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1:06:19

제일교통(서울)

제일여객자동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창원의 동명의 회사에 대한 내용은 제일교통(창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은평구 CI.svg 서울특별시 은평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a] 유성운수[a] 제일교통
마을버스 갈현운수 선진운수
영운운수 영운교통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신성교통 선진여객
[a] 주 사무소만 은평구에 소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삼이택시 계열사
택시 회사 서울특별시
삼이택시 선일관광콜택시 삼이운수
버스 회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중부운수 한남여객운수 제일교통 성민버스 삼성여객 신화여객
제일교통 주식회사
第一交通 株式會社
Jeil Bus Co., Ltd.
설립일 2024년 5월 10일[1]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전신 제일여객자동차 주식회사
대표자 박진성
주요 주주 박진성: 100%(2024년 5월 10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297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4억 5,952만 5,000원(2023년 기준)
매출액 356억 9,157만 8,217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1억 8,983만 7,796원(2023년 기준)
순이익 -9억 7,539만 7,913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470억 4,042만 6,379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379억 5,027만 7,461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417.49%(2023년 기준)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1190 ( 진관동, 진관공영차고지)
영업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77-27 ( 진관동, 진관2공영차고지)

1. 개요2. 역사
2.1. 제일교통으로 변경( 한남여객운수 인수)
3. 운행 노선4. 면허 체계5. 보유차량6. 지배구조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서울720번신차.jpg 파일:7211_5318.jpg
간선버스
720번
지선버스
7211번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버스 회사. 7권역( 고양시, 파주시)과 양주시 장흥면에서 서울을 이어주는 노선을 주로 운행한다. 정식 명칭은 제일교통 주식회사.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는 동명의 버스 회사와는 이름만 같을 뿐, 아무런 관련이 없다.

2. 역사

===# 제일여객 시절 #===
본사는 기자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149-4)에 있었으나 2009년 11월 진관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2] 그 외에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과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신성교통과 계열 관계였지만, 코로나19 이후 신성교통의 심각한 경영난으로 2024년 7월, 한남여객운수에 매각되어 계열 분리되었다.

2004년 개편 때 한국brt에 출자했다. 한때는 최대 주주였지만, 2014년 신성교통의 경영 사정이 악화되자 신성교통 출신 지분과 경영권을 신촌교통에 매각함으로써 최대 주주 자리는 신길교통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그리고 신촌교통 보유 지분 20%를 제외한 한국brt의 나머지 지분을 사모 펀드인 차파트너스에서 인수하면서, 현재는 한국brt의 모든 지분을 매각한 상황이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자일대우버스를 출고하기도 했지만, 신성교통과 계열이 되면서 죄다 사라졌다. 자동변속기는 신성계열답게 흥안운수와 함께 대표적인 앨리슨빠였으나 2017년부터는 ZF로 뽑는 중이다. 2017년 이전에도 ZF 미션 저상을 뽑은 적이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2012년식 저상은 전부 ZF 오토 미션이다.

2010년 10월, 9703번 서울 광역버스로는 최초로[3] 유니버스를 투입했다.

수도권 최후의 슈퍼 에어로시티를 보유한 업체이다. 2015년 10월 말 기준으로 7723번에 1대가 남아 있었으며, 2015년 10월 26일 대차됨에 따라 수도권에 SAC은 전멸.[4] 그리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최후의 하부냉방형 에어로시티 540 좌석형을 마지막으로 운행한 업체이기도 하다.

특징으로는 선진운수와 더불어 서울에서 노선 운행 체계가 가장 많은 회사이다.

동성교통, 남성버스, 선진운수, 서울매일버스과 더불어 이 업체 역시 광역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회사의 경영 개선 목적으로 2017년에 704번과 706번은 1대씩 인가대수가 감차됐고,[5] 9711A번에 투입되었던 유니버스 엘레강스 CNG 2대는 유상감차 신청과 함께 공동 배차에서 철수한 뒤 면허가 말소된 후 중고차로 수출됐다.

이처럼 제일여객의 재정 상황이 악화되면서, 서울운수와 노선 트레이드를 하게 된다는 소식이 확인됐다. 그로 인해 2017년 9월 14일부터 7722번, 7723번, 7733번, 9703번 서울운수로 넘어가서 운행하게 된다. 대신 9714번은 서울운수에서 제일여객으로 넘어온다. 관련 공문 링크 그래서 공문을 보면 알겠지만, 일부 제일여객 기사들은 서울운수로 고용 승계됐다. 덤으로 N37번에 투입되는 1대를 제외한 모든 유니버스들이 모두 서울운수로 넘어갔다. 이후 N37번의 유니버스가 차령 만료 후 E-SKY 11 전기버스로 대차되면서 유니버스는 전멸했다.

서울운수와 영업소를 맞바꿨는데 9703번 9714번을 교환함에 따라 서울운수는 교하동에서, 제일여객은 일산에서 철수했다.[6] 이후 일산차고지는 신성의 명의로 남아 있었으나, 2021년 5월 이후로는 서울매일버스가 9703번, 9711번 인수와 함께 일산차고지를 사용한다.[7]

한때 진관공영차고지 입주 전의 기자촌 차고지에는 퇴역한 1985년식 RB520L과 1993년식 에어로시티 540SL 무냉방이 과거 무냉방 구도색[8]을 그대로 적용한 채 창고로 쓰이고 있었다. 그래서 종종 동호인들이 구도색 차량을 보러 가기도 했다. 제일여객이 진관공영차고지로 이전하고 은평뉴타운이 들어오면서 폐차되었다.

2021년 12월 말부터 신성교하차고지로 가는 773번 전기버스 운행을 시작했다. E-SKY 11 그린웨이1100을 도입했으며, 이 때 773번에 2대 들어갔던 2018년식 고상버스는 704번으로 옮겼다. 그 후 704번에 남아있던 2011년식 고상버스들도 모두 773번 전기버스로 대차했다.

2023년 1월 말에 그린웨이1100A를 전국 최초로 출고했다. 동년 7월에는 9714번의 신차는 재정상 문제로 유니버스를 뽑을 수 없는 대신 NSAC F/L 개선형에 온갖 옵션을 넣어서[9] 출고했다.

2024년 3월 말에 회사 창립 이래 최초로 KGM커머셜의 스마트 110G를 출고해[10] 720번에 투입된다.

2.1. 제일교통으로 변경( 한남여객운수 인수)

2024년 7월 1일 한남여객운수에 인수됐고, 제일교통으로 사명이 변경된다. 법인 설립일은 5월 10일이지만 차량 및 노선, 부대시설 인수는 7월부터 시행된다. 공문 및 등기부등본, 양도양수 검토결과[11]

이런 상황 속에서 GTX-A 운정중앙역이 개통할 예정이라는 결정타가 발생했다. 이에 제일교통은 2024년 8월 30일 부로 교하동영업소 소속인 773번 9714번을 폐지하고, 송추(부곡리)영업소 소속인 704번 진관동 단축을 계획하였다.[12][13]

예고했던 대로 2024년 8월 30일에 교하동에서 철수했으며, 후자는 진명여객이 대체 노선 참여를 밝혀서 2024년 8월 30일 부로 대체 노선인 양주37번의 운행을 시작함에 따라 부곡리에서도 철수했다. 다만 협의에 따라 704번의 노선 단축은 연기되었다.[14][15]

문제는 773번에 투입되는 차량이 모두 전기버스라는 것인데, 진관공영차고지에 아직 전기버스 충전기가 없다는 것. 마침 전기차들이 모두 중고 처분 가능한 연식이라 계열사인 한남여객운수 또는 중부운수[16] 천연가스버스와 맞교환하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왔으나, 이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바 없는 상황이다. 설령 그렇게 되더라도 전기버스 보조금 문제가 해결되어야 교환이 가능하다고 한다. 실제로 의견조회 단계 공문까지 올라온 이후, 폐선 예정일이 다 되도록 여객자동차운송사업개선명령이 계속 나오지 않았다.

결국 위 내용을 포함한 여러 사정이 겹치면서 704번의 단축은 2개월 연기, 773번의 폐선이 3개월 연기된다. 관련 게시물1, 관련 게시물2 그래서 773번의 전기버스 운행 문제가 불거지게 되자, 신수교통 774번이 주박하는 차고지(일명 ' 진관2공영차고지') 쪽에 전기버스 충전기가 올라가게 됐다.

2024년 8월 30일에 9714번을 폐지하고, 773번과 704번의 기점을 진관공영차고지로 변경하면서 교하동과 부곡리에서 철수했다. 다만 전술한 전기버스 운행 문제 때문에 773번은 녹번동에서 진관공영차고지로 한 번 더 단축하고, 진관2공영차고지에 전기버스 충전기가 완공될 때까지 교하동에서 충전하는 형태로 운행한다. 9714번 7대는 모두 7211번으로 넘어갔고, 7211번에 공동 배차하던 신수교통 차량들은 각각 7722번, 7723번, 7734번으로 옮기며 공동 배차도 정리됐다.

2024년 10월 31일에 사내 최초로 일렉시티를 출고했다.

3.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04 진관공영차고지 (→ 푸르지오621동앞 → 구파발역.롯데몰 →/← 구파발역.롯데몰 ← 푸르지오621동앞 ← 북한산성입구 ← 송추반석전원교회 ← 북한산성입구 ← 구파발역2번출구 ←) - 연신내역 - 불광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서대문역 서울역버스환승센터 남대문시장 조계사 세종문화회관 서대문역 서울역 12~18
709[미개통] 진관공영차고지 - 지축교 - 진관초교입구 - 하나고.삼천사.진관사 - 은평경찰서 - 연신내역 - 불광역 - 녹번역 - 홍제역.서대문세무서 - 무악재역 - 독립문역.한성과학고 - 서대문역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숭례문 시청앞 → 시청.서소문청사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 10~ 14
720 구파발역 - 은평경찰서 - 연신내역 - 불광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서대문역 - 광화문 - 종로1~6가 - 동대문 - 신설동역 - 청량리역 - 서울시립대입구 - 답십리시장 → 촬영소사거리 → 동답한신동아아파트 → 현대시장 → 답십리시장 답십리 6~12
773 구파발역 - 스타필드 고양 - 원흥동 - 원당역 - 성사2동행정복지센터 - 화정역.덕양구청 - 백석역. 고양종합터미널 - 백석초등학교 - 일산동구청 - 대진고등학교 - 탄현역 - 한빛마을 - 산내마을 신성교하차고지 13~20
N37[심야1] 구파발역 - 연신내역 - 불광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광화문 - 종로2가 - 서대문역사거리 - 남산1호터널 - 순천향대병원 - 신사역 - 강남역 - 양재역 - 도곡역 - 은마아파트 - 일원역 - 수서역 - 가락시장 - 장지역 복정역 25~40
N75
[심야2]
구파발역 - 연신내역 - 응암역 - 명지대학교인문캠 - 모래내시장. 가좌역 - 신촌로터리 - 충정로역 - 광화문 - 서울시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삼각지역 - 용산구청 - 반포대교 - 고속터미널 - 논현역 - 강남역 - 교대역 - 남부터미널 - 방배역 - 방배동래미안타워 - 사당역 - 서울대입구역 - 신림역 - 쑥고개입구 서림동 30~60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7211 진관공영차고지 구파발역 - 진관중고교 - 입곡삼거리 - 은평경찰서 - 연신내역 - 불광역 - 구기터널 - 평창동주민센터 - 국민대학교 - 길음뉴타운 - 고려대학교 - 안암오거리 → 용두시장 → 신설동역 → 대광고등학교 → 안암오거리 신설동역 4~10
8772 구파발역 - 진관중고교입구 - 입곡삼거리 - 흥국사 북한산성입구 8~15

==# 이전 운행 노선 #==

4. 면허 체계

5. 보유차량

5.1. 현재 보유차량

5.1.1. 현대자동차

5.1.2. CRRC

5.1.3. 황해자동차

5.1.4. KGM커머셜

5.2. 과거 보유차량

5.2.1. 현대자동차

5.2.2. 자일대우버스

5.2.3. KG모빌리티

5.2.4. 기아

6. 지배구조

2024년 6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진성 100.00% 대표이사

7.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교통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구. 제일여객자동차 법인 설립일은 1954년 8월 20일 [2] 여담으로 옛 차고지 자리는 한동안 폐허로 남아 있다가 현재 아파트 공사장이 되었으며, 서울은평뉴타운디에트르더퍼스트라는 이름의 아파트가 생길 예정이다. 은평노인종합복지관.신도중학교 정류장이 옛 차고지 위치 겸 기자촌 시절의 시작점 정류장이었으며, 당시 이름은 기자촌차고지 정류장이었다. 현재도 자사의 720번과 7211번이 그 자리를 지나간다. [3] 서울 면허로선 2번째다. 첫번째는 신성교통에서 운행했던 M7106번. [4] 전국 시내버스로는 경상남도 창원시 시내버스 업체인 마인버스에서 2016년 1월까지 굴린 것을 마지막으로 SAC가 전멸되었으며, 전국 영업용 전체로는 전북 시외버스 업체인 안전여객에서 2016년 6월까지 SAC를 마지막으로 굴렸다. [5] 706번은 화재사고가 난 차량을 폐차하면서 유상감차했다고 한다. [6] 유일하게 남아 있던 3번이 기점과 종점을 뒤바꿔 아동동으로 연장하는 바람에 일산에서 철수했다. [7] 이는 신수교통에서 광역버스가 서울매일버스로 넘어가고, 비슷한 시점에 킨텍스 제2전시장 주차계약이 만료되어 광역버스를 포함한 모든 시내버스가 차를 빼야 하기 때문. [8] 군청 + 황토색 도색 [9] 34석 리클라이닝 좌석 시트, 에어 서스펜션, 전면 행선판 옵션. [10] KGM커머셜의 모기업인 KG모빌리티로 거슬러 올라가면 하동환뻐스의 A60 이후로 반 세기만에 뽑은 셈이다. [11] 이 과정에서 한남여객운수 신성교통(훗날 서울운수, 현 신수교통) 관련건을 3번째로 인수받았다. 첫번째는 1987년 10월 3일 당시 신성교통 계열사인 범양여객(훗날 선진여객, 현 선진운수)에서 도시형버스 55-2번(현 지선버스 5517번) 인수, 2번째는 1988년 12월 6일 범양여객에서 도시형버스 129번(현 지선버스 5712번), 좌석버스 129-1번(현 지선버스 6620번) 등도 인수. 참고로 한남여객운수, 도원교통 등에 서울 74사 2500호 단위가 바로 한남여객운수가 범양여객에서 55-2번, 129번, 129-1번 등을 인수받으면서 유입된 차호이다. [12] 제일교통 입장에서는 남의 땅을 빌려서 장사하느니 차라리 차고지 1곳으로 몰아주는 것이 경영상으로 효율적이며, 서울특별시청 당국도 서울 시계외 유출입 노선을 최대한 줄이려고 하는 입장인데다가 해당 노선의 승객 숫자도 서울특별시 측의 대당 승객 갯수 기준으로 보아 적은 편이어서, 노선 조정의 명분이 충분하다. 제일여객 시절에야 교하동영업소의 운영 주체가 계열사였기 때문에 아무 문제 없이 사용했으나, 한남여객운수로 매각된 후로는 더 이상 계열 관계가 아니게 되므로 임차료를 내야 할 가능성이 높다. [13] 다만 문제는 773번 9714번의 심야 운행이다. 773번은 24시간 가까이 운행하는 노선( 교하동 첫차는 04:30, 막차는 익일 00:30이며 녹번동 막차는 02:10이다. 심지어 일산에서는 새벽 3시 넘어도 탈 수 있는 노선이다.)이며, 9714번 숭례문 막차는 익일 02:20으로 고양시의 심야버스 역할도 하고 있다. 다만 성남시가 반디버스, 김포시가 이음버스라는 브랜드로 심야전용 노선을 운행하는 점을 감안해 보면, 773번 9714번을 없애는 대신 고양시나 파주시 차원에서 나서서 심야 대체 노선을 만드는 방안이 가장 현실적이다. 문제는 고양시와 파주시를 기반으로 하는 업체들의 상황이 대체로 시원치 않다는 점. [14] 다만 KD 운송그룹이 34번과 360번을 가지고 깽판을 제대로 치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대체 노선을 만들어도 언제나 그랬듯이 개판으로 굴릴 가능성이 크다. 10년 사이에 34번과 360번은 운행 속도가 크게 느려진 것은 물론, 34번은 아예 운행을 중단한 후 양주37번으로 인가대수가 옮겨지며 폐지됐다. 106번의 폐선과 함께 신설된 106-1번은 기존 106번 인가대수의 ¼에도 못 미치는 4대 만으로 운행하는 데다, 그마저도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까지만 운행한다. [15] 또한 서울면허 대체 노선을 KD 운송그룹이 말아먹은 케이스로 남양주 115번이 있다. 이 노선은 1156번의 대체 노선으로 신설했으나 막차시간이 크게 당겨졌고, 증차 없이 운행 거리는 늘면서 배차간격이 늘어났다. 심지어 독점 지역답게 불법 감차까지 하면서 주말에는 60~12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수요가 매우 많거나 공공버스로 편입된 노선이 아닌 이상 경기도 일반버스는 대부분 배차 간격이 크게 벌어진 상태이나, KD 운송그룹의 독점 지역은 그 현상이 특히 심하다. [16] 문래동차고지에 충전기가 있다. 하지만 충전하던 하이퍼스 1대가 불이 난 적이 있어서, 현재 그린웨이와 E-SKY밖에 없는 773번의 전기버스를 중부운수가 받아들일 가능성이 거의 없다. [미개통] 12월 1일 개통 예정. [심야1] 심야버스 노선. 한국brt와 공동배차. [심야2] 심야버스 노선. 한남여객운수와 공동배차. [20] 농수산물센터에서 대산로(오마초교입구)를 통해 다니는 706번과 달리, 이쪽은 대화역으로 내려와서 중앙로로 다녔다. [21] 일영역 경유 [22] 7723번과 거의 일치했다. [23] 7734번과는 별개의 노선이었다. [24] 당시 잉여 차량은 미도색채 720번으로 넘어간 후, 단 하루만에 대차되었다. [25] 구.20번(좌석)이 폐선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26] 구 14번(좌석)이 폐선되면서 면허가 넘어왔다. [a] 전차량 773번에서만 운행중인 차량이다. [a] [a] [30] 이 회사에 총 6대 존재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