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14 02:24:35

박범집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대한민국 공군 창설 간부 7인
파일:공군창설간부_최용덕.jpg 파일:공군창설간부_김정렬.jpg 파일:공군창설간부_김영환.jpg 파일:공군창설간부_박범집.jpg 파일:공군창설간부_이근석.jpg 파일:공군창설간부_장덕창.jpg 파일:공군창설간부_이영무.jpg
최용덕 김정렬 김영환 박범집 이근석 장덕창 이영무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34acf1><tablebgcolor=#34acf1>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34acf1><tablebgcolor=#34acf1>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대한민국 공군 중장.svg
초대
박범집
2대
장덕창
3대
김창규
4대
김신
5대
장성환
6대
박원석
7대
장지량
8대
김성룡
9대
김두만
10대
옥만호
11대
주영복
12대
윤자중
13대
이희근
14대
김상태
15대
김인기
16대
서동열
17대
정용후
18대
한주석
19대
김홍래
20대
박춘택
21대
이억수
22대
이한호
23대
김은기
24대
성일환
25대
이영만
26대
최차규
27대
김형철
28대
정경두
29대
강구영
30대
원인철
31대
이건완
32대
황성진
33대
이성용
34대
김준식
35대
정상화
36대
신옥철
37대
윤병호
38대
이상학
39대
손석락
40대
박기완
※ 초대 ~ 7대 : 소장, 8대 ~ 현임 : 중장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1. 개요2. 생애3. 친일

1. 개요

朴範集
대한민국 군인으로, 최종 계급은 소장이다. 일본식 이름은 히가시바야시 마스노리 / 도바야시 마스노리(東林益範).

2. 생애

1917년 9월 7일 함경남도 신흥군에서 출생했다. 1936년 일본육군사관학교에 들어가 1939년부터 일본 육군 항공대에서 해방 때까지 복무하였다.

공군 창설간부 중 유일하게 조종사 출신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육군 항공기지부대 작전처장을 역임하면서 조종술을 배워 전투 조종사가 된 입지전적인 군인이다. 1948년 4월에 조선경비대 보병학교에 입학하였고, 졸업한 뒤 대한민국 국군의 항공부대 창설을 최용덕, 김정렬, 장덕창, 이근석 등과 함께 주도하였다 1949년 국방부 항공국장을 역임하여 공군 창설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초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차장[1]을 역임하였다. 6.25 전쟁 중이었던 1950년 11월 12일, 함흥 지역 지휘비행 중 비행기 사고로 순직하였다.

이후 1957년, 국립서울현충원에 장성급 장교 중 최초로 유해가 안장되었다.

3. 친일

일본군에서 복무하다 최종 계급 소좌로 해방을 맞았는데, 그 이전 1943년 9월 20일, 매일신보와의 인터뷰가 문제가 되었다.

박범집은 당시 인터뷰에서 일본군 항공장교로 태평양 전쟁에 참전해 전사한 조선인들을 추모하면서, 패배는 동양인종이 미국 영국의 노예가 되는 길이니, 승리를 위해 일본군에 입대할 것을 권유했다.

이 때문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고 말았다.

[1] 당시에는 참모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