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슬대전 배틀비드맨의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염주(비드맨) 문서
, 북한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염주군
문서
, 《귀멸의 칼날》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렌고쿠 쿄쥬로
문서
참고하십시오.
불교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 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
세계관 |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 |
상징 | 법륜 · 卍 | |
경전 | 불경 · 결집 | |
종파 |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 |
계율 | 5계 · 오신채 | |
사원 | 절(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 |
미술 | 불상 · 불화( 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 |
법구 |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
의식 | 수계 · 예불 · 불공( 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재( 사십구재) · 참선 · 사경 | |
문화 | 법회( 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 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 |
불자 | 승려( 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 |
기타 | 가부좌 · 사리 · 파계( 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 |
전형적인 108염주와 단주
1. 개요
염주( 念 珠)는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등 인도 계열 종교에서 염불(念佛)ㆍ독경 등을 할 때 손에 들고 번뇌를 없애고 횟수 등을 헤아리는 데 사용하는 법구(法具)를 말한다. 염주를 가리키는 다른 단어로 수주( 數 珠)ㆍ송주( 誦 珠)ㆍ주주( 呪 珠)ㆍ불주( 佛 珠)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염주라 하고, 일본에서는 수주(数珠)[1]라고 한다. 산스크리트로는 자빠말라(japamala)라고 한다. 영어로는 Buddhist rosary[2] 혹은 Buddhist prayer beads라고 한다.이슬람교에서도 염주와 비슷한 수브하를 사용하는데 알은 99개이다, 이슬람에서 사용하는 짧은 기도문 3개(수브한 알라ㆍ알 함두릴라ㆍ알라후 아크바르)를 각 33번씩 하고 마지막으로 이마메(imame)라 불리는 기둥모양의 구슬에서 일라하 일랄라 1번 하므로 작은알 99개, 이마메 1개로 구성된다. 혹은 33번씩 하는 기도를 하고 한바퀴 새로 돌려서 시작하기 때문에 구슬 33개+이마메 1개로 된 것들도 있다. 특히 지크르라는 기도를 하는 수피즘 신자들이 많이들 쓰며 터키와 시리아에 흔한 알라위파에서도 비슷한 기도도구를 자주 사용한다.[3]
2. 기원
변방의 작은 나라 난국(難國)의 왕 파유리(波流離)[4]가 보낸 사신이 왕의 명을 받고 '근심할 일이 많아 일념으로 불도를 닦을 수 없으니, 손쉽게 불도를 닦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달라'고 부처님께 청하자 부처님께서는 무환자나무(목환자)를 깎아 만든 알 108개를 한 줄로 꿰어 이 알을 헤아리면서 불-법-승 삼보의 이름을 부르는 염불법을 가르쳐 주셨다. 덧붙여 이 염주를 항상 지니며 염불하기를 20만 번에 이르면 명이 다해 죽더라도 천상에 태어날 수 있으며, 100만 번에 이르면 모든 번뇌가 사라져 열반에 이를 수 있다고 설하셨다. - 「불설목환자경」[5] |
위 경전은 동진 시대에 번역된 것으로 전해지나 역경사의 존재가 잊혔다. 염주를 착용한 최초의 보살상이 북위 시대로 소급해 올라가는 것을 감안하면, 염주는 기원후 4~5세기 경이 되어서야 대승 불교를 통해서 중국인들에게 존재가 알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인도 대승 불교에서의 염주는 주로 재가 불자가 착용하는 것이었으나, 중국에서는 출가 승려들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도 눈에 띄는 점이다. 중국에서 염주가 염불 수행과 연결되어 널리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정토종의 승려 도작(道綽, 562~645)에 의해서였으며, 7세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염주를 착용한 승려들의 초상화나 목상이 제작되기 시작했다.
여기까지가 불교에서 말하는 염주의 시초이지만, 가톨릭의 묵주나 이슬람교의 타스비흐(Tasbih)[6], 정교회의 콤보스키니(comboschini)[7] 등 전세계의 종교를 통틀어 염주와 비슷하게 구슬을 실에 꿰어 만든 기도도구들이 존재한다. 구슬, 매듭을 이용해 수를 세는 방법은 고대 여러 문명에서부터 수를 세고 기록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을 정도로 아주 흔하고 원초적인 발상이니...
특히 가톨릭에서 쓰는 묵주와 유사해보여서 헷갈리는 사람이 꽤 많다. 불교 염주에서 가톨릭의 묵주가 유래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종종 있으나[8] 근거없는 주장이다. 불교의 염주도 불교 이전 힌두교의 염주(Mala)에서 받아들인 것이거니와, 기도문 횟수를 헤아리고자 헤아림 도구를 만드는 것은 별로 희한한 발상도 아니다. 불교에서 하는 염주와 천주교의 묵주는 기도도구로서의 모습은 비슷하지만, 구체적인 기도방법이며 정확한 유래, 의미는 전혀 다른 물건이다.
3. 염주알의 의미
「금강정유가염주경」에 따르면[9] 구슬들은 보살의 훌륭한 과(果)[10], 이 구슬들의 중간에 구멍을 뚫은 것은 번뇌를 근절시키는 것을, 실로 꿰는 것은 관세음보살, 주불[11]은 아미타불을 의미한다.또 염주알의 재료에 따라 그 공덕이 다르다고 하는데 역시 「금강정유가염주경」에 따르면 자거(硨磲)[12]로 만든 염주 그 복이 1배(倍), 목환자로 만든 염주 그 복이 2배, 철로써 만든 염주 그 복이 3배, 숙동(熟銅)으로 만든 염주 그 복이 4배, 수정과 진주 등 모든 보배로 만든 염주를 굴리면 그 복이 1백 배나 된다고 한다. 제석자(帝釋子)로 만든 염주 그 복이 1천 배, 금강자(金剛子)로 만든 염주 그 복이 구지(俱胝)[13], 연꽃의 씨앗(蓮子)으로 만든 염주 그 복이 1천 구지, 보리자(菩提子, 보리수 나무 열매)로 만든 염주 그 복이 한량없다고 한다.
주의할 점은 경전에서 말하는 보리자는 국내 불교상점에서 파는 보리자가 아니라, 인도에 나는 인도보리수[14] 열매라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절/불교계에서 흔히 보리수/보리수나무라 부르는 것은 피나무속에 속하는 보리자나무(Tilia miqueliana)나 염주나무(Tilia mandshurica var. megaphylla), 찰피나무(Tilia mandshurica)를 뜻한다.[15] 이 나무 열매들은 동그랗고 단단하여 염주알로 사용하기에 좋다.
부처가 그 밑에서 성불했다고 하는 인도보리수(Ficus religiosa)는 무화과나무속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기후 때문에 온실 없이는 자라지 못한다.[16] 그런데 일부 비양심적인 불교매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경전의 '보리수' 구절을 들먹이며 피나무속 나무 열매로 만든 염주로 폭리를 취한다.
수정이나 산호 염주는 국내에서도 진품을 의외로 싼 값에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특히 제주도에 가면 기념품점 곳곳에서 특산물인 흑산호 염주를 판다. 물론 일반 수정 염주보다는 좀 비싸다.
위에서도 언급했듯 불설목환자경에서 목환자(무환자) 열매로 염주를 만들기를 권하기 때문에 알음알음 수요가 있다. 그런데 막상 무환자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혼선이 있다. 불경에서 말한 무환자는 학명을 Sapindus mukorossi 라고 하는데 무환자나무속이고 '모감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역시 '모감주'라고 불리는 다른 나무가 있다. 또다른 모감주나무는 학명이 Koelreuteria paniculata 인데 모감주나무속이다. 둘 다 열매가 염주 만들기 좋게 크기가 적당하고 새카만 데다 명칭도 혼동스러워서 이렇게 되었다. 그래도 나무를 아는 사람 눈에는 두 나무가 구분된다고 한다. 일단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S. mukorossi를 무환자나무, K. paniculata는 모감주나무라고 이름을 붙였다.
일반적으로 염주라고 하면 108염주를 말한다. 108개를 꿰는 이유는 108번뇌를 뜻하는 것으로, 이것을 하나씩 손가락 끝으로 넘기며 염불을 하면 인간의 번뇌를 하나씩 소멸시킨다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주불을 넣어서 108이냐 안 넣어서 108이냐는 항상 소소한 다툼을 일으키는데 이건 그냥 자기 마음대로 하면 된다.
이 외에 108의 절반인 54주는 보살의 수행을 상징하며, 27주는 상좌부 불교에서 수행자들의 27종류를 상징한다.[17] 14주는 ' 관세음보살의 14가지 두려움 없음'을 상징한다. 이 밖에도 보살 수행의 42지위를 상징하는 42주, 보살 수행의 마지막 단계인 십지와 보살이 실천해야 할 10가지 덕목인 십바라밀에 깨달음을 뜻하는 불과(佛果)를 합쳐 21위를 뜻하는 21주 등이 있다.
「금강정유가염주경」에 따르면 염주는 4가지, 즉 상품ㆍ최승ㆍ중품ㆍ하품으로 나눈다. 1080염주는 상품(上品)이고 108염주는 최승(最勝)이고 54염주는 중품(中品), 27염주는 하품(下品)이다.
조선시대에 만든 염주는 흔히 모주(母珠)/주불(主佛)이 두 알 있다. 하나는 현대 염주의 주불과 같은 위치에, 다른 하나는 염주알들의 중간에 있다. 두 주불을 구분하여 상주불(上住佛)/하주불(下主佛)이라고도 불렀다는데, 적어도 흔히 볼 수 있는 자료에서는 두 주불 중 무엇이 상주불이고 무엇이 하주불인지 전혀 나오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하주불은 미륵불을 상징한다고 하니, 현대의 염주에 있는 주불이 상주불, 지금은 사라진 (염주알들의 가운데에 있었던) 것이 하주불이 아닐까.
4. 여담
- 염주 중엔 1000주ㆍ1080주ㆍ3000주 등도 염불이나 절의 회수를 헤아리기 위해 사용되는 염주도 있다. 1000주 정도 되면 보통 일반 염주처럼 양 끝을 연결하지 않는다. 사용법은 한 쪽에 똬리를 만들어 쌓아놓은 뒤 다른 쪽으로 구슬을 하나하나 옮기면서 염불하는 것. 보통 절에 가면 불단 옆에 작은 바구니를 놔두고 그안에 똬리를 틀어서 보관한다. 사용해 보고 싶은 사람은 바구니 채로 들고 가서 쓰고 다 쓴 뒤엔 다시 똬리를 틀어서 제자리에 두면 된다.
- 불자가 아닌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염주는 알이 크고 개수가 적은 단주이다. 사실 단주는 단지 편하게 쓰기 위해 줄어든 염주이다. 스님들도 편의상 단주라고 부를 뿐, 별개의 법구가 아니다.
- 염주를 돌릴 때 종종 가장 큰 구슬인 주불(主佛), 흔히 '주불 구슬'이나 모주(母珠)라고 부르는 알에서 "안에 부처가 계신데 어찌 감히 그냥 굴릴 수 있나?"[18]라고 하면서 주불에서 손가락을 돌려서[19] 돌리던 방향의 역방향으로 다시 돌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 방법은 100% 잘못된 방법이다. 엄밀히 이야기하자면, 불교의 방식이 아니라 힌두교의 염주 사용방식이다. 여러 불교 서적에서 항상 지적된 사항이지만, 이를 고수하는 사람들이 꼭 주변 사람들을 가르쳐서 아직까지 사라지지 않은 이상한 예다. 그러므로 불자들은 그냥 과감히 주불을 넘겨서 돌리는 게 낫다.
- 미국ㆍ 중국ㆍ 유럽ㆍ 일본 등 외국 불자들을 만나보면, 한국 염주의 디자인이 쓸데없는 장식이나 화려함 없이 가장 단순하다. 불교의 가르침에서는 상(相)에 집착함을 경계하는데 화려한 염주에 집착하는 것도 하나의 상(相)이다.
- 일반적으로 흔히 보는 팔에 차고 다니도록 만든 단주나 합장주는 알의 개수가 더 적다. 위에서 말한 대로 숫자를 지켜서 나오는 것도 있지만 그냥 팔에 맞게 만드는 듯. 과거에는 보리자나무 열매로 만들었으나, 지금은 산호ㆍ 수정ㆍ 벽조목[20]ㆍ 복숭아나무ㆍ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무교에는 대추나무와 복숭아나무에 귀신을 쫓는다는 신앙이 있기 때문. 중국에서도 지역에 따라 복숭아나무로 귀신을 쫓을 수 있다는 민간전승이 있다.
- 일본에서는 종파에 따라 염주의 모양이 모두 다르고 알의 개수도 다르다. 정확하게는 모주에 달리는 술의 모양에서 차이가 나뉘고, 종파에 따라 잡는 방법도 다 다르다. 하지만 젊은 사람들은 마음대로 잡는 경우가 많아서 염주를 사면 가게 직원이 잡는 법을 가르쳐주기도 한다. 제일 희한하게 생긴 염주는 정토종 염주. 한국 염주와 가장 비슷한 염주는 선종(임제종ㆍ조동종)의 염주이다.
- 일본에서는 단주를 편수수주(片手数珠), 편수염주(片手念珠) 또는 약식수주(略式数珠)라고 부른다. 그냥 '수주'라고만 부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원래 편수(片手)란 한쪽 팔, 또는 외팔을 가리키지만 여기서는 '약식'이란 뜻으로 쓰였다. 편수수주는 일본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일본 드라마에서 장례식 때 나오는 술 달린 단주가 바로 편수수주인데, 장례식과 제사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불자가 아니더라도 장례식(남의 장례식 포함)이나 제사에 참석하려면 필요해서 한 번 사놓고 쓸 때 말고는 집에 묵혀두는 듯? 편수수주를 왼손에 쥔 채 향을 피운다. 신토 신사에서 신주와 무녀가 쓰기도 하며 일반인들도 많이 쓴다.
일본 정토종의 염주 |
일본 진언종의 염주 |
- 108염주를 두 손으로 잡고 굴릴 경우 옆으로 누운 8자 형태로 가운데를 한번 꼬아 굴리면 두 손의 엄지를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도 굴리기 편하다.
- 프린세스 메이커 3에서는 양딸(리사 앤더슨)의 신뢰도가 60이 초과된 상태에서 양아버지(플레이어)의 생일이 될 때마다 생일선물 중 하나로 염주를 선물하기도 한다.
5. 불교 이외의 종교에서의 사용
-
천도교ㆍ
대종교ㆍ
원불교에서도 흡사한 도구를 사용한다. 천도교에서 사용하는 것은 구슬이 108개가 아나라 105개, 또는 21개이다.[21] 105알로 이루어진 것은 장주/수주
*, 21개짜리는 단주로 구분한다.
천도교의 염주 *
- 대종교에서는 박달나무로 만들었다고 하여 단주(檀珠)라고 한다. 구슬이 366개인 대단주, 216개인 중단주, 72개인 소단주가 있지만, 근래에는 36개, 12개로 된 것을 주로 쓴다. *
- 인도와 가까운 아라비아 반도에서 유래한 이슬람교도 '수브하(subhah)'라고 부르는 염주를 쓴다. 튀르키예는 푸른 염주도 있다.[22] 염주 알은 99개, 알라의 99가지[23] 이름을 딴 것이라고 한다. 이슬람교 염주는 스님들이 염주를 목에 거는 것과 같이 목에 거는 경우도 흔하고 라마단 기간 동안 무슬림들은 염주를 돌리며 쿠란을 암송하고 배고픔을 참기도 한다. 물론 세속화된 터키나 알바니아 등 동유럽 이슬람교 국가들이나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젊은 층은 단순한 악세서리(...) 정도로 여긴다. 반면 이슬람교 신심이 깊은 아라비아 반도나 북아프리카 등은 염주를 진지하게 여긴다. 한국과 가까운 인도네시아만 해도 차에 염주를 매달고 다니는 사람들이 아주 많다.[24]
6. 미디어 매체
- 무협지에선 아무래도 스님들의 필수품이다 보니 불교 계열 캐릭터들이 종종 사용하는 살인무기로 변신한다. 주로 등장하는 패턴은 염주알을 탄지신통 등 무공으로 퉁겨 원거리 공격에 써먹는 방식. 그 외에 주먹에 염주를 감아서 펀치력 강화, 내공을 넣어 빳빳하게 세워서 병장기 비슷하게 써먹는 등 기상천외한 방법이 등장할 때도 있다. 대표적으로 젠야타가 있는데 처음에는 진짜 염주를 던져서 공격하는 방식으로 만들려고 했지만 적당한 재장전 모션이 떠오르지 않아 염주에서 에너지를 발사하는 쪽으로 바꿨다고 한다.
- 온라인 게임 던전앤파이터에서는 배틀 크루세이더와 마공 퇴마사, 무녀가 사용하는 무기 중 하나로 등장한다. 염주알 하나하나가 머리통만한 염주를 휘두른다. 자세한 건 던전앤파이터/아이템/염주 항목으로.
[1]
일본어 발음으로는 (요음으로 인하여)쥬즈(じゅず)
[2]
염주와 묵주는 완전히 다르지만, 형태는 비슷해서 이렇게 번역한다.
[3]
알라위 내진 알레비가
불교ㆍ
조로아스터교ㆍ
투르크 유목민의 무속종교의 영향을 받아 생겼다.
그리스도교 영향도 약간 받아 알리=알라=마흐디라는
삼위일체 개념도 있다. 그래서 알라위 예배에서는 이런 염송기도를 하기도 한다.
[4]
한역 경전의 음역 규칙을 감안했을 때,
산스크리트에서
청금석을 주로 가리키던 어휘인 Vaidurya가 어원일 가능성이 있다.
[5]
K.862(20-1226), T.786(17-726).
[6]
알라의 99가지 이름을 외우기 위해 사용된다. 보통 나무나 준보석 등으로 만든다. 괜히 이슬람 국가인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터키 등에서 차에 염주를 건 현지인을 흔히 보는 게 아니다. 묵주와 달리 타스비흐는 목에 걸기도 하며, 반지 등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일이 없다. 이슬람교의 발상지
아라비아 반도는 인도와 가까워 이슬람교가 발흥하기 이전에는 불교가 전래되어 불교 신자들도 있었고 이슬람교는 불교 영향도 많이 받아왔다. 선(禪)과 비슷한 수피즘도 그렇고 지크르라는 염불도 있다.
[7]
매듭이 12ㆍ33ㆍ50ㆍ100개로 된 양털로 짜인 매듭묵주 비슷한 기도도구. 양털로 만드는 것은 양이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8]
반가톨릭 성향의 개신교인 및 예수불자설을 주장하는 일부 불교도
[9]
K.1273(36-711), T.789(17-727)
[10]
깨달음의 결과를 말한다
[11]
염주에서 제일 큰 염주알을 말한다. 모주(母珠)라고도 한다.
[12]
칠보(七寶)의 하나. 대왕조개(Tridacninae)의 껍질을 가공한 것으로, 옥(玉)에 버금가는 보석으로 흰빛을 띤다. 염주 이외에 바둑돌의 흰돌로 으뜸가는 재료로도 꼽힌다.
[13]
1천만을 뜻함.
[14]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이 나무의 국명을 인도보리수라고 정하였으므로 이에 따라 표기함.
[15]
절에서 '보리수'나 '보리수나무'라고 부르는 나무는 특히 보리자나무인 경우가 많다.
[16]
보리자나무나 염주나무ㆍ찰피나무는 피나무과 피나무속이고, 인도보리수는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이므로 생물학적으로 거의 연관이 없으며, 외견상으로도 차이가 크다. 보리자나무ㆍ염주나무ㆍ찰피나무는 열매로 염주를 만들기 좋아서 절에서 많이 심었으므로 흔히 '염주나무'라고 불렸다. 절에서 자주 보며 염주를 만드는 나무니까 자연스럽게 보리수를 떠올려 보리수라고도 부르다가 명칭에 혼란이 생겼을 것이다. 게다가 완전히 종류가 다른데도 이름이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인 나무도 있어서 그야말로 명칭이 혼동의 도가니.
[17]
더 배워야 할 18학인(學人)과 더 배울 필요가 없는 수준에 이른 9무학인(無學人)을 가리킨다.
[18]
주불 안에
부처나
보살들의 작은 사진을 넣어서 파는 염주가 많다. 이러한 양식은 일본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호불호가 심하다. 사진이 들어간 주불은 보통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서, 일반 나무로 만든 염주 사이에 놓으면 보기에 좀 흉한 데다가 촉감도 괴리감이 크기 때문. 게다가 가끔 보면 주불보다 일반 구슬이 더 큰 염주도 있다. 그래서 요즘엔 어울리게 나무로 만들기도 한다.
[19]
엄지손가락을 모주 아래로 내려서 손가락 위를 타고 어떻게 돌린다.
[20]
벼락 맞은
대추나무. 하지만 진짜로 벼락을 맞은
대추나무는 천금을 주고도 구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시중의 벽조목은
대추나무에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만든다. 진짜 벽조목은 비싼 돈 주고 예약해도 구하기 어렵다.
[21]
알 수의 의미에 대해서는 21자로 이루어진 삼칠주와 오행과 관련이 있다고 하나(21x5=105) 다른 견해도 있는 듯
하다.
[22]
푸른 염주는
튀르크 무속 신앙의 영향. 흉한 눈이라는 귀신의 시선을 피하고자 눈깔 모양의 푸른 염주를 쓰며 튀르키예 외에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중국의
위구르, 러시아의
타타르 등 다른 튀르크권에서도 볼 수 있다.
[23]
'100번째 이름은
낙타들만이 알고 있다고 전해진다'는 전설이 있다는데, 이는 개신교인들이 무슬림을 전도할 때 그 100번째 이름이 예수라는 식으로 알려주며 접근하기 위해 만들어낸 낭설에 불과하다.
[24]
공교롭게 이웃
태국도 염주를 차에 거는 경우가 흔하다. 태국은
불교,
인도네시아는
이슬람교 염주이다. 애초 두 종교가 서로 가까운 데서 생겨 이슬람교는 불교의 영향도 많이 받았는데 카르마(업)라는 개념, 선과 비슷한 수피즘, 이슬람 염불인 지크르, 그리고 미륵과 어원이 같은 이슬람 구세주인 마흐디 등이 그 예.
이란 등
시아파는 불교 탱화의 영향으로 알리의 모습을 그린 종교화를 숭앙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