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0:05:59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중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경의·중앙선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문산에서 가좌를 거쳐 서울역을 잇는 철도 노선에 대한 내용은 경의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청량리에서 용문을 거쳐 모량신호장을 잇는 철도 노선에 대한 내용은 중앙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수도권 전철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2호선
]]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
경춘선 공항철도 서해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선
]]
[[용인 에버라인|
용인 에버라인
]]
GTX-A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 ||

||<-2><tablewidth=70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77c4a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경의선 도라산역 ~ 서울역
(56.0km, 40.64%)
용산선 가좌역 ~ 용산역
(7.0km, 5.08%)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12.7km, 9.22%)
중앙선 청량리역 ~ 지평역
(62.1km, 45.06%)
역 목록 | 운행 계통( 수도권 전철 경의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역사 | 연장 | 문제점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首都圈 電鐵 京義·中央線
Seoul Metropolitan Subway
Gyeongui-Jungang Line
}}}
파일:IMG_9930.jpg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파일:Korail_EMU_331X27_Rear.jpg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노선도(2024).svg 현재 구리역 수도권 전철 8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으며, 가좌역은 문산~용산 계통 급행도 정차한다.
노선 정보
노선 분류 일반철도
광역철도( 용산 문산, 청량리 덕소 구간)
차량 분류 대형 중전철
기점 임진강역(평일 2회, 휴일 4회 운행), 문산역
종점 서울역[1], 용문역, 지평역(평일 6회, 휴일 5회 운행)
역 수 58개
구성 노선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상징색
옥색 (#77C4A3)
개통일 1978년 12월 9일([age(1978-12-09)]주년)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운영사 한국철도공사
사용차량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2]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3]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4]
차량기지 문산차량사업소
용문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137.8km
궤간 1,435mm
선로구성 4 ( 능곡 ~ DMC)
2 ( 문산 ~ 능곡, 가좌 ~ 서울역/ 지평)
1 ( 문산 ~ 도라산)
급전방식 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ATS-S1, ATS-S2[5]
최고속도 110km/h
표정속도 문산 ↔ 용문 완행 44.27km/h
문산 ↔ 용산 급행 49.24km/h
문산 ↔ 서울역 급행 49.27km/h
용산 ↔ 용문 급행 54.77km/h
지하구간 가좌 효창공원앞[6]
통행방향 좌측통행
개통 연혁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역사 문서 참고
[ 펼치기 · 접기 ]
1978. 12. 09. 용산 청량리[1호선]
( 한남, 회기, 옥수 제외)
1980. 04. 01. 한남, 회기[1호선]
1985. 10. 18. 옥수[1호선]
2005. 12. 16. 청량리 덕소( 상봉, 일패 제외)[10]
2007. 12. 27. 덕소 팔당
2008. 12. 29. 팔당 국수( 신원 제외)
2009. 07. 01. 서울역 문산( 영태, 야당, 강매, 향동 제외)
2009. 12. 23. 신원, 국수 용문( 오빈 제외)
2010. 12. 21. 상봉, 오빈
2012. 12. 15. 가좌 공덕
2014. 10. 25. 강매
2014. 12. 27. 공덕 용산( 효창공원앞 제외) 및 직결 운행 개시
2015. 10. 31. 야당
2016. 04. 30. 효창공원앞
2017. 01. 21. 용문 지평
2020. 03. 28. 문산 임진강( 운천 제외)
2021. 12. 11. 임진강 도라산
2022. 12. 17. 운천
개통 예정 2025. 경의선/한국항공대~수색 중간역
2028. 일패
미정. 영태
1. 개요2. 건설 목적3. 역사4. 구성 노선5. 운행 환경
5.1. 안내방송5.2. 혼잡 구간5.3. 배차 간격
6. 전 구간 주행 영상7. 역 목록8. 환승역9. 소재지10. 현존 행선지 및 열차 번호11. 운행 차량12. 운행 계통13. 역별 승하차 통계14. 문제점15. 연장 논의16. 사건 사고17. 기타
17.1. 경의·중앙선 주변 도시개발17.2. 열차 이용 팁17.3. 기타

[clearfix]

1. 개요

2014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을 하나의 노선으로 직결운행하면서 탄생한 수도권 전철 운행 계통이다. 노선색은 옥색이다. 운행 열차의 도색은 1호선과 같은 자석도색이다.
신규도입되는 33100호대 열차의 도색은 1호선의 14,15차분, 3호선 2차분, 4호선의 5차분과 같이 노선색과 코레일블루색을 사용한다.

철도 노선 하나가 관장하는 주 간선 도로인 국도 1번 국도, 77번 국도, 46번 국도, 6번 국도 총 4개인 노선이다. 고속도로로는 평택파주고속도로를 대체하는 노선이다.

로마자로는 'Gyeongui·Jungang Line'으로 표기한다. 하지만 서구권에서 가운뎃점은 생소한 문장부호이고, 이렇게 두 지명을 잇는 데에는 대시( 줄표)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영어판 위키백과등에서는 'Gyeongui–Jungang Line'과 같이 엔 대시(en dash)로 잇고 있다.

2. 건설 목적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의선 계통 중앙선 계통
2009. 07. 01. 서울역 문산 개통
2012. 12. 15. 가좌 공덕 개통
2014. 10. 25. 강매역 개통
1978. 12. 09. 용산 청량리 개통
1980. 04. 01. 한남역, 회기역 개통
1985. 10. 18. 옥수역 개통
2005. 12. 16. 청량리 덕소 개통
2007. 12. 27. 덕소 팔당 개통
2008. 12. 29. 팔당 국수 개통
2009. 12. 23. 신원, 국수 용문 개통
2010. 12. 21. 상봉역, 오빈역 개통
2014. 12. 27. 공덕 용산 개통 및 직결 운행 개시
2015. 10. 31. 야당역 개통
2016. 04. 30. 효창공원앞역 개통
2020. 03. 28. 문산 임진강 개통
2021. 12. 11. 임진강 도라산 개통
2022. 12. 17. 운천역
2017. 01. 21. 용문 지평 개통
{{{#!folding [경의선 미개통역] 2025. 경의선/한국항공대~수색 중간역 개통 예정
미정. 영태 개통 예정
}}} ||
[중앙선 미개통역]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91919><bgcolor=#ffffff,#191919>2028. 일패 개통 예정 ||
||

4. 구성 노선

5. 운행 환경

5.1. 안내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차내 안내방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역내 안내방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d8bfd8,#3f263f> 운영사 한국철도공사
한국어 보이스웨어 혜련
영어 보이스웨어 Julie
중국어 조홍매
일본어 교코
출발 BGM 코레일 ID송
환승 BGM 얼씨구야
종착 BGM 코레일 로고송

5.2. 혼잡 구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축수송(교통)/사례/대한민국/철도 문서
3.1.10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1년 경의선 최대 혼잡 구간 행신역 강매역 111%
2021년 중앙선 최대 혼잡 구간 망우역 상봉역 139%

우선 수도권 전철 경의선 구간의 경우 출근시간 기준으로 기점인 문산역부터 입석이 발생하며, 파주시 원도심인 금촌( 금촌역· 금릉역)과 신도심인 운정신도시( 운정역· 야당역)을 연속으로 지나면서 혼잡도가 상승한다. 이후 고양시 일산 구간인 탄현역 일산역, 백마역을 거치면서 가축수송이 되고, 덕양구 능곡역 행신역을 지나면서 혼잡도가 절정에 달한다. 특히 일산 구간의 경우 일산신도시 중심부를 지나는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이 불량한 선형이라는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보니 일산신도시의 수요가 선형이 훨씬 좋은 경의선 쪽으로 쏠리고, 여기에 철길 반대편의 일산 원도심 수요까지 겹치면서 더더욱 혼잡하다. 최근 대곡역에서 수도권 전철 서해선으로 갈아타는 인원으로 서울로 가는 승객의 분산효과는 있지만 아직도 승객이 많은건 현실이다. 대곡역은 서해선과 경의중앙선이 승강장을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혼잡하며, 수도권 전철 경의선 구간을 경유하는 서해선 열차의 경우 열차가 순서대로 들어오기 때문에 금정역처럼 승객이 빠르게 빠지지는 않는다. 서울에 들어와서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6호선 환승객들이 아주 조금 하차하고, 홍대입구역에서 2호선 및 공항철도 환승객들이 대거 하차한 후 남은 승객들도 대부분 공덕역 용산역에서 하차한다. 용산역에서도 수도권 전철 중앙선 구간을 이용하는 승객이 대거 승차하기 때문에 열차가 비는 틈이 없다.

한편 수도권 전철 중앙선 구간의 경우 양평역에서 많이 탑승해 입석이 발생한 후로는 한동안 수요가 적은 역들을 지나며 승객 수가 조금씩 늘어나다가 남양주 시내에 접어드는 도심역 덕소역부터 본격적으로 우르르 탑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다산신도시의 중심에 있는 도농역에서 많은 승객들이 탑승하고 구리역에서는 정말 엄청난 혼잡도를 자랑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서울 도심쪽으로 가는 승객들만 포함된 얘기고 별내선이 개통하면서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수요는 8호선으로 많이 뺏길 예정이므로 이 구간 역시 예전보다 혼잡도가 줄어들 것이다. 강남으로 가는 승객들은 다산신도시 중심에 있는 다산역에서 8호선으로 탑승하고, 구리역에서는 양평과 덕소에서 강남으로 갈려는 승객들 때문에 8호선으로 대거 넘어가면서 예전보단 확실히 여유가 있어질 것이다. 서울에 들어와서는 상봉역에서 강남으로 가려는 7호선 환승객들이 대거 하차하지만 수도권 전철 경춘선 환승객들이 그만큼 탑승하면서 다시 혼잡해진다. 이후 회기역 청량리역, 왕십리역에서 대거 하차하면서 열차 내부가 한산해지고 남은 승객들도 대부분 옥수역 이촌역, 용산역에서 하차한다. 반대로 퇴근시간에서는 서울 구간 역들, 특히 왕십리역의 승강장이 매우 혼잡하다.[12]

5.3. 배차 간격

경의·중앙선 본선의 배차 간격은 RH 7~9분, NH 10~20분 정도로 수도권 전철 치고는 상당히 긴 편에 속한다. 급행 미정차역은 RH 시간조차에도 거의 20분 정도까지 벌어지기도 한다. 수도권 전철 23개 노선 중 경의·중앙선보다 배차 간격이 긴 노선은 NH 배차 간격 20~30분의 경춘선, 경강선 이렇게 2개가 있다.[13] 이들은 모두 일평균 이용객 수가 경의·중앙선의 1/4에도 미치지 못하는 노선들이다. 경의·중앙선과 수요가 비슷한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배차 간격이 RH 4~5분, NH 8~10분인 것과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또한 중앙선 쪽은 절반에 가까운 열차가 덕소역에서 종착하기 때문에 도심역~ 용문역 구간의 배차간격은 RH 15분, NH 30~40분으로 더욱 벌어진다. 그리고 4량 편성의 서울역 지선은 RH 15~30분, NH 최대 60분의 긴 배차 간격을 보인다.

평시 배차 간격이 15분 이상 되는 광역철도 노선 중 가장 이용객이 많은 노선이며, 중앙선 구간은 용산~왕십리~청량리~상봉·망우~덕소~양평·용문까지는 전철뿐만 아니라 KTX나 일반열차, 화물열차까지 다니고 있어서 늘 혼잡하다. 그러다 보니 배차 간격으로 시민들한테 가장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하지만 경강선이나 경춘선에 비하면 새발의 피일 뿐이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 2023년 8월 26일 개통하면서 일산역 - 능곡역 구간은 경의중앙선과 서해선을 합쳐서 RH 3분, NH 10분 배차간격이 완성됐다. 다만 선로공용 구간의 존재로 서해선은 대부분의 열차가 대곡역에서 시종착한다.

6. 전 구간 주행 영상[14]

<nopad>
▲ 용문(지평)역 → 문산역 전 구간 주행 영상
▲ 문산역 → 용문(지평)역 전 구간 주행 영상
<nopad>
▲ 경의선 구간 서울역 → 대곡역 주행 영상
▲ 경의선 구간 대곡역 → 서울역 주행 영상
<nopad>
▲ 임진강역 → 문산역 셔틀 구간 주행 영상
▲ 문산역 → 임진강역 셔틀 구간 주행 영상
<nopad>
▲ 임진강역 → 도라산역 셔틀 주행 영상[주의사항]
▲ 도라산역 → 임진강역 셔틀 주행 영상[주의사항]

7. 역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환승역


향후 개통되는 노선 중 계획에 따라 공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경의·중앙선과의 환승이 확실해진 역으로는 왕십리역( 동북선)과 대곡역( GTX A선), 서울역( GTX A선)이 있다.

이외에도 신안산선 공덕역 서울역에서, 서울 경전철 면목선 청량리역에서, 대장홍대선 홍대입구역에서 환승할 수 있도록 추진 계획이 잡혀있다. 서울 경전철 서부선의 경우 경의선 신촌역 또는 서강대역과 환승이 될 가능성이 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가 완공된다면 환승이 가능해질 역은 대곡역 서울역이다. 두 역 모두 운정-동탄을 잇는 A선과 환승될 예정이다. 계획으로는 용산역과 서울역은 송도 ~ 마석 구간을 운행하는 B선과 환승될 예정이지만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C선 덕정 ~ 수원 노선은 왕십리역 청량리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문산역도 임진강역 셔틀열차와 본선 열차(서울역, 용문/지평 방면)와 갈아탈 수 있는 환승역이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일산 연장 계획에 따라 일산역이 환승 계획 역으로 추가됐다.

남양주시 일패동 중간 추가역에서 서울 지하철 9호선과 환승될 계획이다.

또한 일산역까지만 운행하던 서해선이 탄현, 야당, 운정역까지 운행할 예정이다.

9. 소재지

파일:GJLine_icon.svg 본부 및 소재지
본부명 소재지 구간 관리역 역 수
본선
서울본부 경기도 파주시 도라산(K338) ~
야당(K328)
문산역 16
고양시 탄현(K327) ~
곡산(K323)
대곡(K322) 대곡역 1
능곡(K321) 문산역 1
행신(K320) ~
한국항공대(K318)
수색역 8[17]
서울
특별시
은평구 수색(K317) ~
디지털미디어시티(K316)
서대문구 가좌(K315)
마포구 홍대입구(K314)
서강대(K313) ~
공덕(K312)
용산역 7
용산구 효창공원앞(K311) ~
한남(K113)
서울본부
(수도권동부
지역관리단)
성동구 옥수(K114) ~
왕십리(K116)
청량리역 4
동대문구 청량리(K117)
회기(K118) 망우역 12
중랑구 중랑(K119) ~
양원(K122)
경기도 구리시 구리(K123)
남양주시 도농(K124) ~
운길산(K129)
양평군 양수(K130) ~
지평(K138)
양평역 9
지선
서울본부 서울
특별시
서대문구 신촌(P314) 수색역 1
중구 서울역(P313) 서울역 1

10. 현존 행선지 및 열차 번호


네자리 중 앞의 번호는 노선을 의미한다. 5는 경의선-중앙선 직결 계통 또는 중앙선 전용 계통, 2는 경의선 전용 계통이고, 번호가 짝수는 하행(수색, 대곡, 일산, 문산 방향), 홀수는 상행(용산, 덕소, 팔당, 용문, 지평 방향)이다.

11. 운행 차량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운행 이력이 있는 타 노선 차출 차량
경의·중앙선 직결 전
수도권 전철 경의선
해당 편성 원 노선
311G03~311G05 수도권 전철 1호선
321C15~321C16 수도권 전철 중앙선
351F61 수도권 전철 수인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
351F61~351F64 수도권 전철 수인선
361C14~361C15 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의·중앙선 직결 후
311G03~311G04 수도권 전철 1호선
361C03, 361C08, 361C14 수도권 전철 경춘선
381G01~381G09 동해선 광역전철
<현재 운행중인 열차>
*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 당시 중앙선 운행용으로 생산됐다.
*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 당시 경의선 운행용으로 생산됐다.
*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 전동차 - 경춘선 운행용으로 생산됐다. 321C08편성 고장으로 인한 차량부족으로 361C08편성이 현재 임시 차출된 상태이다.
*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 광명셔틀 운행용으로 생산됐다. 그러나 경의선 차량 부족으로 충분한 편성수의 319000호대 중 311G05편성을 차출하여 운행중이다.
*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 동해선 운행용으로 생산됐다. 2021년 9월 이전까지 임시 운행 예정이었으나, 차량 부족으로 12월까지 연기되다 결국 381G10편성만 331C28편성 도입 전까지 경의선 구간에 남아 운행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2024년 11월 29일 331C28편성 도입으로 2025년 381G10편성은 문산에서 철수될 예정이다.

12. 운행 계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운행 계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역별 승하차 통계

2023년 기준 경의·중앙선의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환승역의 경우 경의·중앙선이 아닌 다른 노선의 승하차객은 제외한다.

도라산역의 경우는 따로 승하차 통계를 집계하지 않는다.

용산역 회기역은 1호선의 이용객에 포함되므로 모두 1호선으로 집계된다.

대곡역 옥수역은 3호선의 이용객에 포함되므로 모두 3호선으로 집계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노선 총합
역수 구간 역당 일평균 이용객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최다 이용역 최저 이용역
58개 임진강 ↔ 지평 8,458명[23] 456,759명 166,716,876명 청량리 운천
29개 경의선 구간 8,432명[24] 227,676명 83,101,920명 일산 운천
29개 중앙선 구간 8,485명[25] 229,082명 83,614,956명 청량리 지평
일일 이용객 수
역수 구간 5만명 이상 2만명~5만명 1만명~2만명 5천명~1만명 5천명 이하
58개 임진강 ↔ 지평 없음 4개역
(역별 순위 1~4위)
16개역
(역별 순위 5~20위)
11개역
(역별 순위 21~31위)
23개역
(역별 순위 32~54위)
||<-4><tablebordercolor=#77c4a3><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bgcolor=#77c4a3>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3년 승하차량
1위 청량리[수+춘] 34,441명 12,570,853명
2위 왕십리[수] 33,306명 12,156,790명
3위 구리 25,660명 9,365,976명
4위 도농 20,503명 7,483,475명
5위 일산[서] 19,005명 6,936,927명
6위 야당[KN] 16,480명 6,015,126명
7위 행신 15,616명 5,699,959명
8위 망우[춘] 14,959명 5,459,860명
9위 상봉[춘] 14,706명 5,367,520명
10위 탄현[KN] 14,670명 5,354,698명
11위 운정[KN] 13,193명 4,815,315명
12위 백마[서][KN] 13,115명 4,787,109명
13위 금촌 12,831명 4,683,451명
14위 가좌[KN] 10,983명 4,008,722명
15위 풍산[서][KN] 10,953명 3,997,852명
16위 중랑[춘][KN] 10,602명 3,869,825명
17위 덕소 10,539명 3,846,711명
18위 문산 10,519명 3,839,338명
19위 홍대입구 10,507명 3,835,031명
20위 금릉[KN] 10,035명 3,662,766명
21위 이촌[KN] 9,815명 3,582,579명
22위 서울[KN] 8,923명 3,256,803명
23위 공덕 8,420명 3,073,348명
24위 능곡[서] 8,206명 2,995,125명
25위 디지털미디어시티 8,003명 2,921,243명
26위 한남[KN] 7,552명 2,756,533명
27위 양평 6,408명 2,338,957명
28위 효창공원앞[KN] 6,146명 2,243,219명
29위 강매[KN] 5,753명 2,099,679명
30위 양원[KN] 5,669명 2,069,009명
31위 수색 5,463명 1,994,175명
32위 옥수[KN] 4,978명 1,817,067명
33위 한국항공대 4,694명 1,713,386명
34위 용문 4,590명 1,675,409명
35위 서강대[KN] 4,386명 1,600,908명
36위 서빙고 4,361명 1,591,896명
37위 월롱[KN] 4,229명 1,543,732명
38위 도심[KN] 4,086명 1,491,254명
39위 양수 4,007명 1,462,605명
40위 응봉[KN] 3,525명 1,286,515명
41위 파주[KN] 2,318명 846,155명
42위 팔당 1,958명 714,751명
43위 신촌 1,944명 709,617명
44위 운길산[KN] 1,679명 612,852명
45위 국수 1,452명 529,893명
46위 아신[KN] 1,215명 443,381명
47위 곡산[서][KN] 1,207명 440,460명
48위 양정[KN] 1,132명 413,130명
49위 원덕[KN] 767명 280,083명
50위 오빈[KN] 619명 225,768명
51위 신원[KN] 418명 152,389명
52위 지평 137명 49,875명
53위 임진강[63] 65명 23,595명
54위 운천[KN][65] 12명 4,181명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후 2022년까지 중앙선 구간 이용객이 경의선 구간보다 많았으나, 2023년 8월 26일 수도권 전철 서해선 일산역 연장으로 경의선 일산-능곡 구간의 배차간격이 개선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2023년 11월부터 경의선 구간의 이용객 수가 중앙선 구간보다 많아졌다. 관련 링크

2024년 4월 일평균 승하차 통계에서는 경의선 246,629명 vs 중앙선 235,143명으로 경의선 쪽이 중앙선 쪽을 일평균 1만 명 이상 상회하고 있다. 관련 링크 용산국제업무지구, 수색역세권개발사업, 수색증산뉴타운, 서강대역 복합역사 개발, 공덕역- 효창공원앞역 주변 재개발[66] 등 서울 시내 구간에서도 경의선 쪽에 개발 호재가 많다.

14.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연장 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연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사건 사고

17. 기타

17.1. 경의·중앙선 주변 도시개발

경의·중앙선 연선에 재개발 및 신규 도시개발이 많은 편이다. 진행중이거나 계획이 세워진 사업만 해서 문산역 근처부터 시작하면 다음과 같다.
한차례 무산됐던 도시개발사업이 경의·중앙선 완전개통에 따라 논의가 생기는 곳도 있고, 비교적 빠르게 서울특별시 중심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도시개발사업들이 역세권 단위로 진행되고 있는 곳이 많다.

17.2. 열차 이용 팁

17.3. 기타


[1] 경의선 지선 [2] 361C08편성 [3] 311G05편성 [4] 381G10편성 [5] S1: 도라산~문산, S2: 문산~지평 구간 [6] 단, 가좌역은 용산선 승강장은 지하, 경의선 승강장은 지상이다. [1호선] 개통 당시에는 1호선 소속이였으며, 이후에 1호선에서 분리되어 별개의 노선이 됐다. [1호선] [1호선] [10] 이때 용산~ 청량리 구간이 1호선에서 분리됐다. [11] 1997년 11월 18일 MBC 뉴스 보도에서는 現 용산역~이촌역~청량리역 구간과 청량리역 이북의 경원선이 같은 색깔로 표시되어 있어서 승객들이 혼란을 겪는다는 문제가 소개되었다. [12] 「[밀착카메라] 경의중앙선 '지각철' 분통…안전까지 불안」, JTBC, 2018-03-12 [13] 동남권으로 범위를 늘리면 NH 30분즈음의 동해선도 있다. [14] 일부 영상은 촬영 당시 일부역의 스크린도어가 공사 중이었거나, 설치 전이었다. 또한 능곡역 선로 이전되기 전, 그리고 청량리역 지평 방면 승강장 이전 전에 촬영했다. 임진강역-문산역 구간 영상은 운천역이 임시승강장이던 시절, 화전역이 항공대역 변경전에 촬영했다. [주의사항] 임진강-도라산 구간은 민간인통제구역을 통과하므로 군시설 촬영이 (군철책, 군초소 등) 금지되어 있다. 이 영상을 올린 유튜버는 군시설 부분과 민통선 내부의 모습을 모자이크 처리했다. [주의사항] [17] 경의선/한국항공대~수색 중간역이 추가되면 9개이다. [18] 토요일 및 공휴일에는 대부분 대곡에서 시종착한다. [19] 일부 열차 시종착 [20] K5102는 수색 종착, K5037, K5043, K5115는 수색에서 출발한다. [21] K5853은 일산역에서 출발한다. [22] K5852, K5854는 수색 급행으로 수색까지만 운행한다. [23] 모든 이용객이 1호선으로 집계되는 용산역·회기역, 모든 이용객이 3호선으로 집계되는 대곡역 제외 54개역 [24] 모든 이용객이 1호선으로 집계되는 용산역, 모든 이용객이 3호선으로 집계되는 대곡역 제외 27개역 [25] 모든 이용객이 1호선으로 집계되는 용산역·회기역 제외 27개역 [수+춘]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출입구 게이트를 경의·중앙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두 노선의 이용객도 전부 포함되어 있다. [수]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출입구 게이트를 경의·중앙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수인·분당선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서]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출입구 게이트를 경의·중앙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서해선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KN]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가 운영하는 업무위탁역이다. [춘]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출입구 게이트를 경의·중앙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경춘선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춘] [KN] [KN] [서] [KN] [KN] [서] [KN] [춘] [KN] [KN] [KN] [KN] [서] [KN] [KN] [KN] [KN] [KN] [KN] [KN] [KN] [KN] [KN] [KN] [KN] [서] [KN] [KN] [KN] [KN] [KN] [63] 평일 2회, 주말 4회 정차 [KN] [65] 평일 2회, 주말 4회 정차 [66] 공덕역 주변은 이미 유명하고, 효창공원앞역 일대는 역세권 시프트 사업으로 재개발 추진중이다. [67] 「[속보] 경의중앙선 시험운행 열차 추돌...1명 사망」, YTN, 2017-09-13 [68] 「'7명 사상' 2년 前 경의·중앙선 열차 추돌사고도 '인재' 였다」, SBS, 2019-03-05 [69] 「전동차, 멈춰선 시내버스 충돌..."인명피해 없어"」, YTN, 2019-10-07 [70] 「버스와 기차가 부딪힌 아찔한 순간...대형사고 날 뻔」, 비디오머그, 2019-10-07 [71] 「경의중앙선 청량리~DMC역 구간 열차 중단…"전기 공급 끊겨"」, MBC, 2020-02-21 [72]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73] 「30대 남성, 이촌역 부근 철도건널목서 열차에 치어」, SBS, 2022-07-08 [74] 「용산구 철도 건널목서 30대 남성 열차에 치여 숨져」, 경향신문, 2022-07-08 [75] 「[단독]중랑역 작업 근로자, 열차 사고…경의중앙선 지연」, 머니투데이, 2022-07-13 [76] 「경의중앙선 용산-청량리역 구간 운행 멈췄다 2시간반만에 재개」, MBC, 2022-08-12 [77] 도착역인 한남역에서 역직원이 나오지 않았고 그 다음역인 서빙고역에서 역직원은 오지도 않자 이촌역에서 내린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그 다음역인 용산역에는 철도특별사법경찰대센터가 있다는 것이다. [78] 「충격에 발작 증세까지…자전거 칸 탔다가 '봉변' 당한 할머니」, 한국경제, 2023-09-15 [79] 321C08편성. 경의중앙선에서 가장 오래된 차종이자 관리가 전혀 되지 않는 열차로, 노후화로 인해 고장났을 가능성이 높다. [80] 이 점은 강릉선 KTX도 공유하는 특징이다. [81] 문산역부터 입석으로 시작할 때도 있다. [82] 중저항, 신저항, 납작이, 동글이, 뱀눈이 열차가 용산행, 덕소행으로 운행하던 사진이 확인되었다. # 현재까지도 중앙선 행선지가 더미 데이터로 남아있다. # [83] 대구 도시철도 1호선도 하양으로 연장되면 그럴 예정이다. [84] 1호선의 경우 광명셔틀이 폐지되면 그렇게 될 예정이나, 동탄역으로 연장된다면 다시 그렇지 않게 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