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20:24:42

회안대군

회안군에서 넘어옴
조선의 왕자
[[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안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행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이자춘|{{{#!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덕종(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1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b0e64; font-size: .7em"
}}}}}}}}}


회안대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은 남재 배극렴
오몽을 이제 이지란 이화
장사길 정도전 정총 정탁
정희계 조박 조인옥 조준
김인찬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협찬개국공신 (2등)
정지 유창 윤호 이민도
황희석 정용수 조기 조반
조영규 조온 홍길민 조견
박포 장담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 김균 김로 손흥종
심효생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근 이백유 이부 이서
이직 장지화 함부림 황거정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조영무
한상경 한충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사공신(태조)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8년 9월 17일 태조에 의해 책록
정사일등공신 (1등)
김사형 이거이 이무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이애 이화
조박 조영무 조준 하륜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정사이등공신 (2등)
김로 민무구 민무질 박포
신극례 심종 이복근 이숙번
이양우 이지란 이천우 장담
장사길 장사정 장철 정탁
조온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태조의 왕자
회안대군 | 懷安大君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0%,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타이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제국 태조의 황자
회안대군 | 懷安大君
조선 개국공신
마한공 | 馬韓公
}}}}}}}}}
파일:회안대군묘.jpg
회안대군묘 전경
출생 1364년 8월 7일[1]
고려 동계군 동북면 함흥부 귀주동 이성계 사저
(現 함경남도 함흥시 함흥본궁)
사망 1421년 4월 10일[2] (향년 56세)
조선 충청도 홍주군 유배지
(現 충청남도 홍성군)
묘소 회안대군묘(懷安大君墓)[3]
재위기간 조선 회안군
1392년 8월 25일 ~ 1398년 10월 10일
조선 회안공
1398년 10월 10일 ~ 1401년 2월 8일
조선 회안대군
1401년 2월 8일 ~ 1421년 4월 10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방간(芳幹)
부모 부황 태조 고황제
모후 신의고황후
형제자매 부황 기준 8남 5녀 중 4남
모후 기준 6남 2녀 중 4남
배우자
3명 [ 펼치기 · 접기 ]
정부인 삼한국대부인 여흥 민씨
(三韓國大夫人 驪興 閔氏)
1계부인 삼한국대부인 밀양 황씨
(三韓國大夫人 密陽 黃氏)
2계부인 금릉부부인 김포 금씨
(金陵府夫人 金浦 琴氏)
자녀
4남 2녀 [ 펼치기 · 접기 ]
[ 여흥 민씨 소생 - 1남 1녀 ]
장남 - 의령군 이맹중(義寧君 李孟衆)
장녀 - 성혜옹주(誠惠翁主, ? ~1431)
[ 밀양 황씨 소생 - 1남 ]
차남 - 창녕군 이태(昌寧君 李泰)
[ 김포 금씨 소생 - 2남 ]
3남 - 금성군 이선(金城君 李善, 1409 ~ ?)
4남 - 금산군 이중군(金山君 李仲窘)
[ 생모 불명 - 1녀 ]
차녀 - 신혜옹주(信惠翁主)
아호 망우당(忘牛堂)
봉호 회안군(懷安君)[4]
→ 회안공(懷安公)[5]
회안대군(懷安大君)[6]
시호 양희공(良僖公)
}}}}}}}}} ||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
3.1. 후손
4. 여담5.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족. 조선 태조 이성계의 4남이다. 제1차 왕자의 난 중에 공을 세웠으나, 1400년 손아래 동생인 이방원과 충돌한 제2차 왕자의 난에서 패배하고 말았다.

2. 생애

1364년 8월 7일 이성계 신의왕후[7] 사이의 4남으로 함경도 함흥부 귀주동에서 태어났다. 첫째부인은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여흥 민씨(驪興 閔氏)[8](門下贊成事) 민선(閔璿)의 딸] 이고, 둘째부인은 삼한국대부인 밀양 황씨(密陽黃氏)[9]이며, 셋째부인은 금릉부부인(金陵府夫人) 김포 금씨(金浦琴氏)[10]이다.

고려 관직에 올라 소윤(少尹)을 역임했고, 1392년 7월 아버지 이성계 조선을 건국했을 때 개국익찬공신 1등에 책록되고 현록대부의 벼슬을 받았으며 마한공(馬韓公)에 봉작(封爵)되었다. 1392년 8월 25일 회안군(懷安君)에 봉군되었다.[11] 그 뒤 1398년 10월 10일 회안공으로 봉작되면서 의흥삼군부좌군절제사를 역임했다. 그리고 제2차 왕자의 난으로 유배 중인 1401년 2월 8일 회안대군이 되었다. 1398년 8월 동생 정안군이 정변을 일으켜 정도전을 제거할 때 가담하여 정사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399년 풍해도, 서북면의 병권을 관할하였다. 형 정종에게 적장자가 없자, 왕위 계승에 대한 야심이 있던 그는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 정안군과 충돌하여 패하고, 한양 서동(西洞)으로 퇴각하다가 아들 의령군 맹중과 함께 체포되었다. (전문) 제2차 왕자의 난. 이방간을 토산에 추방하다 곧 아들 의령군 맹중과 함께 황해도 토산현(兎山縣)에 안치되었다. 이때 정안군은 그를 석방하려 하였지만 신하들은 그를 정죄할 것을 계속 청하였다. 처음 유배된 토산군은 앞서 군사를 분령한 곳이라는 이유로 그는 다시 경기도 안산군으로 이배되었다가 다시 익주(益州), 전라도 순천성, 전주부 완산, 황해도 토산 등으로 계속 유배지를 전전하였다. 안산에 있을 때는 전지(田地)와 식읍을 받았으며, 매월 초 1일에는 한양에 출입할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 그러나 의정부와 양사에서는 계속 회안대군이 부당한 예우를 받는다며 줄기차게 탄핵하였다. 1400년 9월 문하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종은 그의 배소를 익주(益州)로 유배하였다. 태종 즉위 후에도 계속 회안대군을 사형에 처해야 한다는 탄핵이 빗발쳤지만 태종의 배려로, 병석에 누웠을 때는 태종이 직접 의원을 보내 치료를 받았다.
1401년 유배 중에 회안대군으로 봉작이 개정되었다. 동년 6월 태종은 그를 다시 한양으로 소환하려 했지만 신료들의 반대로 실패하였다. 그후 그는 스스로 본관지인 전주로 내려갈 것을 청하여 허락받고 전주부 동용진면으로 내려와 20년간 거주하였다. 본부인 여흥 민씨의 죽음을 전해 듣고 1411년 병마사를 지낸 춘천부 출신 박인간(朴仁幹)의 딸과 혼인하였다고 알려져 대간의 탄핵을 받았다. 그러나 박인간의 형 박도간(朴道幹)의 서녀를 첩으로 삼은 것이었다.

1416년 태종은 회안대군의 작위와 공신녹권, 직첩, 아들 의령군의 직첩을 모두 회수하였다. 그는 한강을 건너지 않겠다고 다짐했고, 1418년 태종이 아들 세종에게 양위한 뒤 한양으로 올라올 것을 주문했지만 거절하였다. 이후 심종(沈水+宗) 등과 연락하며 모종의 거사를 계획하였지만 실패하였다.

1421년 4월 10일( 음력 3월 9일) 홍주(洪州)에서 병사하였다.[12] 태종의 권고로 와병 중에 상경하던 중 홍주군 은진에서 사망했다. 태종은 사람을 보내 국장(國葬)으로 장례를 치르게 하고 지관을 보내 시신은 전주부 동용진면 금상동 법사산(현 전주시 덕진구)으로 운구되어 안장되었다. 그러나 선원보략에서 퇴출된 것은 복권시켜주지 않았다. 회안대군의 후손들은 여러번 회안대군의 신원 왕족으로서의 복권을 상소하였고, 1513년 전라도관찰사는 회안대군 후손들의 복권 요청을 중종에게 올렸으나 묵살당했다. 1605년 회안대군의 후손들은 선조에게 상소하여 선원록에 넣어줄 것을 청하자 선조는 태조의 후손이라 하여 선원록에 수록을 허하였고, 1607년부터 선원록에 포함되었으며 적순부위를 지낸 4대손 이유(李愈)의 상소로 선조는 그의 사당 숭덕사(崇德祠,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2호)를 건립하였다. 그러나 회안대군의 후손들은 군역에 계속 징집되었고 1640년 상소를 올려 징역에서 면제되었다.

1863년 판서 신석우(申錫憂)의 상소로 양희공의 시호가 증시되었고, 1869년 불천지위가 내려졌다. 1872년 고종에 의해 영종정경부사의 증직이 추가되었다. 대한민국에 와서 그의 묘소는 전라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23호 회안대군묘로 지정되었다.

3. 가족 관계

3.1. 후손

그의 후손으로는 IZ*ONE의 멤버였던 이채연과 그 자매 채령, 세븐틴 디노가 있다.
현재 그의 후손은 약 4만명으로 추산된다.

4. 여담

첫 부인 여흥 민씨의 묘소는 여주시에 있다 하였으나 실전되었다. 둘째 부인 밀양 황씨의 묘소는 서산군 사현리 갑좌에 있고, 전주부에는 셋째 부인인 김포 금씨와 상하 쌍분으로 조성되었다.

5. 대중매체에서


[1] 음력 공민왕 13년 7월 2일 [2] 음력 세종 3년 3월 9일 [3]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금상동 산 59-5 소재.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123호로 지정되어 있다. [4] 조선왕조실록 태조 1년 1년 8월 7일 병진 2번째기사 [5] 조선왕조실록 태조 7년 9월 1일 계유 5번째기사 [6] 조선왕조실록 태종 1년 1월 25일 을유 4번째기사 [7] 증(贈) 문하부사(門下府事) 한경(韓卿)의 딸 [8] 판서(判書) 증(贈) 문하찬성사 [9] 판서(判書) 황형(黃亨)의 딸 [10] 정랑(正郎) 금인배(琴仁排)의 딸 [11]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1권, 태조 1년 8월 7일 병진 2번째기사, 여러 왕자를 군으로 봉하다. [12]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11권, 세종 3년 3월 9일 신미 2번째기사, 이방간이 홍주에서 병들어 죽다. [13] 판서 황형의 딸 [14] 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10권, 숙종 6년 11월 3일 무오 5번째기사, 이방간의 자손을 《선원록》에 기록하게 하다. [15]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53권, 세종 13년 7월 20일 임오 2번째기사, 성혜 옹주의 졸기 [16] 정랑 금인배의 딸 [17] 충주 목사 박도간의 딸 [18]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 34권, 태종 17년 8월 8일 신묘 1번째기사, 환자 정사징을 베다. [19] 조선왕조실록 태종실록 36권, 태종 18년 7월 24일 임신 1번째기사, 경상도 수군 도절제사 박인간을 파직하다. [20] 태종실록 34권, 태종 17년 12월 4일 을유 5번째기사 - 화산군 장사정을 상주에 내치다. [21] 아버지 이성계 역의 배우 김무생과 마찬가지로 1983년 MBC 드라마 < 조선왕조 500년>에 이어 2번째로 같은 역을 맡았는데 전작과는 달리 비중있게 등장한다. 배우 김주영은 2014년 KBS 드라마 < 정도전>에서는 조민수를 연기했는데 조민수는 이성계에게 숙청됐다. 그런데 < 정도전>에서 이성계를 연기한 배우는 1996년 KBS 드라마 < 용의 눈물>에서 이방원을 연기했던 유동근이다. [22] 형식상으로는 이방원이 말리지만 전혀 말릴 생각이 없었다. [23] 작품 속 2차 왕자의 난의 경우에는 < 조선왕조실록>과 다르게 정말 만만치 않은 반란으로 묘사가 될 정도로 철두철미한 준비로 묘사되었다. 이는 이방간을 작중 이방원 입장에서 중간 보스 보정을 주면서 어느 정도는 고증을 희생해서다. [24]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성계와 정종은 방간이 실패할 것을 어느 정도 내다봤다. 극중 이성계는 방원이라면 치를 떨고 심지어 정종에게 방원이를 죽여달라고 할 정도인데 방간이가 자신에게 지지를 요청하자 어째 동복형제를 죽이려 하냐면서 소같은 놈 이라고 화를 냈다. 상황상 방간이 방원이를 죽이는것에 분개한 것보다는 딱 봐도 더 모자란 놈이 괜히 일을 크게 만들어 오히려 잡아먹힐 것 같으니 한심해서 그런 것이라는 점이 느껴진다. [25] 이에 이성계는 그나마 이방원을 견제하던 이가 사라졌음에 더욱 분노했고 퉁두란이 이방원의 편을 들고 이성계에 대한 죄책감으로, 그를 떠나게 되면서 혼자 고립된 이성계가 속으로 더 분노와 고통에 곪다가 내부적으로 더 큰 분쟁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26] 이방과에게 계속 "전하"라고 호칭하자 인내심이 폭발한 이방과가 "이 놈아, 전하는 무슨 전하냐! 난 지금 네 형으로서 널 살리려고 온거다. 제발 정신 좀 차려라, 이 놈아!"라고 일갈한다. [27] 물론 이성계 입장에서 둘은 가장 왕위를 물려주고 싶지 않은 인물들이었을 것이다. 한 명은 이복동생들을 참살하자는 주동자였고 또 다른 한 명은 자기가 직접 베어죽여버렸으니 말이다. [28] 특히 왕족으로서 신하들의 행동에 반발하거나 왕가의 권위를 깎아내리는 것에 대해 대처하고 뭉쳐야 한다고 주로 주도한 것도 거의 다 회안대군이었다. 이방원은 거의 별도로 움직이고 대처하던 것을 고려하면 왕실측에서 주변의 세태에 대해 가장 핵심적으로 파악하고 있던 셈이었다. [29] 그렇다고 마냥 동생인 이방원을 죽일 듯이 미워한 것은 아니었다. 2차 왕자의 난 직전에도 동생을 안 죽이고 반란을 성공할 방법은 없는지 그 방도를 찾으며 고뇌하기도 했다. [30] 강신효는 1989년생으로 실제로는 동생인 이방원 역의 배우 유아인보다 3살 어리다. [31] 조영규가 정몽주를 죽일 때 사용했던 무기가 이방간이 주로 사용하는 무기 중 하나인 도리깨였기 때문이다. [32] 결국 개그 캐릭터 확정. [33] 훗날 KBS 대하드라마 태종 이방원에선 아예 방원의 측근인 박은을 연기하게 된다. [34] 공교롭게도 < 육룡이 나르샤>처럼 이방원을 연기하는 실제 배우보다 연하인데 이 쪽은 2살이나 어리다. [35] 2014년 KBS 드라마 < 정도전>에서는 이숙번 역. 배우개그로 두 역할의 실존인물들은 다 태종한테 쫓겨나 유배지에서 여생을 보내게 됐다는 공통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