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20:31:58

공기놀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10%, #fff 10%, #fff 12%, #000 12%, #000 17%, #fff 17%, #fff 19%, #000 19%, #000 24%, #fff 24%, #fff 76%, #cd313a 76%, #cd313a 87%, #0047a0 87%)"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강강술래 · 거북놀이 · 격구 · 고누 · 고싸움 · 골패 · 공기놀이 · 관등놀이 · 군사놀이 · 그네 · 까막잡기
낙화놀이 · 남생이놀이 · 남승도 · 낫치기 · 널뛰기 · 놋다리밟기
다리밟기 · 단풍놀이 · 달집태우기 · 대문놀이 · 딱지치기 · 뚜럼놀이
ㅁ~ㅂ 문지기 · 바둑 · 방실놀이 · 뱃놀이 · 비석치기
사방치기 · 상여놀이 · 석전 · 설경놀이 · 성불도 · 소싸움 · 소먹이놀이 · 술래잡기 · 수건돌리기 · 숨바꼭질 · 승경도 · 씨름 · 쌍륙
얼음땡 · 여행도 · 연날리기 · 용마놀이 · 용호놀이 · 육박 · 윷놀이
자치기 · 장기 · 전쟁놀이 · 제기차기 · 조조잡기놀이 · 주령구 · 줄다리기 · 줄타기 · 쥐불놀이 · 진놀이
차전놀이 · 초중종놀이 · 축국 · 춘향이놀이 · 칠교놀이
ㅌ~ㅎ 탁족놀이 · 탈놀이 · 탑돌이 · 투전 · 투호 · 팽이치기 · 풍등놀이 · 활쏘기 · 화류놀이 · 화전놀이 }}}}}}}}}


1. 개요2. 공기의 어원3. 상세4. 변칙 공기놀이5. 대한민국에서의 로컬 룰
5.1. 단5.2. 꺾기
6. 공깃돌

1. 개요

공기(돌이나 플라스틱 원형돌모양)을 사용하여 노는 대한민국 민속놀이.

규칙이 간단명료하고 특히 장소의 제약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

2. 공기의 어원

이 '공기'는 한자어 공기(空氣, air)와는 다르며, 옛 한글 표기는 '공긔'이다. 이규경(李圭景)의 ≪ 오주연문장전산고≫에 공기(拱棋)라고 한자로 적고 있는데 한자를 풀이하면 '바둑돌을 들어 올린다'는 뜻이어서 진짜 한자어일 수도 있고, 원래 순우리말인데 한자의 발음만 빌린 취음 표기일 수도 있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 공기놀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현재의 공기놀이와 거의 같다.
척석(擲石)은 ' 화한삼재도회'에 전하는데 바둑알을 튕기는 것 즉 돌을 던지는 종류이다. 여자애가 바둑알 10여개를 갖고 흩어놓는다. 한 개를 공중에 던져 아직 떨어지기 전에 흩어진 돌 2~3개와 같이 움켜쥐고 합한다. 나머지도 이와 같이 해서 다 주우면 이긴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척석구(擲石毬, 속명으로 공기놀이(拱棋戲)라 한다)와 같다.... 이는 우리 동방의 어린애들이 돌멩이를 갖고 노는 놀이와 비슷하다. 이름하여 공기(拱棋)라 한다. 돌멩이를 공중에 던져 손바닥으로 받는다. 이미 받은 것은 쌓아서 솥의 모양으로 만든다. 이름하여 솥발공기(鼎足拱棋)라 한다.[원문]

3. 상세

놀이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4단, 5단(꺾기)으로 이어지는 방식이다. 일단 공기알을 쫙 바닥에 깐 다음 공기알 하나를 위로 던지고 나머지 공기알을 집은 후 던졌던 공기알이 떨어지기 전에 잡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1단은 하나를 던지는 동안 하나를 잡고, 2단은 두 개를 한꺼번에 잡고, 3단은 세 개 + 한 개를 잡는 식. 4단은 하나를 던지는 동안 네 개를 놓고, 다시 하나를 던지는 동안 그 네 개를 잡는 방식이 기본 공기 방식이다. 이때 손은 보통 한 손만 사용하며 잡은 공깃돌을 다른 손에 두는 건 초보자들이 아니면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손이 작은 사람은 불리하다.

지역에 따라서는 각 1축~4축씩 한 단계로 구성된 여러 단계가 있으며, 1-7단계는 아래와 같다.

-1단계 일반공기

-2단계 더하기 (잡은돌을 모두 던져 받는 방식)

-3단계 빼기 (저글링처럼 던진 돌이 떨어지기 전에 잡은 돌과 잡을 돌을 바꾸는 방식)

-4단계 곱하기 (던진 돌이 떨어지기 전 바닥에 돌을 반대손에 주워담는 방식)

-5단계 나누기 (손바닥을 바닥에 대고 돌을 던지며 손가락 사이에 돌을 넣은 후 돌을 던지며 손가락 사이에 돌을 떨어뜨리는 방식)

-6단계 장애물 (6종)

-7단계 나이먹기

꺾기는 5개를 던져서 손등 위에 올린 뒤, 그것을 다시 공중으로 띄워서 잡는 방식이다.[2] 꺾기의 경우 미리 '몇 알 이상을 최소한 올려야 한다'는 것을 규칙으로 정해둔다. 정해진 건 아니지만 대개 최소 3개는 올려야 하며, 고수들 간의 대결에선 5개 이외에는 무조건 아웃인 경우가 많다. 보통 4개 이하는 그 수에 맞는 단부터 4단까지 한 번 더 해야 한다. 3개를 잡았을 경우, 3,4단을 다시 하고 5단을 다시 한다. 즉 5단만 계속하면 떨어지지 않는 이상 무한대로 꺾기 가능.

다만 꺾기를 했을 때 올려진 공깃돌이나 잡은 공깃돌의 수에 상관없이 1단으로 돌아가는 룰도 있다.

기본적으로 노리던 공깃돌 이외의 공깃돌을 건드리거나, 잡아야 하는 공깃돌을 놓치면[3] 실패한 것이 되고 턴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게 된다.

외국에도 비슷한 놀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완전히 비슷하지는 않고 유사하다. 근데 네팔의 gatti는 태국 라후족의 놀이에서 영향을 받아 꽤 유사한 편이다. 윈난 어린이들의 놀이도 매우 비슷하다. 서양에는 '잭스톤(Jackstones)' 또는 '너클본즈(Knucklebones)'라 불리는 놀이가 있으며 이스라엘에는 금속 정육면체 조각을 사용하는 'kugelach'[4], 브라질에는 'Cinco Marias'가 있다. 고대 그리스의 기록에도 존재하지만 많이 다른 편이다. 몽골에서는 양의 복사뼈로 비슷한 놀이를 한다.

원난 소녀들이 하는 공기놀이


네팔 어린이들이 하는 gatti

박찬욱 감독의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에서는 등장인물들이 실탄으로 공기놀이를 하는 모습이 나온다.

부산 울산쪽에서는 '살구'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쪽은 살구와 동음이의어다.

4. 변칙 공기놀이

지역에 따라서는 아래에 적힌 '천재 공기'나, 공기알을 잡은 뒤 바닥에 있는 공기알을 새로 잡을 때 아까 잡았던 공기알을 던져 다른 손으로 넘기는 동작까지 동시에 해야 하는 '서커스 공기' 등 여러 가지 변칙 공기놀이가 통용되기도 한다. 부산의 경우, 매 5단을 넘길 때마다 조건이 추가되어 난이도가 점점 어려워지는 버전도 있다. 하지만 어떤 변칙이든간에 꺾기는 원래 공기놀이의 룰을 그대로 따른다.

간혹 실력이 너무 출중하여 조금 더 난이도를 올려서 플레이하는 경우 현재 손 안에 있는 공깃돌을 모두 던지기도 한다. 즉 3단에서 맨 처음 하나를 던져 바닥에 있는 3개를 집어 손 안에 4개가 들어있다면, 그 다음에는 손 안에 든 4개를 모두 던져 마지막 남은 하나를 집은 후에 던진 4개를 모두 잡는 방식이다. 이는 학생들 사이에서 "천재 공기"라고 불린다. 줄여서 "천공"이라고 하기도 한다.

또 다른 배리에이션으로 '바보 공기'란 것도 있다. 바보공기는 공기를 던진 것을 잡지않고 바닥에 있는 공기만 잡는 방법이다.

그리고 한가지더 꺾기에 있는 또 다른 꺾기 난이도 상을 추천한다. 이름은 2보 꺾기 어떻게 하냐면 만약 3알이 손등에 있으면 그걸 손바닥으로 치면서 잡는다. 더 어려운건 3보 꺾기로 2보에서 다시 손등에다가 올리고 그리고 잡는다.

또 ‘달팽이 공기’, ‘코끼리 공기’라는 배리에이션도 있는데, 난이도는 더 쉬운 편이다.

5. 대한민국에서의 로컬 룰

그냥 하다 보면 지겨우므로 몇 가지 룰들을 부가해서 한다. 지역에 따라서 특이한 룰이 존재하거나 다른 룰임에도 같은 이름을 가졌거나, 같은 룰임에도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가 흔하다. 각종 룰이 적용된 공기놀이는 아이템 공기라도고 부른다. 룰을 보다보면 아이들의 무궁무진한 창의성에 감탄하게 된다.

5.1.

5.2. 꺾기

하다보면 눈감고도 할수 있다. )(물론 화석 들만......)

6. 공깃돌

초기에는 동네에 굴러다니는 자그마한 등을 이용하였으며[8] 현재에 이르러서는 원통 모양의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가끔 저 플라스틱이 두갈래로 갈라지기도 하는데 안에 있던 철조각이 사방팔방 튀는 순간이 연출되기도 한다.

좋은 공깃돌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위의 기준으로 봤을 시 시판되는 플라스틱 공깃돌은 매우 안 좋은 공깃돌이다. 확실히 철조각이 적어 가벼운 데다가 꽃무늬로 모양을 내 잘 굴러다녀 변수가 너무 크다. 이러면 게임 자체가 개판오분전이 되기 좋다. 다만 해당 공깃돌의 원형이 되는 기둥의 높이와 폭이 같은 육각기둥 공깃돌은 가장 이상적인 공깃돌로 같은 재질로 만들어 무게감만 충족된다면 직선으로 되어 있어 변수가 없고, 육각형이라 그립감도 좋다. 그래서 시판되는 공깃돌을 두 세트 사서 한 세트에 있는 내용물을 모아서 좀 더 무겁게 개조해서 사용할 때도 있다. 이러면 확실히 무게감이 있어서 놀기 좋다. 이런 공깃돌은 적당한 크기와 무게를 지닌 같은 크기의 육각 너트 5개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도 정육면체 공깃돌, 정십이면체 공깃돌도 차선책으로 택해 쓸만한 크기의 주사위 5개를 구해서 쓰면 될 것 같으나 해당 물건은 가급적 가볍게 만들려는 경향이 강한 물건인지라 별로 안 좋고, 시판되는 나무 공깃돌이나 인사동에서 구할 수 있는 천으로 감은 미니 콩주머니 공깃돌 같은 것 역시 별로 안 좋다. 당연하지만 도자기로 만든 공깃돌 역시 깨지기 쉽고 가벼워서 안 좋다.

[원문] 擲石 【《和漢三才圖會》。彈碁。乃擲石之類。又曰。兒女取碁石十有餘。撒之。擲一於空。未墜中。與所撒石二三箇同攫合之。其餘如之。拾盡爲勝。此與我國擲石毬 【俗名拱棋戲】 同。.....此似是我東兒少輩弄石丸之戲。名曰拱棋。擲丸于空中。以掌承受。已承者纍作鼎形。名鼎足拱棋。】 [2] 보통 손바닥을 하늘로 해서 안전하게 받는 게 아니라 공중에서 낚아채듯 잡는다. [3] 고수들 사이에서는 한 번에 잡지 못하고 손에서 튕긴 뒤 잡은 것도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4] 다른 이름으로는 '다섯 개의 돌'을 뜻하는 히브리어 Chamesh Avani [5] 생초보 한정으로 한 번 정도는 허용해주는 경우도 있다. [6] 예를 들어 2단 상황인데 실수로 1단처럼 공기돌을 잡으면 자석을 사용해서 실수를 무마할 수 있다. [7] 근데 공기 잘하는 사람들이 팬서비스로 하는 경향이 짙다. 심지어 쓰리랑 (위 - 중간 - 아래 3번으로 나눠서 잡는 것) 까지 시전하기도 한다. [8] 40대 후반 이상의 어르신들에게 당시 공기놀이를 물어보면 돌멩이를 공깃돌로써 사용해서 손이 까지곤 했다는 말을 들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