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07 20:27:59

합동군

군종(軍種)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일반 편성
육군 해군 공군
특수 편성
공수부대 산악부대 특수부대 해병대 방공군 우주군
전략로켓군 사이버군 의무군 군수군 내무군 국경경비대
해안경비대 헌병대 친위대 공공부대 외인부대 예비군
민병대 연합군 합동군 통합군 수색대
준군사조직 포함
}}}}}}}}} ||


1. 개요2. 합동3. 합동부대

1. 개요


통합군(統合軍, Unified Force)과는 다른 개념이니 유의할 것.[1][2]

군 구조의 유형은 통상 군정·군령의 배분과 지휘구조의 유형을 기준으로 분류되며 크게는 단일군제[3]에서 출발한 통합군제와 3군 병립제로부터 발전한 합동군제로 나눠 볼 수 있다. 합동군 합동군사령관[4]이 육·해·공군 전투 및 작전부대를 상대로 작전지휘를 하고, 각군 참모총장은 작전지휘권을 뺀 인사·군수·병참 등 나머지 분야의 지휘권을 행사한다. 미국, 일본 영국, 독일 등 유럽 선진국들이 이에 해당하며, 한국 합동군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미국의 경우 작전명령이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을 거쳐 9명의 통합군사령관에 하달되는데, 합참의장이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에게 조언하는 자문역(자문형 합참의장)을 맡는 반면, 한국군 합참의장 한 사람이 전군에 대한 작전 지휘권을 행사(통제형 합참의장)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통합군은 군 내 독단·판단착오의 위험, 해·공군의 전문성 약화, 현대전 수행에서의 부적합, 쿠데타 위험이 커 일정 규모 이상의 선진국 군은 채택하고 있지 않고 있다. #

통합군 체계는 최고사령부에서 여러 군종들에게 일괄적으로 군령권과 군정권을 행사하는 구조이다. 이에 반해 합동군은 따로따로 움직이는 군종들을 한데 묶어두는 참모본부에서 군정권만을 행사한다는 점이 통합군과의 차이점이다. 문민통제가 가장 잘 되는 지휘체계이기도 하다.

합동군/ 통합군에 대한 더 많은 기사들은 다음 참고 # # #

2. 합동

대한민국 국군에서 합동(合同)은 육·해·공군 등 서로 다른 군종이 협조하여 작전을 펼치는 것을 말한다. 타국 군과 협조할 때는 연합군이라 한다.

일본 자위대에서는 이 합동(合同)이라는 개념을 통합(統合)이라고 번역하고 있다. 그렇기에 합동군과 통합군 역시 구별하지 않고 둘 다 통합군으로 번역하고 있기도 하다. 합동군과 통합군을 서로 별개의 개념으로서 엄밀히 구별하는 대한민국 국군과는 이런 부분에서 용어의 차이가 나타난다.

3. 합동부대


일본에서는 상기한 대로 대한민국 국군 합동에 해당되는 용어를 통합으로 표시하기에, 합동부대 역시 통합부대로 부른다. 자위대 통합막료감부나 통합막료학교가 이에 해당한다. 통합막료감부는 한국군의 합동참모본부에 해당되며, 통합막료학교는 한국군의 합동참모대학에 해당된다.


[1] 대개 해당국 군대가 각 군 개별로 본부를 두고 있는지 아닌지로 구별한다. [2] 다만 통합군과 합동군을 별개의 개념으로서 엄밀히 구별하는 한국어와는 달리 일본어에서는 양쪽을 엄밀히 구분하지 않아서 통합군과 합동군이라는 서로 다른 두 개념을 모두 통합군(統合軍)이라는 하나의 단어로 일원화하여 번역하고 있다. [3] 과거 제국군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케이스이다. 현재 대표적인 단일군은 오스트리아군인데 여기는 내륙국이라 해군은 없고 공군 육군과 통합되어 육군만 존재하여 영락없는 단일군 체제이다. [4] 한국의 경우 합동참모의장이 한반도전구의 합동군사령관 역할을 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