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21:07:06

케르베로스

삼두견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케르베로스(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800px-Welsh_Dragon_(Y_Ddraig_Goch).svg.png 유럽 상상의 생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유럽
그렘린 · 홉고블린 · 네시 · 너커 · 레드캡 · 람히긴 어 두르 · 잭 오 랜턴 · 윌 오 더 위스프 · 잭 프로스트 · 프로스트 파더 · 레드 드래곤 · 파이어 드레이크 · 바게스트 · 블랙독 · 헬하운드 · 가이트래시 · 켈피 · 에흐으시커 · 타라스크 · 트로우 · 램튼 웜 · 누켈라비 · 퀘스팅 비스트 · 카스 팔루그 · 코카트리스 · 애습 · 아팡크 · 울버 · 해기스 · 코드릴 · 쿠리드 · 부브리 · 마타고트 · 펠루다 · 루 카르콜 · 와이번 · 가고일 · · 제보당의 괴수 · 부굴 노즈 · 오우거 · 바다 수도승 · 얀-간-이-탄 · 뷔브르 · 멜루진 · 에서슬론 · 브라우니 · 임프 · 그린딜로 · 픽시 · 이스시/ 디나 시( 듀라한 · 랴난시 · 레프러콘 · 메로우 · 밴시 · 셀키 · 바반 시 · 카트시 · 푸카) · 바이콘 · 치체바세 · 도바츄 · 노커 · 그린맨 · 킬물리스 · 버그베어 · 털루이스 테그 · 그린 티스 제니 · 스프리건 · 그루아가흐 · 블랙 아니스 · 실키 · 엘리온 · 페그 파울러 · 부엉이 인간 · 스트론세이 괴물 · 라이버 버드 · 트라이큐스
중부유럽
코볼트 · 체인질링 · 볼퍼팅어 · 아플라나도르 · 알라우네 · 타첼부름 · 크램푸스 · 나흐체러 · 도플갱어 · 알베르 · 바벨의 용 · · 클라바우터만 · 잔트만 · 아스카프로아 · 니스푸크 · 에르트헨 · 바이세프라우 · 루첼프라우 · 이르부르츠 · 마녀 페치타 · 로겐무흐메 · 로겐볼프 · 뤼베잘 · 슈라트 · 나흐트크라프 · 라셀보크 · 아우프호커 · 바흐카우프 · 엘베트리치 · 마레 · 하믈 · 뷔더갱어 · 알프
남유럽( 그리스 로마 신화)
그리폰 · 히포그리프 · 페가수스 · 케르베로스 · 게리온 · 님프 · 우로보로스 · 스팀팔로스의 새 · 세이렌 · 에키드나 · 네메아의 사자 · 카토블레파스 · 오르토스 · 켄타우로스 · 키클롭스 · 스핑크스 · 드라콘 이스메니오스 · 히드라 · 키메라 · 스킬라 · 사티로스 · 하피 · 카리브디스 · 미노타우로스 · 엠푸사 · 메두사 · 티폰 · 라미아 · 고르고 · 카쿠스 · 피톤 · 라돈 · 에리만토스의 멧돼지 · 암피스바에나 · 모노케로스 · 캄페 · 파이아 · 테우메소스의 여우 · 카르키노스 · 케테아 · 히포캄푸스 · 디오메데스의 식인 암말 · 계피 새
남유럽(일반)
기브르 · 헤렌스게 · 쿠엘레브레 · 라리오사우로 · 피라우스타 · 비시오네 · 다후 · 마라베카 · 라벤나의 괴물 · 스콰스크 · 라미드레주 · 앙구아네 · 바달리스크 · 에이커벨츠 · 두엔데 · 모우로스
북유럽
그렌델 · 굴룬 · 니드호그 · 닉스 · 드라우그 · 엘프 · 드워프 · 아우둠라 · 신팍시 · 가름 · 굴린부르스티 · 라타토스크 · 린트부름 · 베드르폴니르와 이름 없는 수리 · 뵈이그 · 요르문간드 · 슬레이프니르 · 스콜 · 트롤 · 펜리르 · 파프니르 · 하티 · 흐레스벨그 · 흐룽그니르 · 일벨리 · 스켈야스크림슬리 · 외푸구기 · 플라이드루모디르 · 셀라모디르 · 스쾨투모디르 · 로드실룽거 · 비야른디라콩거 · 바트나게다 · 흐뢰칼 · 와르그 · 헬헤스트 · 게리 · 프레키 · 굴린캄비 · 굴팍시 · 그라니 · 무닌 · 후긴 · 스바딜페리 · 에이크쉬르니르 · 흐베르겔미르의 뱀 · 위그드라실의 수사슴 · 아바크르 · 알스비드르 · 세흐림니르 · 헤이드룬 · 크라켄 · 툴리케투 · 이쿠투르소 · 스코그스로엣
동유럽
골렘 · 드레카바크 · 보카밧 · 불멸의 코셰이 · 크레스니크 · 스트리고이( 쿠드라크) · 바다 주교 · 루살카 · 마브카 · 바바 야가 · 비이 · 볼라 & 쿨세드라 · 불새 · 아나의 자식 · 오빈니크 · 즈메이 · 즈뮤 · 키키모라 · 비샤프 · 브로스노 호수의 용 · 레쉬 · 리코 · 셰리 볼크 · 스트리가 · 발라우르 · 보댜노이 · 드보로보이 · 도모보이 · 알코노스트 · 바니크 · 뷔리 · 사모디바 · 가가나 · 가마윤 · 부카박 · 바우크 · 인드리크 · 폴레비크 · 녹니차 · 폴칸 · 포로니에츠 · 소글라브 · 라로그 · 스크작 · 투가린 · 제우주크 · 쥐첸 · 시린
기타
고블린 · 드래곤 · 드레이크 · 요정( 페어리) · 자쿠루스 · 샐러맨더 · 앰피티어 · 데비 존스 · 인어 · 불사조 · 레비아탄 · 묵시록의 붉은 용 · 베헤모스 · 유니콘 · 노움 · 바이퍼 · 흡혈귀( 담피르) · 맨드레이크 · 만티코어 · 개미사자 · 몽마( 서큐버스 · 인큐버스 · 캠비온) · 바실리스크 · 보나콘 · 시 서펀트 · 웨어울프 · 칼라드리우스 · 마녀 · 해그 · 패밀리어 · 금을 캐는 개미 · 그림 리퍼 · 쌍두수리 · 파르드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튀폰 에키드나가 낳은 괴물들
네메아의 사자 히드라 키메라 오르토스 케르베로스
오르토스 키메라가 낳은 자식 스핑크스
파일:external/josefrenner.ch/cerberos.jpg
파일:external/ancientrome.ru/c0036.jpg
케르베로스의 목줄을 쥔 헤라클레스. 왼쪽의 에우뤼스테우스 왕이 항아리에 숨고 있다.
1. 개요2. 명칭
2.1. 어원2.2. 한글 표기
3. 특징
3.1. 형태3.2. 능력3.3. 일화
4. 여담


Cerberus(그리스어 Κέρβερος)
[clearfix]

1. 개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지옥의 문을 지킨다는 신화의 . 지옥 태생에 머리가 3개라서 '지옥의 삼두견(三頭犬)'이라고도 불린다.

기간테스의 우두머리인 최강의 괴물 튀폰과 그의 아내 에키드나 사이에서 나온 자식들 중 하나로, <신들의 계보>에 의하면 둘째이다. 네메아의 사자, 스핑크스, 키마이라, 히드라, 오르토스 등과 형제관계다.[1]

하데스의 경비견쯤 되는 신수로, 잠도 자지 않고 지하세계의 문을 수호하며 살아있는 사람의 출입을 막고, 죽은 사람이 들어갈 때는 순순히 비켜주지만 나가려고 하면 달려들어 갈기갈기 찢어버린다고들 한다. 헤라클레스에게 끌려서 강제로 잠깐 나온 것 외에는 지하를 벗어난 적이 없다.

2. 명칭

2.1. 어원

'케르베로스'라는 명칭의 어원은 확실치 않다. 오그든에 따르면 인도유럽어 계열 어원을 찾는 것은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고 한다.

한 주장에 따르면 케르베로스란 단어는 산스크리트어 샤르와라(Śārvara)와 관련이 있는데, 이 단어는 ' 점박이'란 뜻이다. 인도 신화에서 샤르와라는 샤마(Śyāma)라는 개와 짝을 이루어 저승의 신 야마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고 감시한다.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서 저승의 개는 인도 신화에서처럼 두 마리였고, 그 두 마리의 색이 서로 달라서 보기에 얼룩덜룩하다고 '점박이'란 이름을 붙였다는 것. 케르베로스는 머리가 여럿이지만, 샤르와라와 샤마는 눈이 4개씩 달렸다고 한다. 만약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케르베로스는 저승신의 개가 두 마리에서 한 마리로 전승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옛 전승에서 유래한 이름이 여전히 흔적처럼 남은 사례이다. 본 항목의 맨 위에 있는 그리스 도기에 그려진 케르베로스 또한 머리마다 색이 다른 것이 이 때문일 수 있다.

링컨과 그 외의 언어학자들은 이 가설에 반론을 제기한 바 있다. 링컨은 케르베로스와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개인 가름과의 연관성을 주목한 바 있는데, 두 이름 모두 원시 인도유럽어의 어원으로 '으르렁대다'라는 뜻의 접두사 '게르-'와 연관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 마디로 케르베로스란 이름의 뜻은 그냥 '멍멍이' 또는 '워리'일 수도 있다는 소리다. 점박이나 멍멍이나 저승의 번견치고는 심히 앙증맞은 이름이다.

오그든에 따르면, 이 가설 역시 '케르베로스'와 '가르므르'가 전혀 어원이 다른 두 형태소('케르'와 '게르')를 설명해야 하는 탓에 두 이름의 연관성을 딱히 규명하진 않는다고 여긴다.더욱이 현재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은 북유럽 신화의 garmr의 뜻을 개와는 전혀 관계없는 '누더기'로 본다.

아마도 그리스어는 아닐 것이지만, 그리스어 어원이 제시되긴 하였다. 4세기경 베르길리우스 작품의 평론가였던 세르비우스가 그리스어 어원을 제시한 바 있다. 오그든은 이에 회의적인 입장이다.

2.2. 한글 표기

주로 사용되는 표기는 고전 그리스어 발음 /kér.be.ros/에 입각한 '케르베로스'로 표기된다. 영어 발음을 따를 경우 ' 서버러스(\[sə́ːrbərəs])'로 표기될 수 있는데, 이는 그리스어 Κέρβερος에서 유래된 라틴어 Cerberus[2]를 그대로 현대 영어식으로 읽은 것이다. 라틴어를 따를 경우 고전 라틴어(/ˈker.be.rus/)를 기반으로 한 관행 표기를 따라 '케르베루스'로 표기하며,[3] 교회 라틴어[4]로는 '쩨르베루스(/ˈt͡ʃer.be.rus/)'에 가깝게 발음한다.

비표준어이지만 간혹 r 부분을 받침으로 집어넣은 '켈베로스'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여타 신화 및 판타지 관련 명칭들과 비슷하게 일본어로 표기된 'ケルベロス(케루베로스)'를 번역할 때 철자를 고려하지 않고 ル 부분만을 보고 번역한 과도교정으로 추정된다.

3. 특징

3.1. 형태

가장 잘 알려진 외양은 머리가 셋 달린 개의 모습이다. 원시적인 구전이나 희곡에서는 머리가 50개였지만 후에 3개로 줄어들었다. 시인에 따라선 그냥 "무수히 머리가 많은", 혹은 "머리 100개가 달린"이라고 묘사되므로, 아무튼 머리만 많으면 상관없다고 여겼을지도 모른다. 원전에는 머리가 50개에 등에는 뱀들이 튀어나오고 꼬리도 뱀이라고 하지만, 도공들은 도자기를 만들며 케르베로스를 보통 머리 3개로 그렸기에 이 형태가 가장 잘 알려진 모습이 되었다.

그 외에는 머리가 3개에 독사의 꼬리, 뱀들로 이루어진 갈기에 사자의 발톱을 가졌다고 한다. 머리가 쉰 개라는 묘사는 갈기를 이루는 뱀들까지 포함한 숫자라고 설명하는 말도 있다. 그런데 후대에 케르베로스를 재묘사하는 그림들은 어느새 뱀은 대충 안 그리게 되었다.

덩치 또한 표현하는 매체마다 제각각.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마냥 평범한 대형견 수준으로 묘사하기도 하고, 올림포스 가디언이나 퍼시 잭슨 시리즈처럼 집채만 한 크기로 묘사하기도 한다.

3.2. 능력

여러 영웅담에서 언급되고 실제로 주인공과 싸우기도 하는데, 대체로 아이템 때문에 바보가 되는 기믹이 많다. 프시케의 빵[5], 오르페우스 리라, 시빌레의 수면제 과자[6] 등. 케르베로스가 등장하는 설화가 거의 다 돌파당하기 위한 장면인지라 유능하다는 느낌은 별로 없다.

하지만 이는 좀 억울한 게, 그 중에서 힘으로 돌파한 것은 신 중에서도 상대할 자가 없는 헤라클레스뿐이다. 그러니까 케르베로스가 만만해서가 아니라 "철통같은 케르베로스도 뚫릴 만큼 대단했다"는 걸 강조하는 의도였다. 애초에 지하세계란 곳이 대영웅이나 신의 도움 없이 갈 수 있는데가 아니다. 그러나 케르베로스 자체가 주인공이거나 재앙인 설화는 별로 알려진 게 없고, 오히려 '케르베로스도 뚫을 정도로 대단한 영웅적 인물'의 신화에서 중간 보스로 나오는 역할이다보니 이미지가 이상해진 케이스. 말하자면 전투력 측정기였던 셈이다.

3.3. 일화

헤라클레스에게는 12과업의 일환으로 케르베로스를 생포해 오라는 임무를 하달받고 지옥으로 내려가자, 하데스가 "무기를 쓰지 않고 잡아갈 수 있다면 허락한다"라고 했다. 하지만 역시 간판이 괜히 저승의 문지기가 아닌고로 그 헤라클레스도 꽤나 고전했는데, 결국은 그 형제인 네메아의 사자처럼 목을 졸라 기절시켜 제압해 지상으로 데리고 올라갔다. 이후 헤라클레스가 다시 저승으로 돌려보내준다.

<신들의 계보> <변신 이야기>를 비롯한 여러 그리스, 로마 작가들의 작품에 따르면 머리 셋 달린 저승의 경비견에서 그치지 않고 꽤 다양한 묘사가 등장하기도 했다. 한꺼번에 몰아서 설명해보자면 들쭉날쭉한 이빨을 지니고 덥수룩한 털로 뒤덮여 있는 개로, 짖는 소리는 머리가 많은 만큼 컸지만 쇳소리처럼 듣기 거슬렸다. 입술에서 흐르는 거품 가득한 침은 투구꽃을 피워내거나 티시포네 메데이아가 쓰는 독극물의 재료로 쓰였으며[7] 눈은 대장간이나 화산의 불꽃마냥 타오르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여담으로 마지막 과업 때 이승으로 끌려나왔을 때는 밝은 하늘 때문에 눈이 부신 나머지 눈을 찡그린 채 필사적으로 그늘만 찾는다던가[8] 보리가 잘 자라는 도시 미데이아의 교차로에서 아녀자들의 구경거리가 되기도 했다는 모양이다. #

4. 여담




[1] 아버지 튀폰이 저래 보여도 신이기 때문에 케르베로스와 그 형제들은 반신이다. [2] 그리스어를 라틴어로 옮길 때 Κ(카파)는 대개 K가 아니라 C로 옮긴다. 본래 C는 Γ(감마, 발음상 G에 대응)가 변형된 문자인데 라틴어에서는 K를 밀어내고 Κ(카파)에 대응되는 문자로 자리 잡았다. 이에 대해서는 C, G, K를 참조. 그래서 라틴어나 라틴어에서 분화되어 나온 여러 로망스어군의 언어에서 K는 잉여 문자가 되었다. 어미 -ος(-os, -오스)는 발음 그대로 옮기지 않고 라틴어 어미 -us로 변환해서 옮긴다. [3] 다만 한국어의 은 /kʰ/ 발음이기에 실제 발음을 따르면 '께르베루스'에 가깝다. [4] 현대 이탈리아어의 철자-발음 대응 규칙에 따라 발음하는 방법. 가톨릭 표준 발음이다. [5] 더 자세히는 달콤한 포도주를 발라 구운 보리 과자라고 한다. [6] 이건 아이네이아스가 동행하기 위해서였다. 꿀과 밀로 만든 케이크였다고. [7] 테세우스는 하마터면 이 독에 당해 죽을 뻔 했었다. [8] 소(小) 세네카의 <헤라클레스>에선 역으로 태양이 케르베로스의 흉흉한 기운 때문에 겁에 질려 창백한 빛을 뿜어댔다고 하는 묘사도 있다. 이 전승에서는 케르베로스를 잡아오라고 명령한 헤라마저도 겁먹었다는 듯. [9] 한국에서는 보통 이 정도로 큰 사람은 수박 같다고 비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