聲 소리 성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耳, 1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7획
|
||||
중학교
|
|||||||
声
|
|||||||
일본어 음독
|
セイ, (ショウ)
|
||||||
일본어 훈독
|
こえ, (こわ)
|
||||||
声
|
|||||||
표준 중국어
|
shē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소리 |
음 | 성 | |
중국어 | 표준어 | shēng |
광동어 | sing1 |
소리 성(聲). 소리, 풍류, 노래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殸(소리 성)[1]과 耳( 귀 이)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殸은 磬( 경쇠 경)의 약자로, 경쇠( 磬)를 두들겨 나는 소리를 듣는다( 耳)를 뜻한다. 또는 한자를 그대로 풀이해서 악기(声)를 두들겨( 殳) 나는 소리를 듣는다( 耳)로 풀이할 수 있다.
音( 소리 음)과 함께 소리를 나타내지만 音 문서에도 나와 있듯이, 音은 악기의 소리를, 聲은 사람의 발성기관에서부터 나오는 소리를 의미한다. 그 때문에 설문해자에는 宮, 商, 角, 徴, 羽을 오성(五聲, 음계), 絲, 竹, 金, 石, 匏, 土, 革, 木를 팔음(八音, 악기를 만드는 도구)으로 예를 들고 있다. 도덕경에서는 聲을 언어학의 음운, 音을 (조음기관의 인위적 개입을 거친) 음성에 가까운 개념을 지칭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유니코드에선 U+8072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土水尸十(GESJ)으로 입력한다.
2. 용례
2.1. 단어
- 가성( 假聲)
- 고고지성( 呱 呱 之聲)
- 고성( 高聲)
- 곡성( 哭聲)
- 뇌성( 雷聲)
- 명성( 名聲)
- 무성음( 無聲 音)
- 발성( 發聲)
- 변성기( 變聲 期)
- 사성( 四聲)
- ( 표준 중국어에서) 제 1성 음평성( 陰 平聲), 제 2성 양평성( 陽 平聲), 제 3성 상성( 上聲), 제 4성 거성( 去聲)
- ( 중고한어와 중세 한국어에서) 평성( 平聲), 거성( 去聲), 입성 ( 入聲), 상성( 上聲)
- 성대(聲 帶)
- 성명(聲 明)
- 성문(聲 紋/聲 門)
- 성악(聲 樂)
- 성원(聲 援)
- 성조(聲 調)
- 성토(聲 討)
- 원성( 怨聲)
- 유성음( 有聲 音)
- 음성( 音聲)
- 의성( 擬聲)
- 종성( 終聲)
- 중성( 中聲)
- 초성( 初聲)
- 총성( 銃聲)
- 탄성( 歎聲/ 嘆聲)
- 함성( 喊聲)
- 형성( 形聲)
- 확성기( 擴聲 器)
- 환호성( 歡 呼聲)
2.2. 고사성어/ 숙어
2.3. 인명
- 강대성( 姜 大聲): BIGBANG의 멤버 대성의 본명
- 강성률( 姜聲 慄): 광주교육대학교 교수
- 강성태( 姜聲 泰)
- 김성한( 金聲 翰): 작가
- 마희성( 馬 希聲): 초나라의 인물
- 막성곡( 莫聲 谷)
- 손호성( 宋 虎聲)
- 이산가( 伊聲 耆)
- 이종성( 李 鍾聲): 1924년생
- 진성준( 陳聲 準)
- 히토코에 미츠루( 一声 三 鶴)
2.4. 지명
2.5. 창작물
2.6. 기타
- 向井地美音ソロコンサート ~大声でいま伝えたいことがある~: 무카이치 미온의 솔로 콘서트명
3. 유의자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䡰(튼튼할 갱)
- 磬(경쇠 경)
- 漀(그릇에 물 따를 경)
- 謦(기침 경)
- 罄(다할 경)
- 㷫(불에 말려낼 경)
- 𢐙(당길 구)
- 撀(짤 구)
- 𣍆/ 㿦(고할 녕)
- 鏧(북소리 롱)
- 㲈(풍류 이름 소)
- 𪔰(북소리 음)
- 韾(화할 음)
- 𧤴(다잡을 학)
- 𩏜(단단히 묶을 학)
- 馨(꽃다울 형)
- 𧐡(땅강아지 혹)
- 𧹷(아침 노을 혹)
- 𨢤(흐리멍텅할 혹)
- 𤛗
- 𥊧
- 𥼆
- 𪍱
- 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