질물 | 팬픽( 패러디 · 아이돌) | 인소 · | ||||||||||
4·5 세대 (10년대 ~현재) |
2차세계 (장르 판타지) |
탑등반물 ·
차원유랑물 · 게임빙의물 · 스페이스 오페라 · 무협 웹소설 ( 퓨전 무협) |
한국식 이세계물 · 일본식 이세계물 ( 던전물 · 던전운영물) · 정통 판타지 · 판타지 웹소설 ( 명가물) · 미션물 | 아카데미물 · 책빙의물( 남/ 여) |
로맨스 판타지 ·
여주판 · 악녀물 · |
||||||||
가능세계 (현실 (현대) (현대 판타지)) |
아포칼립스물 ·
좀비물 · 현대 퓨전 판타지 ( 헌터물 · 히어로물 · 현대 이능력물 · 격리 픽션 · 퓨전펑크) |
오메가버스 ·
사극 로맨스 · 판타지 사극 로맨스 · 무협 로맨스 · 여주 현판 |
|||||||||||
직업물( 전문가물 · 스포츠물 · 인방물 · 연예계물) · 기업물 |
현대 로맨스 · 여성향 연예계물( 남돌물) |
||||||||||||
소재적 장르 태그C |
BL · GL · 남주 · | ||||||||||||
G : 남, 여성향 기조가 어느정도 존재했으나, 대부분 이후처럼 정형화된 모습은 아니었다. 한편 1세대는 PC 통신 판타지를 기준으로 명명된 점 유의. 무협, SF 등 장르문학 자체는 이전부터 꾸준히 생산되고 있었다. |
|||||||||||||
C : 2차 세계, 가능 세계 구도 없이 클리셰, 소재적 관습이 전제되는 장르 유형. 주로 장르 태그로 언급된다. 일부 장르 태그는 웹소설 용어 참고 | |||||||||||||
고전문학 · 현대문학 · 웹소설 매체 · 웹소설 장르 분류 · 웹소설 관련 용어 | }}}}}}}}} |
1. 개요
憑 依 物한국 웹소설의 3요소인 회빙환 중에서 주인공이 특정 인물에게 빙의되며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창작물을 일컫는 말. 심령현상이나 미스테리 혹은 SF적인 설정에 의해 특정인물에게 빙의되거나 서로 영혼이 바뀌게 된다. 주로 팬픽, 패러디와 같은 2차창작물, TS물에서 쓰인다.
다만 악마나 악령이 빙의하는 공포물과는 거리가 먼데, 빙의물에서의 빙의는 호러를 위한 장치가 아닌 이야기 전개의 관문이기 때문이다.
2010년대 이후 웹소설에서 빙의물이라고 하면, 소설이나 게임 등 픽션 속의 세계의 특정한 등장인물(캐릭터)의 몸 속으로 의식이 들어가서 스토리를 전개하는 작품들을 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메타픽션적 요소가 들어가서, 호러물의 빙의는 물론이고, 원래적 의미의 빙의(영혼이 다른 육신 속으로 들어감)과도 의미가 멀어져 있다. 게임빙의물, 책빙의물 등으로 구체화되어 있다.
2. 빙의의 종류
빙의물은 빙의되는 양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이때 빙의의 계기는 죽음이나 사고, 낙뢰, 심령현상, 미스테리, SF 등 다양하며, 육체는 그대로인 한편 영혼, 인격만 바뀐다는 특징이 있다.
그 외 전설에서도 저승에서 실수로 데려간 사람의 영혼이 다시 이승으로 돌아갈 때, 원래 몸이 없어져서 다른 사람의 몸으로 환생한다는 이야기들이 있다.
A → B로 빙의시 |
1. A와 B의 인격이 서로 바뀜. |
2. B의 인격은 완전히 없어지고 A가 그 자리를 대신함[1] |
3. A와 B의 인격이 공존하며, 몸을 교대로 사용함 |
4. B의 인격이 사라지진 않지만 몸의 지배권은 A에게 있고, B는 그저 구경할 수밖에 없음 |
3. 유형
3.1. TS물
빙의를 통해 성별이 바뀌는 경우이다. 보통 다른 성별에게 빙의가 되거나, 서로의 성별이 빙의로 인해 바뀌곤 한다.타인에게 빙의할 경우엔 타인의 인격이 사라져 마치 자신의 몸처럼 움직인다는 설정이 쓰인다. 하지만 머릿속에서 그 대상이 내는 목소리가 들리거나, 영혼이 공존하는 경우도 있다.
3.2. 대체역사물
타임슬립과 겸하여 대체역사물에서도 매우 흔한 설정이다. 보통 과거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에게 현대인이 빙의하여 이후의 역사에 대한 지식과 현대 발명품에 대한 아이디어들을 이용해 역사를 바꾸는 내용이다.수많은 빙의 대상자가 있지만 그중 최강은 사학과 대학원생 빙의자인데 이들은 사학과의 탈을 쓴 과학자다. 생물, 의학, 제철, 화학, 군사학, 경제학, 요리 등 모든 분야에 통달한 천재이며 역사에 대해서는 모든 사건의 타임라인을 일 단위로 기억하는 괴수들밖에 없다.
3.3. 게임빙의물
자세한 내용은 게임빙의물 문서 참고하십시오.3.4. 책빙의물
자세한 내용은 책빙의물 문서 참고하십시오.3.4.1. 남성향 책빙의물
자세한 내용은 남성향 책빙의물 문서 참고하십시오.3.4.2. 여성향 책빙의물
자세한 내용은 여성향 책빙의물 문서 참고하십시오.3.5. 엑스트라 빙의물
엑스트라, 조연 등 작품 속에서 주목받지 않던 캐릭터로 빙의하는 클리셰. 주인공이나 서사 중심인물이 아닌 변두리 즉 엑스트라로 빙의하여 작품에 숨겨져있던 서사나 캐릭터성을 주인공에 의해 재조명하며, 이를 통해 외면받던 엑스트라인 주인공이 서사의 중심으로 오르는 서사를 사용한다.엑스트라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 이들은 원작이 존재하는 세계관에 빙의하는 서사를 사용한다. 하지만 엑스트라 빙의물이 충분히 활용된 2010년대 말, 2020년대 시점에선 중세의 농노, 방랑 기사, 귀족가의 3남, 경비조장이라던지 무협의 표사, 요리사, 포쾌, 점쟁이 등 특정 세계관의 엑스트라라고 할 만한 직업군, 인물로 빙의하는 클리셰로 확장되었다. 즉 직업물, 전문가물과 결합한 엑스트라 빙의물이 전방위로 확장된 것이다.
엑스트라 빙의물은 웹소설이 사이다 서사에 영향을 받아 강한 주인공 중심 서사를 구축한 결과, 자연스레 축소된 주조연의 서사 참여도를 다시 끌어올린 장르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다만 서사 참여도를 끌어올렸을 뿐 주조연의 동기와 행동에는 주인공의 역량이 깔려있다. 즉 주인공이 아니면 서사 참여를 하지 못하는 건 여전하다.
3.6. 다중빙의물
여러 창작물에 빙의하거나, 여러 인물로 빙의하는 형태.[2]4. 클리셰
- 일본에서는 트럭에 치어서 빙의하는 것이 클리셰였으나, 점점 차종이 다양해지더니 나중엔 교통사고의 범주를 넘어 온갖 황당한 이유로 빙의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책/게임빙의물에선 소설/게임의 창작자에게 안 좋은 소리를 했다가 빙의당하는, 일명 5700자 쪽지가 빙의/환생의 상징으로 꼽힌다. 일본의 팬픽, 이세계물 역시 온갖 어이없는 이유로 죽는 등 바리에이션이 다양해졌다.
- 신, 악마 등이 환생이나 빙의 과정에서 개입하는 경우도 있다.
- SF물 중 로봇이나 메카가 그런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트랜스포머 시리즈, 용자시리즈[3], 전광초인 그리드맨[4], 또봇V가 있다. 이들의 경우 육체가 없거나 위장하고 다니기 위해 지구에서 활동할 때 사용할 타 생물이나 움직이는 사물을 스캔하거나 빙의하거나 생물의 몸을 빌려 활약하는 경우가 많다.
- 빙의 후 목소리가 숙주의 목소리 그대로 유지되거나, 빙의자의 목소리를 내거나, 겹치는 경우가 있다.
- 빙의를 당하게 되는 대상은 높은 확률로 주인공이 빙의하기 전에는 작중 내로라하는 성격파탄자거나, 무능하기 짝이 없던 존재라는 식의 묘사가 빈번하게 사용된다. 주인공이 빙의한 후에는 반드시 주변인물들은 빙의된 주인공을 보고 열에 아홉은 저런 행동할 놈이 아니다 라거나, 갱생이나 개과천선을 했다는 반응을 보인다.
- 주인공이 빙의한 원래의 주인은 원래의 주인공 몸으로 빙의하는 경우도 있다.
5.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빙의물
TS물, 게임빙의물, 책빙의물 관련 작품은 해당 문서 참고.5.1. 2차 창작 관련
6. 기타
- 망나니, 엑스트라, 악당의 몸에 빙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극단적인 인물상에 빙의하면 빙의자가 행동을 조금 바꾼 것만으로도 사람이 바뀐 모습을 쉽게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망나니/악당으로 빙의하면 잘사는 집 망나니/돈 좀 있는 악당으로 빙의하는 게 거의 확정인데, 이 경우 집안/조직의 지원을 기대할 수 있거나 적어도 먹고사는 것 자체가 문제가 되진 않아서 본인 의지만으로 여러 상황을 해결할 여건이 보다 쉽게 조성된다. 예시로 임진왜란기 조선에 빙의한다고 했을 때 충무공에게 빙의해서 배 12척을 이끄는 게 간단할지, 원균에 빙의해서 자침만 안하면 되는 게 간단할지 비교하면 간단하다.
-
빙의자가 주인공으로 나와서 부각되지 않는 문제지만, 실상 빙의자들은 악령이나 다름없지 않냐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생각해 보면 타인의 몸을 빼앗고 그 자리를 차지해 그 사람인 양 행동하는 게 악령들이 하려는 짓과 똑같기 때문이다. 물론 빙의자들이 자의로 직접 타인의 몸을 빼앗는 게 아니라 신에 의해 어떠한 사명을 받거나, 혹은 보상으로 빙의하는 것이므로 어디까지나 우스갯소리다.
욕망이 맞잖아애초에 빙의물은 독자의 만족을 주기 위한 자극적인 전개로 가기 때문에 어차피 그런 건 상관 안하는 듯. 이 점이 찜찜해서 그런지 대부분 '사고사 후 빙의' 같은 식으로 이미 죽어서 혼이 빠져나간 상태의 몸을 빌리는 식으로 처리하는 편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원래 인격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설정도 풀어주는 작품도 있다. 사망처리시켜서 환생/성불시키는 에피소드가 나온다던지, 몸이 바뀌는 식이라 저쪽에서 승승장구하고 있다는 설정을 외전으로 풀어준다던지..[5] 게임 빙의물인 게임 속 바바리안으로 살아남기의 경우 게임 속 주민들이 이런 빙의자들의 존재를 알고 있으며 사람의 몸을 빼앗는 악령이라고 믿기 때문에 빙의자인 것이 발각되면 처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