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1 19:59:24

𡕾에서 넘어옴
여름 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カ, (ゲ)
일본어 훈독
なつ
-
표준 중국어
xià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7. 여담

[clearfix]

1. 개요

夏는 '여름 하'라는 한자로, ' 여름'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여름
중국어 표준어 xià
광동어 haa6
객가어 ha
민남어
오어 hhia (T3)[文] / hho (T3)[白]
일본어 음독 カ, (ゲ)
훈독 なつ
베트남어 hạ

유니코드에는 U+590F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ㄒㄧㄚ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UHE(一山竹水)로 입력한다.

다음과 같은 이체자들이 있다. : 昰[3], 夓, 𠀼, 𠌘, 𠍺, 𡔰 등등. 일부 웹환경에서는 글자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니 유의할 것.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A4%8F-oracl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A4%8F-bronz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A4%8F-bigsea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A4%8F-seal.svg.png

夏는 머리혈(頁)과 느리게걸을 쇠(夊)부가 합쳐진 형상인데 원래는 머리를 두 손을 나타내는 (절구 구)가 감싸는 형태였다.(夓) 이 원래 형태에 대한 해석으로는, 우두머리(頁)[4]가 무릎을 꿇고(夊) 두 손을 모아 비는(臼) 것으로 해석한다. 물론 여느 상형자들이 그렇듯이 정확한 해석은 사람마다 견해가 갈린다. 어떤 곳에서는 화려한 복식을 한 사람이 손발을 흔들어 춤을 추는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후에 臼가 빠져 현재의 글자 형태로 정착 되었다.

원래 이 글자는 하(夏)나라를 가리키는 데에 쓰였고, 하나라 이외에도 중화(中華), 화하(華夏)을 일컫는 데 쓰였다. 그러나 이후에 '여름'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본래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로, '하나라', '중화'의 의미를 지닐 땐 상성, '여름'이라는 뜻일 때는 거성으로 구별하여 읽으나, 현재 표준중국어에서는 濁上變去[5]로 인하여 성조 구분이 사라지고 전부 거성으로 읽는다.

한때 夏와 (겨울 동)이 갑골문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고대 중국에는 여름과 겨울이 없고 오직 봄과 가을 계절만 존재했다고 추측하기도 했으나 지금은 원형이 다 파악된 상태여서 설득력을 잃었다. 다만 여름과 겨울의 뜻은 후대에 가차된 것이라, 적어도 상나라 초기에는 봄과 가을만으로 계절을 구분한 것으로 보인다.[6]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하(성씨) 참조.

일본에서는 인명으로 많이 쓴다. 훈독(なつ)이 여성스러워서인지 여성의 이름에 많이 쓰는 편. 한국에서도 항렬자에 자주 나온다.

3.3.1. 실존 인물

3.3.2. 가상 인물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7. 여담


[文] 문독 [白] 백독 [3] 흥선대원군의 본명인 이하응의 하가 바로 이 한자를 쓴다. [4] 관을 쓴 사람, 즉 우두머리라는 뜻이다. [5] 성모가 전탁음(유성 파열음)인 상성의 성조가 거성으로 바뀜 [6] 춘추라는 단어가 이 흔적일 수도 있다. [7] (향기 복)의 동자 [8] (근심 우)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