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23:03:5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운행 계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2><tablewidth=70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77c4a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경의선 도라산역 ~ 서울역
(56.0km, 40.64%)
용산선 가좌역 ~ 용산역
(7.0km, 5.08%)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12.7km, 9.22%)
중앙선 청량리역 ~ 지평역
(62.1km, 45.06%)
역 목록 | 운행 계통( 수도권 전철 경의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역사 | 연장 | 문제점

1. 개요2. 본선 계통3. 지선 계통4. 급행열차
4.1. 본선 계통
4.1.1. 경의선(문산 - 용산) 구간 급행4.1.2. 중앙선(용산 - 용문) 구간 급행
4.2. 지선 계통
4.2.1. 문산역 - 서울역 급행 (4량)
5. 열번 정보

1. 개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운행 계통을 정리한 문서이다.

현재 총 운행 계통의 수는 46개이다. 급행이 모두 구간 급행이고, 회차하는 역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특히 일반열차 시각표 개정과 동시에 바뀌는 경우가 100%에 가까워서 이 계통이 거의 매번 바뀐다 보면 된다.

위키백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서에도 기본적인 운행 계통이 나타나 있다.

2. 본선 계통

3. 지선 계통

3.1. 문산~ 서울역 계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문제점/서울역행 열차 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쟁이TV의 영상 일산 → 서울 전면 주행 영상

3.2. 문산~ 임진강 계통

문산역 운천역 임진강역 구간은 4량 셔틀열차로 운행된다. 평일 1일 2회, 주말/공휴일 1일 4회 수준으로 배차가 매우 뜸하다. 사실상 전철이 아닌 도라산역 셔틀을 제외하면 역 수가 가장 적은 수도권 전철 운행계통이며, 전 구간이 문산읍에 있어 1개 읍면동에서만 운행하는 유일한 운행계통이다.[1] 또한 교류전철로 1개 기초자치단체 내에서 다니는 유일한 운행계통이기도 하다.

3.3. 임진강~ 도라산 계통

2021년 12월 11일에 개업한 매월 둘째 주 금요일 한정으로 1일 1왕복만 운행하는 계통이다. 열차를 이용하려면 해당 홈페이지에서 사전예약을 해야 한다.

현재는 북한에 가장 가까이 접근(2.1km)하는 한국의 여객열차 계통이다.

민통선을 넘기 때문에 미성년자는 혼자 탑승할 수 없고 보호자를 대동해야 한다. 도라산역 주변의 민통선 내 주민들은 93번 버스를 이용하므로 대중교통이라기보다는 관광열차에 가깝다. 엄연히 광역전철로 분류되는 경의중앙선의 운행 계통임에도 여객열차 방식으로 운영되는 독특한 노선이다.

2021년 12월 11일부터 2022년 2월까지는 주말 및 공휴일 한정으로 1일 1왕복만 운행했었다. 계통은 이렇게 나누어져 있지만 문산역에서 임진강역까지 운행한 열차가 임진강역에 대기하다가 관광객 등록 및 검문을 마친 승객을 다시 태우고 도라산행으로 행선지를 바꿔 운행하는 구조였다. 2022년 2월부터 코로나19 민통선 이북에서 유행할 가능성 때문에 운행이 일시적으로 중지됐었다. # 하루 50명까지만 접수 후 탑승이 가능했으며 임진강행 셔틀 탑승객들을 우선으로 받았다. 요금은 도라산역 관람료를 포함하여 임진강역에서 2,500원을 징수하였다. 이후 2024년 8월 9일에 현재의 운영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4. 급행열차

4.1. 본선 계통

본선 급행열차는 평일 RH(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며 1호선 경원선 급행이나 수인·분당선(분당선 구간) 급행과 비슷한 구간 급행이다. 2021년 1월 5일부터는 금릉역(문산~서울 급행은 통과, 본선 급행은 정차)을 제외하고 급행 정차역이 일정하게 정리되었다.[2]

4.1.1. 경의선(문산 - 용산) 구간 급행

▲ 문산역 → 용산역 덕소급행 주행 영상[3] ▲ 용산역 → 문산역 문산급행 주행 영상[4]

4.1.2. 중앙선(용산 - 용문) 구간 급행

▲ 용문역 → 수색역 급행 주행 영상

4.2. 지선 계통

4.2.1. 문산역 - 서울역 급행 (4량)

▲ 문산역 → 서울역 급행 주행 영상 ▲ 서울역 → 문산역 급행 주행 영상

5. 열번 정보



[1] 이 운행계통은 2개역 이동으로 한동안 전국 전철 운행계통 중 역 수가 가장 적었으나 대경선의 동대구발 경산행이 1개역 이동으로 역 수가 가장 적다. 단 운행거리는 동대구발 경산행이 이 운행계통의 2배가 넘는다. [2] 두 급행을 구별하는 방법은 오전의 급행열차는 서울(용산)을 지나기 전까지 급행운행하며 오후의 급행열차는 서울(용산)을 지난 뒤 급행운행한다는 점이다. [3] 능곡역 선로 및 승강장 이설, 야당역 및 가좌역 추가 정차 이전에 촬영. [4] 능곡역 선로 및 승강장 이설, 야당역 및 운정역, 가좌역 추가 정차 이전에 촬영. [5] 「용산역-동인천역 출퇴근시간 특급전동열차 8회 추가」, YTN, 2018-06-26 [6] 본래 경의선은 ITX-청춘의 열번과 중복되는 2000번대를 사용했으나 중앙선의 5000번대로 통합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6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6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