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3 02:50:18

팔당역

폐역 팔당 - [ruby(능내, ruby=1956~'08)] - 양수
팔당역
파일:GJLine_icon.svg
역명 표기
중앙선 팔당
Paldang
八堂 / [ruby(八堂, ruby=パルタン)]
경의·중앙선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로 107 (팔당리 361)
역 코드
한국철도공사 320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 망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경북부선 1939년 4월 1일
경경선 1941년 7월 1일[1]
중앙선 1948년 1월[2]
중앙선 2007년 12월 27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승강장 구조
2면 7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중앙선
팔 당

1. 개요2. 역 정보
2.1. 구 역사2.2.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연계 교통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vkfekddur1.jpg
현 역사
(2007년 준공)
파일:팔당역 경의중앙선.jpg
맞이방
파일:역안내도_팔당.png
역 안내도
1939년 영업개시, 한때 시멘트 공장 화물 수송
팔당역은 1939년 중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1989년 시멘트 공장과 전용 철로 공사가 시작되어 1991년 시멘트 공장을 위한 화물이 주로 오가던 역사였다. 옛 팔당역에서 북쪽으로 750m 정도 떨어진 지점에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새롭게 들어선 팔당역. 작고 소박한 모습이 인상적이었던 옛 팔당역과는 사뭇 다른 모습 현대식 역사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128번.[3]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로 107 (팔당리 361) 소재.

2. 역 정보

1939년 4월 1일 경경북부선의 청량리-양평 구간이 개통하면서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로 163 (팔당리 342)에서 무배치간이역으로 개업하였다.

1940년 6월 1일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고 1944년 4월 11일 보통역으로 한번 더 승격되었다.

1977년 5월 1일부로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4] 같은 해 5월 16일에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으나[5] 1991년 벌크양회에 한하여 화물 취급이 재개되었다.[6]

1991년 4월 1일부로 쌍용양회 전용선이 부설되었고 1997년 5월 1일 전용선 화물에 한하여 화물 취급이 지정되었다.[7]

2007년 11월 20일 신 역사로 업무가 이관되었고 같은 해 12월 27일부로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시종착역이 되면서 수도권 전철 운행이 개시되었다.

2008년 1월 1일부로 일반열차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도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완행만 정차 중이며 용문 → 용산 급행은 이 역을 통과한다.

시·종착역 기능이 이전된 이후에도 회차선이 남아 있어 일부 열차는 덕소행의 연장 개념으로 팔당행[예][9]으로 운행한 이후 이 역에서 진행 방향만 바꾼 뒤 그대로 출발하며 문산행 첫차는 이 역에서 출발한다.

덕소역의 과중한 업무 부담, 도심역의 수요 등을 이유로 덕소행을 팔당행으로 연장하자는 의견이 있다. 평면교차 문제는 팔당역에 194억 원을 들여서 팔당역 선로 배치를 변경하여 4면 7선 구조로 만들어 해결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평면교차 회차가 아닌 전용 회차선을 조성한다. 2012년 국회에서 추진했으나 당시 기획재정부의 반대로 좌절됐는데, 이때 덕소역 간섭 문제 및 경의·중앙선 배차 단축 (배차간격을 15분에서 10분으로 단축) 문제로 인해 2021년 팔당역 회차선 신설 공사 계획이 국회를 통해 다시 나오고 있다.

장래계획으로 수도권 전철 5호선의 하남역 연장 GTX-D노선의 2단계 구간 개통이 계획 중이다.

2.1. 구 역사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294호 295호 296호
고양 구 일산역사 남양주 구 팔당역 양평 구 구둔역
팔당역
(폐역)
역명 표기
중앙선 팔당
Paldang
八堂 / パルタン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로 163 (팔당리 342)
관리역 등급
폐역[10]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철도거리표
옛 중앙선
팔 당
(폐역)
파일:attachment/vkfekddur2.jpg
구 역사 (1939년 준공)[12]

구 역사의 형태는 대한민국에서도 딱 두 개 남아있는 승강장 내에 역사가 있는 형태로 쉽게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열차를 기다리는 플랫폼 위에 매점이 설치된 것과 같이 역사 건물이 있는 형태라고 보면 된다. 따라서 미리 표를 끊어 두고 열차 시간에 맞춰 역에 도착했다면 역사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도 곧장 승강장으로 가서 열차를 탈 수 있었다.

이런 형태의 두 역사 중 나머지 하나는 경춘선 백양리역이 있는데, 백양리역 경춘선 문화관 비스무리한 역할로 쓰이고 있다.[13]

1939년 중앙선 개통 당시의 팔당역은 현재 위치에서 능내역 방향으로 약 700m 떨어진 곳에 있었으며 대한민국 철도 역사의 중요성 등으로 인해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등록문화재 제295호로 지정되어 구 역사 철거는 피하게 되었다.

이설된 이후에도 한동연 접근이 가능했으나 2008년 어느 민간인이 사진을 찍으려고 선로에 있는 양회조차 위로 올라갔다가 고압전기선과 접촉하면서 3도 화상을 입는 등 부상을 입으면서 인해 울타리를 설치하여 접근을 차단하였다.

2.2. 승강장

파일:팔당역 PSD 설치후.jpg
경의·중앙선 승강장
도심
4 3 2 1
운길산
1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양수· 양평· 용문· 지평 방면
당역 종착[회송]
2
3 구리· 청량리· 용산· 문산 방면
당역 종착[회차]
4

2017년 8월 2, 3번선 스크린도어가 완공되었다. 1, 4번선 스크린도어는 2023년에 설치되었다. 현재는 1선만 작동중이다. #

3. 역 주변 정보

역 바로 앞에 팔당대교가 있다. 팔당대교 앞으로 6번 국도( 경강로)가 지나간다. 팔당대교 바로 옆에 제2팔당대교 사업도 진행 중인데, 제2팔당대교 사업은 사업 자체는 확정시켰지만 지지부진한 편이다. 한때 하남선 팔당역 연장에 맞춰서 같이 진행시켜달라는 요구가 있긴 했지만 철도 연장을 고려하지 않고 건설하는 것으로 확정.

팔당댐으로 가려면 팔당역에 내려서 남양주 버스 63번을 타야 한다. 팔당역에서 운길산역 방면으로 가는 버스들은 하나같이 배차간격이 매우 좋지 않은 관계로 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속편할 것이다.

근처에 남양주역사박물관이 있어서 일부러 박물관 보러 오는 사람도 많고 근처에는 바이크 샵이나 군용물품 매장들이 많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도 적지 않게 보이며, 그 외에는 상팔당마을, 하팔당마을이라는 이름의 마을이 있고 소규모 주거 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하남시에 5호선이 개통하기 전에는 창우동 일부 주민들이 이용하기도 했다.

근처에 스타벅스 리버사이드팔당DT점이 있으나 도보로 약 3.4km 떨어져 있으며, 팔당역에서 스타벅스 방면으로는 버스를 탄다고 해도 건너편으로 가는 횡단보도가 없어, 강변을 따라 자전거를 타거나 도심역으로 간 뒤 버스로 환승해야만 갈 수 있다. 스타벅스에서 팔당역으로는 버스로 접근이 가능하다.

조망이 좋기로 유명한 스타벅스 외에도, 도심역~팔당역 사이에 한강을 따라 많은 카페들이 위치해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7c4a3><bgcolor=#77c4a3> 연도 || 파일:GJLine_icon.svg ||<bgcolor=#77c4a3> 비고 ||
2007년 2,132명 [16]
2008년 2,714명
2009년 1,566명
2010년 1,582명
2011년 1,647명
2012년 1,739명
2013년 1,898명
2014년 2,001명
2015년 1,903명
2016년 1,740명
2017년 2,121명
2018년 2,034명
2019년 2,031명
2020년 1,857명
2021년 1,979명
2022년 2,026명
2023년 1,958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5. 연계 교통

팔당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팔당역
(23882)
<colcolor=#ffffff> 마을
시내
땡큐
팔당역
(23883)
마을
시내
땡큐

6. 둘러보기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3c7a6>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서경주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경주}}}}}}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X ||}}}}}}}}} ||


[1] 경경남·북부선 통합 및 경경선으로 개칭된 날짜. [2] 1948년 1월 하순 경경선에서 중앙선으로 개칭. [3] 2005년까지 옥수역의 역번호였다. [4] 철도청고시 제7호(1977년 4월 23일) [5] 철도청고시 제10호(1977년 5월 7일) [6] 철도청고시 제6·7호(1991년 3월 9일) [7] 철도청고시 제1997-20호 [예] 용문행 - 덕소행 - 용문행 - 팔당행 - 용문행 [9] 평일 출퇴근시간대에는 팔당 급행도 존재하는데 경의선 구간에서만 급행 운전을 하고 중앙선 구간은 전 역 정차하는 운행 계통이다. [10] 서류상으로는 폐역이 아닌 이설 취급으로 구 역사를 따로 언급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사실상 열차가 있으나 영업 자체는 하지 않는 상황으로 폐역이라고 볼 수 있다. [11] 운행 당시 정차역 기준이며, 현재 기준으로 본다면 현 경의·중앙선 팔당역으로 이어진다. [12] 2006년 9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3] 이외에도 더 있었으나 동해남부선 병영역은 1992년에, 영동선 마차리역은 2004년 이전에, 경춘선 평내역은 2007년, 동해선 거제역은 2009년에 철거되었다. [회송] 1번 승강장에 종착 후 용문기지로 입고한다. [회차] 4번 승강장에 종착 후 문산 방면으로 되돌아간다. [16] 개통일인 12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7] 특히 하남은 강동/송파 생활권이다. 게다가 성동구(왕십리) 일대에서 하남스타필드 갈 때 대부분 송파구/강동구로 거쳐서 간다. [18] 그래서 팔당역과 하남을 오가는 사람들은 대다수가 덕소, 양평 거주민이다. 50번 버스를 타면 대형 쇼핑몰인 스타필드 하남까지 바로 연결해주기도 하고, 5호선도 빠르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