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진행 중인 대회에 대한 내용은 제29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문서 참고하십시오.
주요 국제 바둑 기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 종합 기전 (상금순) |
응씨배 · 몽백합배 · 란커배 · 북해신역배 · 삼성화재배 · LG배 · 난양배 · 춘란배 | |
제한 기전 | 국수산맥배 | ||
단체전 | 농심신라면배 · 농심백산수배 | ||
여자 기전 | 센코배 · 오청원배 · 황룡사배 | ||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폐지 기전 |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三星火災杯世界围棋大师赛 The Samsung Fire & Marine Insurance World Masters Baduk |
|
|
|
제28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시상식[1] | |
주관 | 한국기원 |
주최 | 중앙일보 |
후원 | 삼성화재 |
상금 | 우승 3억원, 준우승 1억원, 총 상금 8억원 |
대국규정 | 생각시간 각 2시간, 1분 초읽기 5회 |
계가 | 한국룰, 덤 6집반 |
방식 | 32강 ~ 준결승 단판 토너먼트, 결승 3번기. |
최근 우승자 | 딩하오 九단 ( 제28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최다 우승자 | 이세돌, 커제 九단 (4회) |
홈페이지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한국기원 주관 국제대회. 중앙일보가 주최하고, 삼성화재 후원이다. 이전 이름은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선수권대회'였다. 2009년 대회부터 현행 이름으로 바뀌었다.2. 상세
중앙일보 주최이지만 JTBC에서는 중계하지 않으며, KBS 1TV에서 제한적으로 중계된다.[2] 바둑TV는 현장 중계권이 없기 때문에 사이버오로를 통해 넘어오는 수순만 복기 아르바이트를 통해 진행한다. 삼성화재배 중계 프로그램 이름은 '슈퍼매치'. 그러나 2019년부터 KBS는 삼성배 생중계를 하지 않게 되었고 바둑TV와 K바둑이 전 경기 생중계를 한다.[3]예선에서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의 기사들이 일부 본선 시드를 배정받고, 예선 일반조 외에 여자조, 국제조( 동아시아 외 지역)와 시니어조가 있다. 2009~2018년 대회까지는 본선 32강전을 더블 엘리미네이션으로 진행하여 2승자와 2승 1패자가 통과했지만, 2019년 대회부터 다시 단판 승부로 바뀌었다. 본선 4강 진출자는 다음해 대회 시드로 출전한다.
2016년에는 대회가 폐지된다는 말이 많았지만, 기존 한국, 중국, 일본 등을 대거 돌아다니며 시행되던 것에서 대폭 축소되어 삼성화재 한국 내 연수원을 위주로 하고 상금을 일부 삭감하는 선에서 대회가 존치되었다.
이 대회의 최다 우승 기사는 이세돌과 커제의 4회 우승 기록이다.
3. 역대 대회 방식
- 제1기: 32강 ~ 4강 단판, 결승 3번기
- 제2~5기: 32강 ~ 4강 단판, 결승 5번기
- 제6~13기: 32강 ~ 8강 단판, 준결승과 결승 3번기
- 제14~23기: 32강 더블 엘리미네이션(일명 듀얼 토너먼트 방식), 16강과 8강 단판, 준결승과 결승 3번기
- 제24기~현재: 32강 ~ 4강 단판, 결승 3번기
4. 대회 목록
- 1996년: 제1회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
- 1997년: 제2회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
- 1999년: 제4회 삼성화재배 세계바둑오픈
- 2017년: 제22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2018년: 제23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2019년: 제24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2020년: 제25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2021년: 제26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2022년: 제27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2023년: 제28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2024년: 제29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5. 여담
- 대국 중간에 밥을 먹을 수 있는데[4] 별도의 식사 시간까지 주어지는 건 아니다. 즉, 대국을 일시 중단한 다음 대국장을 비우고 관계자들이 모두 식사하러 식당으로 가는 시스템이 아니며, 밥을 먹으러 가는 건 자유지만 그 사이 상대방이 돌을 착수하면 그 때부터는 자신이 생각할 시간이 흘러간다. 그래서 대국자 중 한 사람이 식사를 하러 식당으로 이동해 20분 내로 빨리 먹고 오면, 상대 기사가 바톤 터치하듯 헐레벌떡 먹고 온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간다는 게 은근히 페널티이고 식사 한끼 안 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해 대부분은 그 자리에서 그냥 간식으로 간단한 요기만 하고 쭉 대국을 한다.[5][6]
-
23회 대회의 아마 선발전은 6월 2일에 치러졌다. 대상은 연구생(남자 26명+여자 4명)과 아마 기사(주니어 20명+여성 2명)이다. 단, 연구생 시드는 제외. 선발 결과는 시드 최원진,엄동건,윤성식 / 통과자 박종욱,박지웅,조완규,이재성,강지훈,임진욱,김상천,김정훈,김유환. 또한, 6월 10일에 초등생 방과후 대회가 있었고, 바둑 꿈나무 선발전 역시 6월 9~10일 진행됐다. 꿈나무 선발전에서 8강 이상 진출 시 본선 개막식에 가족 동반 참가 기회가 주어지거나 본선 진출자의 지도기 또는 팬 사인회에 참여할 수 있다. 우승 시 통합 예선 참가 자격 취득. 해당 대회 우승자는
김은지 학생이 되었다.
한중일, 대만이 제외되는 월드조 참가접수를 6월 10일까지 받고 있다. 단, 선발 인원이 4명이라 이 인원을 초과할 경우 시행되는 선발전은 6월 30일. 월드조 예선 구성은 신청자 및 선발전 통과자 4명+각 대륙별 초청자(유럽4, 미주4, 아시아3, 아프리카1)로, 본선 진출자는 1명. 23회 통합예선은 7월 2일[7] 시작. 외국바둑협회의 명단 제출이 늦어져 버리는 바람에, 대진표가 늦게 정해졌다고.
- 25회 대회 결승 1국에서 컴퓨터 세팅을 완료하면서 정리가 안되어 있었던 선을 신진서가 정리하던 도중 터치패드에 클릭으로 인식이 되면서 경기가 순식간에 밀렸고 그 여파로 6연속 중국 우승 겸 커제의 삼성화재배 통산 4회 우승을 확정지었다. 참고로 신진서는 다음 대회 결승에서 박정환에게 1승 후 2연패를 기록, 또 콩을 적립하고 말았다.
- 2019년 24회 대회부터 32강과 준결승을 단판으로 바꾸고 일정을 결승전까지 논스톱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바뀌면서 메이저 세계대회 중에서 가장 빨리 끝나는 기전이 됐다. 32강부터 결승까지 일사천리로 1~2주 정도 한다. 보통 세계대회는 농심배, LG배나 춘란배처럼 텀을 길게 가져가는게 보통인데 빠른 걸 좋아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안성맞춤 기전.
6. 역대 우승자
회차 | 연도 | 우승자 | 전적 | 준우승자 |
1 | 1996년 | 요다 노리모토 九단[8] | 2:1 | 유창혁 九단 |
2 | 1997년 | 이창호 九단 | 3:0 | 고바야시 사토루 九단 |
3 | 1998년- 1999년 | 이창호 九단 | 3:2 | 마샤오춘 九단 |
4 | 1999년 | 이창호 九단 | 3:0 | 조선진 九단 |
5 | 2000년 | 유창혁 九단 | 3:1 | 야마다 기미오 八단 |
6 | 2001년 | 조훈현 九단 | 2:1 | 창하오 九단 |
7 | 2002년- 2003년 | 조훈현 九단 | 2:0 | 왕레이 八단 |
8 | 2003년 | 조치훈 九단[9] | 2:1 | 박영훈 四단 |
9 | 2004년 | 이세돌 九단 | 2:0 | 왕시 五단 |
10 | 2005년- 2006년 | 뤄시허 九단 | 2:1 | 이창호 九단 |
11 | 2006년- 2007년 | 창하오 九단 | 2:0 | 이창호 九단 |
12 | 2007년- 2008년 | 이세돌 九단 | 2:1 | 박영훈 九단 |
13 | 2008년- 2009년 | 이세돌 九단 | 2:0 | 쿵제 九단 |
14 | 2009년 | 쿵제 九단 | 2:0 | 추쥔 八단 |
15 | 2010년 | 구리 九단 | 2:1 | 허영호 七단 |
16 | 2011년 | 원성진 九단 | 2:1 | 구리 九단 |
17 | 2012년 | 이세돌 九단 | 2:1 | 구리 九단 |
18 | 2013년 | 탕웨이싱 三단[10] | 2:0 | 이세돌 九단 |
19 | 2014년 | 김지석 九단 | 2:0 | 탕웨이싱 九단 |
20 | 2015년 | 커제 九단 | 2:0 | 스웨 九단 |
21 | 2016년 | 커제 九단 | 2:1 | 퉈자시 九단 |
22 | 2017년 | 구쯔하오 五단[11] | 2:1 | 탕웨이싱 九단 |
23 | 2018년 | 커제 九단 | 2:1 | 안국현 八단[12] |
24 | 2019년 | 탕웨이싱 九단 | 2:1 | 양딩신 九단 |
25 | 2020년 | 커제 九단 | 2:0 | 신진서 九단[13] |
26 | 2021년 | 박정환 九단 | 2:1 | 신진서 九단 |
27 | 2022년 | 신진서 九단[14] | 2:0 | 최정 九단[15] |
28 | 2023년 | 딩하오 九단 | 2:1 | 셰얼하오 九단 |
29 | 2024년 |
[1]
가운데 사람이 우승자인 중국의
딩하오 九단이다.
[2]
그래서 2019년까지
한국방송공사가 공동 주최사로 참여했었다.
[3]
2020년도부터는 슈퍼매치로 방송되지 않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4]
본선 하위 라운드에선 각 기사의 대국료에서 점심값을 공제하고, 상위 라운드에선 주최측에서 무료 제공한다.
[5]
사실 현대 바둑 프로급 대국에서 식사 시간을 공식적으로 주는 건 제한시간을 길게 잡는 경향이 강한 일본 쪽 메이저 기전이 대부분이고, 국제 대회에선
응씨배 딱 하나 뿐이다. 즉, 한국과 중국 기전에선 점심시간은 없는 셈.
[6]
한국과 중국 기전은 주최 측에서 대국장 입구에 다과나 과일 등 간단한 먹거리를 준비해 두는 경우가 많으며, 기사들이 개인적으로 싸오기도 한다. 물론 냄새나 소리 문제가 발생하면 상대 대국자에게 민폐이기 때문에 바나나 혹은 에너지바 등이 애용 된다.
[7]
대진표 만들어지기 전엔 3일 시작인 것으로 알려졌었다.
[8]
요다 노리모토의 세계대회 첫 우승. 그리고 삼성화재배에서 유일한 일본 국적 기사의 우승 기록이다.
일본기원 소속 기사로 하면
조치훈 九단이 한 명 더 있다.
[9]
후원사
와일드카드로 출전해서 우승. 국제 기전에서 후원사 와카로 출전한 사람이 우승한 건 이때 조치훈이 유일하다.
[10]
최초로 九단이 아닌 기사의 우승.
탕웨이싱은 이 대회 우승으로 九단으로 승단했다.
[11]
이 우승으로
구쯔하오는 九단으로 즉각 승단했다.
[12]
이 준우승으로
안국현은 九단으로 승단했다.
[13]
1국 21수 시점에서의 마우스 선 이슈가 치명타로 작용했다.
[14]
세 번째 결승 진출만에 첫 삼성화재배 우승을 차지하였다.
[15]
여자기사 최초 세계대회 결승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