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6:29:55

온달

바보 온달에서 넘어옴
고구려의 대형
온달 | 溫達
파일:265484da-4a20-45af-a170-05c11935af02.jpg
서울 아차산성에 있는 온달과 평강공주상
<colbgcolor=#191970> 관등 대형(大兄)
본관 봉성 온씨
가족관계 아내 평강공주
장인 평원왕[1]
처남 영양왕, 영류왕
출생 불명
사망 590년 아단성[2]
『삼국사기』, 제45권, 열전 제5, 온달

1. 개요2. 생애
2.1. 초기2.2. 평강공주와 만나다2.3. 사위가 되다2.4. 최후
3. 의문점
3.1. 결혼과 출생
3.1.1. 추측1: 하급 귀족 혹은 몰락 귀족 출신의 신흥 세력3.1.2. 추측2: 서역계 귀화인의 아들( 소그드인 혼혈)
3.1.2.1. 비판
3.2. 전사지 논란
4. 기타
4.1. 관련 사적지4.2. 전설4.3. 그 외에
5. 대중매체에서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KBS 역사스페셜 - 바보 온달, 그는 고구려의 전쟁영웅이었다
고구려의 장수이자 봉성 온씨 시조. 그리고 한국에서 바보 대명사처럼 유명한 인물이다.

평원왕의 딸인 평강공주와 결혼하여 왕의 사위가 되었고 전공을 세워 벼슬길에 올랐으며 영양왕 대까지 활약했다. 전래동화로도 유명한 바보 온달과 평강공주 설화의 주인공이다.[3]

2. 생애

2.1. 초기

溫達 高句麗平原王時人也 容貌龍鍾可笑 中心則睟然
온달은 고구려 평원왕 때의 사람이다. 용모가 못생겨 우스꽝스러웠으나 마음은 순수하였다.
家甚貧 常乞食以養母 破衫弊履 往來於市井間 時人目之爲愚溫達
집이 가난하여 항상 밥을 빌어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떨어진 옷과 해진 신으로 거리를 왕래하니, 그 때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바보온달’ 이라 했다.
삼국사기》 온달 열전
온달은 본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난 인물로, 그 생김새가 우스울 정도로 못생겼다고 전한다.

온달은 어릴 적부터 홀어머니와 살았는데 어머니가 두 눈이 멀어 일을 하지 못하였고 집안이 가난하여 먹고 살 길이 없었다. 그 때문에 사람들의 집을 돌아다니며 음식을 구걸하며 먹고 살았다. 어찌나 가난했는지 나중에 평강공주와 처음 만났을 때에는 나무 껍데기를 벗겨 먹으려고 산에 가 있었다.

온달이 추레하고 남루한 꼴로 매일 비럭질을 하고 다니다 보니 모습이 우스웠는지 평양성 사람들이 온달을 바보 온달(우온달/溫達)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때 우는 어리석은 우라고 보통 해석하지만, 우직, 어리숙, 고지식, 온순, 착한 정도의 의미도 내포할 수 있다고 한다. 실제 이후 지휘관까지 되기에 이 바보라는 의미가 발달장애인이나 저지능자를 뜻하는건 아니었을 것으로 보인다. 상식적으로 진짜 저지능자라면 학문과 무예를 익혀 고위직에 오를 수가 없기 때문.[4]

바보를 허당 쯤으로 해석할 여지도 있는게, 본문에도 '마음은 순수하였다.'라고 쓰여있듯이 '온달은 가난해서 산을 뒤져서 먹고 살았는데 귀한 약재를 발견해도 필요한 사람이 있으면 그의 형편을 감안해 그냥 주거나 적은 대가만 받았다. 사정을 모르는 사람들이 이를 두고 바보라고 불렀는데 온달은 별 말 하지 않고 웃어넘겨 더욱 바보 취급을 당했다.'는 설. 요컨대 사람이 너무 좋아서 손해보고 사는 사람이었다는 설이다.

어찌됐든 당시 평양 백성들뿐만이 아니라 국왕까지 바보 온달의 소문을 듣고 딸에게 말했을 정도면 온달의 소문이 지역 사회에 널리 퍼져있었다고 볼 수 있다.

2.2. 평강공주와 만나다

平岡王少女兒好啼, 王戱曰
평원왕의 어린 딸이 울기를 잘하니 왕이 놀리며 말했다.
“汝常啼 聒我耳, 長必不得爲士大夫妻, 當歸之愚溫達.” 王每言之.
“네가 항상 울어서 내 귀를 시끄럽게 하니, 자라면 틀림없이 사대부의 아내가 못되고 바보 온달에게나 시집을 가야 되겠다.” 왕은 늘 이처럼 말하였다.
삼국사기》 온달 열전 中
당시 고구려의 왕이었던 평원왕에게는 평강공주라는 딸이 있었다. 평강공주는 어릴 적부터 자주 울었는데 그럴 때마다 평원왕은 "너는 너무 잘 울어서 시끄러우니 귀족의 안사람으로는 시집을 못 보내겠다. 아무래도 바보 온달에게 시집을 보내야겠는걸?"하고 우스개소리를 하며 놀렸다고 한다.

후에 평강공주가 결혼 나이가 되자 평원왕은 딸을 상부(上部) 고씨(高氏)에게 시집보내려고 하였다. 그러나 평강공주는 " 아버님이 옛날에 온달에게 시집보낸다고 했으니 그 사람에게 시집가겠습니다"라고 말하였다. 평원왕은 어이가 없었으나 평강공주는 "대왕께서는 항상 '너는 필시 온달의 아내가 되리라'라고 말씀하시더니 지금은 어찌 예전의 말씀을 고치십니까?"라며 고집을 부렸다. 결국 평원왕은 크게 실망하였고 화가 난 나머지 밖으로 나가버리라고 꾸짖었다. 물론 아버지 마음에 진짜 나가라는 것은 아니고 아빠 말을 들으라고 으름장을 놓은 거였겠지만 평강공주도 독이 올랐는지 금팔찌와 패물을 챙겨서 진짜로 궁을 나가버렸다.[5]
公主對曰 “古人言, 一斗粟猶可舂, 一尺布猶可縫, 則苟爲同心, 何必富貴然後可共乎?”
“옛 사람의 말에 ‘한 말의 곡식도 방아를 찧을 수 있고, 한 자의 베도 바느질할 수 있다.’고 하였으니, 단지 마음만 맞으면 되지 어찌 꼭 부귀한 다음에라야 함께할 수 있는 것이겠습니까?”
평강공주, 《 삼국사기》 온달 열전 中
평강공주는 그 길로 온달의 움막집을 찾아가서 온달의 어머니에게 대뜸 절하고는 온달이 있는 곳을 물었다. 이때 온달은 배가 고파서 산에 올라가 느릅나무 껍데기를 벗겨 먹으려고 하고 있었는데 평강공주가 산 위로 올라와 온달에게 청혼하였다. 온달은 처음에는 영문도 몰라 귀신에 홀렸다 생각하고 거절했지만 이후 그녀의 진심을 알고는 결혼한다. 평강공주는 궁 밖으로 나오면서 가져온 예물을 팔아서 , , 노비를 구입하여 살림살이를 갖추었고, 비루 먹은 을 사와서는 열심히 길러 훌륭한 말로 키웠다.[6] 어느 정도 먹고 살만해진 온달은 고구려에서 매년 개최하는 사냥 대회에 나가게 되었다.

2.3. 사위가 되다

당시에 고구려에서는 매년 3월 3일마다 낙랑의 언덕에서 사냥대회를 열었는데, 이때 산짐승의 고기로 하늘과 산천에 제사를 지냈다. 이에 평원왕과 여러 신료들, 5부(五部)의 병사들까지 모두 참석하였다.[7]

온달은 평강공주가 사와서 잘 기른 을 타고 대회에 나갔는데, 수많은 짐승을 사냥하며 발군의 실력을 보였다. 평원왕은 대회에서 우승한 온달을 불러 그 이름을 듣고는 크게 놀랐으나, 아직 온달을 사위로 인정하려 하지는 않았다.

이후에 중국 후주 무제[8]가 군사를 내어 고구려를 정벌하려 하였는데,[9] 평원왕 역시 군사를 이끌고 이산(肄山)의 벌판[10]에서 맞아 싸웠다. 온달은 이때에도 전투에 참가하였는데, 선봉에 서서 수십 명의 적을 쓰러뜨렸다고 한다. 온달이 맹렬한 기세로 앞장서서 적을 무찌르자 뒤따르던 군사들도 사기가 올라 후주군을 공격하니, 결국 고구려 군대가 대승을 거두었다.
時, 後周武帝出師伐遼東, 王領軍逆戰於拜山之野. 溫達爲先鋒, 疾鬪斬數十餘級, 諸軍乘勝奮擊大克.
이 때, 후주의 무제가 군사를 출동시켜 요동을 공격하자 왕은 군사를 거느리고 배산 들에서 맞아 싸웠다. 그 때 온달이 선봉장이 되어 용감하게 싸워 수십여 명의 목을 베니, 여러 군사들이 이 기세를 타고 공격하여 대승하였다.
삼국사기
현존하는 삼국사기 중에서 기존의 옥산서원본이나 정덕본은 온달이 참전한 장소를 배산(拜山)으로, 삼국사기 가운데 가장 오래된 성암본에서는 이산(肄山)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 뒤에 주(周) 의 무제(武帝)가 지나[11] 북쪽을 통일하여 위염을 떨치고 , 고구려의 강함을 시기하여 요동에 침입해와서 배산(拜山)의 들에서 맞아 싸우는데, 어떤 사람이 혼자서 용감하게 나가 싸웠다. 칼 쓰는 솜씨가 능란하고 활 쏘는 재주도 신묘하여 수백 명 적의 군사를 순식 간에 목베었다. 알아보니 그는 곧 온달이었다.
조선상고사
이후에 평원왕이 사람들을 모아 전공을 평가하는데, 참전한 사람들이 하나같이 온달의 전공이 최고라고 평하였다. 이에 평원왕은 "이 사람이 내 사위다!" 라고 기뻐하였다. 평원왕은 예를 갖추어 온달을 맞이하였으며, 대형(大兄) 벼슬을 내렸다. 이후로 온달은 평원왕의 총애를 받아 부귀영화를 누렸으며, 위엄과 권세가 대단해졌다고 한다.

2.4. 최후

이후 590년, 평원왕이 승하하자 그의 아들이자 온달의 손위 처남인 영양왕이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이때 온달은 40여년 전 양원왕 신라에게 빼앗겼던 한강 유역을 되찾기 위한 출정을 허락해줄 것을 청하여 영양왕의 수락을 얻었다. 4세기 광개토 대왕의 남진 정책으로 남한강 상류 58성을 차지한 고구려지만 551년에는 신라 거칠부에게 죽령 이북의 10군을 빼앗기고 만다. 이후에도 잦은 신라의 침범이 이어지자, 마침내 온달은 총사령관이 되어 남정군을 이끌고 간 것이다.
惟新羅, 割我漢北之地, 爲郡縣, 百姓痛恨, 未甞忘父母之國. 願大王不以愚不肖, 授之以兵, 一往必還吾地.
“지금 신라가 우리의 한수 이북의 땅을 차지하여 자기들의 군현으로 삼으니, 그곳의 백성들이 애통하고 한스럽게 여겨 한시도 부모의 나라를 잊은 적이 없사옵니다. 바라옵건대 대왕께서 저를 어리석고 불초하다 여기지 마시고 병사를 주신다면 한번 쳐들어가 반드시 우리 땅을 도로 찾아오겠나이다.”
온달, 《 삼국사기》 온달 열전 中

온달은 출전하기에 앞서 "계립현(鷄立峴)과 죽령 이서(以西)[12] 땅을 되찾지 못하면[13] 살아 돌아오지 않겠다!(“鷄立峴·竹嶺已西不歸於我, 則不返也.”)"고 맹세하고는 신라 정벌에 나서다가 그는 격전 끝에 신라군의 화살을 맞아 아단성(阿旦城)에서 전사했다.

그후 기록이 없어서 결국 고구려는 한강 유역을 되찾지 못했다고 추정되었으나 연개소문이 신라에게 죽령 이북의 땅을 '수나라와 전쟁할 때 신라가 죽령 이북의 땅을 뺏었기 때문에 다시 회복하려는 것'이라고 하면서 달라고 요구했는데 이것은 온달이 사망한 590년에서 수나라와의 전쟁이 일어난 598년, 612-614년 사이에 고구려가 죽령 이북의 땅을 잠시 회복했었다는 말이 된다. 바보 온달, 전장에 나서다

다만 이 기간에도 신라와 수나라는 여전히 양국의 사신이 왕래했고, 수도가 동해안에 있는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의 방해를 받지 않고 중국에 사신을 보내려면 경주부터 한강 하류까지 남한강 루트가 연결돼 있어야 하기 때문에 온달이 수복한 지역은 적어도 죽령 이북 전체까지는 아니고 조금 더 작았을 것이다. 이를 죽령 이북이라고 표현한 것은 연개소문이 고구려의 권리를 강조하기 위한 약간의 과장이다.

이후에 고구려인들은 온달의 시신을 거두어 장사지내려 하는데 시신을 담은 관이 땅에 붙은 것처럼 움직이지 않자 평강공주가 관을 어루만지며 "삶과 죽음이 이미 정해졌으니, 이제 돌아가시옵소서." 라고 애원하자 그제서야 땅에서 떨어져 움직였으며 한편 온달이 전사했다는 소식을 들은 영양왕은 크게 애통해했다. 신채호는 이 부분을 관이 땅에서 떨어지지 않았다는 비현실적인 부분 때문에 사실성을 부정했다. 그는 운구하는 사람들이 '실패하면 돌아오지 않겠다'던 온달의 다짐이 생각나 차마 발걸음을 떼지 못했기 때문에 그런 이야기가 나왔을 수 있다고 추론했다.[14]
그래서 거의 해마다 군사를 동원 신라를 침노했으나 마침내 성공하지 못하고 평원왕의 사위 온달의 전사극(戰死劇)이 연출되어, 당시의 시인 문사들이 이 일을 노래하고 이야기하고 이두문으로 기록하여 사회에 전해져서, 일반 고구려인의 적개심을 더욱 굳세게 해서 고구려가 멸망할 때까지 신라와는 평화가 영영 끊어지고 말았다. (중략) 온달의 죽음으로 인하여 고구려 · 신라 강화의 길이 끊어지고 백제가 고구려와 동맹하여 삼국 흥망의 판국을 이루었으니, 온달전은 삼국시대의 두드러지게 중요한 문자이다.
조선상고사

온달의 죽음으로 인해 고구려의 대 신라 감정이 더 좋지 않게 되면서 이후 고구려와 백제 두 나라는 신라에게 협공을 가한다. 칠중성 전투, 북한산성 전투 등 온달 이후로도 고구려는 꾸준히 신라의 북측을 공격했으며 이 때 고구려는 김유신이 충청도의 고구려의 성을 공략했을 정도로 강원도를 주 경로로 하여 충청도에도 세력을 투사하였다. 특히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개백현과 달을성현은 이때 고구려가 다시 되찾은 걸로 보인다.

3. 의문점

3.1. 결혼과 출생

몰락 귀족? 평양 졸부? 다문화 가정 출신? 온달은 누구였을까

일단 삼국사기에 적힌대로만 보면 평강공주는 유력 귀족과 결혼하지 않고 미천한 신분의 온달과 결혼했다고 보는 것이 맞다. 다만 이런 식의 결혼은 이때나 지금이나 이례적인 사례다.[15] 물론 평강공주 여성 남성을 컨택하고 뒷바라지한 사례라 좀 더 특이하긴 하지만, 고대 사회의 특성을 고려하면[16] 그만큼 평강공주가 시대적으로 앞섰다거나 신념형 혹은 고집이 센 인물이었다고 볼 수도 있다. 아무튼 온달의 정체에 대해선 지금도 학계에선 후술되어있는 설 등 여러 설왕설래가 있다. 물론 확실한 물증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은 추정 수준에 그치고 있다.

온달의 조상이 평민이었건 하급 귀족이었든 아니면 이민족 출신이었든 간에 확실한 것은, 그가 가난한 환경에도 굴하지 않고 결국에는 자기가 원하는 직업을 갖고 입신양명했다는 점이다. 공주와의 결혼과 내조, 교육이라는 우연적 요소가 개입하기는 했지만, 애초에 본인의 노력과 실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경제적·사회적 제약을 극복하고 목표에 도달하는 입지전적의 과정이 온달의 삶을 이해하는 데 훨씬 본질적인 요인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3.1.1. 추측1: 하급 귀족 혹은 몰락 귀족 출신의 신흥 세력

중앙 정계에선 존재감이 미미한 하급 귀족으로 북주와의 전쟁에서 공훈을 세워서 부마가 되었다는 설이다. 이 때 온달은 대형(大兄)의 벼슬을 받았는데, 이것은 신당서에 나타난 고구려 12관등 중 6등급에 해당하는 관직이므로, 큰 전공 대비 관직이 이 정도에 그쳤다는 것은 온달이 하급 귀족이라는 유력한 증거라고 주장할 수 있다는 것. 만약 귀족이 아니었다면 고구려 사회에서는 대형 관직조차 받지 못했을 확률이 크므로, 온달은 하급 귀족이나 몰락한 귀족의 자손 정도는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물론 이것만 해도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이 설을 다루는 학자들은, 계층 등급은 비교적 낮았지만 온달이 자신의 능력으로 평원왕의 총애를 받고 부마가 되자, 이를 못마땅하게 생각한 고구려의 고급 귀족들이 이를 "바보와 울보의 결혼"이라고 뒤에서 비꼬면서 바보 온달 설화가 생겨났을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또한 당시 평원왕은 왕권 강화를 위해 자신을 지지해줄 신진 세력을 적극적으로 등용하고 결탁했는데, 이들은 기존에 권력을 장악한 귀족 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하급 귀족들 출신들일 수밖에 없었고, 온달도 그들 중 하나로 추정된다는 것. 단순히 출신이 미천해서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자신들과 대립각을 세우기 위해 관직을 받고 부마가 되었을 온달이 기존 세력들의 눈에 곱게 보였을 리가 없을 것이다. 온달 외에도, 기존 기득권 세력이 신진 세력의 출신 배경 등을 의도적으로 비하하는 사례는 흔히 있다.

역사학자 이기백(1924~2004)은 1967년 '백산학보' 제3호에 기고한 '온달전의 검토'에서 온달이 받은 기록상 최초의 관등이 대형(大兄)임을 근거로 비슷한 추정을 내놓았다. 대형의 등급을 알려주는 기록들이 제각각이라 확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대형은 12~14개의 전체 관등 중에서 2~7관등 정도였다. 이를 근거로 이기백은 "대형이라는 관직을 차지하려면 일정한 신분의 귀족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한 일이었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왕실과 자연스럽게 결혼할 수 있는 고급 귀족은 아니었더라도 하급이나마 귀족의 범주에는 들지 않았겠느냐는 게 그의 추정이었다. #

박인호 한림대 박물관 연구원은 "온달을 통해 본 6세기 고구려 귀족사회"라는 논문을 통해 "온달이 처음으로 받은 관직은 '대형(大兄)'으로 고구려의 7번째 관직"이라며 " 연개소문의 아들 연남생, 연남산 등도 대형을 거쳐 막리지에 오른 것을 고려할 때 온달의 신분은 높았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그는 6세기 전반 고구려에서 국내성파(옛 수도)와 평양성파(신 수도) 사이에 벌어진 내란 수준의 정계 혼란 속에서 권력을 잃은 국내성파 출신 귀족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불우하게 묘사된 환경도 정치적으로 몰락한 온달 가문의 신세를 은유적으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왕으로서는 외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력을 결집할 필요가 있었고 온달로 대표되는 국내성파에게 화해의 손길(국혼)을 내밀었다고 주장했다. #

3.1.2. 추측2: 서역계 귀화인의 아들( 소그드인 혼혈)

2011년 조선일보 기사-바보 온달은 사마르칸트 왕족의 아들?
2012년 중앙일보 기사-온달과 온군해는 중앙아시아에서 왔다
2023년 JTBC 방영분-하얀 얼굴에 어눌한 말투.. 온달이 바보로 불린 이유는?

온달이 토착 고구려인이 아니라 고구려로 귀화한 서역 출신 이민족이라는 설도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이란계인 소그드인이었을[17] 가능성은 2011년도에 제기되었다.

이러한 주장은 2011년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18] 역사문화학과 지배선 명예교수[19]가 백산학회의 백산학보 제89호에 기고한 논문 ' 사마르칸트(康國)와 고구려 관계에 대하여 - 고구려 사신의 康國 방문 이유 -'에 제시된 주장이다.
3.1.2.1. 비판
지 교수가 주장하는 『 삼국사기』의 서술 '온달의 외모가 우스꽝스럽고 다 떨어진 옷과 해진 신으로 다녔다는 容貌龍鍾可笑(용모용종가소) 부분은 한문 그대로를 두고 본다면 해석의 여지가 다를 수 있다. 용종 龍鍾이란 단어가 얼굴이 못생겨서 웃음거리가 되었다는 식으로 읽히는 부분이 용 (龍)자와 종(鍾)자의 한문 의미로 납득되지 않고, 이것을 중국어로 읽었을때야 비로서 龙钟 쇠약하다 노쇠하다 라고 읽히기 때문에, 애초에 삼국사기의 해석부터 잘된 건지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특히 용종(龍鍾)을 "파리하다"라고 해석하는 유튜브의 발언은 더더욱 타당성이 없다. 때문에 온달이 혼혈일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는 유일한 근거는 고구려어가 어눌하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 정도뿐이며, 현재로서는 고고학적, 문헌학적으로 이렇다 할 근거가 없다.

게다가 중앙일보의 기사를 보면 지 교수는 명백히 잘못된 주장을 하고 있는데,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를 비롯해 고구려·신라·백제의 사서, 중국 사서에서 온씨는 오로지 소그디아에만 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온씨는 고구려 바로 옆의 중국에도 존재하던 성씨였으며, 그 기원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가장 늦은 시기를 기준으로 봐도 최소한 주나라 때부터 존재했던 매우 유서깊은 성씨이다.[20] 게다가 지 교수가 참고했다는 사서 중 하나인 위서魏書의 관씨지官氏志를 보면 북위의 신명황제( 탁발역미)의 시대에 선비족에 올분씨라는 씨족이 존재했고 '올분씨는 이후 온씨로 개명했다'라는 서술이 있는데, 오히려 이건 온달 사마르칸트 왕족설과 반대되는 내용이다.

즉 사마르칸트의 왕족에 대한 기록이 등장하기 이전이나 동시대에도 이미 한족과 선비족에 온씨라는 성씨가 존재했으며, 사마르칸트인이라는 주장의 근거인 '고구려인들과 말이 같지 않아서 어눌하게 들렸을 수 있다'는 주장은 한족과 선비족에도 해당된다. 애초에 온달이 외국 출신이라고 추론할 만한 근거도 없지만, 설령 외국 출신이라고 해도 당시 고구려의 영토와 4500km 이상 떨어져 있던 사마르칸트의 왕족보다는 바로 옆의 한족이나 선비족 출신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렇게 근거가 부족한 가설이 뜬금없이 나온 이유는 한국의 다문화 정책과도 무관하지 않는데 2010년대 초반 당시는 이민자 2세나 혼혈 가정들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이민자와 사회통합 일환으로 한국사 인물들 중에 외국계로 추정되는 인물들을 발굴하고 재조명하기 시작한 시점이다. 이 가설이 처음 대중에 공개된 2011년 조선일보 기사나 2023년 JTBC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온달이 다문화 가정이라는 걸 유독 강조하고 있다.
현재 온달이 사마르칸트 출신이라는 주장을 하는 학자는 연세대 역사문화학과의 지배선 명예교수가 유일하며,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거의 없는 주장이다. 애초에 이 논쟁의 시작점인 지교수의 논문부터가 고구려의 중앙아시아 외교에 관한 논문이고, 논문 속에서 온달이라는 이름이 등장하는 부분은 끝부분의 일부에 불과하며, 영문 초록 제외 40쪽에 달하는 논문에서 온달의 이야기는 두 쪽이 전부이다.

현 시점에서 온달의 소그드인 설은 검증되지 않은 단순한 가설로 보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3.2. 전사지 논란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에는 영양왕 1년(서기 590년), 온달이 영양왕에게 청하여 신라에게 빼앗긴 땅을 찾고자 출정하면서 "계립현(鷄立峴, 현 조령 인근[21]) 죽령(竹嶺) 서쪽의 땅을 다시 찾기 전에는 다시 돌아오지 않겠다!!"하고 떠나, 아단성(아차성[22])에서 신라군이 쏜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온달이 전사한 장소가 문제인데, 서울특별시 아차산 아차산성 충청북도 단양군 온달산성이 서로 온달과의 연고를 주장하고 있다. 이 두 장소 중에서 서울 아차산설을 주장하는 것이 이병도 정약용으로 정설로 받아들여졌으나, 서울은 온달이 되찾아오겠다던 죽령에서 너무 멀기 때문에 죽령 18km 북쪽에 위치한 단양군 온달산성이 맞다는 설이 대립한다.

아차산의 발굴조사에서 고구려 계통의 유물들이 출토되기도 하고, 또한 당시 고구려군이 사용했던 것으로 여겨진 돌로 지은 전초기지의 흔적이 남아있으며 문헌상으로도 광개토대왕 당시 아신왕을 털어버릴 때 수륙양면으로 공격하여 미추홀(인천)과 아단성을 함락시키고, 백제를 압박하다가 근성의 백제 아신왕이 계속 저항하려 하자 아리수(한강)를 건너 백제 위례성이 함락 했다는 기록이 있는 걸 보면 아차산성 쪽이 유력하다. 만약 단양 온달산성이 아단성이라면 광개토대왕은 인천에서 바로 단양을 점령하고 송파구에 있는 백제왕을 압박하다가 다시 한강을 건너 송파구를 공격하여 점령했다는 뒤죽박죽인 동선이 나온다.

또한 '계립현과 죽령 서쪽'이 단순히 그 인근만을 가리키는 게 아니라, 넓은 의미로 ' 한강 유역 전반'을 일컫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기에 참조 서울이 해당될 수도 있다. 다만 지자체들간의 싸움이라는 것이 늘 그렇듯 '확실하지는 않다' 정도지만.

그러나 아차산성의 발굴조사성과와 아차산 일대의 고구려 보루군의 발굴성과는 엄연히 다르다. 쉽게 아차산이라는 말이 나오니 둘 다 고구려 유적이구나라고 생각하지만 아차산성 출토 유물은 일부 백제 유물을 포함한 신라 유물 일색이었고, 아에 신라에 의해서 축조된 산성으로까지 추정되고 있다. 즉, 아차산성이 아단성이라면 광개토대왕 아신왕대의 기록이랑은 맞지 않다는 반증이 될 수도 있...었으나 2016년에 고구려 와당이 아차산성에서 확인되면서 이것도 복잡해지게 되었다.

온달산성 자체도 신라가 세운 신라 산성일 가능성이 높은 게, 일단 남한강 남쪽에 있어 북쪽에서 쳐들어오는 공격을 남쪽에서 막는 데 유리한 위치다. 그리고 구조적으로도 인근에 있는 신라가 세운 단양 적성비와 함께 축조된 단양 적성, 보은 삼년산성과 거의 같은 구조, 같은 입지이다. 수구문지를 비롯하여 체성부의 외견상 구조 등 모든 것이 틀림없이 신라라고 볼 수밖에 없다. 특히 성 내부에서 바깥으로 배수하기 위한 시설 및 수구문지의 구조가 전형적인 신라 스타일이거니와, 성벽 전체가 신라 스타일이라 후대에 개축으로 바꾸었다고 보기가 어렵다. 이 자리에 만약 원래 고구려 산성이 있었다면, 거의 성 전체를 뜯어고친 셈이다. 고구려 산성에도 배수시설은 있었을 터인데...

이처럼 복잡한 온달의 격전지에 대한 쟁점은 서울교대 임기환 교수의 기고문에 잘 정리가 되어 있다.

4. 기타

4.1. 관련 사적지

파일:265484da-4a20-45af-a170-05c11935af02.jpg }}}||
서울 아차산성에 있는 온달과 평강공주상
파일:f152e00b-f33b-4ee3-86b7-925b28bc9cbc.jpg }}}||
파일:F2DCD02B-9622-4860-92A5-56203C717AB6_THUMB_3.jpg
||
충북 단양군 온달산성 충북 단양군 온달동상

4.2. 전설

4.3. 그 외에

파일:attachment/gwangiandjini.jpg }}}||
파일:충청북도 단양군 온달&평강.png
||
광진구(광이&진이) 단양군

5. 대중매체에서

신분 차이를 극복한 사랑이라든가 주도적인 여성상, 평민에서 귀족이 되었다가 전사하는 파란만장한 생애 등 여러모로 사극에 어울리는 요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이상하게 드라마로 많이 만들어지지 않는 인물. 아무래도 초창기 한국 사극이 조선 시대 위주로 다루다가 고려 시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원효(1986) 정도를 제외하면 삼국기 태조 왕건처럼 왕이나 그에 권하는 권력자( 연개소문, 깅유신 등)가 주로 조명되는 탓인 듯 하다. 수나라를 상대로 대승을 거둔 을지문덕도 외면받는 것과 마찬가지. 1976년 인형극 온달은 방송되었다. 다만, 2010년대 들어서 온달과 평강공주를 주제로 한 창작물들이 꽤 나오고 있다.
파일:8f1faf63006292260ffbce4be33c418c.jpg }}}||
달이 뜨는 강에서의 온달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00> 파일:고구려 군기.svg 평원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000,#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 배산 전투
가족 부왕 양원왕
태자 영양왕 · 왕자 영류왕 · 왕자 대양왕 · 왕녀 평강공주
사위 온달
관련 문서 장안 | 강서대묘
}}}}}}}}} ||


[1] 이때는 왕의 권력이 휘청거리던 시기여서 평원왕이 자기 편을 기르려고 신분은 낮지만 능력이 있는 온달을 사위로 삼았다는 것이 정설이다. [2] 자세한 사항은 이하의 전사지 논란 문단 참조. [3] 비슷한 예시인 서동의 사례와는 달리 정사 삼국사기에 온달열전으로 수록된 이야기라 완전한 전래동화나 설화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4] 무관직은 단순히 무술 실력이 좋다는 이유로 오를 수 있는 자리가 아니었다. 특히 고위직으로 갈수록 개인의 무예보다는 군대를 지휘하고 전략을 짜는 능력이 더 중요했기 때문에 더욱 학문을 익힐 필요가 있었다. 현대에 장교를 양성하는 대학교인 사관학교를 둔 이유. [5] 물론 이를 마냥 평강공주가 아비에게 뒤끝이 있거나 반항심이 있어서가 아닌, 온달의 순수함과 잠재력을 알아보는 통찰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포장하는 의견도 있다. [6] 말 중에는 정말로 늙어서 털이 빠지는 재기 불능의 말도 있지만 단순히 먹을 걸 못 먹어서(말 주인이 키울 능력이 없어서) 싸게 파는 경우도 있었다. 이걸 알아보는 걸 보면 말을 보는 눈도 좋은 단순히 온실 속에서 자란 공주님만은 아니었던 듯하다. 고구려라는 국가가 태생이 기마 민족 국가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왕족으로서 이 정도의 소양은 갖추어도 이상할 것이 없다. 예를 들면 고구려의 건국 신화에서부터 국조(國祖)인 주몽(또는 어머니 유화부인)이 겉보기에는 비루먹은 준마를 미리 알아보는 재능을 지녔다고 한다. [7] 즉 나라의 주요 지배층이 모두 모인 자리였다는 뜻인데, 이로 미루어 보아 고구려 왕실에서 상당히 중요한 행사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 [8] 정황상 북제를 멸망시키고 북중국을 통일한 시기. [9] 북제 멸망이 577년이고 우문옹은 578년에 사망하니 대략 577년~578년 무렵으로 추정된다. [10] 배산(拜山)이라고도 한다. [11] 중국. [12] 사실상 이 지역은 죽령 이북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기에, 죽령 이북이라고 알려지는 경우가 있다. 죽령은 당연히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과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사이에 있는 백두대간상의 고개이다. [13] 온달의 최종 목적지는 단양 신라 적성비가 있는 단양군과, 단양과 같은 생활권인 제천시 지역을 두고 한 말로 보인다. 실제로 남한강 상류인 제천-단양을 장악하면 한강 하류 일대에 있던 신라 영토는 신라 본국과 월경지로 절단 당한다. [14] 그러면서 신채호는 전혀 다른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는 "<조선사략>에 따르면 공주는 '국토를 아직 수복하지 못했으니 공께서 어찌 귀환하시겠습니까? 공이 귀환하실 수 없으니 첩이 어찌 홀로 귀환하겠습니까?'라고 말하고 한 차례 통곡한 뒤 졸도했다"며 "고구려인들은 공주를 그 땅에 함께 묻었다"고 조선상고사에 썼다. 온달의 시신이 움직이지 않은 게 아니라, 공주가 전투 현장에서 졸도해 온달과 함께 그곳에 묻혔다는 것이다. 그런 이유로 시신이 움직이지 않았다는 말이 나왔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조선사략>은 시간적인 거리로 보면 <삼국사기>보다 신빙성이 낮지만, 위의 문구만큼은 전쟁시대의 분위기에 부합하므로 이 책에서는 <조선사략>을 채택하기로 한다"고 신채호는 적었다. [15] 물론 노르웨이의 왕세자 호콘 망누스처럼 왕족이 신분이 낮은 사람들과 결혼하는 사례가 아예 없는건 아니다. 이쪽은 왕세자가 범법자랑 결혼한 케이스. 그 외에도 현대 왕가에선 왕족이 평민과 결혼하는 케이스는 생각보다 흔하다. 과거로 가도 당장 영조도 모친이 무수리 혹은 천민 출신이였다고 알려져 있다. [16] 고대 사회는 신분제가 강했다고 알려져있지만, 오히려 성별적으로는 지금보다도 평등했던 부분도 일부 거론되고 있다. 당장 고구려만 해도 처가의 힘이 강했다고 추정되는 데릴사위제가 시행되는 나라였다. 신라에서도 온달 사망 42년 후 선덕여왕이 즉위했다. [17] 여담으로 이 때문에 미남 이란계 배우의 사진을 게시해놓고 평강공주가 이래서 결혼한게 아니냐고 주장하는 인터넷 유머가 있었다. [18] 명칭이 미래캠퍼스로 변경되기 이전이다. [19] 2012년 퇴임 [20] 한고조가 한나라를 세울 때에도 온개라는 공신이 있었으며, 삼국지에 나오는 온회 역시 온달과 같은 한자를 쓰는 온씨이다. [21] 정확히는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를 잇는 '하늘재'라는 고개다. 참조 [22] 아단성의 '단(旦)'과 아차성의 '차(且)'의 한자 모양이 비슷해, 두 이름이 동시에 전해진다. [23] 미륵대원지 바로 옆에 있다. [24] 신라와의 전쟁 중 군사들의 두려움을 없애고 사기를 돋구기 위해 공기놀이를 했다는 설도 있다. [25] 사실 꼭 이들만 그런 게 아니고 삼국시대 말기의 3대는 정말 소위 말하는 삼국시대의 영웅호걸들과 설화의 주인공들이 쏟아져 나온 시기다. 신라는 진흥왕, 이사부, 거칠부, 김무력, 김유신, 김춘추, 선덕여왕, 자장법사의 시대였고, 백제는 무왕, 선화공주(실존 인물이 아니라는 설도 있음), 계백, 의자왕, 흑치상지, 고구려에서는 을지문덕, 연개소문, 안시성주 , 평원왕, 평강공주, 온달에 이르기까지 헤아릴 수도 없다. [26] 단 사극에서 온군해가 온달의 아들로 나온 적이 없다. 연개소문에서 온군이라는 캐릭터가 온달의 아들로 서술된 적은 있었다. [27] 조선시대 불탑의 다른 형태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양말고도 안동이나 경북 북부에도 이런 시설들이 있다. 전 구형왕릉도 이러한 사례 중 하나다. [28] 신라를 남한으로 의식했는지, 평양성파와 국내성파의 내분 소재로 타임슬립을 하였다. [29] 딱 삼국시대 금관이다. [30] 유니크 메이스 [31] 앞에 귀면와 무늬가 새겨져 있는 유니크 워드 [32] 삼국시대풍 갑옷 [33] 작중에선 부친 때 서양 세력의 압력을 받다가 부친 사후 평강이 문수의 도움으로 간신히 정신을 추슬러 서양 세력을 내쫓고 ‘고구려’를 건국(!)한 뒤 ‘신라’의 왕과 혼인하여 공동 군주가 된 것으로 나온다. [스포일러?] 한 게 아니라 여자로 환생했다. 이름은 해원으로, 독립운동가로서의 임무 때문에 남장을 했다. [35] 원래 지상파 방영분은 6화까지 지수가 연기했으나, 지수가 학교폭력 논란으로 하차하면서 나인우가 합류해 1~6화 분량을 재촬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