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02:26:04

메트로버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국 마이애미-데이드\에 대한 내용은 메트로버스(미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BRT 시스템에 대한 내용은 간선급행버스체계/목록 문서
2.1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중랑구 CI.svg 서울특별시 중랑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경성여객 대원교통[a] 메트로버스[b]
보광운수 북부운수
마을버스 중랑운수 금창운수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선진교통 우성버스
마을버스[c] 대중교통 세화마을버스 태릉시장마을버스
[a] 중랑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주간선버스 회사 / [c] 현 보광운수(舊 용림교통)로 통합된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주간선버스 운영 업체
메트로버스 서울교통네트웍 한국brt 다모아자동차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파일:attachment/메트로버스/metrobus.gif 메트로버스 주식회사
Metrobus Co., Ltd.
}}}
설립일 2004년 6월 10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최윤준
주요 주주 북부운수: 42.86%
서울승합: 28.57%
대원교통: 28.57%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289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21억원(2022년 기준)
매출액 265억 9,068만 9,917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 3억 9,828만 4,508원(2022년 기준)
순이익 8억 168만 1,477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 116억 6,736만 4,671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 46억 6,474만 8,337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 66.61%(2022년 기준)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5 ( 신내동, 중랑공영차고지)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메트로버스 홈페이지


[clearfix]

1. 개요

파일:2227_9740.png 파일:260_2237.png
지선버스
2227번
간선버스
260번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 주간선업체 중 하나이다.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에서 구상된 주간선노선을 운행할 4개의 주간선업체 컨소시엄 입찰 당시 동서울버스라는 명칭으로 강동권역 주간선업체 컨소시엄을 구성한 것이 시초이며, 후에 우선협상자로 선정[1]됨에 따라 지금의 이름인 '메트로버스'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북부운수, 대원교통, 서울승합, 송파상운, 영인운수, 구.풍양운수(현.양천운수), 한서교통[2]에서 출자했다. 지분비율은 북부운수 30%, 대원교통, 서울승합이 각각 20%, 송파상운, 영인운수가 각각 15%로 최대지분은 북부운수가 가지고 있다. 컨소시엄 감차로 감차분량만큼 대원여객도 5% 추가로 출자했으며, 2010년 송파상운, 영인운수가 컨소시엄에서 탈퇴했다.[3] 현재는 북부운수가 42.86%의 지분을 가진 최대주주이며 대원교통과 서울승합이 각각 28.57%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2004년 서울 버스 개편 당시 주간선버스를 운행하던 컨소시엄 회사였지만, 주간선 노선이었던 370번을 대원여객에 넘기고 간선 262번, 지선 2016번 2227번을 운행하게 되는 등 점차 주간선 운행회사라는 이미지가 점점 사라졌다.(현재로선 유이하며[4] 2020년에는 순환버스도 운행했다.)[5] 한편으로는 370번에서 손을 떼면서 공식적으로 쓰는 차고지는 중랑공영차고지 하나만 남게 됐으나 2312번을 공동배차하면서 다시 강동공영차고지를 사용하게 됐다. 그러나 2017년 8월 17일부로 2227번 증차를 위해 2312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하면서 강동공영차고지에서 다시 철수하게 됐다.

서울의 버스 회사 중 한때는 대부분의 운행사원들이 이어폰형 마이크를 끼고 간단한 멘트를 한 바 있었다(소속노선 전부). 지금도 273번에 마이크를 사용하며 매 정류장마다 안내방송을 하는 운행사원이 소수 존재한다.[6][7]

많은 사람들이 북부운수 사장이 이 회사 사장도 겸임 중이라서 계열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계열이 아닌 그냥 남남이다. 같은 계열사끼리 하는 인사도 안 한다.[8] 그냥 지분이 많은 사람이 대표를 하는 걸로 결정된 모양. 단지 같은 차고지인 중랑공영차고지를 사용해 기사님들끼리 친분이 많은 것, 운전석 창문과 앞문 상단의 차량번호 스티킹이 북부운수와 똑같은 것, 북부운수와 공동배차하는 노선의 임시우회 시 안내문 양식을 서로 공유하는 것을 제외하고. 요금통이나 교통약자석 안내문 등도 공유를 하고 있긴 하다.

2022년 6월 27일 순환버스 01A번 폐선과 동시에 2016번의 노선 단축으로 인해 메트로버스가 공동배차에서 철수한다.

홈페이지 도메인이 seoulmetro.net이다. 2017년 5월에 해체된 지하철 회사랑 헷갈리지 말자.

2021년 5월부로 이 회사도 노사갈등이 진행중인지 중랑공영차고지 곳곳에 현수막이 여럿 매달려 있다.

2023년 6월 26일 262번 공동배차에서 철수했다. 그 자리는 대원교통이 대신 들어갔다.

승차문 위와 운전석 창문 위에 차량번호를 표기한다.

2. 대원교통, 대원여객, 메트로버스 3각 트레이드

2014년 1월 16일자로 세 회사간 노선 교환이 있었다. 강동공영차고지의 관리비 인상으로 인한 비용절감, 그리고 노선 관리를 효율적으로 중랑공영차고지 한 곳에서만 하고 싶던 메트로버스와 중랑공영차고지 소속 대원여객 기사들의 근무 환경 문제 해결[9] 542번 증차 문제와 하남공영차고지의 주차용량 부족문제를[10] 해결하고 싶던 대원교통간의 이해관계가 맞아서 세 회사간 노선 교환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당시 메트로버스가 운행하던 370번 버스의 차량들이 262, 2016, 2227로 이동했으며, 262, 2016, 241에 있던 대원여객 차량들이 370으로 이동했으며, 2227번에 있던 대원교통 차량들은 241번으로 이동했다.

메트로버스가 겪게 된 변화는 다음과 같다.

3. 운행 노선

3.1. 간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260 중랑공영차고지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 - 중랑경찰서 - 능산지하차도 - 망우역 - 중랑역.동부시장 - 청량리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종로1~6가 - 광화문 - 충정로역 - 공덕역 - 여의도환승센터 국회의사당역 7~10
273 중랑구청 - 중화역 - 이문동쌍용아파트 - (→ 이문동삼익아파트 →/← 이문1동주민센터 ←) - 외대앞역 - 경희대입구 - 고려대학교 - 성북구청.성북경찰서 - 혜화역 - 종로1~4가 - 광화문 - 충정로역 - 신촌로터리 홍대입구역 5~8

3.1.1. 심야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N26
[공동배차]
중랑공영차고지 능산지하차도 - 망우역 - 상봉역 - 중랑역.동부시장 - 시조사삼거리 - 떡전교사거리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종로1~6가 - 광화문 - 서대문역 - 충정로역 - 아현역 - 신촌로터리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당산역 - 염창역 - 등촌역 - 강서구청사거리 - 발산역 - 마곡역 - 송정역 - 공항시장역 - 방화2동우촌연립 - 방화사거리 - 개화산역 개화역 25~35

3.2. 지선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2227 중랑공영차고지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 - 중랑경찰서 - 양원역 - 용마공원입구 - 면목역 - 면목5동주민센터 - 사가정역 - 용마산역 - (→ 중곡동종점 →/← 중곡역 ←) - 군자역 - 건대입구역 - 자양사거리 - 광장동현대아파트 광장동 9~12

4. 폐선 및 공동 배차 철수 노선

5. 면허 체계

각 출자회사의 순수 면허는 볼드체 처리했다. 말소 및 매각되는 경우가 대다수로 있으나 출자됐다가 복귀되는 경우가 있다.

5.1. 대원교통

원래 총 30대가 출자되었으나 8대는 말소되고[17] 4대는 매각돼서[18] 현재 총 18대다.

5.2. 북부운수

원래 총 45대가 출자되었으나 1대는 말소되고[19] 18대는 매각돼서[20] 현재 총 26대다.

5.3. 서울승합

원래 총 17대가 출자되었으나 6대는 매각되고[21] 1대는 서울승합으로 복귀되고[22] 10대가 추가로 들어와서[23] 현재 총 20대다.

서울승합/면허체계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면허체계가 상당히 많고 복잡하다.

5.4. 송파상운

원래 총 22대가 출자되었으나 3대는 말소되고[24] 5대는 매각되고[25] 3대는 송파상운으로 복귀돼서[26] 현재 총 11대다.

5.5. 영인운수

원래 총 22대가 출자되었으나 6대는 매각되고[27] 1대는 영인운수로 복귀돼서[28] 현재 총 15대다.

5.6. 구. 풍양운수(현. 양천운수)

원래 총 13대가 출자되었으나 1대는 말소되고[29] 6대는 매각돼서[30] 현재 총 6대다.

6. 보유차량

자일대우버스 위주로 운행했던 회사가 둘이나 있다보니 이베코 굴절버스[31]를 제외한 전 차량이 자일대우버스였고[32], 대원교통의 영향 때문인지 버스 대부분이 알코아 휠을 장착했다. 다만 기존 차량을 대차한 이후 도입되는 차량의 경우는 알코아 휠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으며 대신 내부 좌석쪽이 저상버스에서 쓰는 플라스틱형 좌석과 같은 것을 쓴다.

그러다가 점점 자일대우버스와 멀어지려는 모습을 보이는데, 2013년 5월에는 서울승합과 차량을 트레이드를 해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투입한 이후[33], 2013년 10월에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시범적으로 뽑은 뒤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를 6대 출고했다.[34]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고상의 경우 2011년식 BS106 F/L과 달리 의외로 플라스틱 시트가 아닌 스펀지 시트로 출고했다. 이후 굴절버스 대차분으로 들어온 신차 역시 뉴 슈퍼 에어로시티이다. 이에 관한 메트로 관계자로 추측되는 사람이 올린 글이 있으니 읽어볼만 하다. 참고로 이 때 들어온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트레이드 후, 차량에 KD 운송그룹이 쓰는 알코아 휠로 교체했는데, 2004년식 고상버스가 다 대차된 후 2013년식 고상버스 신차에 알루미늄 휠이 적용되면서 이 차량들의 휠도 흔한 알루미늄 휠로 바뀌었다. 또한 프로토타입 수준으로만 판매되어 서울은 물론 전국적으로도 꽤 드문 흰색 하차벨 적용 2013년식 보유 업체 중 하나였다.

현대버스는 개선형은 2018년식 딱 1대만 출고했으며 2019~2023년까지는 현대버스를 출고하지 않았다.[35]

서울에서 마지막까지 BS120CN을 운행했고, 전국에서 마지막까지 팬더로 페이스리프트 되기 이전의 BS110CN을 운행했던 회사이며 서울에서 2006년식 차량을 마지막으로 굴렸던 회사다.

다른 주간선업체와 달리 차량에 부착된 사명 로고 표기가 가장 심플한 업체이다.[36] 여러모로, 주간선업체들 중에서 상당히 이질적인 분위기가 많은 회사이다.

2020년에는 아폴로 1100 전기버스를 2대 출고해 01A에 투입했다. 하지만, 2021년 입찰에는 아폴로 1100에 데였는지 전량 하이퍼스1611로만 도입하고 2022년 2월에 자일대우버스가 전멸했다.[37] 이후에도 하이거의 전기버스로만 쭉 도입하고 있었다가 2024년에는 아폴로 1100을 다시 도입했으며 서울 시내버스에서 전 차량 저상버스화를 달성했다.[38]

2024년 10월 중순에 하이거, 우진산전 버스만 도입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KGM커머셜 스마트 110 EV, 현대 일렉시티를 각각 2대씩 출고하면서 버스 동호인들이 놀라워했다.

6.1. 현재 보유차량

6.1.1. 현대자동차

6.1.2. 하이거

6.1.3. 우진산전

6.1.4. KGM커머셜

6.2. 과거 보유차량

6.2.1. 자일대우버스

6.2.2. 현대자동차

6.2.3. 이베코

7. 지배구조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북부운수 42.8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승합 28.5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교통 28.57%

8.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교통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당시 강동권역 2순위 입찰자는 우리운수 컨소시엄이었으며 상진운수 주도로 신촌교통, 서부운수, SM버스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이쪽은 다모아자동차(풍양)와 진화운수 컨소시엄(한서)에게도 이중 출자했다. 비슷한 상황으로 한국brt와 상술한 우리운수 컨소시엄에 이중으로 출자한 신촌교통이 있다. [3] 영인운수는 한동안 260번을 공동배차했으나, 양천공영차고지 - 여의도 구간을 분할해 662번 간선버스로 분리하면서 공동배차를 청산했다. [4] 2023년 9월 25일부로 서울교통네트웍 서울 버스 1143 공동배차를 시작하면서, 지선버스를 운행하는 유일한 주간선회사 타이틀은 없어졌다. [5] 한때 한국brt에서 41번 순환버스를 운행한 적이 있어서 이 경우는 처음이 아니었다. [6] 운행사원의 말에 따르면 개편 직후에는 회사 정책에 따라 전 사원이 마이크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기계의 잡음과 방송 음량 등과 관련해 민원이 들어와 부득이하게 기사 자율에 맡기는 것으로 변경했다고 한다. [7] 또 다른 주간선업체 한국brt도 기사들이 멘트를 치면서 운행하고 있다. [8] 아예 안하는 것은 아니고 친분이 많은 기사들이나 262번처럼 공배하는 기사들끼리 하는 편이다. 종종 262번과 2015번 등끼리 교행인사 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9] 당시 중랑 소속 기사들의 거주지가 의정부, 양주지역에 분포되어 있어 출퇴근 거리 등 열악한 환경이 문제가 되었다. 3각 트레이드 후 중랑에서 근무하던 기사들을 의정부, 양주 지역 노선으로 발령냈다. [10] KD는 중랑에도 그랬듯이 강동공영에도 자사의 경기면허 차량을 주박시키고 싶어했다. [11] 현재 대원여객 송파상운이 공동배차. [D] 대원여객이 운행하던 대수만큼 운행. [13] 2023년 6월 26일부로 철수했다. [D] [15] 2022년 6월 27일부로 철수했다. [공동배차] 다모아자동차와 공동배차. [17] 70사 6358호, 74사 4260, 4267, 4271, 9110, 9118, 9139호, 75사 1395호 [18] 70사 6378호는 영인운수에 매각, 4346, 6645, 9147호는 송파상운에 매각. [19] 75사 2942호 [20] 74사 9681, 9691호는 서울승합에 매각, 74 사 3050, 9732호는 송파상운에 매각, 74사 3025, 9685 ~ 9686, 9688, 9699, 9716, 9722, 9726, 9735, 9760, 9762, 9779호와 75 사 2940 ~ 2941호는 영인운수에 매각. [21] 70사 9706호와 74사 3812, 3849, 4189, 4297, 5408호는 송파상운에 매각. [22] 3853호 [23] 74사 3083, 3659, 3690, 5044, 8814, 9330호, 75사 2061, 3069, 3071 ~ 3072호 [24] 4970, 4972, 5899호 [25] 71사 1828, 1832호와 74사 4931, 4971호는 영인운수에 매각, 4969호는 서울승합에 매각. [26] 4941, 4943, 4975호 [27] 74사 6930, 6933호는 서울승합에 매각, 71사 2236, 2245, 2247호와 74사 6925호는 송파상운에 매각. [28] 71사 2238 [29] 9585호 [30] 9531, 9547, 9551 ~ 9552호는 서울승합으로 매각, 9580, 9584호는 송파상운으로 매각(9580호는 송파 버스사고로 71사 1935호로 전환) [31] 2004년에 여러대를 도입했으나, 굴절버스 자체의 결함 등으로 인해 대다수가 2009~2010년에 다른 업체들과 함께 유상감차 말소를 진행해 사라졌고, 그마나 3대가 예비차로 2014년 여름까지 살아남았다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일반버스로 대차됐다. [32] 자일대우버스만 출고하던 대성운수, 동성교통마저 현대로 돌아선 2011년에 자일대우버스 신차를 투입하면서 자일대우버스 사랑은 여전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이후 서울승합 차량과 트레이드 돼 현대차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였었다. [33] 이 과정에서 서울승합으로 넘어간 차량은 튜나휠까지 달고 340, 342번에서 운행하다가 결국 얼마 못 가서 전부 교체됐다. 이 여파로 인해 서울승합에 대원교통, 북부운수 등의 차적이 유입됐다. [34] 당시 370번에 3대, 260번에 3대. 370번 현대 저상차량은 이후 262번으로 이동했다. [35] 그래서인지 주간선업체 중 하차벨 전구 수가 6개로 줄어든 연식도 없다. 서울교통네트웍도 전기버스는 현대와 거리를 두다가 2022년부터 다시 일렉시티를 출고하기 때문. [36] 다모아자동차는 모든 서울 버스 업체 통틀어서 가장 요란하게 사명을 표기하는 회사이다. 차량의 전면부, 후면부는 물론이고 중문 위에도 다모아의 스티커가 노선번호와 함께 부착되어 있다. 서울교통네트웍은 다모아보다는 덜하지만 역시, 소속 차량 전면부에 서교네의 알파벳 이니셜인 STN 글자가 들어간 서교네 특유의 꽃무늬 로고를 부착하고 있다. 한국brt는 로고를 후면에만 부착하나 글자만 작성한게 아닌, 화살표 마크가 들어간 공식 로고를 그대로 부착했다. 반면 메트로버스는 다른 일반 업체들처럼 자사의 공식 로고는 존재하는데 반해, 차량에는 그냥 글자 사명만 떡하니 부착했다. 또한 폰트도 서울시내버스 표준 폰트 그대로 사용한다. [37] 메트로버스 최후의 자일대우버스인 2012년식 NEW BS110 1대도 남은 2011년식 BS106 F/L과 함께 모두 대차됐다. 비슷한 시기에 최대 주주 북부운수도 대우 저상버스가 전멸했다. [38] 단, 한남여객운수 태진운수의 구로동영업소를 인수하면서 도로 고상버스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논외. [39] 자체 출고분이 아니고 서울승합과의 차량 면허 맞교환으로 넘어 온 차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