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의 게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방영중인 시즌에 대한 내용은
피의 게임3 문서 참고하십시오.||<-2><tablealign=right><tablewidth=500><tablebordercolor=#A61B26><tablebgcolor=#fff,#191919><colbgcolor=#000><colcolor=#fff>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color=#A61B26> 피의 게임
Game of Blood ||
||Game of Blood ||
장르 | 예능, 서바이벌, 리얼리티쇼, 두뇌 게임, 정치, 피카레스크 |
방영 정보 | 시즌 1: 2021년 11월 1일 ~ 2022년 1월 24일 (13부작) |
시즌 2: 2023년 4월 28일 ~ 2023년 6월 16일 (14부작) | |
시즌 3: 2024년 11월 15일 ~ (?부작) |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스트리밍 |
[[Wavve| Wavve ]]
|
[clearfix]
1. 개요
피의 게임은 Wavve 오리지널 예능 프로그램 시리즈이다.현정완 PD가 제작 총괄을 맡았다.
2. 특징
피의 게임은 매우 불공평하고 비합리적인 게임입니다.
여러분은 거짓과 배신, 음모, 정치, 그 어떤 수를 써서라도 살아남아야 하며
피의 게임 규칙을 위반하지 않는 한, 생존을 위한 어떠한 행동도 문제 되지 않습니다.
- 주최자의 소개 멘트
상기한 멘트대로, 그 어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생존하는,
승리지상주의를 강조한다. 풍족하고 안정적인 환경(피의 저택/피의 낙원)과 빈곤하고 열악한 환경(지하/야생/잔해) 두 곳에 차별적으로 플레이어들을 배치시킴으로써, 안정적인 환경의 플레이어들은 자리를 보존하기 위해, 열악한 환경의 플레이어들은 자리를 탈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게임에 임하며, 이러한 경쟁 속에서 인간의 추악한 본성과 날것의 감정을 보여준다. 노골적인 승리지상주의 시스템으로 인해
스포츠맨십,
페어플레이를 추구하는 플레이어들은 확실하게 손해를 본다.[스포일러]여러분은 거짓과 배신, 음모, 정치, 그 어떤 수를 써서라도 살아남아야 하며
피의 게임 규칙을 위반하지 않는 한, 생존을 위한 어떠한 행동도 문제 되지 않습니다.
- 주최자의 소개 멘트
-
머니 챌린지 / 투표 / 데스매치
더 지니어스의 '메인매치'와 마찬가지로 매 회차마다 생존한 플레이어 전원이 참여하는 게임인 '머니 챌린지'를 진행한다. 머니 챌린지의 우승자는 당일 탈락자를 가리는 투표 지목에서 제외하는 면제권을 획득한다. 머니 챌린지의 최하위는 탈락후보가 되고 면제권이 없는 두 명의 다른 참가자를 선택하면 이 둘은 참가자들의 투표로 나머지 탈락후보가 누가 될지 결정된다. 그렇게 결정된 두 탈락후보는 데스매치를 치르게 된다.
-
히든 플레이어와 팀전
일부 참가자들에게 공개되지 않은 숨겨진 규칙을 통해 히든 플레이어가 선정된다. 시즌 1에서는 탈락자들이 지하층에 숨어 지내는 '지하층 팀'이, 시즌 2에서는 야생에 숨어서 지내는 '히든 팀'이, 시즌 3에서는 초반부 데스매치 진출자들로 구성된 '잔해 팀'이 존재한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에 숨은 '히든 팀'은 피의 저택에서 안락함을 누리는 '저택 팀'의 자리를 빼앗을 기회를 노리며 극한 상황에서 몰입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히든 팀의 정체가 공개된 이후 머니 챌린지는 저택 플레이어 참여하는 개인전에서 히든 팀vs저택 팀의 대결 구도인 팀전으로 바뀐다. 몇번의 팀전 이후 모든 생존 플레이어들이 한 공간으로 모여 개인전을 진행한다.
-
절도와 폭력의 허용
거의 모든 정종연 표 서바이벌에서 나오는 문구인 '절도와 폭력은 금지된다'에 완전히 반대되게 절도를 허용하고 일부 게임에서는 폭력도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비매너 플레이로 보여질 수 있는 행동들도 모두 허용된다.
시즌 1과 시즌 2의 경우 공통점을 제외한 세부 규칙과 연출의 차이가 크다. 이유는 두가지인데, 첫번째는 시즌 1에서 제작/기획이 현정완 PD와 진용진의 공동 작업이었던 반면, 시즌 2부터는 진용진이 제작진에서 제외되었기에 진용진의 취향(일반인 참가자를 중심적으로 섭외, 게임의 완성도보다는 정치를 중요시함)이 전부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두번째는 MBC와 Wavve 공동 제작 및 방송에서 Wavve 독점 스트리밍으로 변경되어 공중파의 심의나 특유의 심심한 연출(같은 장면 반복적으로 강조, 패널의 호들갑)을 따라갈 필요가 없어졌기에 더욱 자극적인 연출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시즌 2부터는 참가자 섭외에서 일반인의 비중을 매우 낮추고, 서바이벌 프로그램 유경험자와 같은 검증된 캐릭터를 위주로 선택하였고, 시즌 3에서는 아예 (소수의 참가자를 제외하고) 서바이벌 유경험자 중 화제의 인물만 선택하며 서바이벌 올스타전을 프로그램의 특징으로 자리매김했다.
3. 시리즈 목록
3.1. 피의 게임
자세한 내용은 피의 게임(시즌 1)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0px; padding: 7px 0;"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 margin: -2px -10px" {{{#fff {{{#!folding [ 시리즈 ] |
<tablebordercolor=#8b0000> 시리즈 | ||
피의 게임 |
피의 게임2 |
피의 게임3 |
{{{#!folding [ 플레이어 ]
{{{#!folding [ 관련 문서 ]
}}} ||3.2. 피의 게임2
자세한 내용은 피의 게임2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margin-top:3px;display:inline-block;min-width:33.3%;min-height:2em" {{{#!folding [ 시리즈 ] |
<tablebordercolor=#8b0000> 시리즈 | ||
피의 게임 |
피의 게임2 |
피의 게임3 |
}}} ||
3.3. 피의 게임3
자세한 내용은 피의 게임3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margin-top:3px;display:inline-block;min-width:33.3%;min-height:2em" {{{#!folding [ 시리즈 ] {{{#!wiki style="margin: -2px -1px 0" |
<tablebordercolor=#8b0000> 시리즈 | ||
피의 게임 |
피의 게임2 |
피의 게임3 |
- [ 플레이어 ]
- [ 관련 문서 ]
}}} ||
4. 해외 리메이크
4.1. Spillet
자세한 내용은 Spillet 문서 참고하십시오.5. 여담
- 시청자들의 약칭은 피겜.
- 정식 명칭은 '피의 게임(넘버)'이지만, Wavve 홈페이지에선 '피의게임 시즌(넘버)'로 표기된다.
- MBC와 Wavve에서 공동 제작하나, 세부적으론 매 시즌마다 제작사가 바뀐다.
- 프로그램 로고가 매번 바뀌고, 한 시즌에서도 2개 이상 로고 디자인을 사용한다.
- 참가자들의 이름을 표기하거나, 게임 제목을 표기할 때 자막에서 띄어쓰기를 생략한다.[2]
- 시즌 2부터 회차별 부제목은 해당 에피소드에서 등장하는 대사에서 차용했다.
-
제목 피의 게임에서 '피'는
혈액과
P로 시작하는 영단어 두가지 뜻을 의미한다. 영문 번역에서는 이런 중의적인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전자인 Game of Blood로 번역되었다. 혈액의 게임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여러 디자인에서
빨간색이 강조된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P의 의미 | |
공통 | 피라미드(Pyramid), 불공평한(Partial), 피카레스크(Picaresque) |
시즌 1 | 기생충(Parasite), 피자상자(Pizza box) |
시즌 2 | 판도라의 상자(Pandora's box), 유령(Phantom) |
[스포일러]
이를 증명하듯 시즌 1, 2 모두 자신의 생존에 치중하며 다른 이들을 일방적으로 이용하고 배신하는 '노골적인 승리지상주의 플레이'로 거센 비판과 불호 의견을 받은 참가자가 끝내 우승했다.
[2]
예시: 퀸 와사비→퀸와사비 / 후지이 미나→후지이미나 / 엠제이 킴→엠제이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