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10:37:36

박경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박경수(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kt wiz 엠블럼.svg kt wiz
2024 시즌 내야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7 김상수 · 10 황재균 · 14 천성호 · 34 이호연
· 50 강백호 · 52 박병호 · 56 신본기
2군
'''4 오윤석 · 5 강민성 · 6 박경수 [[주장|
C
]] · 9 김철호
· 16 장준원 · 25 박민석 · 35 윤준혁 · 36 류현인
· 39 양승혁 · 93 김성균 · 98 김대현 · 108 박정현
· 109 박태완 · 116 유준규'''
2024년 4월 20일 경기 기준
코칭스태프 투수 포수내야수 외야수 군 입대 선수 등록 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박경수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KBO 리그
주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30452>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LG 트윈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조호 (1) {{{#!folding (12명) {{{#!folding (8명) {{{#!folding (9명) {{{#!folding (7명)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노찬엽
정태관
김영직
이국성
이용철
김상호
김기범
최훈재
나웅
김동수
이병훈
송구홍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임선동 이상훈 유지현 심재학 이정길
{{{#!folding (고졸)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이병규
{{{#!folding (고졸)
조인성
{{{#!folding (고졸)
김상태
{{{#!folding (고졸)
최경환 이동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김광희 박경수 장진용 박병호 김기표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1) 2011년 (1)
봉중근
김유선
이형종 오지환 신정락 (1) 임찬규 (1)
2012년 (1) 2013년 (1) 2014년 2015년 2016년
조윤준 (1) 강승호 (1) 임지섭 김재성 김대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고우석 김영준 이정용 이민호 강효종
2022년 2023년 (1) 2024년 (1) 2025년 (1) 2026년 (1)
조원태 김범석 (1) 지명권 양도
(1) 전면 드래프트 시행연도
(2) 지명 후 미입단
}}}}}}}}}

박경수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타자 마일스톤 기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0안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양준혁
(1993~2010)
2007년 / 2318안타
전준호
(1991~2009)
2008년 / 2018안타
장성호
(1996~2015)
2012년 / 2100안타
이병규
(1997~2016)
2014년 / 2043안타
홍성흔
(1999~2016)
2015년 / 2046안타
박용택
(2002~2020)
2016년 / 2504안타
정성훈
(1999~2018)
2016년 / 2159안타
이승엽
(1995~2017)
2016년 / 2156안타
박한이
(2001~2019)
2016년 / 2174안타
이진영
(1999~2018)
2017년 / 2125안타
김태균
(2001~2020)
2018년 / 2209안타
최형우
(2002~)
2021년 / 2323안타
손아섭
(2007~)
2021년 / 2416안타
이대호
(2001~2022)
2021년 / 2199안타
이용규
(2004~)
2022년 / 2076안타
김현수
(2006~)
2022년 / 2236안타
최정
(2005~)
2023년 / 2133안타
황재균
(2006~)
2023년 / 2040안타
강민호
(2004~)
2024년 / 2000안타
}}} ||
300홈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종훈
(1986~2005)
2000년 / 340홈런
이승엽
(1995~2017)
2003년 / 467홈런
양준혁
(1993~2010)
2006년 / 351홈런
심정수
(1994~2008)
2007년 / 328홈런
박경완
(1991~2013)
2010년 / 314홈런
송지만
(1996~2014)
2010년 / 311홈런
박재홍
(1996~2012)
2012년 / 300홈런
이호준
(1994~2017)
2015년 / 337홈런
이범호
(2000~2019)
2017년 / 329홈런
김태균
(2001~2020)
2018년 / 311홈런
최정
(2005~)
2018년 / 458홈런
이대호
(2001~2022)
2019년 / 374홈런
최형우
(2002~)
2019년 / 373홈런
박병호
(2005~)
2020년 / 380홈런
강민호
(2004~)
2022년 / 319홈런
}}} ||
500도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전준호
(1991~2009)
2005년 / 549도루
이종범
(1993~2011)
2009년 / 510도루
이대형
(2003~2019)
2017년 / 505도루
}}} ||
같이 보기: KBO 리그 투수 마일스톤 기록
}}}}}}}}} ||

파일:kt wiz 우승 엠블럼 V1.pn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21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2023 KBO 한국시리즈 엠블럼.svg KBO 한국시리즈
역대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 1983 1984 1985 1986
김유동
OB 베어스 / 외야수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유두열
롯데 자이언츠 / 외야수
-[1] 김정수
해태 타이거즈 / 투수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준환
해태 타이거즈 / 외야수
문희수
해태 타이거즈 / 투수
박철우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용수
LG 트윈스 / 투수
장채근
해태 타이거즈 / 포수
1992 1993 1994 1995 1996
박동희
롯데 자이언츠 / 투수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김용수
LG 트윈스 / 투수
김민호
OB 베어스 / 내야수
이강철
해태 타이거즈 / 투수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내야수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투수
구대성
한화 이글스 / 투수
퀸란
현대 유니콘스 / 내야수
우즈
두산 베어스 / 내야수
2002 2003 2004 2005 2006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 지명타자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조용준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2007 2008 2009 2010 2011
김재현
SK 와이번스 / 지명타자
최정
SK 와이번스 / 내야수
나지완
KIA 타이거즈 / 외야수
박정권
SK 와이번스 / 내야수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 투수
2012 2013 2014 2015 201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나바로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정수빈
두산 베어스 / 외야수
양의지
두산 베어스 / 포수
2017 2018 2019 2020 2021
양현종
KIA 타이거즈 / 투수
한동민
SK 와이번스 / 외야수
오재일
두산 베어스 / 내야수
양의지
NC 다이노스 / 포수
박경수
kt wiz / 내야수
2022 2023
김강민
SSG 랜더스 / 외야수
오지환
LG 트윈스 / 내야수

[1] 삼성 라이온즈의 전후기 통합우승으로 인한 한국시리즈 미개최.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 KBO 골든포토상
역대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4 1995 1996 1997 1998
김경기
태평양 돌핀스
이상훈
LG 트윈스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서용빈
LG 트윈스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1999 2000 2001 2002 2003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정수근
두산 베어스
홍성흔
두산 베어스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이진영
SK 와이번스
2004 2005 2006 2007 2008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진갑용
삼성 라이온즈
이범호
한화 이글스
이종욱
두산 베어스
강민호
롯데 자이언츠
2009 2010 2011 2012 2013
나지완
KIA 타이거즈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김광현
SK 와이번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2014 2015 2016 2017 2018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유희관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 선수단
두산 베어스
양현종
KIA 타이거즈
한동민
SK 와이번스
2019 2020 2021 2022 2023
배영수
두산 베어스
양의지
NC 다이노스
박경수· 유한준
kt wiz
김강민
SSG 랜더스
오지환
LG 트윈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kt wiz 엠블럼.svg kt wiz
역대 주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2014 2015 2016~2018 2019~2020 2021
신명철 신명철
이대형 (임시 주장)
박경수 유한준 황재균
2022~
박경수
}}}}}}}}}}}}}}} ||

LG 트윈스 등번호 13번
최창호
(2000~2002)
<colbgcolor=#000><colcolor=#fff> 박경수
(2003~2004)
백자룡
(2005)
LG 트윈스 등번호 6번
유지현
(1994~2004)
박경수
(2005~2011)
윤진호
(2012)
윤진호
(2012)
박경수
(2014)
백창수
(2015)
kt wiz 등번호 6번
심우준
(2014)
박경수
(2015~)
현역
}}} ||}}} ||
파일:2024박경수.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 kt wiz No.6
C
박경수
朴慶洙 | Park Kyungsu
출생 1984년 3월 31일 ([age(1984-02-20)]세)
서울특별시 관악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미성초 - 성남중 - 성남고
신체 178cm, 80kg
포지션 2루수, 유격수[1]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3년 1차 지명 ( LG)
소속팀 LG 트윈스 (2003~2014)
kt wiz (2015~)
병역 공익근무요원 (2012~2013)
연봉 2억 원 (동결, 2024년)
등장곡 서문탁 - 《My Life》[2]
응원가 노라조 - 《 우리동네 HERO》(2019~)[3][4]
버즈 - 《 나에게로 떠나는 여행》(2016~2017, 2022~)[5][6][7]
[ 이전 응원가 보기 ]
LG 트윈스 시절
은방울 자매 - 《닐리리 맘보》[8][9] 듣기
춘자 - 《Bomming》[10][11]
kt wiz 시절
FT아일랜드 - 《바래》(2015~2017)[12][13][14]
구단 자작곡 (2018)[15]
종교 불교
가족 부모님, 형, 아내, 슬하 2녀
소속사 리코스포츠에이전시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
5.1. 박경수 나비효과(?)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t wiz 소속 우투우타 내야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박경수/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03년 2004~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아마 시절 야수 최대어로 주목 받으며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오랜 기간 기회를 받았지만 기대만큼의 모습은 보이지 못하였고, kt wiz로 이적 후 성적이 급상승하며 팀의 간판 선수이자 덕아웃 리더로 자리 매김하였다.

2021년 한국시리즈에서 시리즈 내내 뛰어난 호수비와 3차전 결승 솔로 홈런 등의 활약으로 kt의 창단 첫 통합 우승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3차전 도중 종아리 파열 부상으로 안타깝게 이탈했지만 강력한 임팩트로 한국시리즈 MVP에 선정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성남고등학교 시절 "기본만 해도 박진만, 잘하면 이종범이 될 재목이다"라는 평가를 받으며 공수주를 겸비한 유격수로 주목받았다. 고교 야수 최대어로 LG 트윈스에 계약금 4억 3천 만원을 받으며 입단하였으나, 기회를 많이 받았음에도 빛을 보진 못하였다. 아마 시절 보여준 자질은 서른 나이에 이적한 kt wiz에서 비로소 발휘되어, 2015년부터 매해 두자리수 홈런을 쏘아올리는 장타력과 리그 수준급의 선구안을 자랑하며 어느 타순에서든 윤활유 역할을 하는 수준급 타자가 되었다. 포심 대처 능력은 평범하지만 변화구와 실투를 노려 장타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뛰어나 리그 2루수 중 가장 많은 홈런을 치는 타자가 되었다. 2022 시즌을 마친 현재까지 누적 홈런은 160개(LG 12시즌 43개, KT 8시즌째 117개)로 역대 2루수 최다 홈런 1위이다.[16]

LG 시절 타격이 부진했을 때도 수비력은 준수했다. 성남고 시절 촉망받는 유격수였고 우여곡절 끝에 2루수에 정착했지만 아마추어 시절 주포지션이었던 유격수 및 내야 전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다. 어깨는 부상 이후로 좀 약해졌지만 러닝 스로나 병살 처리도 합격점. 정근우 고영민에 비해 안정성 측면에 집중한 수비수로 본 문서에 기록되어있었지만 현재 이들이 모두 은퇴한 2021년에도 나이가 무색한 모습을 보이며 kt의 내야수비 지표를 리그 전체 1위에 붙박아두고 있다. 역모션 송구, 까다로운 병살 처리 등 쉽지 않은 난이도의 수비를 에이징 커브가 와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에 거뜬히 해내고 있는 것. 타격 능력이 사실상 죽어버린 2020년 이후에도 수비 능력만큼은 죽지 않았다.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이지만, KBO 2루수 연속경기 무실책 기록 역대 1위이다. 107경기 연속 무실책으로 2위 안경현의 71경기와 36경기나 차이가 난다.

트윈스 시절에는 유리몸이었다. 2003년 팔꿈치, 2004~2005년 어깨 탈구, 2009년 손목인대에 이어서 2010년 햄스트링 부상까지 젊은 시절 부상이 잦았다. 다만 kt wiz로 이적한 이후에는 팀 내 입지가 다져지면서 적절한 기용 아래 매해 130경기 가량을 소화하는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주루는 느린 편으로 LG 시절에는 평균 수준[17]이었으나 kt 이적 후 덩치를 불리면서 느려졌다. 그러나 주루센스가 탁월하여 느린 주력을 어느 정도 상쇄하며 LG 시절에는 홈 스틸도 보여준 적이 있다.

워낙 오랫동안 가을야구를 경험해보지 못해서 뒤늦게 알려진 장점이 있는데, 큰 경기와 가을에 매우 강했다. 2020년 KT의 첫 포스트시즌에서도 제 몫을 다했고 2021년에는 1위 결정전에서도 결정적인 수비를 해내더니 아예 생애 첫 한국시리즈에서 흐름을 바꾸는 수비와 결승타를 보여주며 MVP를 가져갔다.[18] 다만 2022 시즌 내내 부진한 성적을 보였고, 와일드카드전 준플레이오프에서 그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해 정말 가을과 큰 경기에 강한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는 에이징커브로 인한 부진일 확률이 높으며 지난 2년간의 포스트시즌에서의 활약은 마지막 불꽃이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박경수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 연도 출장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2003 LG 84 197 47 10 2 1 14 19 2 17 38 .273 .351 .372 .723 94.5 0.43
2004 92 388 88 15 0 6 50 33 7 40 72 .268 .367 .369 .736 103.6 2.12
2005 35 133 18 2 0 2 13 7 1 18 32 .171 .307 .248 .555 52.2 -0.11
2006 107 383 69 6 2 6 32 28 5 36 72 .210 .293 .295 .588 67.3 0.92
2007 115 295 59 8 3 3 32 19 10 33 42 .238 .338 .331 .669 87.0 1.28
2008 116 444 95 11 1 8 46 43 6 37 65 .259 .330 .360 .690 82.0 1.25
2009 106 344 64 12 0 8 45 31 6 54 55 .238 .377 .372 .749 92.8 1.43
2010 80 286 60 21 0 3 33 21 10 30 52 .260 .381 .390 .771 108.4 1.93
2011 111 386 72 11 1 4 36 26 10 48 66 .227 .338 .306 .644 80.5 1.33
2012 군복무( 공익근무요원)
2013
2014 87 201 37 6 1 2 33 19 7 25 33 .228 .344 .315 .659 70.0 0.41
<rowcolor=#fff> 연도 출장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WAR*
2015 kt 137 537 125 30 1 22 75 73 6 74 115 .284 .399 .507 .906 131.0 4.57
2016 121 476 126 22 1 20 64 80 3 65 80 .313 .412 .522 .934 135.0 4.04
2017 131 511 116 27 1 15 62 66 1 57 118 .262 .352 .430 .782 95.9 1.71
2018 135 528 120 21 0 25 65 74 4 58 129 .262 .354 .472 .826 104.0 2.51
2019 137 490 104 24 0 10 43 65 0 55 102 .247 .335 .375 .710 98.4 2.21
2020 119 391 91 17 0 13 33 59 0 48 96 .281 .381 .454 .835 118.8 2.39
2021 118 280 46 10 0 9 24 33 0 34 76 .192 .301 .347 .648 72.4 0.10
2022 100 194 20 3 0 3 13 10 0 24 70 .120 .234 .193 .427 21.9 -1.01
2023 107 221 37 13 0 1 12 12 0 30 46 .200 .315 .286 .601 68.3 -0.03
KBO 통산
(19시즌)
2038 6685 1394 269 13 161 725 718 78 783 1359 .249 .350 .388 .738 96.2 27.48

5. 여담

5.1. 박경수 나비효과(?)

LG 팬들은 극도로 싫어하는 이야기이지만, '박경수의 나비효과'라는 것이 있다. 일종의 드래프트 비화인데, 100% 사실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성남고 특급 유격수 박경수에 눈독을 들인 두산은 박경수의 1년 선배이자, 성남고에서 함께 키스톤 콤비를 이루고 있던 2루수 A를 먼저 영입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두산은 박경수를 5천만원 차이로 놓치게 되고, 하는 수 없이 차선책으로 노리던 B를 1차 지명으로 영입하게 된다.[23] 이 와중에 C는 그 해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지 못했고, LG에서 먼저 정식선수로 계약을 제시하였으나 LG는 대형 유격수인 박경수를 키우는데 주력하고 자신에게는 기회가 돌아오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여 두산에 신고선수로 입단한다. 같은 해, 두산은 작년에 박경수를 영입하지 못했으므로 내야보강을 위해 F를 이듬해에는 G를 지명. F는 쏠쏠한 활약을 보이다가 SK로 트레이드되어 주전 유격수로 활약한다. 한편, C의 친구인 D는 현대 유니콘스 소속이었는데 방출을 당하면서 백수 신세가 되어, C에게 헬프를 치고, C의 "발이 빠르고 수비를 잘한다"는 소개로 두산에 입단하게 된다. 관련기사이 사단 이후,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지 못한 한 고교생 E는 신고선수 출신 C의 성공스토리를 보며 그를 따라 두산에 입단하게 된다.
그냥 뭐 그런가보다 할 수 있겠는데, 문제는 A는 고영민, B는 노경은, C는 손시헌, D는 이종욱, E가 김현수, F가 나주환, G가 김재호라는 것. 여담으로 2023년 현재 E는 LG에 있다

요컨대 LG가 두산의 영입을 깨고 박경수를 영입함으로써, 두산은 국대 2루수 고영민, 팀 에이스 노경은, 국대 유격수 손시헌, 김재호, 국대 중견수 이종욱, 국대 좌익수이자 현시대 최고의 좌타자 김현수, 또 다른 20홈런 유격수 나주환을 뽑게 되었다는 것. 골든 글러브 숫자만 봐도 김현수가 4개, 이종욱이 3개, 손시헌이 2개[24], 고영민이 1개, 김재호가 2개로 12개나 된다! LG가 골든글러브와는 인연이 먼 팀인 걸 생각하면 정말 팬으로서 통탄할 노릇.

사실, 다른 선수의 스카웃을 위해 1순위 지명권을 엉뚱한 선수에게 쓴다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이야기[25]이긴 하고, 두산이 고영민을 지명함에 있어서 박경수의 존재가 약간의 플러스 요인은 될지언정 이유의 전부가 될 수는 없다. 어디까지나 고영민의 재능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한 얘기. 또한 김현수 역시 LG에서 제의를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이종욱, 손시헌의 성공신화보다는 박병호, 정의윤과의 경쟁이 걸려서 두산을 선택했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몇 가지 팩트에 살을 덧붙인 이야기라 믿을 바는 못 된다. 근데 사실 F, C D, 그리고 B, G에 관련된 이야기만큼은 절대 사실이다.

정리하면,
2003년 1차지명에서 두산 베어스는 박경수를 노렸지만 5천만원 차이로 놓쳤고, 대신 같은 고등학교의 노경은을 1차 지명한다. 박경수를 놓친 두산은 2차 2라운드에서 나주환을, 그리고 이듬해 1차에서 김재호를 영입한다. 이 와중에 손시헌은 그 해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지 못했고 신고선수로 입단했는데, LG에서 먼저 제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박경수와 경쟁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두산에 입단하였다. 손시헌의 친구인 이종욱은 현대에서 방출당한 후 손시헌의 소개로 두산 베어스에 이적하였다.[26]

이 정도가 사실이다. 이 정도만으로도 충분히 대단하다!

문제는 이 박경수가 LG에서 죽 쑤던 것과는 달리 kt wiz에 가서 커리어하이를 펼치고 있다는 것.

6. 관련 문서


[1] LG 시절에는 유격수로도 출장했지만, kt 입단 이후에는 2015년 3이닝 출장 이후 출장기록이 없다. [2] 현재 팀 내 코치인 박기혁의 선수 시절 응원가이기도 한 노래다. [3] (히어로 변신) 아~ 우~ 날려버려 박경수 예~ 아~우~ Right Now 박!경!수! 아~ 우~ 나타날게 내가 필요할 땐 아무도 나를 막지 못해 내가 바로 kt 박경수 예~~ (박! 경! 수!) [4] SBS 드라마 열혈사제 OST이다. [5] 박경수 You're my sunshine we are together kt wiz의 승리위해 캡틴 박경수 박경수 You're my sunshine we are together kt wiz의 승리를 위해~ 박경수! [6] 이 또한 음 낮은 버전이 존재한다. [7] 2017년 이후로 잠시 저작권 문제로 폐지되었다가 2022년 다시 부활했다. [8] 날려라 날려라 박경수 안타 박경수 (안타!) 날려라 날려라 박경수 안타 박경수 (안타!) [9] 참고로 유지현이 LG에 입단하며 이 노래의 전주부분을 썼다. 2003~4시즌은 류지현과 박경수가 동일응원가를 이용하였다. 그후 2004년에 류지현이 은퇴후, 박경수만 사용하였다. 그리고 손인호 또한 이 노래 후렴에서 응원가를 따와 사용했다가 손주인이 물려받았고, 손주인이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한 후에는 강승호가 이 응원가를 물려받았다. 그리고 2022년부터 돌고 돌아 손호영이 물려받았다. [10] 박경수! ×4 [11] '경수토닉'이라고 불리던 응원가로 공통 타자 등장음악 이후에 나왔다. 강병욱 응원단장의 테크토닉 액션이 일품이었다. [12] kt wiz 워우워어어 kt wiz 워우워어어 kt wiz의 박경수 kt wiz의 박경수 승리를 위해 하나가 되어 kt wiz의 박경수 박!경!수! [13] 음 낮은버전도 존재한다 [14] 현재는 저작권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고 있다. [15] 워어어 어어어어 kt wiz 박경수 kt wiz 박경수 승리를 향해 Let's go 박경수 ×2 박경수! [16] 2위는 김성래의 147개. [17] 2014년에는 1번타자로 나온 경기도 있고 선발이 아닐 때는 대주자로 종종 나왔다.다만 빠르지는 않았다. [18] 팀이 포스트시즌에 계속 가지 못하고 광탈하면서 가을야구 내 진가를 보여주지 못한 점이 김주찬을 연상케하기도 한다. [19] 다만 3차전에서 수비 도중 종아리 근육이 파열되는 부상을 당해 우승이 확정되는 순간 그라운드에 서기는 어려울 듯. 그럼에도 벤치에 앉아서 동료들과 우승을 함께했다. [20] 나이로는 유한준이 박경수보다 3살 연상이지만 유한준이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2004 시즌에 프로에 입문했기 때문에 프로 데뷔는 박경수가 1년 빠르다. [21] 이 이야기는 kt wiz 팬 응원 스토리 공모전에 당선되어 웹툰으로 제작되었다. [22] 우규민이 1985년생이지만 빠른 생일이라 1984년생인 박경수와 동기다. [23] 이 영입 과정이 말이 많은데, 당시 LG에서 "두산 제시액 받고 5천 더"를 제시했다고 한다... 요컨대, 두산의 영입을 깨고 영입한 것. [24] 두산 소속으로만 한정. NC에서 못 따고 은퇴한다. [25] 하지만 당시 고영민의 지명에 대한 평가는 너무 이르다라는 평. [26] 여담으로 두산은 1라운드 혹은 2라운드에서 강명구를 강력하게 노렸지만, 삼성에서 낌새를 알아채고 1라운드에서 채어 가버렸다. 당시 풍문으로는 삼성에서는 강명구 지명 후, 2라운드에서 전병두 또한 노리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역으로 두산이 전병두를 1라운드 마지막 픽에서 채어 가버린다. 그리고 당시 상당히 부진해서 평가절하받던 나주환이 유격수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2라운드에 두산에 지명되었다. 이 또한 박경수 나비효과의 일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