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21:15:19

현대 HD버스

1. 개요2. 모델
2.1. HD1502.2. HD1602.3. HD170
3. 기타4. 둘러보기

1. 개요

현대자동차에서 1970년대에 생산했던 중대형 프론트엔진 버스 제품군으로 1980년대 FB의 이전 모델이 되는 버스이다.

HD는 당연히 현대(HyunDai)의 약자이다.

2. 모델

2.1. HD150

1975년 4월에 출시되었으며, 포드 R1014 차체와, 포드 360CID 150마력 터보 디젤 엔진을 탑재하였으며, 저가형 프론트엔진 버스로서는 아시아자동차의 P9AMC에 이어 두번째[1]로 골조식 스켈레톤 차체와 리벳리스 공법을 적용하여[2] 외관에 리벳이음질한 흔적이 없는 깔끔한 형태로 생산되었는데, 이는 대우 BS105보다도 11년 먼저 적용한 차체 공법이었다. 자가용/시외/관광/직행용 전문형으로만 생산한 차종이었고[3] 저가형 프론트엔진 버스로선 국내 최초로 일체형 여닫이문을 적용하였다. 시내버스 사양은 같은 엔진을 사용했으나 기존의 응력외피구조 모노코크 차체를 사용한 R182를 페이스리프트한 최후기형(3기형)이 HD150 이라는 네이밍을 썼었다. 그러다가 1977년 2월에 HD160에게 바톤을 물러주면서 단종되었다.[4]

2.2. HD160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Ego53628beb24867.jpg 파일:39680534641_9f47fc80db_o.jpg
전문형 사양 전중문형 사양
상공부의 디젤엔진 국산화 시책으로 1976년 연말 현대자동차의 디젤엔진 공장이 완공되면서 1977년 1월 현대자동차 국산화 디젤엔진 버스 시제차가 등장하였으며, 1977년 2월말부터 디젤엔진 공장이 가동되면서 출시되었다. 퍼킨스로 부터 라이센스를 얻어 생산한 HDT63544( T6.354.4) 5,794cc 155마력 터보 디젤 엔진이 들어갔으며. 도시형/농어촌형/자가용/완행용 중문형과 자가용/관광/시외직행용 전문형이 있었다가 1978년 중반에 전중문 도시형이 등장하였다.[5] 1981년에 자동차산업합리화조치로 인해 현대자동차의 디젤엔진 생산이 강제로 중단되면서 덩달아 단종되었다.[6]. 전체 판매량은 경쟁차종인 새한 BD098/ BF101에 비해 출력수가 낮아 저조하였다. 대원여객에서 출고해 13번으로 굴렸다. 좌석버스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부산에서만 운행했다.[7]

2.3. HD170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Ego53628beb428e0.jpg
[8]
1977년에 HD160의 상위모델로 출시되었으며, 당시 모습은 HD160과 같았다.[9] 다만 경쟁차종인 새한 BF101에 쓰이던 MAN사의 D0846HM 168마력 엔진[10]을 적용하였고, 1978년 후반에 전후면부가 FB485와 비슷한 형태로 바뀌었다.[11]

HD170과 FB485의 차이점은 전면 방향지시등[12]과 측면창문 형태 및 배열[13], 출입문 손잡이[14] 정도로 구별이 가능하였다.[15]. 휠베이스와 전장은 FB485보다 더 짧다.[16]

1980년 도시형도 페이스리프트가 적용됐고 이 외에는 전면 전조등이 돌출된 형식에서 FB485처럼 진화하였다. 1982년 1월에 FB485로 계승되면서 단종되었다. 판매량은 하위모델인 HD160과 경쟁차종인 새한 BF101에 밀려 그다지 많지 않았고, 시내버스는 부산[17][18] 과 울산에서는 많이 운행했으나, 그 외의 지역에서는 운행 사례가 많지 않다.[19] 그나마 관광부문 및 비사업 자가용 부문에서 많이 이용하기도 하였다. 마찬가지로 좌석버스는 부산에서만 운행했다.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한 유석초등학교에서 1990년 정도에 새한 BF101 2대와 함께 HD170 1대를 스쿨버스로 운용한 바 있다. 부산에서도 1990년대 초반 까지 동원여자상업고등학교(현 부산조리고등학교)에서 HD170을 통학버스로 운용하였다. 대전에서는 산업기지개발공사(현 한국수자원공사)가 페이스리프트 된 HD170을 1980년대 말까지 통근버스로 운용한 바 있다.

3. 기타

위 두 차종은 측면 승객창문 배열이 시내버스용과 그 이외 용도형식과 서로 다른 모습을 띄고 있었다. 먼저 시내버스형은 '큰창문 2개+중간창문(중문 폭과 동일)+큰창문 2개+삼각타원형 보조창' 형태였고, 그 이외 용도는 '큰창문 4개+작은창문 2개(큰창문의 절반크기)' 형태였다.[20] 그런데 더 먼저 출시된 형식은 후자 형식이라[21] 전후륜 위치가 그 형식에 맞추어서 제작하다 보니 시내버스형을 보면 후륜 위치가 타 버스차종처럼 승객 네번째 창문자리만 차지한 형식이 아닌 다섯번째 창문자리를 약간 침범한 형식이었다. 대신 시내버스의 중문과 후륜과는 비교적 멀리 떨어진 형태였다.

시내버스형의 경우 1977년~1978년 초중반까지 출고된 중문형은 대체로 1982~1984년에 조기 대차 되어갔다. 이는 1983~1984년 이후부터 실시된 시민자율버스 제도[22]에 맞지 않았던 이유가 가장 컸고, 특히 HD160은 당시 탑재된 엔진이 HD170이나 FB485 및 BF101에 비해 출력면에서 차이가 많아 났던 이유[23]도 작용했다. 그나마 전중문형을 채택한 1978년 중후반 이후형식은 1980년대 중반에 차령 만료로 시내버스 부문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24]. 한편 HD170 후기형은 1982년 1월 단종 때 까지 '전문 자동폴딩형/중문 수동폴딩형'의 형식을 고수한 채 생산한 탓에 역대 시내버스들 중 거의 최후의 수동폴딩형 중문을 적용한 버스차종이 되고 말았다. 그래서 1984~1985년에 걸쳐서 당시 시내버스에 중문이 수동형식이었던 버스에 한하여 중문을 전문과 같은 자동폴딩형으로 개조하는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가장 잦았다. 중문 형태의 경우 대부분 유리창 형태가 전문과 같은 형태였으나 일부는 전문 유리창 보다 많이 넓은 형태로도 운행했었다.[25] 그래도 중문형이란 이유로 조기대차된 사례가 많았고 출력 및 엔진성능 면에서 모자랐던 탓에 비교적 일찍 대차된 처절함을 맛본 HD160에 비해, 당시 차령 7년을 다 채우고 대차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HD170 후기형 시내버스는 그나마 양호한 것이었다.[26]

특이한 점은, 본래 HD160은 기존 모델인 R182/HD150과는 달리 앞 번호판을 범퍼 중앙에 달도록 디자인되었지만,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로 도입된 HD160은 대다수가 기존 R182/HD150과 마찬가지로 앞 번호판을 범퍼 위쪽, 승강구쪽 헤드램프 옆에 달았다는 점이다.[27][28] HD170의 경우는 서울 시내버스들도 대부분 앞 범퍼를 은색으로 도색하고 범퍼 중앙에 앞 번호판을 달았지만, 영신여객, 유성운수 등 일부 업체들의 경우 특이하게 HD170에도 앞 범퍼를 청록색으로 도색하고 앞 번호판을 범퍼 상단, 승강구 방향 헤드램프 옆에 달았다. 이러한 서울시내버스 특유의 관습은 1982년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모든 차량이 앞 번호판을 의무적으로 범퍼 중앙에 달도록 함으로써 버스의 앞 번호판을 범퍼 위로 올려 승강구쪽으로 장착하는 행위가 법으로 금지되면서 사라졌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회색 글씨: 단종 차량
<colbgcolor=#002c5f><colcolor=#fff><rowcolor=#fff> 승용 · SUV · RV · 승합 버스 트럭
19​60​년대
코티나 · 포드 20M R버스 -
19​70​년대
포니 · 그라나다 · HD1000승합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HD버스 · RB버스 · D버스 · DK버스 HD1000트럭 · 바이슨 · 대형트럭
19​80​년대
프레스토 · 포니엑셀 · 엑셀 · 스텔라 · 쏘나타 · 그랜저 · 그레이스 · 미쓰비시 프레시스 코러스 · FB버스 · 에어로버스 포터 · 마이티
19​90​년대
아토스/쌍트로( 1세대) · 아토스 프라임 · 엑센트/ 베르나 · 엘란트라/아반떼( 1세대) · 마르샤 · 다이너스티 · 에쿠스 · 스쿠프 · 티뷰론 · 갤로퍼 · 싼타모 · 트라제 XG · 스타렉스 카운티 · 에어로타운 · 에어로시티 중형트럭 · 슈퍼트럭
20​00​년대
i10 · 클릭 · i20 · i30 · 링샹 · 투스카니 · 제네시스 · 제네시스 쿠페 · 라비타 · 투싼( ix35) · 싼타페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앙트라지 · 닷지 브리사 · 쏘나타 모인카 · 기아 천리마 슈퍼 에어로시티 · 그린시티(구 글로벌900) · 유니버스 리베로 · 메가트럭 · 뉴파워트럭 · 트라고
20​10​년대
이온 · 블루온 · HB20 · XCENT · 위에둥 · 아이오닉 · i40 · 미스트라 · 아슬란 · 벨로스터 · 아반떼 쿠페 · ix20 · 크레타 · 맥스크루즈 · 쏠라티 · 코나 · 레이나 · 넥쏘 · 라페스타 · 팰리세이드 · 베뉴 블루시티 · 유니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엑시언트 · H350 · 루이웨/홍투 · 파비스
20​20​년대
아우라 · 포레스트 · 쿠스토 · 베이온 · 아이오닉 5 · 스타리아 · 알카자르 · 싼타크루즈 · 캐스퍼/ 인스터 · 스타게이저 · 아이오닉 6 · 무파사 · 엑스터 · 아이오닉 9예정 모던 PUV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타운 ST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colbgcolor=#002c5f><rowcolor=#fff><colcolor=#fff>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승용​차
경차 i10 · 아우라 아토스 · 블루온 · 이온 · 쌍트로 · XCENT
소형​차 엑센트 · i20 · HB20 포니 · 엑셀 · 프레스토 · 클릭 · 베르나 · 닷지 브리사/ 기아 천리마 · 미쓰비시 프레시스 · 레이나 · 닷지 애티튜드
준중형​차 아반떼 · i30 · 라페스타 포드 코티나 · 엘란트라 · 아반떼 쿠페 · 벨로스터 · 위에둥/ 셀레스타
중형​차 쏘나타 · 아이오닉 6 포드 코티나 · 스텔라 · 마르샤 · i40 · 링샹 · 쏘나타 모인카 · 미스트라
준대형​차 그랜저 포드 20M · 그라나다 · 아슬란 · 다이너스티 · 제네시스
대형​차 - 에쿠스
스포츠​카 - 스쿠프 · 티뷰론 · 투스카니 · 제네시스 쿠페
SUV
경형 SUV 캐스퍼 · 엑스터 -
소형 SUV 베뉴 · 코나 · 크레타 · 알카자르 · 베이온 · 인스터 -
준중형 SUV 투싼 · 아이오닉 5 · 무파사 -
중형 SUV 싼타페 · 넥쏘 갤로퍼
준대형 SUV 팰리세이드 테라칸 · 베라크루즈 · 맥스크루즈
픽업​트럭
소형 픽업​트럭 싼타크루즈 픽업 · 포드 코티나 픽업
MP​V
소형 MPV - 라비타 · ix20
준중형 MPV 스타게이저 싼타모
중형 MPV 쿠스토 트라제 XG
준대형 MPV - 앙트라지
대형 MPV 스타리아 스타렉스
캠핑카 - 포레스트
상용​차
소형버스 쏠라티 그레이스 · HD1000
준중형버스 카운티 · 모던 PUV D버스 · 코러스
중형버스 일렉시티 타운 에어로타운 · 그린시티
준대형버스 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R버스 · DK버스 · RB버스 · HD버스 · FB버스 · 에어로시티 · 블루시티 · 유니시티
대형버스 유니버스 · 유니버스 FCEV​ · 일렉시티 이층버스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에어로버스
소형트럭 포터 · H350 · ST1 HD1000 · 리베로
준중형트럭 마이티 -
중형트럭 루이웨/홍투 · 파비스 바이슨 · 대형트럭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메가트럭
준대형트럭 뉴파워트럭 -
대형트럭 엑시언트 마루 · 트라고 }}}}}}}}}
}}}
파일:현대 N 로고.svg · 파일:아이오닉 로고.svg · 콘셉트 카




[1] 일본 최초 골조식 스켈레톤 차체 버스인 히노 RS스켈레톤보다도 2년 먼저 등장하였다. [2] 메르세데스-벤츠와 기술제휴로 생산하던 O302, O303 버스 차체 제조법의 응용이라는 카더라가 있다. [3] 이 때만 해도 도시형/완행용은 R182(다만 후기형에 한함)이 담당하였다. 타사 차종에 비유하자면 R182 후기형은 새한 BD098, HD150은 새한 BD101, HD160/HD170은 새한 BF101과 서로 같은 포지션이라 볼 수 있겠다. [4] 이와 함께 차체 후부에 설치되었던 여닫이식 비상문이 사라졌다. 현대는 이후 비상문을 운전석에만 옵션으로 두었고, 전중문 시내버스 및 중문형에는 운전석에 비상문이 기본 적용되었으며(후속인 FB485에는 중문형 및 경찰버스에만 비상문 적용), 차체 후부에는 일체 적용하지 않았다. [5] 전문형은 반자동문이었다가 전중문 도시형 출시 이후 에어 압축기로 여닫는 자동문으로 바뀌었다. 다만 중문은 수동문을 고수하였다. [6] 다만 전중문 도시형은 1980년부터 판매가 중단되었다. [7] 부산이 좌석버스(당시에는 직행좌석이라 칭함)를 첫 운행했던 시기가 1978년 후반이고 이 때부터 동종 상위 차종인 HD170은 전중문 도시형을 제외한 전 라인업에 페이스리프트 형식을 적용한 상황에서 HD160 형태의 좌석버스도 소수 운행하기 시작했다. 물론 주력차종은 새한자동차 BF101. [8] 사진에 나온 기본도색은 KD 운송그룹 관광버스 회사인 대원관광에서 1995년까지 사용되었다. [9] 링크 참조. 당시의 광고 [10] 대우중공업에서 면허생산 [11] 다만, 전중문 도시형은 이후로도 HD160 형상인 대신 탑재된 엔진 및 출력수에 따라 모델명을 160/170으로 차별화하여 생산했다. 그러다가 1980년 초반에 페이스리프트한 HD170 전중문 도시형이 출시되면서 HD160 도시형은 단종되었다. [12] HD170은 세로로 긴 타원형, FB485는 가로로 길게 퍼진 직사각형임. [13] HD170은 2/3개폐창에 보조창이 맨 끝에만 물매져 있었음(다만 맨 끝의 물매진 보조창은 시내버스 형식 한정, 이 외의 용도는 위의 사진 참조.)., FB485는 완개폐창에 중문 뒤에 보조창이 추가됨(1982년~1983년형 한정, 1983년 중반 슬라이딩 중문형이 옵션으로 등장하였고 폴딩 중문형은 중문 뒤로 작은창문 2개에 큰창문 1개 있는 형태임.). [14] HD170은 BF101과 같은 두쌍의 가로방향 손잡이, FB485는 한쌍의 가로방향 손잡이, 다만 전문은 오른쪽에만 1개 있었음. [15] 후미등도 약간 달랐다. 배열은 서로 비슷했으나 크기가 가로로 약간 퍼진 형태이면서 더 커지고 위치도 약간 위로 올라왔다. HD170은 차체 하부와 경계선을 이루는 몰딩 밑까지 침범한 형태였으나 FB485는 그 몰딩 윗부분만 있었다. 그리고 HD170은 전면 현대 로고와 라디에이터 그릴 사이에 BF101과 동일한 형태인 타원형 상호 표시판이 있었으나(심지어 시내버스형도 기본 장착되었다!) FB485는 이것이 삭제되어 옵션으로도 선택할 수 없었다. 거기다가 계단 갯수도 차이가 있는데, HD170은 3스텝, FB485는 2스텝이었다. [16] FB485는 중문 뒤에 보조창 하나 추가되었는데 이것이 전장차이의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다. [17] HD160 모습인 중문 옆에 HD170 모델명이 표기되어 있던 차량이 시내버스로 운행했던 적이 있었다. 대체로 타 지역이 HD170을 페이스리프트 이후 도입했던 것과 반대로 페이스리프트 이전부터 도입했던 걸로 보인다. [18] 부산 업체는 아니지만 오래전부터 현대 원메이크 업체로 유명한 대전의 경익운수도 페이스리프트 이전 HD160과 동일한 차체의 HD170부터 꾸준히 도입했다. [19] 심지어 서울도 HD170보다 160이 많았으며, 광주광역시는 HD170을 단 한 대도 운행하지 않았다. 다만 청주는 HD160은 한 대도 운행하지 않은 반면 동양교통에서 HD170을 소량 구입하여 운행하였다. 서울에서는 페이스리프트 된 HD170을 신인운수가 1988년까지 818번에 투입했었다. [20] 다만 1978년 출시된 HD170 페이스리프트 중문형 직행/완행 차량의 경우는 큰창문 1개+중간창문(중문 폭과 동일)+큰창문 3개 형태였다. 참조. [21] 이미 위에서 언급했듯이 1975년에 이미 HD160 전문타입 형태의 버스가 먼저 출시되어 있었다. [22] 앞문으로 승차하면서 요금내고 뒷문으로 하차하는 방식의 제도. [23] HD170이나 FB485, BF101은 출력이 185마력이었던 반면 HD160은 155마력임을 감안하면 마력수가 월등히 낮았다. 거기에 엔진 자체의 잔고장도 잦았다. [24] HD160이나 HD170 전기형의 전중문형 도시형이 마지막으로 출고되었던 시기가 늦어야 1980년 초였으니(이 후로는 HD160 도시형은 더는 안나오고 HD170은 시내버스도 페이스리프트를 거쳐서 나옴) 당시 6~7년을 운행하고 대폐차했던 상황을 감안하면 대체로 1986년에 마지막으로 접할 수 있었다. [25] 후자와 같은 형식은 부산에 운행했던 HD170 후기형에서 많이 볼 수 있었고 대전에서도 극소수 존재했었다. 전자의 경우 유리창 너비가 BF101 문 유리창보다 좁았고, 후자의 경우 유리창 너비가 BF101 문 유리창보다도 넓었으며 HD160 이나 FB500 폴딩중문 유리창 너비와 비슷했다. [26] 거기에 HD170은 관광 부문 및 비사업 자가용 부문에서 많이 이용되기도 하였다. [27] 파일:현대 HD160(서울 시내버스 84번).jpg [28] 물론 부산, 대전 등 지방 시내버스들은 대부분 본래 디자인대로 앞 번호판을 범퍼 중앙에 달았다. 서울에서도 대원여객 등과 같이 앞 번호판을 범퍼 중앙에 장착한 업체가 존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