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12:05:06

치환

순열군에서 넘어옴
1. 기본적인 의미2. 수학에서의 치환
2.1. 방정식에서의 치환2.2. 군론에서의 치환
2.2.1. 치환의 종류2.2.2. 치환 알고리즘2.2.3. 순환군의 합성
3. 화학에서의 치환

1. 기본적인 의미

[치ː환], substitution

명사: 바꾸어 놓음

2. 수학에서의 치환

2.1. 방정식에서의 치환

중학교 수학 용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2667a9><colcolor=white> <colbgcolor=#fff,#191919> 각뿔대 · 거듭제곱 · 결합법칙 · 계급 · 계급의 크기 · 계수 · 교각 · 교선 · 교점 · 교환법칙 · 그래프 · · 근의 공식 · 근호 · 기울기 · 꼬인 위치 · 꼭짓점
내각 · 내심 · 내접 · 내접원
다면체 · 다항식 · 단항식 · 닮음 · 닮음비 · 대각 · 대변 · 대입 · 대푯값 · 도수 · 도수분포다각형 · 도수분포표 · 동류항 · 동위각 · 두 점 사이의 거리 · 등식
맞꼭지각 · 무게중심 · 무리수 · 무한소수 · 미지수 ·
반비례 · 방정식 · 변량 · 변수 · 부등식 · 부채꼴 · 분모의 유리화 · 분배법칙 · 분산
사건 · 사분위수 · 사인 · 산점도 · 산포도 · 삼각비 · 삼각형의 닮음 조건 · 삼각형의 합동 조건 · 상관관계 · 상대도수 · 상수항 · 상자그림 · 서로소 · 소수 · 소인수 · 소인수분해 · 수선의 발 · 수직선 · 수직이등분선 · 순서쌍 · 순환마디 · 순환소수 · 실수
양수 · 양의 유리수 · 양의 정수 · 엇각 · 역수 · 연립방정식 · 완전제곱식 · 외각 · 외심 · 외접 · 외접원 · 원뿔대 · 원점 · 원주각 · 유리수 · 유한소수 · 음수 · 음의 유리수 · 음의 정수 · 이차방정식 · 이차함수 · 이항 · 인수 · 인수분해 · 일차방정식 · 일차부등식 · 일차식 · 일차함수
작도 · 전개 · 절댓값 · 접선 · 접점 · 접한다 · 정다면체 · 정비례 · 정수 · 제1사분면 · 제2사분면 · 제3사분면 · 제4사분면 · 제곱근 · 좌표 · 좌표축 · 좌표평면 · 줄기와 잎 그림 · 중근 · 중선 · 중심각 · 중앙값 · 중점 · 증명 · 지수 · 직교 · 직선의 방정식
차수 · 최댓값 · 최빈값 · 최솟값 ·
코사인
탄젠트
편차 · 평각 · 평행이동 · 포물선 · 표준편차 · 피타고라스 정리
할선 · 함수 · 함숫값 · 합성수 · · 항등식 · · · · 확률 · 활꼴 · 회전체 · 회전축 · 히스토그램
기타 x좌표 · y좌표 · x축 · y축 · x절편 · y절편
}}}}}}}}} ||
어떤 항, 수식을 하나의 문자로 바꾸는 일. 가령 홀수차 항이 없는 [math(x)]에 대한 [math(4)]차 방정식[1]에서 근을 구할 때 [math(x^2 = t)]로 치환하여 [math(t)]에 대한 [math(2)]차 방정식으로 바꾸어 풀면 용이하다.[2] 치환한 문자를 원래의 문자로 되돌리는 것을 '환원'이라고 하며, 부정적분을 계산할 때 적분 변수를 치환하여 적분( 치환적분)한 경우 마지막에 반드시 환원해야 한다.

사차방정식의 특수한 형태인 복이차식([math(ax^4+bx^2+c=0)] 꼴)을 풀 때 [math(x^2=t)]로 치환하여 새로운 이차방정식으로 바꾸는 등 치환은 수학의 다양한 방면에서 여러모로 긴요한 테크닉이다.

연립방정식에서는 따로 '대입법'이라고 한다. 식 하나를 한 문자에 대한 식으로 정리한 뒤, 다른 식에서 환원해서 푸는 방법이다.

2.2. 군론에서의 치환

이산수학
Discrete Mathematic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이론
<colbgcolor=#3CC> 기본 대상 수학기초론( 수리논리학 · 집합론) · 수열 · 조합 · 알고리즘 · 확률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수열 등차수열( 뛰어 세기) · 등비수열 · 계차수열 · 조화수열 · 귀납적 정의( 점화식) · 급수 · 규칙과 대응 · 규칙 찾기 · 피보나치 수열 · 읽고 말하기 수열 · 생성함수
조합 경우의 수( /공식) · 순열( 완전 순열 · 염주 순열) · #s-2.2 · 분할( 분할수) · 최단거리 · 제1종 스털링 수 · 제2종 스털링 수 · 카탈랑 수 · 벨 수 · 라흐 수 · 포함·배제의 원리 · 더블 카운팅 · 조합론
그래프 수형도(트리) · 인접행렬 · 마방진 · 마법진 · 한붓그리기( 해밀턴 회로) ·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건너기 문제
기타 P-NP 문제미해결 · 4색정리 · 이항정리( 파스칼의 삼각형) · 이산 푸리에 변환 · 비둘기 집의 원리 ·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역설 · 투표의 역설 · 에르고딕 가설미해결 · 콜라츠 추측미해결 · 시행착오 ( 예상과 확인) · 불 논리 · 브라에스 역설
관련 문서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컴퓨터 관련 정보 · 틀:수학기초론 · 틀:통계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permutation

여러 개의 대상들이 주어졌을 때, 그것들의 순서를 바꾸는 일. 사다리타기를 생각해도 좋다. 영어 명칭이 고등학교 수학 과정에 나오는 순열과 똑같은데, 주어진 원소들 내에서 일부 혹은 전체의 순서를 맞바꾸는(permutate) 조작이라는 점에서 둘은 사실상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치환의 개수는 순열로 표현할 수 있으며 하강 계승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군론에서 치환(순열)을 나타내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가장 기본적인 것은 다음과 같은 2행 표기법(two-line notation)[3]이다. 첫 번째 행에는 치환을 조작하기 전(항등치환)의 각 원소의 순서를 쓰며 두 번째 행에는 치환 이후의 순서를 표기한다. 아래 예시에서는 항등치환의 원소가 자연수이지만 [math(x_i)]로 나타내는 경우도 흔하다.
[math(\sigma = \begin{pmatrix} 1 & 2 & 3 & \cdots\cdots \\ \sigma \left(1\right) & \sigma \left(2\right) & \sigma \left(3\right) & \cdots\cdots \end{pmatrix})]
2행 표기법에서 첫 번째 행에는 반드시 항등치환의 순서가 들어가기 때문에 암묵적으로 이를 생략한 1행 표기법(one-line notation)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1행 표기법에서 항등치환인 원소는 종종 생략된다.
[math(\sigma = \begin{pmatrix} \sigma \left(1\right) & \sigma \left(2\right) & \sigma \left(3\right) & \cdots\cdots \end{pmatrix})]

이를테면
[math(\sigma = \begin{pmatrix} 1 & 2 & 3 \\ 2 & 3 & 1 \end{pmatrix})]
는 [math(\sigma \left(1\right) = 2)], [math(\sigma \left(2\right) = 3)], [math(\sigma \left(3\right) = 1)][4]이며 원소 [math(x_i)]로 나타낸 치환 이후의 순서는 [math(\begin{matrix} x_3 & x_1 & x_2 \end{matrix})]가 된다. 1행 표기법으로는
[math(\sigma_{231} = \begin{pmatrix} 2 & 3 & 1 \end{pmatrix})]
이 된다.

2.2.1. 치환의 종류


보다 자세한 것은 대칭군 참조.

2.2.2. 치환 알고리즘

[math(\sigma_{123} = \begin{pmatrix} 1 & 2 & 3 \\ 1 & 2 & 3 \end{pmatrix})]의 2행표기법에서 1행 표기법으로는 [math( \left( 123 \right) )]으로 표기할수있다.
집합P = {1,2,3}의 치환에서 이것을 순열 생성 알고리즘으로 돌리면
(123) , (132) ,(231) ,(312),(213),(321)로 6개 나온다. 이걸 다시 2행표기법으로 바꾸면
[math( \begin{pmatrix} 1 & 2 & 3 \\ 1 & 2 & 3 \end{pmatrix})],[math( \begin{pmatrix} 1 & 2 & 3 \\ 1 & 3 & 2 \end{pmatrix})],[math( \begin{pmatrix} 1 & 2 & 3 \\ 2 & 3 & 1 \end{pmatrix})],[math( \begin{pmatrix} 1 & 2 & 3 \\ 3 & 1 & 2 \end{pmatrix})],[math( \begin{pmatrix} 1 & 2 & 3 \\ 2 & 1 & 3 \end{pmatrix})],[math( \begin{pmatrix} 1 & 2 & 3 \\ 3 & 2 & 1 \end{pmatrix})]을 얻을수있다.

2.2.3. 순환군의 합성

예를 들어 집합S ={1,2,3}의 치환군 S,3, 에서 [math( \begin{pmatrix} 1 & 2 & 3 \\ 2 & 3 & 1 \end{pmatrix})] 하나의 원소에 의해 생성되는 군인 순환군 합성함수(function composition)에서 보면
[math( \begin{pmatrix} 1 & 2 & 3 \\ 2 & 3 & 1 \end{pmatrix} \circ \begin{pmatrix} 1 & 2 & 3 \\ 2 & 3 & 1 \end{pmatrix} = \begin{pmatrix} 1 & 2 & 3 \\ 3 & 1 & 2 \end{pmatrix} )]
[math( \begin{pmatrix} 1 & 2 & 3 \\ 3 & 1 & 2 \end{pmatrix} \circ \begin{pmatrix} 1 & 2 & 3 \\ 2 & 3 & 1 \end{pmatrix} = \begin{pmatrix} 1 & 2 & 3 \\ 1 & 2 & 3 \end{pmatrix} )]
[math( \begin{pmatrix} 1 & 2 & 3 \\ 1 & 2 & 3 \end{pmatrix} \circ \begin{pmatrix} 1 & 2 & 3 \\ 2 & 3 & 1 \end{pmatrix} = \begin{pmatrix} 1 & 2 & 3 \\ 2 & 3 & 1 \end{pmatrix} )]이다.

즉, [math( \begin{pmatrix} 1 & 2 & 3 \\ 3 & 1 & 2 \end{pmatrix} )],[math( \begin{pmatrix} 1 & 2 & 3 \\ 1 & 2 & 3 \end{pmatrix} )],[math( \begin{pmatrix} 1 & 2 & 3 \\ 2 & 3 & 1 \end{pmatrix} )] 3개이다.
순열의 홀짝성(parity)에서 우(짝)순열과 우(짝)순열의 합성은 우순열이고 기(홀)순열과 기(홀)순열의 합성은 우순열을 잘 보여주는 순환군이다.

3. 화학에서의 치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환 반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math(y)]축에 대칭인 우함수에 해당한다. [2] 만일 수학II에서 이러한 개형의 사차함수를 마주쳤다면 그냥 고1 과정만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도 날먹 문제가 된다. [3] 고등수학에서 행렬을 대괄호로 주로 표기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4] 즉 [math(1 \to 2)], [math(2 \to 3)], [math(3 \to 1)]로 순서를 바꾼 것을 의미 [5] 생략하지 않는 경우에는 [math(\begin{pmatrix} 2 & 1 \end{pmatrix} \begin{pmatrix} 3 \end{pmatrix} \begin{pmatrix} 4 \end{pmatrix})]와 같이 괄호 하나에 숫자 하나씩 써서 나타내는데, 보통 부동점을 명확히 하고자 할 때 표기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