集 모을 집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隹,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준6급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ウ
|
||||||
일본어 훈독
|
あつ-まる, あつ-める, つど-う,
すだ-く, たか-る |
||||||
集
|
|||||||
표준 중국어
|
jí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集은 '모을 집'이라는 한자로, '모으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모으다 |
음 | 집 | |
중국어 | 표준어 | jí |
광동어 | zaap6 | |
객가어 | si̍p | |
민북어 | cì | |
민동어 | cĭk | |
민남어 | chi̍p | |
오어 | xxiq (T5) | |
일본어 | 음독 | シュウ |
훈독 |
あつ-まる, あつ-める, つど-う, すだ-く, たか-る |
|
베트남어 | tập |
隹(새 추)와 木(나무 목)이 합쳐진 회의자로, 많은 새가 나무 위로 모여 든다는 의미에서 '모이다', '모으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갑골문에서는 한 마리의 새가 나무 위로 날아 드는 모습만 발견되지만, 금문 이후로는 많은 새가 모인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새가 세 마리까지 있는 자형도 발견된다. 이를 반영해서 集의 이체자로 雧(隹 자 3개 + 木), 雦(隹 자 나란하게 3개) 등이 있다.
비슷한 한자로 輯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결집( 結集)
- 군집( 郡集)
- 모집( 募集)
- 문제집( 問 題集)
- 문집( 文集)
- 밀집( 密集)
- 소집( 召集)
- 수집( 蒐集/ 收集)
- 시집( 詩集)
- 응집( 凝集)
- 전집( 全集)
- 집결(集 結)
- 집계(集 計)
- 집단(集 團)
- 집배원(集 配 員)
- 집산(集 散)
- 집성촌(集 姓 村): 같은 성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사는 촌락.
- 집시법(集 示 法)
- 집적(集 積)
- 집중(集 中)
- 집창촌(集 娼 村)
- 집합(集 合)
- 집회(集 會)
- 징집( 徵集)
- 채집( 採集)
- 취집( 聚集)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귀실집사( 鬼 室集 斯)
- 귀실집신( 鬼 室集 信)
- 김성집( 金 晟集)
- 김집( 金集)
- 김홍집( 金 弘集)
- 김화집( 金 和集)
- 대집성( 大集 成)
- 마이코 슈( 舞 子 集)
- 마츠유키 아츠무( 松 雪 集)
- 박범집( 朴 範集)
- 우와사 아츠메( 宇 和 佐 集 芽)
- 우쥬인 마슈마로( 宇集 院 魔 朱 麿)
- 이쥬인 메구미( 伊集 院 惠)
- 이쥬인 타마리( 伊集 院 玉 利)
- 최대집( 崔 大集)
- 최장집( 崔 章集)
- 카슈 토시키( 賀集 利 樹)
- 후군집( 侯 君集)
3.4. 지명
3.5. 창작물
어떤 내용을 수집하거나 집대성했다는 의미에서 集이 들어가는 서적이 수도 없이 많다.- 계원필경집( 桂 苑 筆 耕集)
- 경와집략( 敬 窩集 略)
- 고사십이집( 攷 事 十 二集)
- 남명집언해( 南 明集 諺 解)
- 농가집성( 農 家集 成)
- 동국이상국집( 東 國 李 相 國集)
- 변례집요( 邊 例集 要)
- 삼봉집( 三 峯集)
- 선문삼가염송집( 禪 門 三 家 拈 頌集)
- 언해두창집요( 諺 解 痘 瘡集 要)
- 예기집설대전구결( 禮 記集 說 大 全 口 訣)
- 제갈량집( 諸 葛 亮集)
- 진실주집( 眞 實 珠集)
- 창진집( 瘡 疹集)
- 청록집( 靑 鹿集)
- 파한집( 破 閑集)
- 풍월정집( 風 月 亭集)
- 鬼言集
- Yong Ha's Melody~パク・ヨンハ作品オルゴール集
3.6. 기타
4. 유의자
- 㪉/ 敆(모을 갑/협)
- 夠/ 勼(모을 구)
- 九/ 乣(모을 규)
- 𢺈[⿰扌䜌](모을 란)
- 募(모을/뽑을 모)
- 踾(모을 복)
- 裒/ 抙(모을 부)
- 社(모일 사)
- 蒐(모을 수)
- 揑(모을 열)
- 蕹(모을 옹)
- 綜(모을 종)
- 揍(모을 주)
- 寯(모을 준)
- 搸(모을 진)
- 輯/ 緝(모을 집)
- 纂/ 躦/ 欑/ 儹(모을 찬)
- 賶(모을 창)
- 撮(모을/사진찍을 촬)
- 揫/ 揂(모을 추)
- 蓄(모을 축)
- 萃(모을 췌)
- 聚/ 𥣙[⿰禾聚](모을 취)
- 䝰/ 𠊷(모을 치)
- 合(합할 합)
- 會(모일 회)
- 翕(모을 흡)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渠(개천 거)
- 𤦲[⿱⿰⺩巨木](귀고리 거)
- 㮡(횃불 관)
- 琹(거문고 금)[1]
- 㚓(키 래)
- 呆(어리석을 매)
- 罙(무릅쓸 미)
- 雬(안개 부)
- 䍒(토끼그물 부/무)
- 䂞(산뽕나무 석/자)
- 㕖(본디/흴 소)[2]
- 𤔥[⿱舀木](새집 소)[3]
- 喿(울 소/조)
- 宋(성 송)
- 𥰿[⿱筍木](죽순 순)[4]
- 䯂(많고성할 신)
- 燊(성할 신/화/쇄)
- 穼(굴뚝 심)
- 臬(문지방 얼)
- 𠕖[⿱冃木](무성할 조)
- 隼(송골매 준)
- 隻(외짝 척)
- 𦿕[⿱蓷木]/ 𣟶[⿱䕌木](나무할 초)
- 䲷(올빼미 효)[5]
- 髤(검붉은빛 휴)[6]
- 𠡷[⿱劦木](노)
- 𡭢[⿱小木](패)
- 𠅅[⿱亠木]
- 𠫡[⿱厶木]
- 𡵬[⿱山木]
- 𦰔[⿱芕木]
- 𦲜[⿱芯木]
- 𮓌[⿱薩木]
- 𦊋[⿱冈木]
- 𦊧[⿱㘝木]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磼(높을 잡)
- 襍/ 𣛜[⿰木集](섞일 잡)
- 㠍(높고클 집)
- 㠎(높을 집, 산높고첩첩한모양 첩)
- 䮶(많은말 집, 떼지어달릴 표)
- 𠍱(모을 집)[7]
- 潗(샘물솟을 집)
- 㙫(샘솟을 집)
- 𨤹[⿰重集](서로포갤 집)
- 鏶(쇳조각 집)
- 㗱(씹을 집)
- 䌖(오랑캐화폐이름 집/접)
- 𦺴[⿱艹集](풀이름 집)
- 穕(농기구 첩)
- 𡙸(빼앗을 탈)[8]
- 㱷(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