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22:22:07

조르주 생 피에르

조르주 생 피에르의 챔피언 벨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c000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aa9872,#8c7a55> 3대 헤비급 헤비급
<rowcolor=#aa9872,#8c7a55> 초대 라이트헤비급 잠정 3대 라이트헤비급
<rowcolor=#aa9872,#8c7a55> 5대 라이트헤비급 13대 헤비급
랜디 커투어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4대 웰터급 3대 라이트급
BJ 펜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초대 페더급 잠정 2대 페더급
<rowcolor=#aa9872,#8c7a55> 9대 라이트급 -
코너 맥그리거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6대 웰터급 초대 웰터급 잠정
<rowcolor=#aa9872,#8c7a55> 8대 웰터급 9대 미들급
조르주 생 피에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13대 라이트헤비급 20대 헤비급
다니엘 코미어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4대 여성 밴텀급 3대 여성 페더급
<rowcolor=#aa9872,#8c7a55> 6대 여성 밴텀급 -
아만다 누네즈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2대 플라이급 7대 밴텀급
헨리 세후도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12대 라이트헤비급 14대 라이트헤비급
<rowcolor=#aa9872,#8c7a55> 2대 라이트헤비급 잠정 23대 헤비급
존 존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12대 미들급 19대 라이트헤비급
알렉스 페레이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1 최초의 2체급 타이틀 동시보유 챔피언.
}}}}}}}}}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tablebordercolor=#0c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c0000>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초대 2대 3대 4대1 5대
팻 밀레티치
(4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 1998년 10월 16일~ 2001년 5월 4일)
카를로스 뉴턴
파일:캐나다 국기.svg
( 2001년 5월 4일~ 2001년 11월 2일)
맷 휴즈
(5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 2001년 11월 2일~ 2004년 1월 31일)
B.J. 펜
파일:미국 국기.svg
( 2004년 1월 31일~ 2004년 5월 17일)
맷 휴즈(2)
(2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 2004년 10월 22일~ 2006년 11월 18일)
6대 7대 8대2 9대 10대
조르주 생 피에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 2006년 11월 18일~ 2007년 4월 7일)
맷 세라
파일:미국 국기.svg
( 2007년 4월 7일~ 2008년 4월 19일)
조르주 생 피에르(2)
(9차 방어)
파일:캐나다 국기.svg
( 2008년 4월 19일~ 2013년 12월 13일)
조니 헨드릭스
파일:미국 국기.svg
( 2014년 5월 15일~ 2014년 12월 6일)
로비 라울러
(2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 2014년 12월 6일~ 2016년 7월 30일)
11대 12대 13대 14대 -
타이론 우들리
(4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 2016년 7월 30일~ 2019년 3월 3일)
카마루 우스만
(5차 방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 2019년 3월 3일~ 2022년 8월 21일)
리온 에드워즈
(2차 방어)
파일:영국 국기.svg
( 2022년 8월 21일~ 2024년 7월 27일)
벨랄 무하마드
파일:미국 국기.svg
( 2024년 7월 27일~)
<colbgcolor=#0c0000> 1 B.J. 펜은 2004년 5월 17일 K-1으로 이적하기 위해 UFC에서 나오면서 타이틀을 반납하였다.
2 조르주 생 피에르는 2013년 12월 13일 잠정적 은퇴하면서 타이틀을 반납하였다.
}}} }}}}}}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tablebordercolor=#0c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c0000>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초대 2대 3대 - -
조르주 생 피에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를로스 콘딧
파일:미국 국기.svg
콜비 코빙턴
파일:미국 국기.svg
}}} }}}}}} ||

{{{#!wiki style="margin: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c000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aa9872,#8c7a55> 초대 2대1 3대 4대 5대
데이브 메네
파일:미국 국기.svg
( 2001년 9월 28일~ 2002년 1월 11일)
무릴로 부스타만테
(1차 방어)
파일:브라질 국기.svg
( 2002년 1월 11일~ 2002년 10월 5일)
에반 태너
파일:미국 국기.svg
( 2005년 2월 5일~ 2005년 6월 4일)
리치 프랭클린
(2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 2005년 6월 4일~ 2006년 10월 14일)
앤더슨 실바
(10차 방어)
파일:브라질 국기.svg
( 2006년 10월 14일~ 2013년 7월 6일)
<rowcolor=#aa9872,#8c7a55> 6대 7대 8대 9대 10대
크리스 와이드먼
(3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 2013년 7월 6일~ 2015년 12월 12일)
루크 락홀드
파일:미국 국기.svg
( 2015년 12월 12일~ 2016년 6월 4일)
마이클 비스핑
(1차 방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2016년 6월 4일~ 2017년 11월 4일)
조르주 생 피에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 2017년 11월 4일~ 2017년 12월 7일)
로버트 휘태커
(1차 방어)
파일:호주 국기.svg
( 2017년 12월 7일~ 2019년 10월 6일)
<rowcolor=#aa9872,#8c7a55>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이스라엘 아데산야
(5차 방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2019년 10월 6일~ 2022년 11월 12일)
알렉스 페레이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 2022년 11월 12일~ 2023년 4월 8일)
이스라엘 아데산야(2)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 2023년 4월 8일~ 2023년 9월 9일)
션 스트릭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 2023년 9월 9일~ 2024년 1월 20일)
드리커스 두 플레시스
(1차 방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2024년 1월 20일~)
1 무릴로 부스타만테는 2002년 10월 5일 Pride로 이적하기위해 UFC에서 나오면서 타이틀을 반납하였다. }}}}}}}}}

파일:GettyImages-871061334.jpg
조르주 생 피에르
Georges St-Pierre
<colbgcolor=#ba0117><colcolor=#fff> 이름 조르주 생피에르
(Georges St-Pierre)
출생 1981년 5월 19일 ([age(1981-05-19)]세)
퀘벡주 세인트 이시도르
국적
[[캐나다|]][[틀:국기|]][[틀:국기|]]
거주지 퀘벡주 몬트리올
종합격투기 전적 28전 26승 2패
8KO, 6SUB, 12판정
1KO, 1SUB
체격 178cm / 77kg[1] / 193cm
링네임 Rush
주요 타이틀 UCC 3대 웰터급 챔피언
UFC 6대 웰터급 챔피언
UFC 초대 웰터급 잠정 챔피언
UFC 8대 웰터급 챔피언
UFC 9대 미들급 챔피언
기타 UCC 웰터급 타이틀 방어 2회
UFC 8대 웰터급 타이틀 방어 9회
2020년 UFC 명예의 전당 헌액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전적3. 커리어4. 파이팅 스타일5. 바셀린 도포 논란6. 기타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캐나다 국적의 전직 UFC 웰터급/미들급 종합격투기 선수.

초대 UFC 웰터급 잠정 챔피언이자 6, 8대 UFC 웰터급 챔피언으로서 웰터급 최다 타이틀 방어[2]를 기록했으며 9대 미들급 챔피언도 달성하며 2체급 챔피언에 등극했다. 명예의 전당에도 입성했다.

2. 전적

※ 종합격투기 전적
※ 그래플링 전적

3. 커리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르주 생 피에르/커리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파이팅 스타일

웰라운더 파이터의 정석이자, 타격과 그래플링 모두 거의 완벽에 가까운 완성형 MMA 파이터의 정점이다. 과거 신성시절에는 높은 피니쉬율을 자랑하며 과감하고 재밌는 스타일의 경기를 펼쳤지만 맷 세라 전 이후로 완벽하게 경기를 만들어가며 신중하게 진행하는 경향이 커졌다. 사실 커리어 초반부에도 테이크다운과 그라운드의 비중이 대단히 컸으나 커리어 중후반에 들어서는 그래플링이 최고의 장점이 되었다. 애초에 맷 휴즈, 존 피치 같은 최정상급 레슬링 베이스의 선수들을 레슬링으로 압도할 정도의 실력인데 그런 엄청난 천재성을 활용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그게 더 이상할 정도이다.

우선 타격은 긴 리치를 바탕으로 한 잽이 상당히 뛰어나다. 깊게 찌르는 스타일의 소위 말하는 펜싱 잽을 구사하는데 상대를 컨트롤하고 정확하게 찌르는것에 엄청난 실력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왼쪽으로 원스텝-정지-원스텝-잽을 던지는 패턴을 잘 활용한다. 상대의 발을 넓게 밟아 파워사이드로 들어감에도 불구하고 길고 정확한 잽으로 상대가 백스텝만 밟지 오른손 카운터를 못낸다. 상대가 오른손을 내면 잽이 롱가드가 되며 어느정도 디펜스가 가능하며 들어가며 오른손 크로스를 낸다. 바디잽과 페이크를 섞어 상대의 가드와 시선을 흔든다. 알베스전에서 바디-안면 잽으로 알베스의 가드를 흔들고 맷 세라전에서 더블 잽으로 헤드무브먼트를 이끌어 내고 첫번째 잽 페이크로 머리움직임을 유도하고 돌아오는 타이밍에 진짜 잽을 성공시켰다. 잽에 익숙해지면 리드훅을 섞기 시작하며 카운터로 체크훅을 잘 활용한다.

펀치 뿐만 아니라 킥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상대가 파워사이드로 들어오는데 익숙해질때 쯤 인사이드 레그킥을 섞는다. 멀리서 슈퍼맨 펀치이후 아웃사이드 레그킥 콤비네이션도 GSP의 주 콤비네이션 중 하나다. 상대의 사이드스텝에 맞춰 던지는 앞발 헤드킥도 위력적이다. 일반적인 킥복싱/무에타이식으로 골반을 최대한 집어넣는 킥이 아니라 극진공수도식으로 간결한 킥을 차 상대가 왼쪽 사이드스텝가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명중시킨다.

타격가 출신이지만 레슬링 실력이 매우 뛰어나서 테이크다운 타이밍과 기술, 테이크다운 디펜스는 자타공인 전 체급을 통틀어서 따라올 사람이 없다. 대개 레슬러들의 단점이 체력관리 능력의 부족, 태클 남발 등의 경기를 풀어나가는 센스의 부족이지만 생 피에르의 경우 체력부터 웰터급 최정상급이며 경기 운영능력도 매우 안정적이다. 특히 앞손, 앞발로 상대가 들어오기를 기다렸다가 들어오면 카운터 니픽과 더블렉을 시도하는데 굉장히 빠르게 들어오며 성공률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3] 잽으로 상대의 시야를 가리거나 잽 페이크이후 싱글/더블렉을 들어가기도 한다. 체인 레슬링활용도 좋아 상대가 언더훅으로 방어하면 언더훅 파인손을 위로 올려 컬러타이를 잡고 테이크다운을 성공시킨다. 상대의 앞목을 잡고나서 상대가 나오면 앵클픽을 시도하기도 하며 상대의 테이크다운을 스프롤로 막고 언더훅으로 뒤집기도 한다.

테이크다운 디펜스도 가히 압도적인 클래스를 자랑한다. 그 방어 수준이 너무나도 압도적이라 존 존스, 벨랄 무하마드, 카마루 우스만, 조제 알도와 함께 UFC 테이크다운 디펜스 스킬 TOP 5라고 평가할 정도이다. 테이크다운 디펜스 후 카운터 테이크다운도 매우 좋다. 상대의 테이크다운을 방어한 후 하단 테이크다운으로 카운터를 친다. 단순히 하단 테이크다운 뿐만 아니라 유도식 테이크다운도 사용할 수 있으며, 타격과 연계하는 능력도 뛰어나서 타격 도중 클린치 역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상대의 잽 타이밍에 슬립한 후 클린치로 붙어 상대의 타격 흐름을 끊는다. 클린치 상황에서 머리, 손목 컨트롤과 언더훅 싸움도 강해서 레슬러에게 밀리지 않을 정도로 매우 준수하게 한다.

레슬링 뿐만 아니라 그래플링의 양대 축이 되는 BJJ 블랙벨트 보유자[4]로 문디알 챔피언 출신인 BJ 펜과 어지러운 그라운드 공방을 벌일 정도의 섬세한 그라운드 테크닉을 가지고 있다. 상위에서의 움직임이 데미안 마이아와 유사한 면이 있으며 테이크다운이후로 3/4 가드 상대의 엉덩이의 움직임을 쫒아가 서브미션, 스윕시도를 차단하고 파운딩과 상대 헤드, 손목 컨트롤을 섞은 압박패스를 통해 상대방의 가드를 패스하며[5] 패스이후 마운트를 이리저리 옮겨가면서 움직이며 상대의 이스케이프를 차단한다. 하위에서도 버터플라이 가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스케이프를 성공시킨다.

보통 그래플링 종목은 어린 시절 부터 해온 선수들을 이기는 것이 정말 힘든데 레슬러 출신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레슬링 기술과 타이밍 센스, 폭발력으로 오랜 시간 레슬링을 수련한 최상위 엘리트 레슬러조차 이기는 실력을 가지고 있어 엄청난 천재라고 할수 있는 선수다.[6] 한 체급 위의 레슬러 차엘 소넨이 그의 팟캐스트에서 생피에르와 훈련해봤다고 했는데, 힘도 기이할 정도로 셀 뿐만 아니라 그의 섬세한 손목 테크닉에 빠져나오는데 애를 먹었다고 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또한 유도 블랙벨트도 보유하고 있다.

즉, GSP의 파이팅 스타일을 종합하면 기민한 사이드 스텝으로 먼저 거리 싸움을 하며 과 그 외 슈퍼맨 펀치, 등의 타격 옵션으로 상대에게 데미지를 주며 판정 포인트를 쌓고, 극강의 타이밍 태클과 포지셔닝 능력으로 승리를 굳히며, 이 모든 것을 계획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체력과 경기 운영 전략으로 그 외 모든 변수들을 통제하여 확실하게 승리하는 것이 GSP의 승리 공식이라고 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이라면 12연승, 9차 방어에 성공하면서도 3경기만 피니쉬에 성공했을 정도로 갈수록 피니쉬 능력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이다. 타격의 위력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일부러 데미지보다 컨트롤을 중시하는 심리적 요소와 그라운드에서의 개비기 등 안전제일주의적 운영이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 웰터급 선수들의 사이즈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라는 것도 상당한 불안요소이다. 부상 때문에 예전보다 화려하고 폭발적인 움직임을 보여주지 못하는 점이나 이런 안전주의적 운영 때문에 실력과 별개로 UFC에서 손꼽히는 대표적인 노잼 파이터로 인식이 굳어지게 되었다.

결국 조니 헨드릭스와의 경기에서 평체가 90kg 후반을 왔다 갔다 하는 헨드릭스에게 파워로 뒤지면서 장점인 레슬링에서도 힘을 쓰지 못했고, 경기 내용을 보면 패배라고 봐도 될 정도로 밀려버렸다. 허나, 변명을 하자면 생 피에르와 헨드릭스는 같은 체급인데도 평체가 14kg정도나 차이가 난다. 즉, 거의 두 체급 정도의 차이여서 리바운드를 거의 안 하는 생 피에르에겐 다소 불리한 상황이긴 했다.

5. 바셀린 도포 논란

UFC 94의 BJ 펜 2차전에서 바셀린 도포 논란이 있었는데 분명 세컨이 바셀린을 발랐을 것으로 의심되고 진행요원들의 제지까지 받는 상황이었음에 억울하다고 대응하여 이미지가 대폭 깎였다. 주체육위원회 반칙 판정을 받아 벌금까지 물었지만 Zuffa에서 팍팍 밀어주고 있는 선수인 관계로 UFC 내에서 별다른 제제는 받지 않았다. 하지만 BJ와의 분쟁 이후 그와 싸웠던 선수들이 줄줄히 몸이 미끄러웠다며 입을 모았다.

파일:external/pds20.egloos.com/e0066657_4dc2e515dcd8e.jpg

결국 이 사건을 통해 UFC에서는 룰을 개정하여 UFC 94의 다음 대회인 UFN 17부터 주 체육위원회 의료 진행 요원인 "커트맨"에게만 바셀린을 바르는 것을 허용했다. #

그러더니 UFC 129에서는 입에 머금은 물을 머리 위로 뿌리는 퍼포먼스를 해서 또 다시 욕을 먹고 있다. 땀만 흘러도 그라운드에서의 양상이 달라지는 판[7]에 바셀린이 도포되어있는 두부에 대놓고 물을 뿌린 것이다. 게다가 한 번도 아니고 계속 이랬다.

파일:external/pds20.egloos.com/e0066657_4dc2e519e8ff0.jpg

이러한 논란 때문에 안티도 만만치 않게 늘었다. 2010년 초반 경에는 "나는 관중보다 내 자신을 위해서 경기한다. 난타전을 벌이는 위험한 경기 플랜은 짜오지 않을 것" 이라는 인터뷰를 하여 팬을 생각하지 않는다고 또 까였다.

6. 기타


7. 둘러보기

파일:309014760_770995720725192_6643380490261726672_n.png
CPW 명예의 전당 헌액자
[ 2021 ]
코디 디너
지미 코드라스
조르주 생 피에르
매디슨 마일스
카터 메이슨
에지 & 크리스찬
트리쉬 스트래터스
브렛 하트
스투 하트
[ 2022 ]
스티븐 스파이스
스캇 체이스
론 허치슨
패트릭 코테
알렉시아 니콜
찰리 허블리
하트 파운데이션
루나 버숀
오웬 하트
로디 파이퍼
[ 2023 ]
락 솔리드 레슬링
링컨 스틴
에밀 듀프리
로리 맥도날드
라일리 로즈
선 오브 아이리쉬
제임스 스톰 & 바비 루드
나탈리아
크리스 제리코
압둘라 더 부처
[ 2024 ]
랍 레이지
트로이 메릭
스캇 디아모어
T.J. 그랜트
다니 레오
비크람 프라샤
오웬 하트 & 브리티시 불독
타야 발키리
에지
킬러 코왈스키
파일:PWI 로고.png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 레슬링 옵저버 선정 올해의 흥행 보증 수표
더 락
(2012)
조르주 생 피에르
(2013)
론다 로우지
(2014)


[1] 현역 시절, 평소 체중은 85~86kg이었다. 마이클 비스핑과 미들급 타이틀전을 치르기 위해 대장염이 생길 정도로 많이 먹으며 체중을 늘렸을 때는 체중이 89~90kg이었다고 한다. 은퇴를 한 후인 2022년 11월 30일에는 다이어트를 하여 체중이 185파운드(84kg)에서 178파운드(81kg)로 줄었다고 인스타그램에 피드를 올린 바 있다. # 이를 보아 은퇴를 한 현재는 체중이 81~84kg 정도인 것으로 보인다. [2] 9회 [3] 통산 성공률 73.8%. 커리어 통산 90번을 성공시켰다. [4] 캐나다 주짓수의 대부중 하나인 브루누 페르난지스에게 사사했다. [5] 마이아처럼 삼각대를 만들어 중심을 유지한 채로 가드패스, 상대가 가드리커버리를 시도하면 그걸 역이용해 가드패스, 암바, 기무라 락을 이용한 가드패스, 하프가드에서 크로스페이스로 상대의 상체움직임을 없애고 가드패스하는 등 여러가지 압박패스를 보여준다. [6] MMA 상황에서의 레슬링 한정. 정통 아마추어 레슬링 룰로 탑급 레슬링 선수를 레슬링으로 이길 수 있다는 말은 아니다. GSP 스스로도 정통 레슬러들과는 클래스가 다르다고 말 할 정도였다. 하빕과의 대결에 대해 드디어 입을 연 GSP [7] 대표적인 사건으로 네이트 마쿼트 vs 후지마르 팔하레스 전에서 마쿼트가 경기를 앞두고 땀을 많이 흘려서 팔하레스의 하체 관절기를 쉽게 빼낸 적이 있다. 때문에 팔하레스 측으로부터 오일을 하체에 바른 게 아니냐는 의혹을 받은 전적이 있다.(하지만 경기 이전, 경기 이후 받은 검사에 아무런 이상이 없어 해프닝으로 끝났다.) [8] 2012년 2월 23일에 일본 극진회관에서 3단을 수여받아서 공식적으로 유단자가 되었다. [9] 앤더슨 실바는 10차 방어를 달성했다. [10] 현재 최장 시간 경기 기록은 하파엘 도스 안요스가 가지고 있다. [11] GSP보다 PPV 판매량이 많은 선수는 메이웨더와 파퀴아오밖에 없다는 카더라가 있다. [12] 맷 세라, 조쉬 코스첵, 닉 디아즈 등이 그랬다. [13] 그 유명한 I'm not impressed by your performance다. [14] 앤더슨 실바와 생 피에르의 신장은 각각 188cm, 178cm로 10cm 이상 차이가 난다. [15] 생각보다 MMA에서 챔피언이 상위 체급으로 월장하는것이 쉬운 일이 아닌데, 본인의 최고 전성기에서 본인에게 가장 맞는 평체와 체급을 버리고 낮선 디비전으로 올라간다는 뜻이고, 만약 패배한다면 본인의 원래 체급으로 또 평체를 줄여서 내려가건, 월장한 체급에서 위험부담을 안고 컨텐더 신분으로 경기를 가지건 굉장히 입지가 애매해지는 상황까지 생길수 있는, 리스크가 굉장히 큰 결정이다. [16] 오카미 유신을 도발하기 위한 심리전일 가능성도 있다. [17] 파일:external/pds22.egloos.com/e0066657_4d4fef6226fbb.jpg 하지만 이런 모습을 보면 흑마법사는 아닌 듯. [18] 정확히는 1분 20초 [19] 배트록이 거느리는 부하들은 중무장한 건장한 용병들임에도 대부분 한두방 맞고 나가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