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DA111A> |
폴 포트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ffff,#DA111A><colcolor=#DA111A,#FCDD01> 소속 | 민주 캄푸치아 · 캄푸치아 공산당 · 크메르 루주 · 캄푸치아 구국인민동맹임시정부 | |
사건 · 전쟁 | 킬링필드 · 캄보디아 내전 · 베트남의 태국 국경 습격 ·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 마야게즈호 피랍사건 · 바 축 학살 | ||
창작물 | 이스케이프 · 영화 킬링필드 | ||
기타 | 뚜올쓸라엥 · 산테발 · 영광스러운 4월 17일 · 캄푸치아 리엘 · ECCC | ||
관련 인물 | |||
크메르 루주 | 깡 겍 이우 · 누온 체아 · 따 목 · 라트 사모은 · 손 난,(니콘), · 손 센 · 윤 얏 · 이엥 사리 · 이엥 티릿 · 케 팍 · 키우 삼판 · 키우 폰나리 · 토우 사무트 · 피 푸온 · 픽 체앙 · 핑 소이 · 호우 유온 | ||
뚜올쓸라엥 사망자 | 논 수온 · 아차르 시엥 · 티브 올 · 침 삼 아옥 · 후 님 | ||
기타 | 노로돔 시아누크 · 노로돔 라나리드 · 레 두안 · 레 둑 토 · 론 놀 · 범문동 · 뻬인 눗 · 손 산 · 손 응옥 탄 · 엉 흐엇 · 티운 뭄 · 헹 삼린 · 행 S. 응고르 · 훈 센 |
미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건국 ~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독립전쟁 ,1775 ~ 1783, |
<colbgcolor=#fff,#191919> 영국 하노버 선제후령 브라운슈바이크 이로쿼이 | ||
유사전쟁 ,1798 ~ 1800, |
프랑스 제1공화국 | ||
1차 바르바리 전쟁 ,1801 ~ 1805, |
오스만 제국 | ||
미영전쟁 ,1812 ~ 1815, |
영국 | ||
2차 바르바리 전쟁 ,1815, |
오스만 제국 | ||
미국-멕시코 전쟁 ,1846 ~ 1848, |
멕시코 | ||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
태평천국 | ||
제2차 아편전쟁 ,1856, |
청나라 | ||
남북전쟁 ,1861 ~ 1865, |
아메리카 연합국 | ||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
조슈 번 | ||
포르모사 원정 ,1867, |
파이완족 | ||
신미양요 ,1871, |
조선 | ||
하와이 침공 ,1893, |
하와이 왕국 | ||
미국-스페인 전쟁 ,1898, |
스페인 | ||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
필리핀 제1공화국 | ||
의화단의 난 ,1900 ~ 1901, |
의화단 청나라 | ||
멕시코 국경 전쟁 ,1910 ~ 1919, |
멕시코 | ||
니그로 반란 ,1912, |
쿠바 PIC | ||
니카라과 점령 ,1912 ~ 1933, |
니카라과 자유주의자 | ||
아이티 점령 ,1915 ~ 1934, |
아이티 반군 | ||
도미니카 점령 ,1916 ~ 1924, |
도미니카 공화국 | ||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
러시아 내전 ,1918 ~ 1920, |
소비에트 러시아 극동 공화국 | ||
제2차 온두라스 내전 ,1924, |
온두라스군 | ||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
태평양 전쟁 ,1941 ~ 1945, |
일본 제국 태국 필리핀 제2공화국 | |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
이탈리아 왕국 나치 독일 비시 프랑스 | ||
서부전선 ,1941 ~ 1945, |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비시 프랑스 | ||
추축국 석유 차단 작전 ,1940 ~ 1945, |
나치 독일 루마니아 왕국 헝가리 왕국 불가리아 왕국 | ||
그리스 내전 ,1944 ~ 1948, |
그리스 공산당 | ||
6.25 전쟁 ,1950 ~ 1953, |
북한 소련 중국 | ||
1958년 레바논 위기 ,1958, |
레바논 국가 운동 | ||
피그만 침공 ,1961, |
쿠바 | ||
베트남 전쟁 ,1964 ~ 1973, |
북베트남 베트콩 | ||
라오스 내전 ,1964 ~ 1973, |
파테트라오 북베트남 |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북한 | ||
EC-121 격추 사건 ,1969, |
북한 | ||
도미니카 내전 ,1965 ~ 1966, |
헌법론자 파벌 | ||
캄보디아 내전 ,1970 ~ 1975, |
크메르 루주 베트콩 북베트남 |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
북한 | ||
엘살바도르 내전 ,1979 ~ 1992, |
FMLN | ||
시드라 만 사건 ,1981~1989, |
리비아 | ||
그레나다 침공 ,1983, |
그레나다 쿠바 | ||
레바논 내전 ,1982~1984, |
시리아 이란 헤즈볼라 | ||
리비아 공습 ,1986, |
리비아 | ||
사마귀 작전 ,1988, |
이란 | ||
파나마 침공 ,1989, |
파나마 | ||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1989, |
반민주 필리핀 군부 세력 | ||
걸프 전쟁 ,1990 ~ 1991, |
이라크 | ||
모가디슈 전투 ,1993, |
통일소말리아회의 | ||
민주주의 유지 작전 ,1994 ~ 1995, |
아이티 | ||
보스니아 내전 ,1995, |
유고슬라비아 스릅스카 공화국 | ||
무한 도달 작전 ,1998, |
수단 알 카에다 | ||
사막의 여우 작전 ,1998, |
이라크 | ||
코소보 전쟁 ,1999, |
유고슬라비아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21세기 이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1, |
<colbgcolor=#fff,#191919> 탈레반 정권 알 카에다 호라산 이슬람 국가 | ||
이라크 전쟁 ,2003 ~ 2011, |
이라크( 후세인 정권 및 저항 세력) 알 카에다 및 저항 세력 시아파 무장 세력 | ||
파키스탄 드론 공습 ,2004 ~ 2018, |
알 카에다 탈레반 정권 파키스탄 탈레반 | ||
소말리아 군사 개입 ,2007 ~ 현재, |
알샤바브 알 카에다 | ||
2006년 3월 18일 조치 ,2006, |
소말리아 해적 | ||
머스크 앨라배마호 피랍 사건 ,2009, |
소말리아 해적 | ||
아프간 주둔 미군-파키스탄군 교전 ,2009 ~ 2012, |
파키스탄 | ||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
리비아 | ||
SY 퀘스트 피랍 사건 ,2011, |
소말리아 해적 | ||
니제르 군사 개입 ,2013 ~ 현재, |
알 카에다 ISIS 보코 하람 | ||
이라크 내전 ,2014 ~ 2017, |
ISIS | ||
제2차 리비아 내전 ,2015 ~ 2019, |
ISIS | ||
시리아 내전 ,2017 ~ 현재, |
ISIS | ||
샤리아트 공군기지 공습 ,2017, |
시리아 | ||
카샴 전투 ,2018, |
시리아 바그너 그룹 | ||
2018년 4월 시리아 공습 ,2018, |
시리아 | ||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
이란 카타이브 헤즈볼라 | ||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2020, |
이란 | ||
2023년 이라크·시리아 주둔 미군기지 공격 ,2023, |
이란 시리아 인민동원군 | ||
홍해 위기 , 2023 ~ 현재, |
최고정치위원회 이란 |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
최고정치위원회 | ||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2023, |
최고정치위원회 | ||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
최고정치위원회 | ||
친이란 민병대의 주요르단 미군기지 공격 ,2024 ~ 현재, |
미상 친이란 민병대 | ||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2024 ~ 현재, |
이란 인민동원군 | }}}}}}}}} |
미국 선박이 공격 받아
나포 배후는 캄보디아
나포 배후는 캄보디아
이 사건을 다룬 미 국방부 기관지인 성조 지(Stars and Stripes, 星條紙)의 보도.
1. 개요
Mayaguez incident미국 선적의 컨테이너선 마야게즈(mayaguez)호가 민주 캄푸치아 인근 공해상에서 민주 캄푸치아 해군 초계정에 나포된 사건.
베트남 전쟁에서 철수한 미군의 공식적인 마지막 작전이기도 하다.
2. 마야게즈호
마야게즈(mayaguez)호는 미국 선적의 컨테이너 화물선으로 승무원 39명이 타고 있었다. 다만, 순수 민간 상선은 아니고 미국대사관의 기밀물자 등을 선적했다. ##대한민국에서는 발생 당시에는 마야궤즈호 사건으로 불렀으나 2000년대 이후의 기사에서는 마야게즈호로 불린다. 함명은 푸에르토리코의 도시 마야게즈에서 유래했다.
3. 전개
1975년 5월 12일 마야게즈호가 민주 캄푸치아 인근 공해상[1]에서 민주 캄푸치아 해군 초계정[2]에게 피랍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초계정에서 RPG-7을 사격하며 위협하자 마야게즈호는 SOS 신호를 보냈고 이 신호를 인도네시아 탐사회사와 호주 선박이 접수해 미국측에 알렸다.이에 미군에서는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당시 저자세로 일관했던[3] 아픈 경험 때문인지 초강경 대응을 하기로 결정했다.
미 해군은 P-3 초계기를 동원해 나포된 마야게즈호를 찾아냈으며 F-111, A-7, AC-130등의 항공전력과 미드웨이급 3번 항공모함 CV-43 코럴시(Coral Sea), 구축함 헨리 B. 윌슨, 구축함 홀트 등의 군함 및 해병대를 주축으로 한 220명 규모의 구조대를 편성했다.
미군 관측기가 나포된 승선원을 태운 것으로 의심되는 소형함정이 코탕(Koh Tang) 섬으로 간다고 보고했지만 캄보디아 본토인 캄퐁 솜(Kompong Som)으로 가는 것인지 코탕섬으로 가는 것인지 특정하지 못하고 있던[4] 미군 수뇌부는 승선원이 캄퐁 솜으로 압송되었다 하더라도 코탕 섬을 점령하여 억류된 승선원과 교환할 협상용 카드로 삼기 위해 점령 작전을 입안했다.
미군 수뇌부는 부대를 2개로 나누어 한쪽은 나포된 마야게즈호를 탈환하고 한쪽은 승선원들이 억류된 것으로 의심되는 코탕 섬을 점령하기로 했다.
5월 15일 아침 태국에서 헬기 3대를 타고 온 해병대 59명, 해군 인양전문가 6명, 공군 폭파전문가 2명, 육군 통역관 1명 이 구축함 홀트에 도착했으며 구축함 헨리 B. 윌슨까지 합류해 마야게즈호를 탈환하기 위해 아침 6시 30분에 출발했다. A-7 공격기에서 최루가스 투하를 신호로[5] 해병대 병력이 마야게즈호에 돌입하였지만 배를 점거하고 있어야 할 크메르 루주는 한 명도 남김없이 도망간 다음이라 무혈입성하여 마야게즈호를 탈환하는 데 성공했고 구축함 홀트가 접안하여 예인했다.
아침 9시 30분 인근 해상을 초계 중이던 P-3 오라이언 초계기가 작은 어선을 발견했고 이를 크메르 루주의 반격으로 간주하고 구축함 윌슨에 알리면서 총원 전투배치 지시가 하달되었지만 마야게즈호의 승선원으로 밝혀저 구조작업을 벌여 마야게즈호와 승선원 전원이 무사 귀환하게 되었다.
4. 코탕 섬 점령작전
마야게즈호와 승무원들이 모두 무사히 귀환한 것과는 다르게 코탕섬 점령 작전은 시작하기도 전에 잡음이 나오고 있었다.미군은 코탕섬의 수비대 병력을 기관총과 박격포 등으로 무장한 100~200명 정도의 적은 인원만 있다고 판단하였지만 이게 실수였다. 캄보디아 크메르루즈는 베트남을 적대시하였기에 베트남을 감시하고자 이 작은 섬에 꽤 많은 병력과 장비를 준비시켰다는 게 뒤늦게 알려졌다. 게다가 코탕섬을 감시하던 AC-130 건쉽에서 섬 곳곳에 배치된 40mm 대공화기를 발견하여 보고 하였지만 묵살했고 작전에 투입할 헬기도 강습훈련을 전혀 한적이 없었으며[6] 헬기의 중량제한 때문에 박격포 등의 중화기를 동원하지 못하였다. 대신 공중지원을 받을 예정이긴 했다.
5월 15일 새벽 4시 14분 코탕섬을 점령하기 위한 병력을 태운 공군 제21특수전 비행대 소속 CH-53, 제40항공구조비행대 소속 HH-53 헬기 4대가 출발하였고 계획보다 약간 늦은 6시 정각 섬의 동쪽과 서쪽에 각 2대씩 착륙했다. 섬의 서쪽 해안에 병력을 강습할 때까지 적의 대응이 없어서 작전은 순조롭게 잘 되는 듯했지만 레이더 장비와 여러 준비를 했던 섬이었으니 크메르 루주 측은 이미 알아차려서 무장을 하고 기다렸을 뿐이다. 결국 미군들이 헬기에서 병력들이 내리기 시작하자 크메르 루즈의 사격이 시작되었다. 헬기 강습 작전에서 가장 취약한 착륙시기를 노려 사격하는 치밀함을 보였다. 집중사격으로 엔진 1기를 피격당한 헬기는 병력을 내리자마자 황급히 상승해 현장을 이탈하려고 했지만 얼마 못가 바다에 불시착했고 다른 1기는 연료통을 피격당한 채 겨우 이탈하였다.
섬 동쪽으로 착륙하려던 헬기들도 집중 사격을 받아 한 대는 해변에 추락하고 한 대는 파손된 상태로 겨우 태국의 미군기지로 귀환했다. 크메르 루주의 집중사격과 헬기의 추락으로 다수의 전사자와 부상자를 냈으면서도 서쪽 해안의 작은 교두보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선발대가 격렬한 저항에 놓이자 후발대의 작전도 차질을 빚게 되었다. 동서 해안에 병력을 추가하는 것에서 이미 교두보를 확보한 서쪽 해안에 병력을 집중하는 것으로 작전을 변경하여 크메르 루즈의 격렬한 저항 속에서도 헬기를 추가 투입하여 60여명의 해병대가 서쪽 해변에 교두보를 확보했다.
5. 영향
전사자 41명 중 3명은 섬에서 구출되지 못한 뒤 실종된 해병대원들이다. 구조 요청 무전을 받았으나 제때 구조하지 못했고 현장을 수색하였으나 결국 찾지 못하자 전사 후 시신을 찾지 못했다고 간주하고 철수하였으며 이들은 일단 실종으로 보았으나 사실상 생존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어 전사처리되었다.[7] 생포된 후 크메르 루주에게 살해되었다는 진술도 있으나 확인된 것은 없다.[8] 2008년에 러시아 기업 등이 캄보디아 정부와 코탕섬 임대계약을 완료하면서 코탕섬 일대를 리조트로 개발할 계획이라 실종된 3인에 대한 유해 발굴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고 전해졌다. ##마야게즈호가 사건 이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워낙 개판인 작전이었던 탓에 밀리터리 실패열전(호비스트 출판사) 실패한 작전편에 수록되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작전의 성패에 대해 전술적 목적이었던 마야게즈호의 탈환과 승조원 전원 무사귀환이라는 큰 성과를 낸 작전인지, 아니면 전사자만 41명을 기록한 실패한 작전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6. 관련 항목
[1]
민주 캄푸치아는 캄보디아 영해를 침범했다고 주장했다.
[2]
정작 이 배는 론놀 친미 정권 시절 미군이 원조한 미국제였다.
[3]
억류된 승무원만 80명이라서 함부로 구출작전을 펼치기도 어려웠고 당시 베트남 전쟁을 치르던 와중에 구출작전이 자칫 전면전으로 비화될 수도 있어서 신중하게 대응하다 보니 결과적으로 북한에 끌려가는 모양새가 되어 초강대국 미국의 체면을 구겼다.
[4]
코탕 섬과 본토인 캄퐁 솜은 거리가 가깝고 방향도 비슷했다. 대한민국으로 치면 (육지인)
인천으로 가느냐, 근처의
영종도로 가느냐 정도의 차이다.
[5]
이 때문에 작전병력들이
방독면을 착용하고 있다.
[6]
조종사 구출이나 전투정찰이나 수색이 주 임무였다.
[7]
같은 이유로 전쟁 당시 소재가 확인되지 않은 실종자와 미귀환 포로들도 전쟁 이후 일괄 전사처리하고 가족들에게도 전사자에 준하는 보훈혜택을 주었다.
[8]
다만
킬링필드 당시 수용소에서 처형됐다고 발표가 났는데도 베트남에 의해 해방된 뒤 살아나온 자들이 수두룩한 점에서 보듯이 당시 크메르 루주는 행정체계가 엉망이었기 때문에 처형하고도 상부에서 몰랐을 수도 있다.