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9:43:01

이재학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이름을 사용하는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재학(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NC 다이노스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3 라일리 · 11 김태경 · 12 로건 · 13 임정호
· 15 김태현 · 17 김영규 · 18 신민혁 · 19 김휘건
· 20 목지훈 · 21 김시훈 · 22 이용찬 · 26 최성영
· 28 임상현 · 32 김재열 · 41 류진욱 · 43 신영우
· 46 손주환 · 47 전루건 · 48 최우석 · 50 소이현
· 51 이재학 · 54 김진호 · 55 한재승 · 56 원종해
· 57 전사민 · 58 서의태 · 61 배재환 · 63 김민규
· 67 박주현 · 95 김태훈 · 96 홍재문 · 97 이세민
· 100 강태경 · 102 김녹원 · 104 김민균 · 106 김준원
· 107 김진우 · 110 노재원 · 111 박동수 · 114 박지한
· 115 서동욱 · 121 이준혁 · 124 임형원 · 131 최윤혁
· 132 홍유원 · # 임지민 · # 정주영
최종 편집: 2025년 1월 17일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내야수 외야수 군 입대 선수 등록 선수 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이재학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두산 베어스 등번호 63번
김강률
(2007~2008)
이재학
(2010~2011)
변진수
(2012~2015)
NC 다이노스 등번호 63번
팀 창단 <colbgcolor=#af917b><colcolor=#00275a> 이재학
(2012)
권희동
(2013~2014)
NC 다이노스 등번호 51번
이형범
(2012)
이재학
(2013~)
현역
}}} ||
파일:이재학2024프로필.jpg
<colbgcolor=#315288><colcolor=#ffffff> NC 다이노스 No.51
이재학
李在學 | Lee Jae-Hak
출생 1990년 10월 4일 ([age(1990-10-04)]세)
대구광역시 북구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대구옥산초 - 경복중 - 대구고
신체 181cm, 84kg, A형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사우타
프로 입단 2010년 2라운드 (전체 10번, 두산)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10~2011)
NC 다이노스 (2012~)
병역 예술체육요원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계약 2023 - 2024 / 5억 5,000만 원[1]
연봉 2024 / 2억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AKMU - 〈 DINOSAUR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15288><colcolor=#fff> 가족
<colbgcolor=#315288><colcolor=#ffffff> 배우자 진애란(1990년생, 2016년 12월 4일 결혼 ~ 현재)
자녀 아들 이루오, 딸 이루은(2019년 10월 8일생)[2]
종교 불교[3][4]
소속사 리코스포츠에이전시
MBTI ISTJ
}}}}}}}}} ||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투 피치 투수
4. 연도별 성적5. 별명6. 여담
6.1. 야구 관련6.2. 야구 외
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C 다이노스 소속 우완 사이드암 투수.[5][6]

2. 선수 경력

이재학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이재학/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이재학체인지업.gif
이재학의 주무기 체인지업

빼어난 서클 체인지업을 구사하는 선수로, 긁히는 날에는 체인지업의 회전수가 2800RPM을 넘나든다. 체인지업을 던지는 투수들의 회전수가 2000RPM 정도 나오는 걸 감안하다면 엄청나게 움직임이 많은 셈.[7][8] 타자의 눈은 이렇게 회전수가 높은 체인지업을 패스트볼과 구분할 수 없다고 한다.[9] 같은 체인지업이라도 떨어지는 각 자체가 더 높아서, 스트라이크존에서 패스트볼로 보이다가 갑자기 낙차 크게 가라앉아 버리는 것인데, 보통 회전수가 가장 높다고 알려진 커브볼도 2700RPM을 넘게 던지는 토종 투수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가장 강력한 무기인 체인지업과 투구폼이 똑같아서 타자들을 헷갈리게 만드는 속구의 투 피치, 거기에 쓰리쿼터/사이드암 투수들이 가진 장점인 마치 투심같은 속성을 띄는 횡적인 공의 무브먼트에서 기인한 더러운 볼끝[10]까지 더해져 상대 타자들의 탈삼진을 얻어낸다. 통산 K/9가 8.2에 달하고, 2016 시즌에는 승부조작 사건에 휘말리면서 규정 이닝을 소화하지 못했음에도 팀 내에서 삼진을 가장 많이 잡았다.

투구하는 팔의 각도는 2013 시즌 이래 쓰리쿼터 투수들처럼 계속해서 조금씩 올라가다가 2018 시즌부터 다시 사이드암에 가깝게 내려갔다. 인터뷰에 따르면 지연규 코치의 권고에 따라 왼쪽 어깨를 낮추면서 투구하는 팔이 저절로 내려갔으며, 그러면서 던질 때 감각도 좋아졌다고 한다.

이 주무기인 체인지업 때문에 이재학은 우완 사이드암임에도 불구하고 통산 좌타자 상대전적이 우타자보다 더 좋다. 허나 커맨드는 좋지 못해 보더라인 피칭을 너무 신경쓰다가 볼넷을 줄 때가 잦은 편으로, 제구가 잘 되지 않는 날에는 상대타자 출루가 이어지면서 게임이 늘어질 때가 많아 팬들을 뒷목잡게 한다.

커리어 내내 부상이 거의 없었다. 사이드암-언더핸드 투수들이 내구성이나 지구력에서 약점을 보인다고 하나 이재학은 예외에 속하는 셈이다. 하지만 상술한 대로 페이스의 기복이 심했기 때문에 풀타임을 소화한 시즌은 많지 않았고, 한편 긁히는 날에는 타자들이 손댈 수 없는 공을 던질 수 있어 완투 경기가 제법 많았다.

3.1. 투 피치 투수

파일:이재학투피치.jpg
2020년 5월 15일 선발 출장해 던진 구종 구사율. 거의 반반이다.
파일:이재학투피치.gif
MBC SPORTS+에서 이재학의 두 가지 구종을 비교한 영상

KBO 리그의 대표적인 투 피치 유형의 투수로, 대부분의 이닝을 패스트볼과 서클 체인지업 두 가지 구종만 가지고 실점을 최소화하면서 끌어간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투수는 파훼당하기 쉽고 구종이 적은 대신 구위가 뛰어나 보통 불펜으로 굴리는데, 이재학은 그렇게 구속이 뛰어나지 않은데도 꾸준히 선발로 나온다는 점에서 특이한 사례이다.

2012년에는 슬라이더와 투심, 커터 등도 어느 정도 던졌으나, 2013년에는 엄지 쪽에 물집이 잡혀 이 구종을 많이 구사하지 못해 직구와 체인지업 두 종류의 구종 밖에 구사하지 못했다. 하지만 이 난관을 체인지업의 다변화로 극복했다.

그의 이러한 투 피치 투구는 2015~2017 시즌 부진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단조로운 투구 내용으로 인해 얻어맞는 게 많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 지나치게 투 피치에 의존한 탓에 패스트볼-체인지업 조합이 먹히지 않는 경기에서 고전하는 빈도가 늘었다는 분석인데, 이재학 본인은 "투피치 투수가 아니라 슬라이더도 있다"고 말했지만 한 경기에 7~8개는 던질까 말까한 구사율에 완성도까지 떨어져 사실상 없는 수준에 가깝다고 보는 것이 맞다.

허나 최일언 투수 코치는 다른 지적을 했는데, 투피치보단 몸의 중심 이동이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에 패스트볼의 구위도 저하되고 체인지업의 떨어지는 각도도 무뎌졌다는 게 부진의 원인이라 했다. # 의미심장한 말도 남겼는데 '이재학은 직구 없으면 안되는 선수'. 즉, 어정쩡하게 새로운 구종을 쓴답시고 밸런스가 무너질 바에는 확실한 투피치가 더 낫다는 것. 이 인터뷰가 나온 2017 시즌 후반기부터 이재학이 연일 호투를 하고 그동안의 부진 원인을 두고 갑론을박하던 팬들도 이 인터뷰 하나로 투 피치가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11]

2018 시즌에는 확실한 투구폼 교정에 이어, 드디어 보여주기 식에 그쳤던 슬라이더를 서드 피치로 구사할 수 있게 되면서[12] 재기에 성공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투구폼의 안정화로 인해 BB/9가 예년보다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을 만큼 제구가 안정되기도 했고, 슬라이더의 구사율도 10% 가까이 끌어올렸다. 우타자 상대 바깥쪽으로 흘러나가는 슬라이더를 던질 수 있게 되면서 우타자 상대 약점을 극복한 모습. 그러나 2019 시즌에는 1년만에 슬라이더 구사 능력이 도로 사라져 버렸다.[13] 이 때문에 NC 팬덤에서는 '이재학의 슬라이더'를 ' 이대호의 도루'나 ' 이대형의 홈런'처럼 드문 일로 취급하는 사람들도 있다.[14]

2020 시즌 심재학 해설위원이 이재학의 호투를 분석하면서 '피치 터널'이 길어졌다고 언급했다. 부진하던 2017 시즌에는 투구직후 공이 타자를 향해 갈 때 일찌감치 속구/체인지업 두 구종이 구분되는 궤적을 그렸는데, 최근에는 이 둘을 구분할 수 없는 구간이 길어져 타자들이 더욱 헷갈려 한다는 것이다. # 그러나 2020년에는 역대급 부진으로 한 해를 아예 말아먹었기 때문에 이 피치 터널마저 파훼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 2019 시즌 이후 양의지가 NC로 오면서 함께 배터리를 맞추며 이재학에게 체인지업 구속에 차이를 주면서 던지도록 주문해 이를 통해 쓰리피치를 만들었고, 타자를 상대하는 데 효과를 보고 있다고 알려지기도 했다. #

체인지업 구종 가치가 해마다 떨어지고 있다. 스탯티즈 기준 2018년 4위, 2019년 14위 이후 2020년 이후로는 3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일반인이 봐도 이재학의 체인지업 낙폭이 예전과 달리 제대로 떨어지지 않는 빈도가 많다는 걸 경기를 보면서 확인이 가능하다.

정우영의 사례에서 보이듯 투 피치 투수는 결국에는 파훼당하기 마련이다. 기록으로만 보면 저게 파훼당한 투수야? 싶지만 피홈런이 늘어나고 부진했던 때도 있었다. 그 정우영은 싱커성 투심을 157km까지 올려서 구위로 구워삶는 방식으로 바꾼 반면[15] 이재학은 패스트볼 구속이 그렇게 뛰어난 투수도 아니고 장기였던 서클 체인지업 구질이 크게 감소해서 예전만한 힘을 전혀 내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새 구종을 연마하는 게 좋을 수도 있다.

2023 시즌 들어서 커터와 다시금 슬라이더를 장착해 포피치 투수로 거듭나고 있다. 커터는 구사율이 10%, 슬라이더는 약 5% 가량이지만, 우타자 몸쪽으로 심하게 꺾여 들어가는 유인구와 심하게 꺾이진 않지만 결정구로 쓸 수 있는 구종을 얻었다. 또한 체인지업의 회전수가 최고 3000을 찍을 정도로 회전율이 높아졌고, 구위도 13시즌 이재학의 모습을 보여주는 중이다.

2024 시즌에는 기존에 던지던 슬라이더에서 그립을 살짝 바꿔 던지고 있다. 피칭 데이터 상으로는 해당 구질의 거의 대부분이 커터로 찍히는데, 애매하게 포피치를 하기보단 더 자신있는 커터에 힘을 줘서 확실한 3구종을 만들려는 것으로 보인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이재학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선발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10 두산 16 0 1 1 0 0 23⅓ 5.01 21 3 13 6 18 1.46 109.52 0.26
2011 1군 기록 없음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선발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12 NC NC 1군 미참가로 인해 기록 없음
2013 27 24 10 5 1 0 156 2.88
(2위)
123 12 59 14 144
(5위)
1.17 68.32
(3위)
4.97
2014 29 28 10 9 0 0 156 4.21 152 16 68 8 131 1.41 83.63 4.84
2015 29 23 10 8 0 1 125 4.10 115 17 58 9 116 1.38 86.70 3.75
2016 26 24 12 4 0 0 127⅔ 4.58 140 19 54 6 134 1.52 90.65 2.85
2017 28 23 5 7 0 0 119 5.67 142 22 41 13 117 1.54 115.20 0.99
2018 29 29 5 13
(1위)
0 0 152⅓ 4.79 157 13 49 10 116 1.35 92.02 3.77
2019 24 23 10 4 0 0 129⅔ 3.75 133 6 43 9 91 1.36 85.76 3.23
2020 19 19 5 6 0 0 90⅔ 6.55 105 14 43 5 61 1.63 131.62 1.01
2021 17 17 6 6 0 0 83 5.20 74 14 52 6 65 1.52 113.65 1.65
2022 26 17 3 8 0 0 83 4.75 75 5 54 8 72 1.42 114.87 1.05
2023 15 13 5 5 0 0 67⅓ 4.54 55 6 33 5 43 1.31 109.25 1.26
2024 21 21 3 12
(1위)
0 0 104⅓ 5.51 108 17 42 4 97 1.44 114.22 1.45
KBO 통산
(13시즌)
306 262 85 88 1 1 1425⅓ 4.60 1400 164 609 103 1205 1.41 97.25 31.08
완투, 완봉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완투 완봉
2013년 2완투 1완봉
2014년 1완투 0완봉
2018년 1완투 0완봉
2021년 2완투 1완봉
KBO 통산
(12시즌)
6완투 2완봉

5. 별명

6. 여담

6.1. 야구 관련

파일:엔씨최다승투수210823.png }}} ||
NC 소속으로 통산 최다 승수 기록을 갖고있는 이재학[23]
파일:엔씨시즌최다승투수221005.png }}} ||
NC 소속 국내 선수 기준으로 한 시즌 최다 승수 기록도 가지고 있다.[24]

6.2. 야구 외

파일:재학허세1.png
2019년 엔튜브 인터뷰 2019 타운홀 미팅 토크쇼를 통해 이 허세썰에 대한 비하인드가 밝혀졌다. 본인은 장난스럽게 이야기했는데 박대온이 살을 붙이는 바람에 재밌게 기사가 나갔다고 하며, 야구공 이외에는 아무것도 던지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도 보여줄 일은 없을 거라고 했다. 허나 20번 정도는 튀길 수 있을 것 같다고 한다.
파일:이재학테크핏.png
}}} ||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NC 다이노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2013 2014 2015 2016 2017
아담 이재학 찰리 해커 맨쉽
<rowcolor=#fff> 2018 2019 2020~2022 2023 2024
왕웨이중 버틀러 루친스키 페디 하트
}}}}}}}}} ||
이재학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4 인천 아시안게임 로고.svg
2014 인천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14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시상식 로고.svg KBO 리그
역대 신인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ba628> 1983 1984 1985 1986 1987
박종훈
OB 베어스 / 외야수
윤석환
OB 베어스 / 투수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건우
MBC 청룡 / 투수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외야수
<rowcolor=#dba628> 1988 1989 1990 1991 1992
이용철
MBC 청룡 / 투수
박정현
태평양 돌핀스 / 투수
김동수
LG 트윈스 / 포수
조규제
쌍방울 레이더스 / 투수
염종석
롯데 자이언츠 / 투수
<rowcolor=#dba628> 1993 1994 1995 1996 1997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류지현
LG 트윈스 / 내야수
이동수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외야수
이병규
LG 트윈스 / 외야수
<rowcolor=#dba628> 1998 1999 2000 2001 2002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투수
홍성흔
두산 베어스 / 포수
이승호
SK 와이번스 / 투수
김태균
한화 이글스 / 내야수
조용준
현대 유니콘스 / 투수
<rowcolor=#dba628> 2003 2004 2005 2006 2007
이동학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오재영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류현진
한화 이글스 / 투수
임태훈
두산 베어스 / 투수
<rowcolor=#dba628> 2008 2009 2010 2011 2012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이용찬
두산 베어스 / 투수
양의지
두산 베어스 / 포수
배영섭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rowcolor=#dba628> 2013 2014 2015 2016 2017
이재학
NC 다이노스 / 투수
박민우
NC 다이노스 / 내야수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신재영
넥센 히어로즈 / 투수
이정후
넥센 히어로즈 / 외야수
<rowcolor=#dba628> 2018 2019 2020 2021 2022
강백호
kt wiz / 외야수
정우영
LG 트윈스 / 투수
소형준
kt wiz / 투수
이의리
KIA 타이거즈 / 투수
정철원
두산 베어스 / 투수
<rowcolor=#dba628> 2023 2024
문동주
한화 이글스 / 투수
김택연
두산 베어스 / 투수
}}}}}}}}}

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
2012 KBO 퓨처스 남부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

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
2012 KBO 퓨처스 남부리그 다승왕

파일:PLAYERS_CHOICE_AWARDS_LOGO_1.png 2013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올해의 신인선수상

파일:스포츠서울.png 2013 프로야구 스포츠토토 올해의 상 올해의 신인상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2061801665_0.jpg 2013 카스포인트 어워즈 최우수 신인상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2014 아시안 게임
류중일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ddd> 투수 1 안지만 · 11 이재학 · 12 임창용 · 21 유원상
22 이태양 · 23 차우찬 · 29 김광현 · 42 홍성무
51 봉중근 · 54 양현종 · 63 한현희
포수 20 이재원 · 47 강민호
내야수 3 김민성 · 7 김상수 · 13 황재균
16 강정호 · 17 오재원 · 52 박병호
외야수 25 나지완 · 31 손아섭 · 48 나성범
49 민병헌 · 50 김현수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조계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윤영환
수비 ·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1] 2025년 옵션 포함 3억 5,000만 원 옵션. [2] 이란성 쌍둥이이다. [3] 기사언급 [4] 2022년 부처님오신날 조계종 불자대상을 받았다. [5] 팔 높이는 스리쿼터까지 올라가지만, 공의 궤적이나 그립 등을 보았을 때 사이드암으로 분류한다. 임창용이 오버핸드 투수가 아닌 것처럼. 본인 또한 사이드암 투수로 인식하고 있다. [6] 컨디션이나 성적이 좋을 때는 쓰리쿼터까지 올라가지만 오히려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땐 사이드암까지 내려간다. [7] 보통의 체인지업은 직구와 같은 투구폼으로 구속과 분당 공 회전수를 줄여 타자의 타이밍을 망가뜨리는 방식이나 이재학은 되려 회전수가 높은 변형 서클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8] 이 서클 체인지업의 그립과 투구폼은 권오준과 꽤 흡사한데, 이는 고등학교 시절 권오준의 그립이 찍힌 사진을 보고 배웠기 때문이다. 이재학의 롤모델 역시 권오준. [9] 박병호는 이재학의 체인지업과 직구의 회전이 완전히 똑같아서 까다롭다고 말했다. 같은 직구인 줄 알고 타이밍을 쟀는데 체인지업이 왔다고 한다. [10] 2020 시즌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로 KBO 리그가 ESPN을 통해 전세계 중계되자 옛 동료 에릭 해커가 트위터를 통해 이재학의 더러운 볼끝에 대해 극찬했고 이것이 기사화되기도 했다. # # [11] 즉 완급 조절이 꾸준히 잘 될 때는 투피치더라도 완급 조절과 레퍼토리 변경을 통해 좋은 결과를 이끌 수 있지만 반대로 완급 조절이 안될 때에는 투피치 특유의 단점이 유난히 강조되는 유형의 투수라고 봐야 하는 것이다. [12] 공의 스피드나 궤적상으로는 완전한 슬라이더는 아니고 커브와 비슷하게 날아간다. 일명 슬러브. [13] 슬라이더가 큰 효과를 보지 못하면서 6월 말 이후로는 슬라이더를 아예 던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7월 이후 등판한 12경기에서 7승을 몰아서 따내며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힘을 보탰다. [14] 한편 이재학은 이대형에게 번트 2루타와 홈런을 전부 내준 적이 있다. 그것도 2016년 한 해에, 5월에 등판 이후 바로 다음 kt전에서 맞았다. [15] 이쪽은 슬라이더 구사율이 20% 언저리에 나중 들어서는 10%도 겨우 될까 한 구사율을 보여주면서 원 피치 투수나 다름없는 상태인데, 투심의 구속을 변화시켜서 패스트볼을 변화구처럼 던지는 투수로서 활약한다는 점이 특이점이다. 150km 중후반대 투심과, 140km 중후반대 투심, 그리고 140km 중후반대 슬라이더의 쓰리피치에 가까운 투수라는 것. 물론 장기인 구속이 10km 가까이 떨어지고 제구가 날리자 2023년 정우영은 크게 부진하고 말았다. [16] XTM 담벼락토크에서 투구수가 많이 늘어날수록 얼굴이 빨개진다고 말했다. 그리고 나온 영상이 2013년 8월 7일 LG전에서 9실점했을 때. [17] 이 문구는 이재학의 개인 첫 완봉승 기념 티셔츠에 적혀있는 문구이기도 하다. [18] 해당 가게에서는 박민우의 이름을 딴 '민우에게 바나나'랑 노진혁의 별명을 딴 '노마토주스'도 팔았다. [19] 신민혁 역시 2022년 5월 <야구에 산다> 인터뷰에서 "이재학 선배는 본인이 던지던 방법에서 어떻게 던지는지와 같은 포인트들을 잘 알려주신다"며 감사를 표했다. [20] 이준호, 이용준, 최성영, 신영우, 임상현 등이 대체선발로 나섰지만 5이닝을 겨우 막거나 조기강판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1] 추가로 같은 토종선발인 김시훈은 초반에 5이닝 정도 꼬박꼬박 먹어주는 등 5선발로써 나름 괜찮은 모습을 보였으니 시즌이 진행될수록 제구가 안 잡히는 모습을 자주 보였고 신민혁도 경기마다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22] 그러나 정작 팀의 창단 첫 우승을 달성한 2020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는 부진 때문에 포함되지 못했다. 커리어 최초 포스트시즌 승리도 2023년 준플레이오프 3차전에서 거두었으니 꽤 늦었다. [23] 2021년 8월 23일 기준. [24] 2022년 10월 5일 기준. 여담으로 해당 인포그래픽 5위 자리의 구창모는 해당 시즌(2022 시즌) 11승으로 마감했다. [25] 2013, 2014, 2018 시즌 총 3회 달성 [26] 통산 기록은 25타수 12안타 2홈런 타율 0.480으로 그럼에도 굉장히 높다. [27] 특히 고척돔 성적이 나쁜데 통산 7경기 4패 ERA 10.71로 승리가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