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20:06:35

서진용

어싱싱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진용의 2024 시즌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서진용/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11 백승건 · 15 고효준 · 19 조병현 · 22 서진용
· 28 송영진 · 29 김광현 · 33 앤더슨 · 34 한두솔
· 38 노경은 · 42 문승원 · 43 시라카와 · 47 오원석
· 92 이로운
2군
16 이건욱 · 21 허민혁 · 32 신헌민 · 41 박민호
· 46 이승훈 · 48 안현서 · 50 박종훈 · 51 정동윤
· 55 엘리아스 · 57 박시후 · 61 서상준 · 62 최수호
· 67 최민준 · 68 류현곤 · 90 박기호 · 94 최현석
· 00 박성빈 · 03 윤성보 · 04 변건우 · 08 이찬혁
· 09 임성준
최종 편집: 2024년 6월 25일
프런트 코칭스태프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군 입대 선수 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서진용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정상호 김지완 송은범 박권수 최정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이재원 김광현, 나현수 (2) 황건주 김태훈 문광은 (1)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rowcolor=#f00> 서진용 (1) 문승원 (1) 이경재 (1) 이건욱 이현석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정동윤 이원준 김정우 백승건 오원석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김건우 윤태현 이로운 (1) 박지환 (1) (1)
(1) 전면 드래프트 시행연도
(2) 지명 후 미입단
}}}}}}}}}

파일:브리온컴퍼니 로고(투명,화이트).png
브리온컴퍼니 소속 운동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진종오 김정환 구본길 오상욱 나아름 최다빈
곽윤기 임효준 정재원 백승호 최주환 한유섬
박민호 서진용 하주석 김민성 이창진 오선우
이형종 이정용 김영준 이보근 김성욱 최정원
이종욱 김민혁 김재웅 최지훈 강진성 오원석
김사윤 이태양 정근우 이찬솔 박민서 김라경
김아랑 홍지원 임은빈 문정민 김윤교 최예본
정주리 이세희 박도은 문도엽 김홍택 박승
박서령 유영 윤동희
}}}}}}}}} ||

서진용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4.svg 파일:SSG 랜더스 우승 엠블럼 V5.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18 2022

파일:2022 KBO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23 KBO 올스타전 로고.svg
KBO 리그 올스타[1]
2022 2023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 KBO 리그
역대 세이브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황규봉
삼성 라이온즈 / 11SV
황태환
OB 베어스 / 14SV
윤석환
OB 베어스 / 25SV
권영호
삼성 라이온즈 / 26SV
김용수
MBC 청룡 / 26SV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용수
MBC 청룡 / 26SV
이상군
빙그레 이글스 / 16SV
김용수
MBC 청룡 / 22SV
송진우
빙그레 이글스 / 27SV
조규제
쌍방울 레이더스 / 27SV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송진우
빙그레 이글스 / 17SV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31SV
정명원
태평양 돌핀스 / 40SV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33SV
정명원
태평양 돌핀스 / 26SV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상훈
LG 트윈스 / 37SV
임창용
해태 타이거즈 / 34SV
임창용
삼성 라이온즈 / 38SV
진필중
두산 베어스 / 42SV
진필중
두산 베어스 / 23SV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진필중
두산 베어스 / 31SV
이상훈
LG 트윈스 / 30SV
조웅천
SK 와이번스 / 30SV
임창용
삼성 라이온즈 / 36SV
정재훈
두산 베어스 / 30SV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47SV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40SV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39SV
이용찬
두산 베어스 / 26SV
애킨스
롯데 자이언츠 / 26SV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 26SV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47SV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37SV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 46SV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 32SV
임창용
삼성 라이온즈 / 33SV
김세현
넥센 히어로즈 / 36SV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손승락
롯데 자이언츠 / 37SV
정우람
한화 이글스 / 35SV
하재훈
SK 와이번스 / 36SV
조상우
키움 히어로즈 / 33SV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44SV
<rowcolor=#fff> 2022 2023
고우석
LG 트윈스 / 42SV
서진용
SSG 랜더스 / 42SV
* 세이브왕은 2004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파일: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jpg 2023 조아제약 프로야구대상 최고구원투수상

보유 기록
단일 시즌 노블론-30세이브[2] 2023년
역대 최장 단일 시즌 개막 후 연속 노블론세이브 34세이브[3]

SK 와이번스 등번호 95번
추경식
(2010)
<colbgcolor=#ff6600><colcolor=#fff> 서진용
(2011)
한동민
(2012)
SK 와이번스 등번호 43번
임성헌
(2011)
서진용
(2012)
전유수
(2013~2015)
SK 와이번스 / SSG 랜더스 등번호 22번
이만수
(2007~2014)
서진용
(2015~)
현역
}}} ||
}}} ||
파일:서진용 다음스포츠.jpg
<colbgcolor=#ce0e2d><colcolor=#fff> SSG 랜더스 No.22
서진용
徐眞勇 | Seo Jinyong
출생 1992년 10월 2일 ([age(1992-10-02)]세)
부산광역시 서구
거주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남부민초 - 대동중 - 경남고
신체 184cm | 88kg | B형
포지션 마무리 투수[4], 중간 계투[5]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1년 1라운드 (전체 7번, SK)
소속팀 SK 와이번스- SSG 랜더스 (2011~)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2년 12월 24일~2014년 9월 23일)
연봉 2024 / 4억 5,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Alan Walker - 〈The drum〉 (2023~)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종교 개신교[6]
소속사 브리온컴퍼니[7]
반려견 이월이[8]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 파일:SSG 랜더스 심볼(적색배경).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9]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별명5. 여담
5.1. 외모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SSG 랜더스 소속 우완 투수.

SSG 랜더스 구단 프랜차이즈 선수이자[10] 블론세이브를 공식적으로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KBO 최초 단일 시즌 노블론 30세이브를 달성했고 KBO 역대 최장 단일 시즌 개막 후 연속 노블론 기록과 SK-SSG 구단 단일 시즌 최다 세이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리그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30홀드와 30세이브 이상을 모두 해본 선수이다.

2017년 트레이 힐만 감독 부임 아래 본격적으로 1군에서 중용받기 시작했지만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해 팀의 아픈 손가락으로 남았으나, 2019년에 포텐이 완벽히 터지며 그 이후로 팀 불펜진의 한 축을 맡고 있다.

2. 선수 경력

서진용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서진용/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1년 2012년 군 복무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JYSEOPITCH.gif
149km/h 포심 패스트볼
vs 김성욱 (2019년 5월 24일)
우완 정통파 스타일의 투수로, 인버티드-W형 투구폼으로 투구한다. 과거 패스트볼 최대 구속은 153km/h에 평균 패스트볼 구속은 146km/h 정도였고, 상무 시절에는 최대 155km/h까지 던졌었다. 2019년에는 와일드한 폼을 조금 수정해서 부상 위험을 줄였으며, 이로 인해 제구력이 좋아졌고 구속은 약간 줄어서 평균 구속 145km/h, 최고 구속 151km/h가 찍혔다. 그러나 2020년 이후로는 그동안의 무리 때문인지 평균 구속이 143~4km/h대로 떨어져 이전처럼 150km/h을 뻥뻥 꽂아대는 모습은 볼 수 없게 되었다. 그로 인해 K/9은 8.2 정도까지 떨어졌고 제구도 많이 안 좋아져서 BB/9은 5가 넘어가고 있다.
파일:서진용 투구.gif
130km/h 포크볼
vs 박동원 (2023년 4월 26일)
파일:서진용 슬라이더.gif
125km/h 슬라이더
vs 이재현 (2023년 4월 12일)
변화구는 평속 131km/h의 포크볼과 슬라이더가 있다. 특히 포크볼은 본인의 주무기로 가장 위력적이며 서진용의 포크볼은 리그에서도 손 꼽히는 주무기이다.[11] 최근에는 투수들이 포크볼보다 스플리터를 많이 구사하는 추세이지만, 서진용은 데뷔 때부터 스플리터가 아닌 정통 포크볼을 구사하는 편이다. 탈삼진 비율도 가장 높은 편인데 2015년 21⅓이닝 동안 24개의 탈삼진을, 2016년 26⅔이닝 동안 30개의 탈삼진을 기록했고 2023년엔 리그 전체 포크볼 구종 가치 1위에 이름을 올렸다. 2016년까진 패스트볼과 포크볼의 투피치형 투수였으나, 17~18년은 패스트볼의 비율을 낮추고 슬라이더의 비율을 높이며 쓰리피치형 투수가 되었다. 그러나 2019년 이후엔 슬라이더의 구사율을 4% 남짓까지 줄이고 포심-포크볼을 55%-40% 정도 구사하는 투피치형 투수가 됐다. 물론 슬라이더를 아예 안 던지는건 아니고 지금도 간간히 던지는 구종이지만 본인 스스로도 패스트볼과 포크볼만큼 매력적인 구종은 아니라고 할 정도로 구종 가치가 썩 높진 않다.
파일:서진용 커브.gif
121km/h 커브
vs 박경수 (2019년 3월 24일)
지금은 구사하진 않지만 과거에 구사했던 구종으로 평속 120km/h의 커브가 있었다. 좋은 제구와 무브먼트를 지녔고 기록상으로도 2019년 기준 컨텍률, 피안타율, 피OPS 등이 포크볼 다음으로 좋지만, 선수 본인이 자주 던지지 않았다. 2019년 등판한 72경기에서 커브볼을 던진 경기는 13경기에 불과했고 이후에는 아예 봉인해버리며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투구폼도 데뷔 초반에 비해 많이 수정했는데 2019 시즌에는 키킹 동작을 없애고 투구폼을 간결하게 수정했고 덕분에 구속은 좀 줄었어도 제구가 좋아졌고 멘탈부분도 매우 좋아져 SK 불펜진의 계륵에서 No.1 필승조가 되기도 했었다.

2022년부터는 넓은 스트라이크 존을 이용해 빠른 구속을 이용하는 대신 맞춰잡는 피칭 스타일로 바꾸었다고 한다. 범타 유도가 많아져 삼진 비율은 줄었지만, 볼넷 비율과 이닝 당 투구수 등도 감소하여 효율적인 승부를 벌이고 있다.

그런데 2023년 들어서 갑자기 스스로 주자를 쌓다가 득점권 위기에서 스스로 불을 끄는 롤러코스터 피칭을 선보였다. 특히 볼넷을 많이 허용해 이 때문에 이닝당 출루 허용률은 1점대 중반으로 마무리 투수치고 매우 나쁜 편이다.

즉 정리하자면, 제구력이 뛰어난 편은 아니고 강한 구위와 주무기 포크볼로 피칭하는 구위형 투수이자 전형적인 투피치형 투수다. 다만 제구가 애매하고[12] 던지는 구종이 단순해서 터프한 상황에서 올리면 자주 볼카운트가 몰리고 그래서 존에 욱여넣은 패스트볼이나 포크볼이 간파당해 얻어터지는 경우가 잦다. 본격적으로 1군에서 마무리를 맡았던 2017 시즌 기록을 보면 완전히 넘어간 경기나 5점차 이상의 리드 상황에 등판했을 경우에는 오승환이 되는데 4점차 리드부터는 블론왕이 됐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서진용의 가장 큰 장점은 따로 있는데, 바로 내구성과 꾸준함. 커리어 전체를 봤을 때, 지금까지 입어본 큰 부상은 입단과 동시에 입은 무릎 부상과 2015 시즌에 토미 존 수술, 2023 시즌이 끝나고 팔꿈치 뼛조각 제거 및 골극 제거술 말고는 크게 다친 경우는 없으며, 부진하지 않는 이상 1군에서 엔트리 말소 없이 꾸준하게 경기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필승조로 도약한 2019년부터 소화한 경기 수와 이닝 수를 보면 2019년에는 72경기에 69이닝, 2020년은 60경기에 61이닝, 2021년은 65경기에 67⅓이닝, 2022년은 68경기에 67⅓이닝, 2023년은 69경기 73이닝을 소화하며 이 기간동안 구원 투수 중 리그 전체 경기 수와 이닝 수 부문에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큰 부상없이 꾸준하게 풀타임을 소화해주며 팀 불펜에 큰 보템이 돼주고 있다.

다만, 이로 인해 단점도 보유하고 있는데 바로 9월 이후에 접어들면 성적이 좋지 못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통산 월별 성적을 보면 9월 이후에 성적이 가장 좋지 못하고 그나마 성적이 좋았던 경우는 2021년 말고는 없었다. 그래서 9월 이후가 되면 구속과 구위 저하와 제구 난조가 극명하게 드러나 실점을 많이 하는 모습을 보인다. 세이브왕을 했던 2023년에도 8월까진 1점대 ERA에 블론세이브는 단 한 차례에 불과했으나, 9월 이후엔 폼이 저하되며 블론세이브도 급증하게 됐고 결국 2점대 중반 ERA에 6개의 블론세이브를 한 채 시즌을 끝마쳤다. 이 부분은 본인 만의 문제가 아니라 시즌 초반부터 누적된 피로로 인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대표적인 슬로 스타터인데, 본인 스스로 인터뷰를 통해 본인은 슬로 스타터라고 말할 정도로 개막 이후 4월까지는 구속이나 구위 모두 올라오지 않다가 5월 이후엔 폼이 올라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전임 감독이였던 김원형 감독이 질책을 주기도 했다. 하지만 2023년엔 개막부터 구속과 구위가 올라온 모습을 보이며 시즌 초부터 순항했고, 그 결과 생애 첫 세이브왕에 올랐다.

또한, 오래 쉬고 나오면 제구가 흔들려 불안한 모습을 많이 노출한다. 특히 2023년에 마무리를 맡으면서 이러한 부분이 극명하게 나타났는데,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등판할 땐 오히려 제구가 불안해져 볼넷을 많이 내주고 본인 스스로 위기를 자초하는 반면, 연투나 잦은 등판을 하면 제구가 잡혀 좋은 투구 내용을 보여준다. 그래서 쉬고 나오면 셀프혹사를 시전해 본인 스스로 다음 날에 연투를 하지 못하게 만든다...
파일:서진용 견제.gif
황성빈을 견제사로 잡아내는 장면 (2022년 5월 24일)
주자 견제는 극과 극을 오간다. 픽오프 자체는 2022년 5월 24일 롯데전에서 한 경기에 2개의 견제사를 잡아냈을 정도로 빠르고 정확하다. 그러나 슬라이드 스텝은 빠르지 않고 투구 동작이 크기 때문에 좋은 견제 능력과 아무리 포수들이 송구를 빠르고 정확하게 가져갔음에도 불구하고 도루 허용이 많다. 통산 41번의 도루 시도 가운데 12번만 저지해내 도루저지율이 29.2%에 그치며, 특히 2023 시즌에는 11번의 도루 시도를 단 한 차례도 잡아내지 못했다.

가장 큰 단점은 멘탈. 특히 마무리 보직을 맡을 때 멘탈이 흔들렸는데, 처음 마무리를 맡았던 2017 시즌엔 마무리의 압박감과 부담감을 이겨내지 못하고 블론세이브를 많이 하며 결국 마무리 보직에서 내려오게 됐다. 이후 한번 더 마무리를 맡았던 2020 시즌과 2021 시즌에도 불안하고 흔들리는 모습을 많이 보였고, 잦은 블론을 저지르며 결국 마무리 보직을 내려놓게 됐다. 특히 흔들릴 때 나타나는 특징으로 얼굴이 붉게 달아오르거나, 직구는 거의 안던지고 아무도 속지 않는 포크볼만 던져 도망가는 피칭을 보인다. 반대로 마무리가 아닌 셋업맨과 같은 중간 계투 보직을 맡으면 정반대의 피칭을 보여주는데, 이에 대해 본인도 멘탈 문제였다고 말할 정도로 약한 멘탈을 인정했다. 그리고 2023 시즌엔 커리어 첫 풀타임 마무리 투수로 활약해 세이브왕까지 거두며 어느 정도 멘탈 문제를 개선했다.

4. 별명

파일:서즈메의 문단속.jpg

5. 여담


파일:글러브 입.jpg
파일:이정후 더그아웃 매거진 2019년 100호 (8월호) 커버.jpg

5.1. 외모

파일:서진용 시상식.jpg
파일:서진용 리즈.gif
파일:서진용2.gif
파일:서진용 실물.gif
파일:서진용 외모.gif

6. 관련 문서



[1] 감독 추천 2회. [2] 2006년 이후 KBO 역대 최초, 왜냐하면 2005년까지는 블론세이브를 공식적으로 집계하지 않았고 2006년부터 공식 집계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3] 2023년 [4] 2017년 처음으로 마무리로 기용됐지만, 나올 때마다 블론을 저지르며 결국 시즌 중 중간계투로 보직을 옮겼다. 이후 20시즌 후반기부터 21시즌 중반까지 다시 마무리 보직을 맡았으나 역시나 불안한 모습을 보였고, 다시 마무리에서 중간계투로 보직을 옮겼다. 22시즌 초중반에는 모처럼 마무리로 좋은 활약을 했으나 후반기에 체력 문제로 부진한 활약을 보이자 결국 마무리 보직을 내려놓게 됐지만, 23시즌엔 개막부터 시즌 끝까지 풀타임 마무리로 좋은 활약을 보였고 생애 첫 세이브왕까지 수상했다. 정리하자면, 마무리를 맡을 때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고 2023년 이전까지는 단 한 번도 풀타임 마무리로 시즌을 끝까지 완주한 적은 없었다. [5] 2017년 중반부터 2018, 2019, 2020년 중반까지, 2021년 후반부터 2022년 초반까지 셋업맨으로 활약했다. 즉, 마무리를 맡지 않을 때는 중간계투로 나와서 활약했다고 생각하면 된다. [6] 참고 [7] 같은 팀 한유섬, 박민호, 최지훈, 오원석과 같은 소속이다. [8] 포메라니안(암컷), 2019년 6월 2일 한화전에서 도그데이를 맞아 문학구장에 오기도 했다. # 지금은 본가인 부산에 내려가있다. [9] 계정을 삭제했다가 2022 시즌을 앞두고 다시 개설했다. [10] 현재 SSG 선수단 중 최정, 김성현, 고효준, 김광현, 박종훈 다음으로 SK-SSG에서 오랫동안 뛰고 있는 선수이다. [11] 김원중, 이용찬, 김진성과 함께 포크볼을 가장 잘 던지는 투수로 꼽힌다. [12] 대부분의 공이 위로 날아오르거나 아니면 아래로 꽂히는 일이 정말 많다. [13] 그러나 많은 기회를 받았음에도 힐만 감독 부임 기간 동안엔 성적이 좋지 못했고 팀의 아픈 손가락으로 남았으나, 오히려 힐만 감독이 떠나고 그 다음 해인 2019년에 포텐이 터졌다. [14] 일단은 영화 홍보차 시구하러 온 것이지만, 정주원 본인도 인천 출신에 SK시절부터 찐 팬이었다. [15] 헤이 강민, 성현 르메휴 [16] 유명 선수 중에는 선동열과 같은 애주가가 많았고 류현진은 흡연과 관련한 논란이 빚어질 정도의 골초다. 다만 어디까지나 야구가 술담배에 대해 덜 빡빡하다는거지 관대하다는 것이 절대 아니다. 일반인에게도 몸을 해롭게 하는 술과 담배인데 아무리 건강하고 운동능력이 탁월한 야구선수라고 해도 지나친 음주와 흡연이 좋을 리 없다. [17] 그리고 다시 염색을 하고 맞이한 21시즌 후반기엔 김택형과 함께 불펜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고, 22시즌에도 좋은 활약을 이어갔다. [18] 다만 이날 음주를 많이 했는지 본인의 인스타 라이브에서 눈이 풀린 모습을 보였다... [19] 코칭스태프 중에선 같은 동갑내기로 오준혁이 있지만 엄연히 코치이고, 박민호는 1992년생이지만 빠른년생이라 형이라고 부른다. [20] 이 때문에 프로듀스 101 시즌2 방송 당시 부진하면 더 나이 들기 전에 차라리 프듀에 나가라는 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21] 다만 본인이 MLB에 가기 전과 비교했을 때, 많이 늙어서 외모가 죽었다고도 말했다..., 또한 후에 김광현은 구단 유튜브에서 외모 원탑은 진용이라는 말을 하여 일관된 마음가짐을 볼 수 있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